KR101182125B1 -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125B1
KR101182125B1 KR1020100008364A KR20100008364A KR101182125B1 KR 101182125 B1 KR101182125 B1 KR 101182125B1 KR 1020100008364 A KR1020100008364 A KR 1020100008364A KR 20100008364 A KR20100008364 A KR 20100008364A KR 101182125 B1 KR101182125 B1 KR 101182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bollard body
road
patter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728A (ko
Inventor
최진선
Original Assignee
최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선 filed Critical 최진선
Priority to KR1020100008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1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광하협 형상의 볼라드 내부에서 조명을 발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야간에 도로나 공원 등에서 다양하게 가변되는 조명으로 미려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라드의 내부에 융착되는 수지판이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여, 볼라드의 파손 등에 의한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경계용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공원이나 도로 등에 설치되도록 하는 도로경계용 볼라드에 있어서,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며, 다양한 형상이 천공된 무늬통공을 형성한 볼라드 본체와;
상기 볼라드 본체의 내면에 융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의 무늬통공으로 돌출되도록 한 돌출부와, 상기 볼라드 본체의 외면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을 형성한 수지판과;
상기 볼라드 본체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볼라드 본체의 상단에 요입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형성한 덮개와;
다수 개의 LED가 구비된 조명부와, 하단 양측에는 ‘ L ’ 자 형태의 고정편을 형성한 조명부재와;
상기 조명부재의 고정편을 볼트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를 결합, 고정하여 지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한 받침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그 제조방법 { Bollard for boundary of road and the making method }
본 발명은 도로나 공원 등에 설치되도록 한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광하협 형상의 볼라드 내부에서 조명을 발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야간에 도로나 공원 등에서 다양하게 가변되는 조명으로 미려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라드의 내부에 융착되는 수지판이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여, 볼라드의 파손 등에 의한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용 볼라드는, 도로나 공원 등에 인도와 차도의 경계용으로 또는, 차량의 도로 진입 차단용 등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경계용 볼라드는 주로 석재나 목재 등을 소재로 하고, 일정한 높이로 제작되도록 하여, 도로의 지면에 일정깊이로 매립,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도로경계용 볼라드는, 재질이 석재 또는 목재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디자인 효과에 한계가 있어 도로나 공원 등의 미관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근래들어 각 도시별로 도로나 공원 등의 조경과 디자인에 관심이 집중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도로구획용 볼라드의 소재와 외관을 다양화하고 시각적인 디자인을 향상시키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획일적인 디자인으로 제작된 도로경계용 볼라드는, 다양한 주제와 조경의 공원이나 도로 등에 적합한 시각적 장식효과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출원인은 2008년 6월 19일자로 특허출원 2008-57741호의 ‘ 도로경계용 조형 시설물’을 출원하고, 이후에 다양한 종류의 도로경계용 볼라드를 특허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경계용 볼라드는, 볼라드 내면에 융착된 수지판이 불의한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하여 종종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볼라드의 사용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지면에 설치된 볼라드의 내면에서 수지판이 이격되어, 빗물 유입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볼라드 내부의 조명장치 등의 고장이나 오작동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실정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경계용 볼라드의 내부에 융착된 수지판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볼라드와 수지판의 분리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판을 볼라드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볼라드의 고장이나 파손 등에 의한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원이나 도로 등에 설치되도록 하는 도로경계용 볼라드에 있어서,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며, 다양한 형상이 천공된 무늬통공을 형성한 볼라드 본체와;
상기 볼라드 본체의 내면에 융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의 무늬통공으로 돌출되도록 한 돌출부와, 상기 볼라드 본체의 외면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을 형성한 수지판과;
상기 볼라드 본체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볼라드 본체의 상단에 요입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형성한 덮개와;
다수 개의 LED가 구비된 조명부와, 하단 양측에는 ‘ L ’ 자 형태의 고정편을 형성한 조명부재와;
상기 조명부재의 고정편을 볼트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를 결합, 고정하여 지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한 받침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공원이나 도로 등에 설치되도록 하는 도로경계용 볼라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정 크기의 금속판에 각종 문양과 형상의 무늬통공을 천공하도록 하고, 무늬통공이 천공된 금속판을 상광하협의 반원형태로 절곡시키도록 하여, 상광하협의 반원형태의 볼라드 본체를 제조하는 전단 및 밴딩공정과;
상기 무늬통공에 문양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하되, 무늬통공에 천공된 문양의 크기에서 2 ~ 4 mm 의 큰 크기의 문양을 천공하여 돌출부성형판을 제조하도록 하는 돌출부성형판 제조공정과;
상기 돌출부성형판을 진공흡입기에 위치시키고, 상기 돌출부성형판의 상면에 상광하협의 반원형태로 절곡된 볼라드 본체를 위치시키도록 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의 상면에 일정 두께의 수지판을 위치시키도록 하여, 상부에서 프레스로 고온으로 가압하고, 고온으로 수지판을 용융시키도록 하는 가압 및 용융공정과;
상기 고온으로 가압, 용융된 수지판을 진공흡입기의 흡입팬을 구동하여, 상기 용융된 수지가 상기 무늬통공의 문양과 상기 돌출부성형판의 문양 사이의 공간으로 충진되어, 돌출부와 걸림턱을 성형하도록 하는 돌출부 성형공정과;
상기 무늬통공에 돌출부와 걸림턱이 성형되면, 일정 시간동안 냉각, 건조시키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성형판을 분리하도록 하는 냉각 및 분리공정과;
수지 소재로 반구형상의 덮개를 성형하도록 하고, 덮개의 일정 부분을 도금공정을 통해 도금되도록 하는 덮개성형 및 도금공정과;
상광하협의 반원형상의 볼라드 본체 한 쌍을 상호 용접하도록 하여, 원통형상의 볼라드 본체를 완성하도록 하고, 조명부재와 받침대, 그리고 덮개를 조립하도록 하는 조립 및 마감공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경계용 볼라드의 내부에 융착된 수지판이 볼라드의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볼라드와 수지판의 분리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지판을 볼라드의 내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볼라드의 고장이나 파손 등에 의한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광하협의 형태인 볼라드 본체(10)와,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내면에 융착되도록 한 수지판(20)과,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부를 덮도록 한 덮개(30)와, 다양한 색상으로 가변하여 발광되도록 한 조명부재(40)와, 상기 볼라드 본체(10)를 지면에 고정시키도록 결합되는 받침대(50)로 구성된다.
상기 볼라드 본체(10)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며, 다양한 형상이 천공된 무늬통공(11)을 형성한다.
상기 수지판(20)은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내면에 융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무늬통공(11)으로 돌출되도록 한 돌출부(21)와,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외면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22)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30)는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단에 요입되도록 하는 결합부(31)를 형성한다.
상기 조명부재(40)는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LED) 전구가 구비된 조명부와, 하단 양측에는 ‘ L ’ 자 형태의 고정편(41)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대(50)는 상기 조명부재(40)의 고정편(41)을 볼트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10)를 결합, 고정하여 지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공원이나 도로 등의 경계와 구획, 또는 차량 진입의 차단 목적으로 시설물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받침대(50)에 이용하여, 지면 또는 바닥면에 볼트 등으로 볼라드를 고정,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로나 공원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도로경계용 볼라드는,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고정편(41)으로 고정된 조명부재(40)에서 발산되는 조명이 상기 수지판(20)을 통해, 상기 무늬통공(11)으로 발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지판(20)의 돌출부(21)는 상기 무늬통공(11)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턱(22)에 의하여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외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볼라드 본체(10)와 수지판(20)은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부를 상기 덮개(30)의 결합부(31)를 이용하여 요입, 결합하게 되면,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심미한 형상의 디자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단 및 밴딩 공정 (S1)
일정 크기의 금속판에 각종 문양과 형상의 무늬통공(11)을 천공하도록 하고, 무늬통공(11)이 천공된 금속판을 상광하협의 반원형태로 절곡시키도록 하여, 상광하협의 반원형태의 볼라드 본체(10)를 제조하도록 한다.
금속판에 무늬통공(11)은 레이저 절단기 등의 금속판재 전단기를 이용하여 전단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판의 반원형태로 절곡하는 작업은 프레스나 밴딩기 등을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반원형태로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성형판 제조공정 (S2)
상기 무늬통공(11)에 문양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하되, 무늬통공(11)에 천공된 문양의 크기에서 2 ~ 4 mm 의 큰 크기의 문양을 천공하여, 반원형상의 돌출부성형판(r)을 제조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성형판(r)의 천공작업과 절곡작업은, 각각 레이저 절단기와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돌출부성형판(r)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가압 및 용융공정 (S3)
상기 돌출부성형판(r)을 진공흡입기(t)에 위치시키고, 상기 돌출부성형판(r)의 상면에 상광하협의 반원형태로 절곡된 볼라드 본체(10)를 위치시키도록 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면에 일정 두께의 수지판(20)을 위치시키도록 하여, 상부에서 프레스(p)로 고온으로 가압하고, 고온으로 수지판(20)을 용융시키도록 한다.
돌출부 성형공정 (S4)
상기 고온으로 가압, 용융된 수지판((20)을 진공흡입기(t)의 흡입팬(h)을 구동하여, 상기 용융된 수지가 상기 무늬통공(11)의 문양과 상기 돌출부성형판(r)의 문양 사이의 공간으로 충진되어, 돌출부(21)와 걸림턱(22)을 성형하도록 한다.
냉각 및 분리공정 (S5)
상기 무늬통공(11)에 돌출부(21)와 걸림턱(22)이 성형되면, 일정 시간동안 냉각, 건조시키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성형판(r)을 분리하도록 한다.
덮개 성형 및 도금공정 (S6)
수지 소재로 반구형상의 덮개를 성형하도록 하고, 덮개의 일정 부분을 도금공정을 통해 도금되도록 한다.
조립 및 마감공정 (S7)
상광하협의 반원형상의 볼라드 본체(10) 한 쌍을 상호 용접하도록 하여 볼라드 본체(10)를 완성하도록 하고, 조명부재(40)와 받침대(50), 그리고 덮개(30)를 조립하고, 용접 부위를 마무리하여 볼라드를 완성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r은 돌출성형판이고, t는 진공흡입기이고, p는 프레스이고, h는 흡입팬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의 바람직한 작용효과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 그와 같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볼라드 본체 11 : 무늬통공
20 : 수지판 21 : 돌출부
22 : 걸림턱 30 : 덮개
31 : 결합부 40 : 조명부재
41 : 고정편 50 : 받침대
S1 : 전단 및 밴딩공정 S2 : 돌출부성형판 제조공정
S3 : 가압 및 용융공정 S4 : 돌출부 성형공정
S5 : 냉각 및 분리공정 S6 : 덮개성형 및 도금공정
S7 : 조립 및 마감공정

Claims (2)

  1. 공원이나 도로 등에 설치되도록 하는 도로경계용 볼라드에 있어서,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며, 다양한 형상이 천공된 무늬통공(11)을 형성한 볼라드 본체(10)와;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내면에 융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무늬통공(11)으로 돌출되도록 한 돌출부(21)와,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외면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22)을 형성한 수지판(20)과;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단에 요입되도록 하는 결합부(31)를 형성한 덮개(30)와;
    다수 개의 LED가 구비된 조명부와, 하단 양측에는 ‘ L ’ 자 형태의 고정편(41)을 형성한 조명부재(40)와;
    상기 조명부재(40)의 고정편(41)을 볼트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10)를 결합, 고정하여 지면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한 받침대(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용 볼라드.
  2. 공원이나 도로 등에 설치되도록 하는 도로경계용 볼라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정 크기의 금속판에 각종 문양과 형상의 무늬통공(11)을 천공하도록 하고, 무늬통공(11)이 천공된 금속판을 상광하협의 반원형태로 절곡시키도록 하여, 상광하협의 반원형태의 볼라드 본체(10)를 제조하는 전단 및 밴딩공정(S1)과;
    상기 무늬통공(11)에 문양과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하되, 무늬통공(11)에 천공된 문양의 크기에서 2 ~ 4 mm 의 큰 크기의 문양을 천공하여 돌출부성형판(r)을 제조하도록 하는 돌출부성형판 제조공정(S2)과;
    상기 돌출부성형판(r)을 진공흡입기(t)에 위치시키고, 상기 돌출부성형판(r)의 상면에 상광하협의 반원형태로 절곡된 볼라드 본체(10)를 위치시키도록 하고, 상기 볼라드 본체(10)의 상면에 일정 두께의 수지판(20)을 위치시키도록 하여, 상부에서 프레스(p)로 고온으로 가압하고, 고온으로 수지판(20)을 용융시키도록 하는 가압 및 용융공정(S3)과;
    상기 고온으로 가압, 용융된 수지판((20)을 진공흡입기(t)의 흡입팬(h)을 구동하여, 상기 용융된 수지가 상기 무늬통공(11)의 문양과 상기 돌출부성형판(r)의 문양 사이의 공간으로 충진되어, 돌출부(21)와 걸림턱(22)을 성형하도록 하는 돌출부 성형공정(S4)과;
    상기 무늬통공(11)에 돌출부(21)와 걸림턱(22)이 성형되면, 일정 시간동안 냉각, 건조시키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성형판(r)을 분리하도록 하는 냉각 및 분리공정(S5)과;
    수지 소재로 반구형상의 덮개를 성형하도록 하고, 덮개의 일정 부분을 도금공정을 통해 도금되도록 하는 덮개성형 및 도금공정(S6)과;
    상광하협의 반원형상의 볼라드 본체(10) 한 쌍을 상호 용접하도록 하여, 원통형상의 볼라드 본체(10)를 완성하도록 하고, 조명부재(40)와 받침대(50), 그리고 덮개(30)를 조립하도록 하는 조립 및 마감공정(S7);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용 볼라드의 제조방법.
KR1020100008364A 2010-01-29 2010-01-29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그 제조방법 KR10118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364A KR101182125B1 (ko) 2010-01-29 2010-01-29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364A KR101182125B1 (ko) 2010-01-29 2010-01-29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728A KR20110088728A (ko) 2011-08-04
KR101182125B1 true KR101182125B1 (ko) 2012-09-13

Family

ID=4492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364A KR101182125B1 (ko) 2010-01-29 2010-01-29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032B1 (ko) 2020-11-26 2021-03-09 고광현 완충 볼라드 기능을 구비한 경관용 조명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431B1 (ko) * 2019-01-02 2021-01-29 용남순 절개부가 구비된 엘이디모듈로 이루어진 볼라드
KR102611716B1 (ko) * 2021-11-25 2023-12-07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955Y1 (ko) 2005-06-22 2005-09-06 박다경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볼라드
KR100898873B1 (ko) 2008-07-25 2009-05-21 최진선 도로구획용 조명 시설물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955Y1 (ko) 2005-06-22 2005-09-06 박다경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볼라드
KR100898873B1 (ko) 2008-07-25 2009-05-21 최진선 도로구획용 조명 시설물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032B1 (ko) 2020-11-26 2021-03-09 고광현 완충 볼라드 기능을 구비한 경관용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728A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125B1 (ko) 도로경계용 볼라드와 그 제조방법
KR101044799B1 (ko) 지중매립용 경관조명등
US7874705B2 (en) Cover for a luminary device
KR101123237B1 (ko) 보도블럭과 그 제조방법
KR200381351Y1 (ko) 보행자 안전유도형 보도블럭
JP2012532432A (ja) 自給式の発光部材及び人造石又は天然石の形状の発光敷石
CN102918322B (zh) 具有散热结构的led路灯装置
KR102273837B1 (ko) 바닥신호등
KR101033187B1 (ko) 조명 유도용 볼라드
CN100591852C (zh) 树脂护栏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09475B1 (ko) 분수용 수중 조명등기구
KR100898873B1 (ko) 도로구획용 조명 시설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KR200425637Y1 (ko) 가로수 보호판
KR102397106B1 (ko) 도로표지병
KR100950283B1 (ko) 공원 녹지 조경용 연속 경계석
CN209920996U (zh) 一种出风口叶片装饰条结构及仪表板结构
KR20090075509A (ko) 조립식 펜스
KR102093358B1 (ko) 광발광성 에코디스크 설치방법
KR20090006507U (ko) 체스블럭용 격자틀 및 이를 구비한 보도블럭 세트
JP2004520184A (ja) 蛍光ライフハンマー
KR102209431B1 (ko) 절개부가 구비된 엘이디모듈로 이루어진 볼라드
USD531344S1 (en) Lamp shade
KR101844020B1 (ko) 장식을 겸하는 엘이디조명이 내장된 목재난간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