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997B1 -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997B1
KR101181997B1 KR1020110120138A KR20110120138A KR101181997B1 KR 101181997 B1 KR101181997 B1 KR 101181997B1 KR 1020110120138 A KR1020110120138 A KR 1020110120138A KR 20110120138 A KR20110120138 A KR 20110120138A KR 101181997 B1 KR101181997 B1 KR 10118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ure
fish
induction
catching
f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인
Original Assignee
박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인 filed Critical 박광인
Priority to KR102011012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어류 포획 장치의 각도와 높낮이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하며, 포획부의 경사면을 따라 어류를 용이하게 포획작업대로 유도하여 어류를 포획하도록 함으로써 소수의 인력으로도 포획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외면에 그물망이 형성되되 상부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며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포획작업대와, 상기 포획작업대의 일측면과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그 폭과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 그물망이 형성되되 일측면 및 타측면이 개구된 포획부 및 상기 포획부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Apparatus for catching fish}
본 발명은 양식장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어류 포획 장치의 각도와 높낮이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하며, 포획부의 경사면을 따라 어류를 용이하게 포획작업대로 유도하여 어류를 포획하도록 함으로써 소수의 인력으로도 포획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 수조식 양식장은 풍부한 수원과 어종에 따른 적정수온을 맞추어 공급하기가 편리하여 현재 널리 어민들에게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양식방법이며, 해수를 바다로부터 직접 끌어올려 양식에 적합한 온도로 조절한 다음 수조에 공급하게 되어 있어 공급수의 수질관리 및 온도조절을 통해 어류를 양식한다.
이러한 양식장에서 성어로 성장한 어류를 포획함에 있어 종래에는 다수의 인력을 동원하여 수조 내에 투망 등을 이용하여 어류를 포획하거나, 그물망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어류를 포획 위치까지 몰아 상기 포획위치에서 어류를 포획하였다.
이에 따라, 수조 내의 어류는 상처 내지 스트레스를 받게 됨에 따라 어류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며, 특히 다수의 인력을 동원하게 됨으로써 인력의 낭비와 인력비용이 상당히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소수의 인원으로 양식장의 어류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는 포획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며, 어류를 작업대로 유도 및 이동시키기 위한 유도부를 높이 조절 내지 각도 조절은 물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조의 환경 및 규모에 적합하도록 포획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는 그 외면에 그물망이 형성되되 상부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며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포획작업대와; 상기 포획작업대의 일측면과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그 폭과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 그물망이 형성되되 일측면 및 타측면이 개구된 포획부; 및 상기 포획부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포획작업대에 연결되는 부력구와; 상기 포획작업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관과;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용관에 유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조절바; 및 상기 수용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바를 가압 및 고정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유도부는 판형의 유도망과; 상기 유도망을 둘러싸는 테두리부; 및 상기 유도망과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출망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는 복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유도부 간을 연결하기 위한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결속수단은 유도부와 타 유도부가 서로 접하는 양 테두리부를 수용하되, 상기 양 테두리부가 각기 상부 또는 하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양 테두리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도록 구성된 결속관인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포획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유도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포획부의 타측면과 유도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동바; 및 상기 회동바를 향하도록 상기 포획부의 타측면 및 상기 유도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동바가 삽설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동링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포획부 및 유도부는 수조의 바닥면과 접하는 그 하부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미끌림방지관이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는 어류를 작업대로 유도 및 이동시키기 위한 유도부를 높이 조절 내지 각도 조절은 물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조의 환경 및 규모에 적합하도록 포획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로부터 유도 및 이동하는 어류가 경사면을 갖는 포획구를 통해 상처 내지 스트레스 없이 용이하게 이동됨으로써 포획작업대에서 소수의 인원으로 양식장의 어류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포획작업대와 포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유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속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포획작업대와 포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유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결속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는 육상 수조식 양식장(이하 '수조'라 칭함.)에 설치되어 수조 내에서 성장하는 어류를 소수의 인력으로 용이하게 포획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면에 그물망(10-1)이 형성되되 상부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며 높이조절수단(40)이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포획작업대(10)와, 상기 포획작업대(10)의 일측면과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그 폭과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200)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 그물망(20-1)이 형성되되 일측면 및 타측면이 개구된 포획부(20) 및 상기 포획부(20)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유도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포획작업대(10)는 상기 유도부(30) 및 포획부(20)로부터 유도된 어류가 최종적으로 이동하는 공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개구된 상부를 통해 뜰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어류를 포획하게 된다.
상기 포획부(20)는 도 1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획작업대(10)를 향하여 이동공간이 좁아지도록 경사면(2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어류의 이동 습성을 이용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어류가 상기 포획작업대(1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포획작업대(10)로 진입 시 어류에 상처 및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포획부(20)의 일측면은 상기 포획작업대(10)의 일측면과 연통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어류 이동공간을 공유하도록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상기 포획작업대(10)는 높이조절수단(40)이 구비되는 바, 수조 상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의해 포획작업대(10)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포획부(20) 또한 상기 포획작업대(10)와 연동하여 함께 수조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일 예로써,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획작업대(10)의 하부에 연결되며 부력에 의해 상기 포획작업대(10)를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구(400)와, 상기 포획작업대(10) 전방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관(410)과,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용관(410)에 유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조절바(420) 및 상기 수용관(410)의 측면을 관통하며 회전 결합을 통해 상기 높이조절바(420)를 가압 및 고정하는 조임볼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수용관(410)이 결합된 상기 포획작업대(10)를 상기 높이조절바(420) 상에서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최종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조임볼트(430)를 체결하여 해당 위치에서 상기 포획작업대(10)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획작업대(10)는 수조 내의 수위를 고려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을 통해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획작업대(10) 및 포획부(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외면이 그물망(10-1, 20-1)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그물망(10-1, 20-1)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로프레임(100) 내지 세로프레임(110)이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로프레임(100) 내지 세로프레임(110)은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로 구성하여 해수를 포함한 수중에서 부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물망(10-1, 20-1)은 그 재질이 수지 계열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메칠메탈아크릴(MMA), 폴리우레탄(PU), 폴리에스터(PE) 및 에폭시(Epoxy)를 포함한 폴리머 수지 재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수지들은 경화 후 그 강도가 대단히 우수하며 조직이 치밀하여 수분의 투과성이 매우 낮은 것이 특징으로 상술한 가로프레임(100) 및 세로프레임(110)과 함께 어류 포획 장치의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수조 내의 어류를 유도하여 상기 포획부(20)로 유도하기 위한 상기 유도부(30)는 상기 포획부(20)의 개구된 타측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포획부(20) 의 타측면 전단 또는 후단에 하나 이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부(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유도망(300)과, 상기 유도망(300)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하여 유도망(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테두리부(310) 및 상기 유도망(300)과 테두리부(310)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출망홀(3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출망홀(320)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유도망(300)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에 대하여 치어 또는 크기가 작은 어류 등이 상기 출망홀(320)을 통해 어류 포획 장치 외부로 출망할 수 있음으로 별도의 선별 과정이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도망(300) 및 테두리부(310) 역시 앞서 설명한 그물망(10-1, 20-1) 및 가로프레임(100), 세로프레임(110)과 같이 해수를 포함한 수중에서 부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로 구성됨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는 각도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하는 바, 이는 상기 포획부(20)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유도부(30)가 일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유도부(30)의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수단(50)은 상기 포획부(20)의 타측면과 유도부(30) 사이에 배치되는 회동바(500) 및 상기 회동바(500)를 향하여 상기 포획부(20)의 타측면과 상기 유도부(30)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동바(500)가 삽설되도록 관통홀(511)이 형성되는 회동링(5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링(510)은 서로 대향하는 상기 포획부(20)의 타측면과 상기 유도부(30)의 측면 테두리부(310)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획부(20)에 결합된 회동링(510)과 유도부(30)에 결합된 회동링(510)이 서로 마주하게 되며 각각의 회동링을 중첩되도록 배치한 후, 상기 회동바(500)를 중첩된 양 회동링(510)의 관통홀(511)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포획부(20)와 유도부(30)는 서로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회동바(500)를 중심으로 상기 포획부(20) 또는 유도부(30)는 일정 범위로 회동이 가능해지는 바, 상기 유도부(30)는 탈, 부착식 및 접이식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수조의 지형에 적합하도록 상기 유도부(30)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부(30)는 수조의 내측을 따라 배열되는 것으로, 수조 크기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복수의 유도부(30)는 서로 간을 연결함에 있어 높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결속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결속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부(30)와 타 유도부(30-1)가 서로 접하는 양 테두리부(310)의 측면을 수용하되 상기 양 테두리부(310)가 각기 상부 또는 하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양 테두리부(310)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결속관(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속관(60) 내에 수용된 양 유도부(30, 30-1)의 테두리부(310)는 각각 유동 가능하게 됨에 따라 복수의 유도부(30)가 수조의 바닥면을 따라 배치될 경우 해당 각 유도부(30)가 접하는 바닥면의 지형에 따라 높이가 유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 각도 또한 달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포획부(20) 및 유도부(30)는 수조 상에 배치되어 수조의 바닥면과 접하는 경우 바람 내지 물살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포획부(20) 및 유도부(30)가 흔들리지 않도록 수조의 바닥면과 접하는 그 하부면에 복수의 돌기(700)가 형성된 미끌림방지관(7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a는 본 발명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의 규모에 따라 상기 포획부(20)가 일체로 결합된 포획작업대(10)를 하나로 설치하고 상기 수조의 내측을 따라 복수의 유도부(30)를 배열하여 어류를 이동 및 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조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획부(20)가 일체로 결합된 포획작업대(30)를 복수로 구성하여 병렬로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포획작업대 : 10 포획부 : 20
유도부 :30 높이조절수단 : 40
각도조절수단 : 50 결속관 : 60
미끌림방지관 : 70 유도망 : 300
테두리부 : 310 출망홀 : 320
부력구 : 400 수용관 : 410
높이조절바 : 420 조임볼트 : 430
회동바 : 500 관통홀 : 511
회동링 : 510 돌기 : 700

Claims (8)

  1. 그 외면에 그물망이 형성되되 상부면 및 일측면이 개구되며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포획작업대와;
    상기 포획작업대의 일측면과 연통하도록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그 폭과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외면에 그물망이 형성되되 일측면 및 타측면이 개구된 포획부; 및
    상기 포획부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포획작업대에 연결되는 부력구와;
    상기 포획작업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수용관과;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용관에 유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조절바; 및
    상기 수용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바를 가압 및 고정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판형의 유도망과;
    상기 유도망을 둘러싸는 테두리부; 및
    상기 유도망과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출망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복수로 구성되며 복수의 유도부 간을 연결하기 위한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유도부와 타 유도부가 서로 접하는 양 테두리부를 수용하되, 상기 양 테두리부가 각기 상부 또는 하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양 테두리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도록 구성된 결속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유도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포획부의 타측면과 유도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동바; 및
    상기 회동바를 향하도록 상기 포획부의 타측면 및 상기 유도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동바가 삽설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동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 및 유도부는
    수조의 바닥면과 접하는 그 하부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미끌림방지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KR1020110120138A 2011-11-17 2011-11-17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KR10118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138A KR101181997B1 (ko) 2011-11-17 2011-11-17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138A KR101181997B1 (ko) 2011-11-17 2011-11-17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997B1 true KR101181997B1 (ko) 2012-09-12

Family

ID=4707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138A KR101181997B1 (ko) 2011-11-17 2011-11-17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9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197B1 (ko) * 2015-01-09 2015-07-28 주식회사 금성종합기술단 선박 장착용 부유물 포집장치
CN108651396A (zh) * 2018-05-04 2018-10-1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小溪捕鱼笼具
CN112493212A (zh) * 2020-11-25 2021-03-16 安徽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小银鱼定向捕捞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4300A (ja) * 2006-03-16 2007-09-27 Imt:Kk 養殖槽における水産物の捕獲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4300A (ja) * 2006-03-16 2007-09-27 Imt:Kk 養殖槽における水産物の捕獲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197B1 (ko) * 2015-01-09 2015-07-28 주식회사 금성종합기술단 선박 장착용 부유물 포집장치
CN108651396A (zh) * 2018-05-04 2018-10-1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小溪捕鱼笼具
CN112493212A (zh) * 2020-11-25 2021-03-16 安徽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小银鱼定向捕捞装置
CN112493212B (zh) * 2020-11-25 2023-07-25 安徽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小银鱼定向捕捞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864B1 (ko) 어촌관광형 다영양입체양식장치
KR101181997B1 (ko) 양식장의 어류 포획 장치
JP4691218B2 (ja) マグロの養殖装置
KR101315042B1 (ko) 가두리 양식장치
KR101847611B1 (ko) 전복 양식장
KR101077585B1 (ko) 어족보호용 인공어초
CN206150172U (zh) 一种可延长式人工鱼巢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JP2007014231A (ja) 魚貝類の飼育装置
KR20210016810A (ko) 가두리 해삼 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장
KR100769122B1 (ko) 전복 해삼 사육기
KR101974065B1 (ko) 인공 산란 장치
CN203194324U (zh) 一种池塘现场实验装置
KR101010473B1 (ko) 갯지렁이 배양 장치 및 배양 용기
CN103210873A (zh) 一种池塘现场实验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60108624A (ko) 휴대용 죽방렴
KR101783299B1 (ko) 자동 포집기능을 갖는 힌지 방식의 곤충 대량사육시설
CN105265347B (zh) 室内对虾立体分级养殖装置及其养殖工艺
KR20150012155A (ko) 조류순환식 전복양식 가두리용 케이지
CN108377723B (zh) 一种水力传播的湿地植物种子捕获装置及方法
CN207461203U (zh) 饵料吊篮
KR20210036615A (ko) 새꼬막 채묘틀장치
KR100872683B1 (ko) 다층 어류 양식망
SU16043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ереста рыб
KR102572114B1 (ko) 저서성 소형 담수어류 포획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