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795B1 - 휴대용 온수보일러 - Google Patents

휴대용 온수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795B1
KR101179795B1 KR1020110097547A KR20110097547A KR101179795B1 KR 101179795 B1 KR101179795 B1 KR 101179795B1 KR 1020110097547 A KR1020110097547 A KR 1020110097547A KR 20110097547 A KR20110097547 A KR 20110097547A KR 101179795 B1 KR101179795 B1 KR 101179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water supply
discharge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335A (ko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이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훈 filed Critical 이지훈
Priority to KR102011009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79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3Storage heaters
    • F24H9/136Arrangement of inlet valves used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2/00Liquid heaters and vaporizers
    • Y10S122/10Portable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통 상단부와 온수통 하단부에 연통관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서로 연통되게 하고, 이 연통관 내부에는 패킹이 부착된 증기배출관이 삽입되며, 안전밸브 몸체의 하단측면에 가열통급수밸브를 하향각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하단부에는 홈과 나선을 형성하여, 이 홈 내부중심부에 가열통급수관을 상기 안전밸브와, 가열통 급수밸브가 서로 연통 되게 구성된 안전밸브몸체를 원판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하고, 밸브 몸체의 측면에 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스틸볼과, 부력재로 구성된 온수통 급수밸브와, 온수 배출관을 하나의 원판에 집중배치하여, 상기 증기배출관 상단 내부에 가열통 급수관이 삽입되도록 하여, 이 원판을 온수통상단부에 볼트로 고정시키고, 온수통과 저수통을 너트로 체결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온수보일러{omitted}
본 발명은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기가 아닌 온수만을 사용하여 야외 취침시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고,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동 절기의 야외취침시 난방을 위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와 증기가 순환 하도록 호스를 깔아 만든 매트가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이 증기를 사용하는 매트는 증기가 유입되는 전반부에는 화상을 입을 정도로 뜨거운 반면, 후반부에는 열전달이 거의 되지않아 그만큼 더 연료가 소모되고, 증기가 호스를 통과하면서 소음이 심하게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인이 특허청에 출원번호제(10-2008-0028685)호를 출원하였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단가의 상승요인이 되는 구조와, 온수통(2)과 저수통(3)이 일체형으로 되어있어 휴대하기 불편하고, 처음 사용시 증기배출관(5)을 통하여 가열통(1)내부에 물이 잘 들어가지 않을 뿐더러, 가열통(1)내부에 물이 가득 차지않고 증기배출관(5)의 하단까지만 물이 차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홈과, 가열통급수밸브와, 가열통 급수관을 구비한 안전밸브와, 온수배출관 및 온수통 급수밸브를 하나의 원판에 집중배치하여 제작기간을 단축하고, 온수통과 저수통을 나선결합 형식으로 하여, 보다 더 휴대가 편리하고 효율적인 온수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통 상단부와 온수통 하단부에 연통관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서로 연통되게 하고, 이 연통관 내부에는 패킹이 부착된 증기배출관이 삽입되며, 안전밸브 몸체의 하단측면에 가열통 급수밸브를 하향각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안전밸브의 하단부에는 홈과 나선을 형성하여, 이 홈 내부 중심부에 가열통급수관을 상기 안전밸브와, 가열통 급수밸브가 서로 연통 되게 구성된 안전밸브몸체를 원판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하고, 밸브 몸체의 측면에 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스틸볼과, 부력재로 구성된 온수통 급수밸브와, 온수 배출관을 하나의 원판에 집중배치하여, 상기 증기배출관 상단 내부에 가열통 급수관이 삽입 되도록 하여, 이 원판을 온수통 상단부에 볼트로 고정시키고, 온수통과 저수통을 너트로 체결하여 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보일러는 가열통급수밸브와 홈과 나선과 가열통급수관을 안전밸브몸체의 하단부에 형성하여, 온수배출관과 온수통급수밸브와 함께 원판에 집중배치하여 제작기간을 단축하고, 온수통과 저수통을 나선결합에 의한 탈착 형식으로 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무엇보다 증기배출관을 유동식으로 하여 처음 사용시 안전밸브와 증기배출관을 분리한 다음 물을 부으면 저수통과 가열통 내부에 물이 신속하게 가득차게 되고, 가열통 내부에서 증기가 배출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온수보일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보일러의 전체 사시도.
도 3 (A)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밸브와 가열통급수밸브의 단면도.
(B)는 증기배출관의 단면도.
도 4 (A)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성된 원판의 단면도.
(B)는 본 발명에 의한 원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보일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보일러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보일러의 저수통에서 온수통과 가열통에 물이 급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보일러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온수보일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온수보일러의 전체사시도로서, 가열통(1) 상단부와 온수통(2) 하단부에 연통관(7)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서로 연통 되게 하고, 이 연통관(7) 내부에 비교적 열에 강한 실리콘패킹(6)을 부착한 증기배출관(5)을 삽입하고, 공기압축기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전밸브(4)(밸브실내에 스틸볼(14)과 스프링(20)을 내설하고 마개(21)로 체결함) 하단부의 길이와 직경을 크게하여,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에, 가열통(1)내부에 물을 공급하고 증기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스틸볼(14)과 스틸볼이탈방지핀(16')과 나선(10)을 형성한 가열통급수밸브(16)를 하향각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하단부에는 홈(9)과 나선(10)을 형성하여, 이 홈(9) 내부 중심부에 가열통급수관(8)을 상기 안전밸브(4)와 가열통급수밸브(16)가 서로 연통 되도록 하여 구성된 안전밸브몸체(4)를 원판(11)에 형성된 나선(10)에 체결하고, 온수통(2)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온수통급수밸브몸체(12)의 측면에 물 유입구(15)가 형성되고, 스틸볼(14)과 부력재(13)로 구성된 온수통급수밸브(12)와, 온수통 내부의 온수를 배출하여 매트의 순환호스에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배출관(17)을 도 4(A,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원판(11)에 집중 배치하여 상기 증기배출관(5) 상단 내부에 가열통급수관(8)이 삽입 되도록 하여, 상기 원판(11)을 온수통(2) 상단부에 볼트(22)로 고정시키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통(3)내부에 온수통(2)을 삽입하고 너트(18)로 체결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보일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처음 사용시 저수통(3)을 똑바로 설치한후, 안전밸브(4)를 풀고, 증기배출관(5)을 뺀 다음 물을 부으면 종래와 달리 온수통(2)과 가열통(1)내부로 물이 신속하게 들어가는데, 특히, 가열통(1)은 연통관(7)의 직경이 크고 짧으며 그 끗이 가열통(1)상단면과 일치하기 때문에 가열통내부에 물이 가득 차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물이 충진 되어지면 역순으로 증기배출관(5)을 연통관(7)에 끼우고 안전밸브(4)를 체결한 다음, 가열통(1)을 가열하게 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통(1)내부에 증기압이 발생하여 안전밸브(4)의 가열통급수밸브(16)와 온수통급수밸브(12)는 닫히게되고, 가열통(1)내부의 증기배출관 하단면(5')까지 온수가 빠르게 배출되어 증기배출관(5)의 하단면(5')이 노출된 이후부터는 증기가 배출되므로 안전밸브(4)에 형성된 홈(9) 에 증기압이 발생하여 온수통(2)내부의 온수가 온수배출관(17)을 통하여 매트의 순환호스를 돌아서 저수통(3)에 저장되어 진다.
이때, 가열통(1)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된 증기압에 의하여 온수통(2)내부의 온수가 소진되면 온수배출관(17)으로 증기가 배출되는데 같은 조건의 화력에서 비교하였을 때 증기가 온수보다 열효율이 훨씬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증기가 배출되지 않고 온수만이 지속적으로 매트를 순환하도록 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증기배출관(5)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에 강한 실리콘패킹(6)을 부착하여 연통관(7)에 삽입토록 하되, 가열통(1)내부에서 증기가발생되는 시간은 가열통(1)의 크기와, 증기배출관 밑면(5')이하의 물의 양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상기 증기배출관 의 하단면(5')의 위치를 온수통(2)내부의 온수가 배출되는 시간에 맞춰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가열로 가열통(1)내부의 물이 완전 소진되면 온수통(2) 내부에 증기압이 더 이상 발생 되지 않으므로, 온수통급수밸브(12)의 스틸볼(14)이 자중과 저수통(3)의 물의 압력으로 하강함과 동시에 온수통(2)과 가열통(2)내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물이 빨려들어가기 때문에 처음과 는 달리 증기배출관의 하단면(5')이 가열통(1) 바닥면까지 내려와도 가열통(1)내부에 물이 가득 차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온수보일러는 가열통(1)이 상대적으로 최소형이고 가열되는 물 또한 소량이기 때문에 적은 화력으로도 신속히 증기가 발생 되며, 온수통에서 배출되는 물 온도가 대략 80도 정도 되기 때문에 일정 부분만 너무 뜨겁지 않고, 매트 전체에 고루 난방되는 장점이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가열통 2: 온수통
3: 저수통 4: 안전밸브
5: 증기배출관 6: 패킹
7: 연통관 8: 가열통 급수관
9: 홈 10:나선
11: 원판 12: 온수통 급수밸브
16: 가열통급수밸브 17: 온수배출관

Claims (1)

  1. 가열통 상단부와 온수통 하단부에 연통관을 수직으로 고정되게 설치하여, 이 연통관 내부에 패킹이 부착된 증기배출관을 삽입하고,
    안전밸브몸체의 하단 측면에 가열통급수밸브를 하향각을 이루도록 구비하고, 상기 가열통급수밸브의 아래쪽 내측에 홈과 외측에 나선을 형성하여, 상기 홈의 내부중심부에 가열통급수관을 안전밸브와 가열통급수밸브가 서로 연통 되게 구성된 안전밸브몸체를 원판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하고,
    밸브몸체의 측면에 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스틸볼과 부력재로 구성된 온수통급수밸브와 온수배출관을 상기 원판에 형성된 연결구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증기배출관 상단 내부에 가열통급수관이 삽입 되도록 하여, 상기 원판을 온수통 상단에 형성된 볼트구멍에 볼트로 고정 시키고,
    온수통 상단에 형성된 나선에 저수통을 너트로 체결하여 탈착이 가능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온수보일러.
KR1020110097547A 2011-09-26 2011-09-26 휴대용 온수보일러 KR10117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47A KR101179795B1 (ko) 2011-09-26 2011-09-26 휴대용 온수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47A KR101179795B1 (ko) 2011-09-26 2011-09-26 휴대용 온수보일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936U Division KR20110008384U (ko) 2010-02-22 2010-02-22 휴대용 온수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335A KR20110134335A (ko) 2011-12-14
KR101179795B1 true KR101179795B1 (ko) 2012-09-04

Family

ID=4550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547A KR101179795B1 (ko) 2011-09-26 2011-09-26 휴대용 온수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214A (ko) 2021-09-29 2023-04-05 이승주 일체형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214A (ko) 2021-09-29 2023-04-05 이승주 일체형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335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750B1 (ko) 조립식 전기보일러
WO2008123187A1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および暖房給湯装置
KR20160089991A (ko) 온수량 조절가능한 무동력 온수 보일러
KR20140091423A (ko) 휴대용 온수보일러
KR101179795B1 (ko) 휴대용 온수보일러
KR20120020190A (ko) 소형화된 진공 전기 온수 보일러
CN202355569U (zh) 一种离子蒸汽美容器热喷结构
KR20120080047A (ko)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
KR20110008384U (ko) 휴대용 온수보일러
KR101231317B1 (ko) 전기식 온수탱크
KR200442500Y1 (ko) 전기 스팀보일러
KR100450379B1 (ko) 보일러
CN201615604U (zh) 一种用于热泵热水器的水箱
CN109519905A (zh) 一种节能型桑拿房
CN104236070B (zh) 一种节能型热水器
KR200465654Y1 (ko) 화목 보일러
CN105605621B (zh) 节能蒸炉
CN207335470U (zh) 一种蒸汽加热装置
KR20140094397A (ko) 휴대용 보일러의 밸브셋트 및 침낭형 온수매트
CN200972210Y (zh) 太阳灶不间断热水供应系统
KR100881432B1 (ko) 대류를 이용한 보일러
CN215190947U (zh) 一种即热式婴幼儿智能饮用水机
CN217110005U (zh) 一种节能环保采暖热水锅炉
KR101235707B1 (ko) 급탕공급이 가능한 전기보일러
CN202993547U (zh) 一种开水机的节能预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