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977B1 -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 Google Patents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977B1
KR101179977B1 KR1020100049949A KR20100049949A KR101179977B1 KR 101179977 B1 KR101179977 B1 KR 101179977B1 KR 1020100049949 A KR1020100049949 A KR 1020100049949A KR 20100049949 A KR20100049949 A KR 20100049949A KR 101179977 B1 KR101179977 B1 KR 101179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ser
microphone
tu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562A (ko
Inventor
설동열
Original Assignee
(주)티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티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49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97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다양한 게인값과 대역폭으로 조절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고주파수, 중간주파수, 저주파수의 주파수대역별로 튜닝할 수 있는 튜닝조정부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특정한 대역으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와 통신부가 형성된 개인용컴퓨터와, 상기 개인용컴퓨터와 통신부와 연결되는 신호전송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와 사용자의 튜닝된 음성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을 튜닝하는 튜닝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마이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마이크를 개인용컴퓨터에 연결하여 상기 개인용컴퓨터에서 마이크사용자의 다양한 음성의 특성들만을 다양한 형태로 조정하여 마이크에 저장하고 마이크사용자가 다양한 장소에서 마이크를 사용할 때, 그 상황에 맞게 마이크에 저장된 음성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사용자가 일일이 현장에서 자신의 음성을 직접 튜닝하거나 스피커의 관리자와 일일이 의견의 나누면서 음성을 튜닝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그로 인한, 마이크사용자의 음성을 명료하게 청취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Mic of capable voice tuning}
본 발명은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 내부에 메모리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마이크와 개인용컴퓨터를 연결한 후 개인용컴퓨터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음색을 튜닝하여 마이크에 저장하고 상기 마이크를 사용할 때 상황에 맞게 음색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을 명료하게 다수의 청취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현장에서 직접 다수의 청취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마이크가 사용되는 현장에 따라 마이크의 사용자가 스피커 등이 설치되는 튜닝장소로 이동하여 마이크사용자의 음성을 일일이 조정하면서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일일이 현장에서 마이크사용자의 음성을 튜닝하기 위해서는 마이크사용자가 방송실 등으로 이동하여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성을 확인하여 일일이 하나씩 조정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정확하게 나오는지를 확인하여 그 음성을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현장상황이나 기계장치의 특성에 따라 마이크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튜닝장치가 설치된 장소까지 이동하여 조정하거나 기계장치의 조정부를 이용하여 음성을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는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다양한 게인값과 대역폭으로 조절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고주파수, 중간주파수, 저주파수의 주파수대역별로 튜닝할 수 있는 튜닝조정부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특정한 대역으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와 통신부가 형성된 개인용컴퓨터와, 상기 개인용컴퓨터와 통신부와 연결되는 신호전송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와 사용자의 튜닝된 음성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을 튜닝하는 튜닝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마이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인용컴퓨터에 형성된 튜닝조절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고주파수, 중간주파수, 저주파수의 대역별로 튜닝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튜닝조절부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외에 노래음이나 연주음과 같은 다양한 음을 튜닝하고 마이크에 저장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고, 상기 마이크에는 저장부에 저장된 다양한 특성의 음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위치와 같은 선택부가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개인용컴퓨터에는 마이크의 음성입력부로 입력된 신호가 개인용컴퓨터의 튜닝조절부에 표시될 때, 사용자의 음성이 신호분리부에 의해 분리되어 음성의 주파수대역별로 표시되면서, 사용자가 튜닝조절부를 통해 튜닝한 음성의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를 개인용컴퓨터에 연결하여 상기 개인용컴퓨터에서 마이크사용자의 다양한 음성의 특성들만을 다양한 형태로 조정하여 마이크에 저장하고 마이크사용자가 다양한 장소에서 마이크를 사용할 때, 그 상황에 맞게 마이크에 저장된 음성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마이크사용자가 일일이 현장에서 자신의 음성을 튜닝할 필요가 없으며, 마이크사용자의 음성을 명료하게 청취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에 다수의 사용자의 음성의 특징을 조정하여 마이크에 각각 저장함으로써, 하나의 마이크를 가지고도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일일이 현장에서 조정하지 않고 자신의 음성의 특성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용컴퓨터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편하게 사용자의 다양한 음성대역폭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음성특징에 대해 능숙한 사람이 아니더라도 자신의 음성의 특징을 잘 추출해내고 그 음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마이크에 사용자의 음성의 특징을 저장한 후, 사용자가 마이크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음성이 명확하지 않더라도 현재의 사용자음성을 마이크에 저장된 음성특징과 합쳐지게 되면서, 사용자의 음성을 보다 명확하게 청취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마이크에 다양한 특성의 음성을 저장하여 마이크의 사용현장에 따라 마이크에 저장된 음성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의 상태를 최적화하여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인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의 튜닝조정부를 도시한 간략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5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컴퓨터(10)와 마이크(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개인용컴퓨터(10)는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다양한 게인값과 대역폭으로 조절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튜닝조정부(11)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특정한 대역으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12)와 통신부(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인용컴퓨터(10)에 형성된 튜닝조절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고주파수, 중간주파수, 저주파수와 같이 주파수대역별로 튜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개인용컴퓨터(10)의 튜닝조절부(11)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외에 노래음이나 연주음과 같은 다양한 음을 튜닝하고 마이크(2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개인용컴퓨터(10)에는 마이크(20)의 음성입력부(22)로 입력된 신호가 개인용컴퓨터(10)의 튜닝조절부(11)에 표시될 때, 사용자의 음성이 신호분리부(12)에 의해 분리되어 음성의 주파수대역별로 표시되면서, 사용자가 튜닝조절부(11)를 통해 튜닝한 음성의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마이크(20)는 상기 개인용컴퓨터(10)의 통신부(13)와 연결되는 신호전송부(21)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22)와 사용자의 튜닝된 음성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23)와 상기 저장부(23)에 저장된 음성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을 튜닝하는 튜닝부(24)와 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로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20)에는 저장부(23)에 저장된 다양한 특성의 음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스위치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개인용컴퓨터(10)에 마이크(20)를 연결하도록 하는데, 이는 개인용컴퓨터(10)에 형성된 통신부(13)와 마이크(20)에 형성된 신호전송부(21)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3)와 신호전송부(21)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신방법을 사용하도록 하는데, 유선통신방식이나 무선통신방식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후, 사용자가 개인용컴퓨터(10)의 튜닝조절부(11)를 실행시키고, 마이크(20)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20)의 음성입력부(22)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서 신호전송부(21)를 통해 개인용컴퓨터(10)의 통신부(13)로 전송된 후, 사용자의 음성이 통신부(13)에서 신호분리부(12)로 전송되어 신호분리부(12)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파악하여 음성을 특정한 주파수대역으로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분리부(12)에서 분리된 음성신호가 튜닝조절부(11)로 전송되면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을 고주파수대역(a5, b5)의 음성과 중간주파수대역(a2, a3, a4, b2, b3, b4)의 음성, 저주파수대역(a1, b1)의 음성 등으로 분리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인용컴퓨터(10)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니터(도면에 미도시), 키보드(도면에 미도시)와 같은 장치들이 설치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마이크(20)를 통해 일정한 음성을 입력하여 개인용컴퓨터(10)의 튜닝조정부(11)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의 특성이 표시되게 되면, 사용자는 튜닝조정부(11)를 통해서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게인값과 주파수대역으로 음성을 조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튜닝조정부(11)에 표시된 고주파수대역폭조절장치, 중간주파수대역폭조절장치, 저주파수대역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중에서 일정한 음을 증폭시키거나 감소시켜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튜닝조정부(11)를 통해 고주파수대역의 음은 5db 이상의 게인값의 크기로 증폭시키고 중간주파수대역의 음은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저주파수대역의 음은 -6db이하의 게인값으로 감소시키는 것과 같이 조정하는데 상기의 음성의 크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취자가 가장 명료하고 불편하지 않게 들을 수 있는 음성의 크기가 10db이라고 가정할 때, 마이크(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중에서 특정한 주파수대역이 10db보다 작을 경우, (a)그래프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저주파수대역(a1), 중간주파수대역(a2, a3, a4), 고주파수대역(a5)의 신호를 각각 증폭시켜 청취자들이 편하게 들을 수 있는 10db의 크기로 특정한 주파수대역을 조정하는 것이고, 마이크(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음성 중에서 특정한 주파수대역이 10db보다 클 경우, (b)그래프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신호의 저주파수대역(b1), 중간주파수대역(b2, b3, b4), 고주파수대역(b5)의 신호를 감소시켜 청취자들이 사용자의 음성은 편하게 들을 수 있는 10db의 크기로 특정한 주파수대역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특징을 설정한 후, 마이크(20)의 저장부(23)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튜닝조정부(11)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조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 외에 노래음이나 연주음 등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도 조정하여 마이크(20)의 저장부(23)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강의용, 노래용, 연주용 등과 같이 특정한 용도의 기본 튜닝값을 설정하고 선택한 기본 튜닝값을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마이크(20)의 저장부(23)에 한명의 사용자에 대한 음성은 물론, 다수의 사용자의 음성을 저장부(23)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마이크(20)의 저장부(23)에 튜닝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튜닝정보가 저장된 후, 사용자는 마이크(20)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마이크(20)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마이크(20)를 사용하는 현장에 따라 마이크(20)에 형성된 스위치(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마이크(20)의 저장부(23)에 저장된 튜닝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그런 후, 사용자가 음성을 발산하게 되면,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20)의 음성입력부(22)로 입력되어 튜닝부(24)로 전송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한 튜닝정보에 맞게 사용자의 음성이 튜닝부(24)에서 튜닝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이크(20)에 형성된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최초에 저장부(23)에 저장시킨 튜닝정보 중에서 1번의 튜닝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1번의 튜닝정보는 고주파수대역의 음은 감소시키고, 중간주파수대역의 음은 현상태를 유지하고 저주파수대역의 음은 증폭시킨 것이고, 2번의 튜닝정보는 고주파수대역의 음은 증폭시키고, 중간주파수대역의 음은 증폭시키고, 저주파수대역의 음은 감소시키는 것 등을 말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 튜닝에 대한 값을 저장부(23)에 저장한 후, 다시 마이크(20)의 음색을 튜닝할 필요 없이 저장부(23)에 저장된 튜닝정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현재 마이크(20)의 음성입력부(22)로 입력되는 음성을 사용자가 마이크(20)의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튜닝정보대로 튜닝되면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23)나 튜닝부(24)에서는 사용자의 음성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저장한 노래음이나 연주음 등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튜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강의용, 노래용, 연주용 등과 같이 특정한 용도의 기본 튜닝값을 설정하고 선택한 기본 튜닝값을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마이크(2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할 때, 사용되는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개인용컴퓨터(1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음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튜닝정보를 저장하여 사용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은 물론, 노래음, 연주음 등 다양한 소리를 마이크(20)만으로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마이크(20)를 사용할 때 별도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덧붙여, 하나의 마이크(20)로도 다수의 사용자들의 음성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수의 사용자가 간편하게 자신의 음성을 튜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닝된 음성을 토대로 마이크(20)를 강의나 행사의 사회자 등 다양한 현장에서 화자의 음성을 명확하게 청취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마이크(20)가 사용되는 현장에 따라 마이크(20)의 특성을 일일이 설정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마이크(20)를 현장특성에 맞게 다양한 장소에서도 사용자의 음성을 가장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개인용컴퓨터 11 : 튜닝조절부
12 : 신호분리부 13 : 통신부
20 : 마이크 21 : 신호전송부
22 : 음성입력부 23 : 저장부
24 : 튜닝부
50 :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Claims (5)

  1.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을 다양한 게인값과 대역폭으로 조절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고주파수, 중간주파수, 저주파수의 주파수대역별로 튜닝할 수 있는 튜닝조정부(11)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특정한 대역으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12)와 통신부(13)가 형성된 개인용컴퓨터(10);
    상기 개인용컴퓨터(10)의 통신부(13)와 연결되는 신호전송부(21)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입력부(22)와 사용자의 튜닝된 음성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23)와 상기 저장부(23)에 저장된 음성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을 튜닝하는 튜닝부(24)와 사용자의 음성을 스피커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마이크(2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컴퓨터(10)의 튜닝조절부(11)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외에 노래음이나 연주음과 같은 다양한 음을 튜닝하고 마이크(20)에 저장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컴퓨터(10)에는 마이크(20)의 음성입력부(22)로 입력된 신호가 개인용컴퓨터(10)의 튜닝조절부(11)에 표시될 때, 사용자의 음성이 신호분리부(12)에 의해 분리되어 음성의 주파수대역별로 표시되면서, 사용자가 튜닝조절부(11)를 통해 튜닝한 음성의 신호가 동시에 출력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20)에는 저장부(23)에 저장된 다양한 특성의 음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KR1020100049949A 2010-05-28 2010-05-28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KR101179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949A KR101179977B1 (ko) 2010-05-28 2010-05-28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949A KR101179977B1 (ko) 2010-05-28 2010-05-28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562A KR20110130562A (ko) 2011-12-06
KR101179977B1 true KR101179977B1 (ko) 2012-09-07

Family

ID=45499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949A KR101179977B1 (ko) 2010-05-28 2010-05-28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17B1 (ko) 2014-05-30 2014-09-0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마이크로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42039A (zh) * 2020-11-05 2022-05-06 中国移动通信集团山东有限公司 一种声源定位方法、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8562A (ja) 2008-10-17 2010-04-30 Tamura Seisakusho Co Ltd 音声調整システム、調整方法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8562A (ja) 2008-10-17 2010-04-30 Tamura Seisakusho Co Ltd 音声調整システム、調整方法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17B1 (ko) 2014-05-30 2014-09-0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마이크로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562A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1338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JP6325686B2 (ja) ヘッドセットと音源との間のオーディオの協調的処理
JP5173158B2 (ja) 補聴器及びその調節方法
US20090074214A1 (en) Assistive listening system with plug in enhancement platform and communication port to download user preferred processing algorithms
JP6335914B2 (ja) オーディオラウドネス制御システム
US20090076804A1 (en) Assistive listening system with memory buffer for instant replay and speech to text conversion
US20090076636A1 (en) Method of enhancing sound for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US20120128164A1 (en) Binaural noise reduction
US20090076816A1 (en) Assistive listening system with display and selective visual indicators for sound sources
US8243977B2 (en) Media player system, media player, and earphone
CN106464998A (zh) 用来掩蔽干扰性噪声在耳机与源之间协作处理音频
EP1768446A1 (de) Individuell anpassbare Hörvorrichtung
US10121491B2 (en) Intelligent volume control interface
US10966019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ound box
US20130188804A1 (en) Earbuds and earphones for personal sound system
KR101179977B1 (ko) 음성튜닝이 가능한 마이크
US8699725B2 (en) Acoustic processing apparatus
US20080219491A1 (en) Variable earphones and speaker
EP3416403B1 (en) Smart headphone device personalization system with directional convers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8211602A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音声信号提供方法
WO2011058694A1 (ja) 電子機器、中継サーバー、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送受信方法
US20090074203A1 (en) Method of enhancing sound for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US20140355778A1 (en) Headphon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122865U (ja) 放送受信装置
JP7131184B2 (ja) 音信号配信装置、音信号受信装置、音信号処理システム、および音信号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