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696B1 -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696B1
KR101181696B1 KR1020110118148A KR20110118148A KR101181696B1 KR 101181696 B1 KR101181696 B1 KR 101181696B1 KR 1020110118148 A KR1020110118148 A KR 1020110118148A KR 20110118148 A KR20110118148 A KR 20110118148A KR 101181696 B1 KR101181696 B1 KR 10118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noise
uneven
impact
preventing material
nois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키벤
송병창
주식회사 아키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키벤, 송병창, 주식회사 아키벤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키벤
Priority to KR102011011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적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추형 또는 반원형 돌기를 구비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가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보온층을 형성하여, 우수한 경량성과 단열성 및 바닥충격음에 대한 차단성능을 구비할 수 있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단열재를 깔고, 그 위를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설치하고,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 내부가 충전되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상부보온층을 포함하되,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는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또한, 내부가 비어있는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Floor Construction Method used with an impulsive noise protection material has empty prominence and depression}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방수용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를 설치한 다음, 그 위를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에 구멍이 뚫려 있는 원추형 또는 반원형의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충전 타설하여 일체화된 보온층을 형성하여 바닥을 시공하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등과 같은 다가구, 공동주택이 우리나라의 보편적 주거문화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하였던 문제점들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인접 상하세대 간의 층간소음 문제로, 층간소음이란 공동주택의 윗층에서 아이들이 뛰거나 장난치는 소리, 물건을 떨어뜨리거나 끄는 소리, 화장실의 급/배수 소리, 문을 여닫는 소리, TV 소리 등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어 이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정신적 고통을 생성시키는 현상을 말하며, 보통 바닥충격음으로 대표되는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이나 설비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의 충격이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소리가, 바닥 난방층이나 콘크리트 구조체 등과 같은 고체를 진동시켜 발생하는 고체전달음으로 전환되고 난 다음, 고체를 경유하여 밖으로 나간 소리는 공기를 진동시켜 사방으로 전달(공기 전달음)되게 되고, 이러한 소리가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
예를 들어,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바닥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전달음은 바닥슬래브와 벽체를 경유하여 인접한 다른 공간들로 확산되어 전달되는 것이 일반적인 진동소음 이론이다.
따라서 바닥충격음이란 위층 바닥에 가해진 충격으로 슬래브가 진동하고 그 진동이 공기 중에 음으로서 방사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충격 특성에 따라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로 구분하고, 국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층간 소음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데시벨(dB) 이하이어야 하고, 중량충격음은 50데시벨(dB) 이하이거나,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층간소음을 줄이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는, 도 1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슬래브(1)를 기준으로 상부에 단열층과(5)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이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난방용 배관(3)과 마감용 몰탈층(4)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바닥장식층(미도시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의 층간바닥구조는 콘크리트슬래브(1) 상부에 형성된 단열층(5)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이 충격음이나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도 1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슬래브(1) 상부에 탄성이 있는 진동 흡수재(5)를 단열층(5)의 상부나 하부에 깔아 충격음이나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경량 충격음에 대해서는 다소 효과가 있으나 중량 충격음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고, 이 또한 시간이 경과 할수록 상부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과 상단에 설치된 난방용 배관(3)과 마감용 몰탈층(4) 및 기타 가구 등의 무게에 의해 눌려 단면이 감소되어 그 효과가 반감된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11-0075480(2011.07.06)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11-0002545(2011.01.10)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10-0115930(2010.10.29)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11-0002545(2011.01.10)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추형 또는 반원형 돌기를 구비한 요철충격 흡수재가 경량기포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보온층을 형성하여, 우수한 경량성과 단열성 및 바닥충격음에 대한 차단성능을 구비할 수 있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지정 열관류율(건축법 시행령 제21조관련, 0.81 W/㎡K)을 만족시키기 위한 단열재를 깔아 단열층을 형성하고, 상기 단열층위를 상호 연결에 의해 연속설치되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 내부가 충전되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상부 보온층을 포함하되,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는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또한, 내부가 비어있는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 위, 연질의 단열재 위에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에 구멍이 뚫려 있는 원추형, 또는 반원형 돌기를 가진 연질수지의 시트상 또는 판상의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연질의 단열재와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가 연질의 단열재 위와 점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상부의 충격음이 점으로 연질의 단열재 위에 전달되게 되므로, 단열재 하부의 콘크리트 슬래브 전체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질의 단열재와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 사이에 공기층, 즉, 구체로 소음이 전달되기 전에 공기 전달음이 발생하여 충격에 의한 소음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단열재 하부의 콘크리트 슬래브 전체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소음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벽체까지 연장시켜, 상기 요철충격 흡수재의 돌기사이에 분산되는 공기 전달음을 벽체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어, 단열재 하부의 콘크리트 슬래브 전체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어 있는 돌기 공간을 이용하여 아주 간단하게 인접하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를 끼워 넣어 연속적으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설치할 수 있고, 이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보온층이 일체로 형성된 2층구조의 보온층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단열성 및 기밀성을 증대시키고, 작업성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어 있는 돌기 공간을 이용하여 아주 간단하게 인접하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를 끼워 넣어 연속적으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설치할 수 있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층간에서 발생하는 누수결함방지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 돌기 내부의 빈공간과 상부를 단열성, 차음성이 뛰어난 경량 기포 콘크리트로 충전 타설하여 상부 압축하중에 대응하는 내압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어, 경년에 따른 충격 완충재의 단면감소에 의한 차음효과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 하부에 있는 뚫려 있는 구멍을 통하여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가 공간의 형성 없이 돌기의 내부공간으로 용이하게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핀이나 못, 앵커 등 고정구를 사용하여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단열재 또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부분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성이 있는 접착제를 단열재에 도포하여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방수바탕에 붙일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며, 변형거동이 아주 큰 구조물에서도 변형 없이 부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을 수반하면서도 층간에 전달되는 각종 층간소음 및 진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에 경량기포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부보온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상부보온층의 크랙형성을 방지하여 양호한 바닥 시공이 가능할 뿐 아니라, 경량기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상부보온층이 부서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두께, 돌기 높이와 돌기 간격, 또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도포두께의 한정을 통해, 경제적 범위 내에서 최적의 보온층 성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바닥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충격 흡수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 요철충격 흡수재의 고정(고정구)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 요철충격 흡수재의 설치상태(겹침)를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바닥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고정(고정구)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설치상태(겹침)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는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11)와, 상기 평판부(11)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12)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12)는 내부(13)가 비어 있고, 하부 끝단에 직경 0.1㎜~3.0㎜의 구멍(14)을 구비하며, 높이(h) 3.0㎜~20.0㎜, 내경(d) 5.0㎜~15.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12)는 사이간격(L)이 1.0㎜~10.0㎜으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요철충격 흡수재(10)는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에틸(Ethyl)기를 가진,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에스테르(Ester)기를 가진, 또는 폴리 프로필렌등과 같은 프로필(Propyl)기, 또는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우레탄(Urethane)기를 가진,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에폭시(Epoxy)기를 가진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께(t) 0.1㎜~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돌기(12)는 빈공간을 이루는 내부(13)내로 경량기포 콘크리트가 채워져 충전되며, 상기 구멍(14)은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충전시 돌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에 의해 단열층과 점 접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구멍(14)은 직경 0.1㎜~3.0㎜을 구비하며, 이와 같은 구멍의 직경은 돌기내로 충전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충전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다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멍의 직경이 0.1㎜ 미만일 경우, 돌기 내부로 경량기포 콘크리트가 공기층 없이 채워지기 어렵고, 직경이 2.0㎜ 초과할 경우, 구멍을 통해 경량기포 콘크리트가 다량으로 빠져나가 상부보온층에 균열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12)에 대한 크기 한정은 단열성, 내압강도, 균열저항성, 피로저항성 등등 보온층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범위를 벗어날 경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 및 경량기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보온층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이용한 바닥시공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바닥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에 단열재에 의한 단열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상호 연결에 의해 연속설치하고,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 내부가 충전되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보온층을 포함하되,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는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또한, 내부가 비어있는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100)의 표면에, 단열재를 밀실하게 깔아 단열층(90)을 형성하는 단열층 형성단계;
상기 단열층(90) 위에 내부(13)가 비어 있고 하부에 구멍(14)이 뚫려 있는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12)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를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의 돌기(12)를 이용하여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를 길이나 폭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의 돌기 내부(13)를 충전하면서 소정높이를 구비하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도포하여 상부보온층(20)을 형성하는 상부보온층 형성단계;
상기 상부보온층(20)을 양생시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와 일체화된 보온층(60)을 형성하는 양생단계;
상기 보온층(60) 위를 온수배관(30)을 소정간격으로 설치한 후,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평탄한 마감층(70)을 형성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단계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a)와 또 다른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b)를 서로 겹침연결하는 단계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길이나 좌우 폭 방향으로 겹침 폭(W)을 10.0㎜~100.0㎜ 정도로 하여, 일측의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내로, 인접하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를 맞추어 끼워 넣거나, 접착제를 발라 끼워 넣어 접착시켜 콘크리트 슬래브 전면에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가 연속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겹침 폭(W)은 30.0㎜~100.0㎜ 정도로 하여, 일측의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내로, 인접하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를 맞추어 끼워 넣거나, 접착제를 발라 끼워 넣어 접착시켜 콘크리트 슬래브 전면에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가 연속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단계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12) 하단에 형성된 구멍(14)을 이용하여 핀이나 못, 앵커 등과 같은 금속 고정구(40)로 방수 바탕(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위에 부분적으로 고정하거나, 접착제(50)를 단열층(90) 위에 소정량 도포하면서 접착시키는 고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단계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벽면에 끝단이 근접되게 설치된 일측 요철성형 충격 소음 방지재(10)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에 또다른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c)의 돌기를 끼워넣은 후, 수직벽면(110)에 대하여 소정높이까지 연장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굽히어, 수직벽면(110)에 상단부를 고정하는 수직고정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보온층 형성단계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의 돌기내로 충전되도록 또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평탄부로부터 소정높이를 구비하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두께를 구비하는 상부보온층(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 하부 끝단에 형성된 직경 0.1㎜~3.0㎜의 구멍에 의해, 돌기 내부의 빈공간내로 공기층의 형성없이, 또한 과다한 유출없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양생단계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에 의해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 위로 도포되어 형성된 상부보온층(20)을 양생시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와 상부보온층(20)을 일체화함으로써, 보온층(60)을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온층은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와 상부보온층(20)이 일체화된 이중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마감층 형성단계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10)와 상부보온층(20)이 일체화된 이중구조의 보온층(60) 위로 온수배관(30)을 배열 및 고정설치한 후, 상기 온수배관(30)이 노출되지 않도록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마감층(70)을 형성한다.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 및 시멘트 모르타르는 공지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바닥 충격음 저감에 대한 평가를 KS F 2810에서 정하는 건축물 현장에서의 바닥 충격음 측정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보았으며, 실제 현장에서 측정할 경우, 암소음 제거나 보정 등 측정결과의 재현성에 만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이를 위해 실제 현장이 아닌 벽과 천정이 전부 밀폐된 2층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물(바닥 넓이 4m×4m, 높이2m, 층간 바닥두께 120㎜)을 축조한 다음, 상부실(음원실)의 바닥을 본 발명의 바닥구조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먼저 두께 10㎜, 20㎜ 및 30㎜의 비이드 발포 폴리스티렌(스티로폼) 1호 단열재를 각각 깔고, 그 위에 높이 3㎜ 및 5㎜의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돌기부를 사용하여 연속되게 끼워 넣어 각각 덮은 다음,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 표면으로부터 두께가 50㎜가 되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충전 타설하여 양생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바닥의 표면을 가진(경량 및 중량충격음 발생장치 사용)한 후, 하부실(수음실)에서 5개의 마이크로 폰을 통하여 수집한 소음(보통 소음계 사용)을 중심 주파수 63Hz, 125Hz, 250Hz, 500Hz, 1000Hz, 2000Hz 및 4000Hz를 가진 1옥타브밴드 분석기의 레벨(음압레벨 dB)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1의 본 발명의 바닥구조를 철거한 다음의 두께 120㎜의 보통 콘크리트 바닥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1의 본 발명의 바닥구조 중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제외한 두께 20㎜의 비이드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재 위에 직접 두께 50㎜의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한 시험체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종래에 주로 사용한 차음구조의 예로, 두께 20㎜의 비이드 발포 폴리스티렌 단열재 위에 두께 5㎜의 탄성시트로 덮은 다음, 그 위를 두께 50㎜의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한 시험체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표1]
Figure 112011089583470-pat00001

[표1]에서와 같이, 실시예 1의 결과를 보면, 중량 충격음의 경우, 대부분의 음역대에서 국내 법적 기준인 50㏈이하를 나타내고 있으며, 경량 충격음에 대해서도 50㏈이하를 나타내고 있어 콘크리트 슬래브 두께를 120㎜로 하여도 국내 기준을 전부 만족할 수 있음으로 알 수 있다.
단열재의 두께 변화는 특히 경량 충격음 저하에 효과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 높이는 중량 충격음에 효과를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과 비교예2의 경우, 대부분 국내의 층간 소음 기준을 만족하지 못함을 알 수 있으며, 종래의 방법의 예로 실시한 비교예3의 경우, 비교예1과 비교예 2 보다는 나은 차음성능을 나타내기는 하나, 이 역시 국내 차음기준, 특히 중량 충격음에서의 기준은 충족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두께와 돌기 높이 및 돌기 내부에 대한,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채움정도와, 채움에 따른 내압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확인하기 위해,
돌기 공간표면 내경이 5㎜인 것을 대표 시험체로 하여, 두께가 각각 0.1㎜, 0.5㎜, 1.0㎜이고 돌기 높이가 각각 5.0㎜, 10.0㎜인 요철성형 방수재를 각 규격 별로 길이와 폭이 각각 30㎝ㅧ30㎝가 되도록 4set(1set 4장)를 잘라낸 다음, 그 중 1장(plain)을 제외한 나머지 3장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로 돌기 내부공간만을 채우거나(두께 0.0㎜), 또는 공간을 전부 채우고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 위로부터 두께(t)가 각각 50㎜, 100㎜가 되도록 타설하여 양생시킨 것을 시험체로 하여, 강철재 내압판(30㎝ㅧ30㎝)을 설치한 최대하중 500ton의 압축강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10㎜/min의 속도로 시험체를 가압하여 압력계가 0.1Ton?f, 0.5Ton?f, 1.0Ton?f, 5.0Ton?f, 10.0Ton?f, 50.0Ton?f을 나타낼 때, 가압을 일시 멈추고 돌기가 있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변형량(돌기높이 눌림변형량, ㎜)을 측정한 다음, 다시 가압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돌기 공간 사이간격이 각각 1.0㎜, 5.0㎜의 시험체별로 각각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2]및 [표3]과 같다.
[표2] 돌기 사이간격 1㎜ 시험체에 의한 시험결과
Figure 112011089583470-pat00002

[표3] 돌기 사이간격 5㎜ 시험체에 의한 시험결과
Figure 112011089583470-pat00003

위의 [표2] 및 [표3]에 따른 실험결과를 보면,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 높이가 낮을수록, 또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압축강도에 대한 저항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plain 보다는 돌기 내부를 경량기포 콘크리트로 채웠을 경우의 변형량이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돌기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내압강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경량기포 콘크리트 자체의 압축강도가 약 100㎏f/㎠정도로 비교적 작으므로, 압축강도가 이 보다 상회하면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 자체의 내압강도로 상부의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내압강도를 보완할 수 없어, 균열이 발생하고 파손되는 결함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3
돌기 하부에 구멍뚫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두께가 0.1㎜, 돌기 공간표면 내경이 5㎜, 인접하는 돌기 공간사이 간격이 1.0㎜, 돌기 높이가 5.0㎜인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 끝 부분을 직경 0.1㎜, 0.5㎜, 1.0㎜, 2.0㎜, 3.0㎜의 구멍을 각각 뚫은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 내부를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흘려 부어 공간을 채우는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비교를 위해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상기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흘려 부었다. 그 결과를 다음 [표4]에 나타내었다.
[표4]
Figure 112011089583470-pat00004

위의 [표4]에서와 같이, 구멍의 직경이 3.0㎜ 이상이 되면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경우, 경화과정 중에 다량의 물이 상기 구멍으로 빠져 나가 경량기포 콘크리트 경화체의 경화양생에 문제가 발생하여 소정의 압축강도(자체 설계강도의 약 80%정도)를 발휘하지 못하거나, 또는 흘러 나간 다량의 물이 하부 단열재를 적시는 문제도 발생한다. 반면 비교예(구멍 직경 0.0mm)의 경우에는 돌기 공간 하부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공간을 전부 채울 수 없었으며, 이러할 경우 일체화 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내압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요철충격 흡수재 (11) : 평판부
(12) : 돌기 (13) : 내부
(14) : 구멍 (20) : 상부보온층
(30) : 온수배관 (40) : 고정구
(50) : 접착제 (60) : 보온층
(70) : 마감층 (90) : 단열층
(100) : 콘크리트 슬래브

Claims (6)

  1.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는 경량기포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 끝단에 직경(D) 0.1㎜~3.0㎜의 구멍을 구비하며, 높이(h) 3.0㎜~20.0㎜, 내경(d) 5.0㎜~1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는 사이간격(L)이 1.0㎜~10.0㎜를 유지하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는 에틸(Ethyl)기, 프로필(Propyl)기, 에스테르(Ester)기, 우레탄(Urethane)기, 에폭시(Epoxy)기 중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두께(t) 0.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
  4.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에, 단열재를 깔아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열층 형성단계;
    상기 단열층 위를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에 구멍이 뚫려 있는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를 이용하여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길이나 폭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 내부를 충전하면서 소정높이를 구비하도록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보온층을 형성하는 상부보온층 형성단계;
    상기 상부보온층을 양생시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일체화된 보온층을 형성하는 양생단계;
    상기 보온층 위를 온수배관을 소정간격으로 설치한 후, 시멘트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평탄한 마감층을 형성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는, 시트 또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원추 또는 반원형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내부가 비어 있고, 하부 끝단에 직경(D) 0.1㎜~3.0㎜의 구멍을 구비하며, 높이(h) 3.0㎜~20.0㎜, 내경(d) 5.0㎜~15.0㎜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단계는 일측의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내로, 인접하는 또다른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를 맞추어 끼워 넣거나, 접착제를 발라 끼워 넣어 접착시켜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가 연속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길이나 좌우 폭 방향으로 겹침 폭(W)을 10.0㎜~100.0㎜ 로 하여,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가 연속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6.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수직벽면에 끝단이 근접되게 설치된 일측 요철성형 충격 소음 방지재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에 또다른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의 돌기를 끼워넣은 후, 수직벽면에 대하여 소정높이까지 연장되도록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소정 곡률반경으로 굽히어, 수직벽면에 상단부를 고정하는 수직고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20110118148A 2011-11-14 2011-11-14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18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148A KR101181696B1 (ko) 2011-11-14 2011-11-14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148A KR101181696B1 (ko) 2011-11-14 2011-11-14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696B1 true KR101181696B1 (ko) 2012-09-24

Family

ID=4711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148A KR101181696B1 (ko) 2011-11-14 2011-11-14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69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380B1 (ko) 2013-07-31 2013-09-16 주식회사 제이월드산업 바닥용 완충재
KR20180131323A (ko) * 2017-09-28 2018-12-10 권오국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KR101997451B1 (ko) * 2019-01-11 2019-07-09 홍순자 층간 소음방지를 위한 차음패널 및 그 제조장치
KR102283615B1 (ko) * 2020-06-23 2021-07-28 장명수 층간소음 방지모듈
KR102436004B1 (ko) 2022-05-24 2022-08-25 이영하 조립식 난방배관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102492517B1 (ko) * 2022-05-12 2023-01-27 삼성물산 주식회사 요철형 블록을 활용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시스템
US11746541B2 (en) 2019-04-01 2023-09-05 Formulated Materials Llc High compressive strength sound attenuation
EP3443178B1 (de) * 2016-04-14 2024-02-28 Michael Schmitz Bodenbelagelement und daraus bestehender fussbod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75B1 (ko) 2007-05-18 2008-01-29 (주)세진에스엠 건축물의 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75B1 (ko) 2007-05-18 2008-01-29 (주)세진에스엠 건축물의 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380B1 (ko) 2013-07-31 2013-09-16 주식회사 제이월드산업 바닥용 완충재
EP3443178B1 (de) * 2016-04-14 2024-02-28 Michael Schmitz Bodenbelagelement und daraus bestehender fussboden
KR20180131323A (ko) * 2017-09-28 2018-12-10 권오국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KR102151232B1 (ko) * 2017-09-28 2020-09-02 권오국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KR101997451B1 (ko) * 2019-01-11 2019-07-09 홍순자 층간 소음방지를 위한 차음패널 및 그 제조장치
US11746541B2 (en) 2019-04-01 2023-09-05 Formulated Materials Llc High compressive strength sound attenuation
KR102283615B1 (ko) * 2020-06-23 2021-07-28 장명수 층간소음 방지모듈
KR102492517B1 (ko) * 2022-05-12 2023-01-27 삼성물산 주식회사 요철형 블록을 활용한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시스템
KR102436004B1 (ko) 2022-05-24 2022-08-25 이영하 조립식 난방배관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696B1 (ko)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충격소음 방지재와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JP3588097B2 (ja) 遮音性床構造
KR1006357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2221119B1 (ko)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KR101480328B1 (ko) 복층구조의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KR20120007999A (ko) 완충 및 제진 성능을 갖는 복합 바닥 구조
KR101183261B1 (ko) 경고 기능이 구비된 건축물의 층간 바닥 구조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20220031828A (ko) 층간 소음 저감형 건식 난방 바닥 구조
KR101000406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바닥구조
KR100827425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 온돌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2028754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및 공법
KR100827424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 온돌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95613B1 (ko) 층간의 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931511B1 (ko) 건물용 방음 및 단열 조립체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0998282B1 (ko) 층간 소음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KR102140796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2119407B1 (ko) 층간소음 저감용 고강성 방진구
KR102383131B1 (ko)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KR100827426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 온돌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CN204876263U (zh) 一种建筑楼板隔声减振吊顶结构
KR102214059B1 (ko) 중앙부에 충격완화층을 갖는 슬래브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