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648B1 -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648B1
KR101179648B1 KR1020110092457A KR20110092457A KR101179648B1 KR 101179648 B1 KR101179648 B1 KR 101179648B1 KR 1020110092457 A KR1020110092457 A KR 1020110092457A KR 20110092457 A KR20110092457 A KR 20110092457A KR 101179648 B1 KR101179648 B1 KR 101179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lock
connection
block
bus bar
bu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현
Original Assignee
대진전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전기 (주) filed Critical 대진전기 (주)
Priority to KR102011009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02B1/048Snap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스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부에 끼움부위가 형성되며 끼움부위의 일측방에 개방부가 형성된 연결블럭부와, 개방부에 설치되며 개방부의 개도를 조절하여 끼움부위에 상기 부스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연결블럭부의 일부위에 형성되어 전력차단기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블럭부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개방부의 개도를 고정부에 의해 조절하여 부스바를 연결블럭부의 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부스바와 연결블럭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bus bar of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에 통전을 위해 부스바를 연결하도록 부스바를 고정시키는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설비는 전력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실제 사용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의 정격에 맞는 낮은 적정 전원으로 변환시켜 전류를 안전하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설비는 주로 차단기나 개폐기 및 계전기 등이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개폐 또는 제어하거나 전력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기 위해 패널 또는 프레임 등에 설치된 메인차단기와 다수개의 분기차단기 등으로 이루어진 전력차단기에 연결된 부스바(bus-bar)를 통하여 옥내의 각종 설비로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전력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스바는 전원 케이블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긴 금속의 제품을 총칭하며, 이러한 부스바는 케이블에 비해 방열 효과가 크고, 또한 그 표면적이 넓어 도체의 표면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의 임피던스를 낮추어 줄 수 있어 전류가 큰 고전력의 배전설비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부스바는 외관의 형상에 따른 직사각형의 막대 구조로 이루어진 판상형과, 동심원의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종래의 수배전반의 부스바는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에 연결하기 위해 단자와의 연결부위를 프레스에 의해 가압하여 부스바의 연결부위를 평탄하게 성형하는 작업 또는 연결부위에 복수의 연결홀을 천공하는 작업 등과 같이 부스바의 연결부위를 별도로 가공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부스바는 단부에 성형가공이나 천공가공 등과 같이 가공부위가 형성되므로, 부스바의 제조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부스바의 지지강도가 저하되어 기계적인 강성이 취약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스바의 연결부위가 이와 같이 강성이 취약하게 되어 이러한 취약부위에서 발열이 발생하여 전력손실이 발생되고, 도전율이 크게 떨어져 전압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부스바와 연결블럭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단자부와 부스바 사이의 통전율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단자부와 연결블럭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키며, 연결블럭부와 부스바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며 부스바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고 통전율도 증가하며, 복수개의 연결블럭을 연결하여 연결블럭의 설치길이를 연장되어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와 부스바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경되는 다양한 이격거리에 적용할 수 있고, 제1 연결블럭과 제2 연결블럭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고정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결블럭부의 개방부에 대한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 연결블럭 및 제2 연결블럭의 끼움홈에 함께 끼워맞춤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전력차단기에 부스바를 연결하는 부스바 연결장치로서, 부스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부에 끼움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위의 일측방에 개방부가 형성된 연결블럭부; 상기 개방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끼움부위에 상기 부스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연결블럭부의 일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차단기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블럭부는, 상기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블럭과, 상기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의 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블럭과 소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제2 연결블럭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연결블럭 및 상기 제2 연결블럭은, 부스바와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끼움부위에 부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접촉편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연결블럭 및 상기 제2 연결블럭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와 부스바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복수개가 연결되어 연장되도록 일부위에 연장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연결블럭과 상기 제2 연결블럭 사이에는 지지블럭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연결블럭 및 상기 제2 연결블럭의 양단에 각각 끼워맞춤되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 사이에 나합되어 이들 사이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블럭부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개방부의 개도를 고정부에 의해 조절하여 부스바를 연결블럭부의 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부스바와 연결블럭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연결블럭부를 단자부의 양면에 결합되도록 제1 연결블럭 및 제2 연결블럭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자부와 부스바 사이의 통전율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단자부와 연결블럭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연결블럭 및 제2 연결블럭에 부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접촉편을 연장 형성함으로써, 연결블럭부와 부스바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며 부스바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고 통전율도 증가하게 된다.
제1 연결블럭 및 제2 연결블럭에 연장홀을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연결블럭을 연결하여 연결블럭의 설치길이를 연장하여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와 부스바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경되는 다양한 이격거리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제1 연결블럭과 제2 연결블럭 사이에 지지블럭이 삽입설치되어, 제1 연결블럭과 제2 연결블럭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고정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부를 클립부와 가압부로 구성함으로써, 연결블럭부의 개방부에 대한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클립부를 "ㄷ"자 형상의 클립으로 구성함으로써, 제1 연결블럭 및 제2 연결블럭의 끼움홈에 함께 끼워맞춤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에 의한 부스바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에 의한 부스바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는 연결블럭부(10, 20), 고정부(30, 40) 및 연결부(16, 2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에 부스바(200)를 연결하는 부스바 연결장치이다.
연결블럭부(10, 20)는, 관형상의 부스바(200)가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맞춤되며 부스바(200)를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와 통전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블럭(10)과,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의 타면에 결합되며 제1 연결블럭(10)과 소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제2 연결블럭(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연결블럭부(10, 20)는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와 부스바(200) 사이에 통전이 용이하도록 구리나 철 등과 같은 전도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블럭(10)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로서, 연결블럭(11), 개방부(12), 끼움부위(13), 접촉편(14), 끼움홈(15), 연결부(16), 연장홀(17)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블럭(11)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에 결합되는 동시에 부스바(20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부재로서,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가 사각블럭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동일한 대략 사각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위(13)는 부스바(2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블럭(1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끼움홀로서, 여기에 부스바(200)가 삽입되어 끼워맞춤되도록 부스바(200)의 외주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12)는 끼움부위(13)의 일측방이 개방되며 끼움부위(13)의 양단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끼움부위(13)에 부스바(200)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개방부(12)의 개도를 조절하여 제1 연결블럭(10)에 부스바(200)의 고정결합시 끼움부위(13)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부스바(200)의 외주면과 제1 연결블럭(10)의 끼움부위(13)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부스바(200)의 외주면에 제1 연결블럭(10)을 고정시키게 된다.
접촉편(14)은, 끼움부위(13)와 부스바(200)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끼움부위(13)에 부스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편(14)은 부스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끼움홈(15)은 개방부(12)가 형성된 연결블럭(11)의 일단부위의 양쪽 측면에 내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여기에 고정부(30, 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개방부(12)에 대한 가압력의 부여를 용이하게 한다.
연결부(16)는, 제1 연결블럭(10)의 일부위에 형성되어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와 연결되는 연결홀로서, 연결블럭(11)의 후단부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연결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부(16)의 연결홀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에 형성된 결합홀(11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연통된 연결홀과 결합홀(110)에 볼트(120)와 너트(130) 등과 같은 체결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제1 연결블럭(10)과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를 연결하여 부스바(200)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 사이의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연장홀(17)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와 부스바(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블럭(11)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연결블럭(11)의 설치길이가 연장되도록 연결블럭(11)의 일부위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홀(17)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1 연결블럭(1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에 연장용 제1 연결블럭(10a)을 결합홀(110)과 연결부(16a)를 연통시켜 결합하고, 연장용 제1 연결블럭(10a)에 고정용 제1 연결블럭(10)을 연장홀(17a)과 연결부(16)를 연통시켜 결합하여, 제1 연결블럭의 설치길이를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와 부스바 사이의 이격거리에 적합하도록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연결블럭은 상기와 같이 2개로 연장할 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의 연결블럭을 사용하여 연결블럭의 설치길이를 연장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 연결블럭(20)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의 하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로서, 연결블럭(21), 개방부(22), 끼움부위(23), 접촉편(24), 끼움홈(25), 연결부(26), 연장홀(27)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블럭(21)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에 결합되는 동시에 부스바(20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연결부재로서, 수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가 사각블럭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동일한 대략 사각형상의 블럭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위(23)는 부스바(2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결블럭(2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끼움홀로서, 여기에 부스바(200)가 삽입되어 끼워맞춤되도록 부스바(200)의 외주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22)는 끼움부위(23)의 일측방이 개방되며 끼움부위(23)의 양단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끼움부위(23)에 부스바(200)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개방부(22)의 개도를 조절하여 제2 연결블럭(20)에 부스바(200)의 고정결합시 끼움부위(23)의 사이즈를 축소하여 부스바(200)의 외주면과 제2 연결블럭(20)의 끼움부위(23)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부스바(200)의 외주면에 제2 연결블럭(20)을 고정시키게 된다.
접촉편(24)은, 끼움부위(23)와 부스바(200)의 외주면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끼움부위(23)에 부스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편(24)은 부스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끼움홈(25)은 개방부(22)가 형성된 연결블럭(21)의 일단부위의 양쪽 측면에 내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여기에 고정부(30, 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개방부(22)에 대한 가압력의 부여를 용이하게 한다.
연결부(26)는, 제2 연결블럭(20)의 일부위에 형성되어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와 연결되는 연결홀로서, 연결블럭(21)의 후단부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연결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부(26)의 연결홀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에 형성된 결합홀(11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연통된 연결홀과 결합홀(110)에 볼트(120)와 너트(130) 등과 같은 체결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제2 연결블럭(20)과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를 연결하여 부스바(200)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 사이의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연장홀(27)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와 부스바(200)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블럭(21)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연결블럭(21)의 설치길이가 연장되도록 연결블럭(21)의 일부위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홀(27)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제2 연결블럭(2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에 연장용 제2 연결블럭(20a)을 결합홀(110)과 연결부(26a)를 연통시켜 결합하고, 연장용 제2 연결블럭(20a)에 고정용 제2 연결블럭(20)을 연장홀(27a)과 연결부(26)를 연통시켜 결합하여, 제2 연결블럭의 설치길이를 전력차단기의 단자부(100)와 부스바 사이의 이격거리에 적합하도록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2 연결블럭은 상기와 같이 2개로 연장할 뿐만 아니라 3개 이상의 연결블럭을 사용하여 연결블럭의 설치길이를 연장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연결블럭(10)과 제2 연결블럭(20) 사이에는 지지블럭(50)이 삽입설치되어, 제1 연결블럭(10)과 제2 연결블럭(2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고정부(30, 40)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블럭(50)의 상면에는 제1 연결블럭(10)의 연장홀(17) 및 제2 연결블럭(20)의 연장홀(27)과 연통되도록 연결홀(5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고정부(30, 40)가 결합되도록 고정홀(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블럭(50)의 연결홀(51)로는 다양한 위치에 복수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단자부와 부스바의 사이의 이격거리가 길고 소정각도로 어긋나게 교차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제1 연결블럭(10)과 제2 연결블럭(20)을 연장 설치하면서 연결홀(51)의 위치에 따라 소정각도에 맞추어 형성함으로서 다양한 배치의 단자부와 부스바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30, 40)는, 연결블럭부(10, 20)의 개방부(12, 22)에 설치되어 개방부(12, 22)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조절부재로서, 개방부(12, 22)의 개도량 즉, 개방부(12, 22) 양단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끼움부위(13, 23)와 부스바(200)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연결블럭부(10, 20)의 끼움부위(13, 23)에 부스바(2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30, 40)는, 제1 연결블럭(10) 및 제2 연결블럭(20)의 양단에 형성된 끼움홈(15, 25)에 각각 끼워맞춤되는 클립부(30)와, 이 클립부(30) 사이에 나합되어 이들 사이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부(40)로 이루어져 있다.
클립부(30)는 일단에 제1 연결블럭(10)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15)과 끼워맞춤되는 끼움턱(31)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 연결블럭(20)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25)과 끼워맞춤되는 끼움턱(33)이 형성된 "ㄷ"자 형상의 클립(31)으로 이루어지며, 중간부위에 가압부(40)를 결합하기 위한 가압홀(34)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40)는 볼트(41)와 너트(42) 등과 같은 체결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제1 연결블럭(10)과 제2 연결블럭(20)의 단부 양쪽 측면에 끼워맞춤된 클립부(30)를 가압하여 개방부(12, 22) 사이의 이격거리, 즉 개방부(12, 22)의 개도를 조절하여 끼움부위(13, 23)의 사이즈를 변경시킴으로써, 끼움부위(13, 23)와 부스바(200)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연결블럭부(10, 20)의 끼움부위(13, 23)에 부스바(200)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블럭부(10, 20)의 끼움부위(13, 23)에 부스바(200)가 끼워맞춤되어, 연결블럭부(10, 20)에 부스바(200)가 연결되며 고정부(30, 40)에 의해 개방부(12, 22)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연결블럭부(10, 20)에 부스바(200)가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블럭부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개방부의 개도를 고정부에 의해 조절하여 부스바를 연결블럭부의 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부스바와 연결블럭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블럭부를 단자부의 양면에 결합되도록 제1 연결블럭 및 제2 연결블럭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자부와 부스바 사이의 통전율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단자부와 연결블럭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연결블럭 및 제2 연결블럭에 부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접촉편을 연장 형성함으로써, 연결블럭부와 부스바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며 부스바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고 통전율도 증가하게 되며, 제1 연결블럭 및 제2 연결블럭에 연장홀을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연결블럭을 연결하여 연결블럭의 설치길이를 연장하여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와 부스바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경되는 다양한 이격거리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연결블럭과 제2 연결블럭 사이에 지지블럭이 삽입설치되어, 제1 연결블럭과 제2 연결블럭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고정부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를 클립부와 가압부로 구성함으로써, 연결블럭부의 개방부에 대한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클립부를 "ㄷ"자 형상의 클립으로 구성함으로써, 제1 연결블럭 및 제2 연결블럭의 끼움홈에 함께 끼워맞춤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제1 연결블럭 20: 제2 연결블럭
30: 클립부 40: 가압부

Claims (6)

  1. 수배전반의 전력차단기에 부스바를 연결하는 부스바 연결장치로서,
    부스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부에 끼움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위의 일측방에 개방부가 형성된 연결블럭부;
    상기 개방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끼움부위에 상기 부스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연결블럭부의 일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전력차단기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부는, 상기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1 연결블럭과, 상기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의 타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블럭과 소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제2 연결블럭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블럭 및 상기 제2 연결블럭은, 부스바와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끼움부위에 부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접촉편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블럭 및 상기 제2 연결블럭은, 전력차단기의 단자부와 부스바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복수개가 연결되어 연장되도록 일부위에 연장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블럭과 상기 제2 연결블럭 사이에는 지지블럭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연결블럭 및 상기 제2 연결블럭의 양단에 각각 끼워맞춤되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 사이에 나합되어 이들 사이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KR1020110092457A 2011-09-14 2011-09-14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KR101179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457A KR101179648B1 (ko) 2011-09-14 2011-09-14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457A KR101179648B1 (ko) 2011-09-14 2011-09-14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648B1 true KR101179648B1 (ko) 2012-09-04

Family

ID=47073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457A KR101179648B1 (ko) 2011-09-14 2011-09-14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6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872A (ja) 2002-09-06 2004-04-02 Toyota Motor Corp バスバーの接続構造
KR200431626Y1 (ko) 2006-08-07 2006-11-23 주식회사 베스텍 수배전반용 배선차단기의 부스바 접속장치
KR100906774B1 (ko) 2007-07-27 2009-07-09 대진전기 (주) 수배전반의 전력선용 부스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872A (ja) 2002-09-06 2004-04-02 Toyota Motor Corp バスバーの接続構造
KR200431626Y1 (ko) 2006-08-07 2006-11-23 주식회사 베스텍 수배전반용 배선차단기의 부스바 접속장치
KR100906774B1 (ko) 2007-07-27 2009-07-09 대진전기 (주) 수배전반의 전력선용 부스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7647A3 (en) Bus bar power distribution device
KR100834499B1 (ko) 분배전반의 모선 및 자선버스바용 접속장치
CN102868031B (zh) 可拆卸地线连接装置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20100009432A (ko) 분전반용 차단기 받침대
KR101884080B1 (ko) 슬라이드식 버스바 커넥터
KR101179648B1 (ko) 수배전반의 부스바 연결장치
CN205564318U (zh) 一种具有散热性能的铜排
KR101301964B1 (ko) 다각형 부스바와 이의 유동방지 지지대를 구비한 배전반
KR20170056101A (ko) 배전반
US20190229503A1 (en) Stacked bus assembly with stepped profile
CN202797549U (zh) 可拆卸地线连接装置
CN204304361U (zh) 一种空气母线槽
KR101044288B1 (ko)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CN103779747B (zh) 配电连接装置
KR101251605B1 (ko) 수배전반 및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장치
CN210296941U (zh) 一种多列线路固定式高压开关柜体
CN107171190B (zh) 一种带有铜排搭接控制开关的转接柜内部结构
CN104716586A (zh) 一种箱式变电站用低压开关设备
KR101287616B1 (ko) 수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KR100735862B1 (ko) 전력장치용 접속 고정부를 구비한 자선부스바
KR10182560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20060098498A (ko) 고,저압폐쇄 배전반의 모선과 분기모선 연결용 클램프의 구조
CN203135228U (zh) 一种固定分隔柜的铜排出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