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537B1 - 탭 구조물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탭 구조물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537B1
KR101179537B1 KR1020110003269A KR20110003269A KR101179537B1 KR 101179537 B1 KR101179537 B1 KR 101179537B1 KR 1020110003269 A KR1020110003269 A KR 1020110003269A KR 20110003269 A KR20110003269 A KR 20110003269A KR 101179537 B1 KR101179537 B1 KR 10117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structure
adjustment
transparent panel
unit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889A (ko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1000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5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01Optical details; Scanning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021/9513Liquid crystal pane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는 탭 구조물이 안착하여 이송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지지이송부와, 상기 지지이송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탭 구조물을 촬영 검사하는 영상 검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부는 구동부에 연결 설치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판상의 투명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탭 구조물이 투명한 투명패널 상에 안착되어 이송되므로 자중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가압 파지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압되거나 파지되기 위하여 가려지는 부분이 없으며, 탭 구조물에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고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탭 구조물 검사 장치{Inspecting Device For A Product Having Tap}
본 발명은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탭이 형성된 탭 구조물의 외관 상태 및 위치를 검사하기 위한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탭(Tap, 구멍)은 부품 간의 나사 결합 등을 위하여 구조물에 형성된다. 특히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에서 사용되는 바텀 새시(bottom chassis)의 경우에는 다수의 탭이 형성되고, 다수의 탭은 바텀 새시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된다. 바텀 새시는 금속 판재로부터 제조되어 다수의 탭과 다수의 돌기부와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탭이 형성된 바텀 새시와 같은 구조물을 '탭 구조물'이라 한다.
탭 구조물에 형성된 탭이 소수인 경우에는 인력으로 탭의 형성 상태나 형성 위치를 검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바텀 새시(Bottom Chassis) 등의 경우에는 수십 개의 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력으로 탭을 검사하기에는 작업효율이 매우 떨어지고, 그 검사결과가 신뢰성을 가지지도 못한다. 또한,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더욱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구조물 자체의 면적이 대단히 넓고, 구조물 자체의 구조도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이에 따른 탭의 숫자도 매우 많아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력으로 탭을 검사하는 경우 제품의 생산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공개 특허 제10-2007-0082288호에는 다수의 탭이 형성된 탭 구조물을 검사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탭 구조물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지지부재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의 로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 구비되는 영상 검사부에서 네 개의 촬영부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영상 검사부의 촬영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영상 검사부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언로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제 3이송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탭 구조물 검사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탭이 형성된 탭 구조물을 로딩하는 로딩부(10)를 구비하며, 로딩부(10)의 우측에는 탭 구조물에 형성된 탭을 촬영하여 탭 형성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영상 검사부(20)가 구비되며, 상기 영상 검사부(20)의 우측에는 검사한 탭 구조물을 언로딩하기 위한 언로딩부(30)가 구비되며, 언로딩부(30)의 측방에는 게이지 검사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언로딩부(30)는 영상 검사부(20)에서 검사된 탭 구조물이 위치하며, 양품인 경우 이후 배출부(50)로 이송되는 지점이며, 게이지 검사부(40)는 영상 검사부(20)에서 검사된 탭 중에서 그 형상 상태가 정확하게 판단되지 못하거나 또는 불량 탭이라고 판단된 경우 이 탭을 정밀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로딩부(10), 영상 검사부(20), 언로딩부(30) 그리고 게이지 검사부(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고, 또한 장치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는 터치스크린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는 탭 구조물에 형성된 탭의 좌표값이 미리 입력되며, 입력된 좌표에 따라 검사가 진행되고, 또한 정상 탭, 반 탭 그리고 무 탭 상태의 판별을 진행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딩부(10)에는 탭 구조물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대(11)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1)의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지지대(11)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 실린더(12)가 구비되며, 지지대(11)의 양측으로는 탭 구조물의 양측을 가압하여 파지하기 위한 제 1지지부재(13)가 설치된다. 상기 제 1지지부재(13)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한다. 상기 제 1지지부재(13)는 로딩부(10)의 상부로 일측과 타측에 서로 마주하는 각각 3개씩 6개의 액추에이터(13-1a, 13-1b, 13-1c, 13-1d, 13-1e, 13-1f)로 구성된다. 이 각각의 액추에이터(13-1a, 13-1b, 13-1c, 13-1d, 13-1e, 13-1f)의 끝단에는 탭 구조물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핑 패드(13-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13)는 영상 검사부(20)를 거쳐서 언로딩부(30) 측으로 연장된 제1 이송부재(14)에 결합된다.
상기 제 1이송부재(14)는 로딩부(10)의 양측에서 언로딩부(30) 측으로 연장된 두 개의 엘엠가이드(미도시)와 제1 지지부재(13)를 이동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14-1) 그리고 타이밍 벨트(14-1)를 회전시키는 정역회전 모터(14-2)로 이루어진다. 탭 구조물이 제 1지지부재(13)에 의하여 양측에서 가압되어 측면 지지되고 제 1이송부재(14)가 제 1지지부재(13)를 영상 검사부(20) 측을 거쳐서 언로딩부(30) 측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제 1지지부재(13)의 상측에는 제 2지지부재(34)가 위치한다. 상기 제 2지지부재(34) 또한 탭 구조물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제 2지지부재(34)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한다. 상기 제 2지지부재(34)는 언로딩부(30)의 일측과 타측으로 양측에 각각 3개씩 6개의 액추에이터 그룹(34-1a)(34-1b)(34-1c)(34-1d)(34-1e)(34-1f)으로 구성된다. 이 각각의 액추에이터(34-1a)(34-1b)(34-1c)(34-1d)(34-1e)(34-1f) 끝단에는 탭 구조물의 측면을 가압 지지하기 위한 클램핑 패드가 설치된다. 상기 제 2지지부재(34)는 로딩부(10)에서 영상 검사부(20)를 거쳐서 언로딩부(30) 측으로 연장된 제 2이송부재(35)에 결합된다. 제 2이송부재(35)는 로딩부(10)의 양측에서 영상 검사부(20) 측으로 연장된 두개의 엘엠가이드(미도시)와 제 2지지부재(34)를 이동시키기 위한 타이밍벨트(35-1) 그리고 타이밍 벨트(35-1)를 회전시키는 정역회전 모터(35-2)로 구비된다. 탭 구조물이 제 2지지부재(34)에 의하여 측면 지지되고 제 2이송부재(35)가 제 2지지부재(34)를 로딩부(10)에서 영상 검사부(20)를 거쳐서 언로딩부(30)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2이송부재(35)는 제 1이송부재(14)와 2층 배열 구조로 배치되며 제 1이송부재(14)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영상 검사부(20)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네 개의 촬영부인 제 1촬영부(21), 제 2촬영부(22), 제 3촬영부(23), 제 4촬영부(24)로 이루어진다. 이 각각의 촬영부(21)(22)(23)(24)는 지지부재(13)(34)에 지지된 탭 구조물에 형성된 탭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의 촬영을 위한 제 1카메라(21-1)와 탭의 측면 경사방향으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2카메라(21-2)로 구성된다. 제 1카메라(21-1)는 설정된 위치에 탭이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와 탭 홀의 크기에 대한 확인 및 검사 그리고 기타 이물질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카메라(21-1)는 홀에 탭이 형성됨에 따라 탭 홀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이때의 크기에 대한 식별로써 탭의 형성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카메라(21-2)는 탭의 나사부분의 형성 상태를 정확히 촬영하여 형성상태의 판단이 가능토록 하는 것으로, 이 제 2카메라(21-2)는 정상탭인지 또는 반탭인지의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토록 한다. 이 각각의 카메라들은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촬영부(21)(22)(23)(24)는 해당 영역에 대하여 미리 입력된 탭의 좌표에 따라 이동하면서 탭을 촬영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촬영부(21)(22)(23)(24)가 탭 구조물의 전체 표면을 먼저 스캐닝하고, 스캐닝 동작 중에 판단된 탭의 종류 및 위치 그리고 좌표 등을 인식하도록 한 후 검사작업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촬영부(21)(22)(23)(24)는 3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수의 볼스크류 그룹(21-3)(21-4)(21-5)을 구비한다. 즉 X축 방향과, Y축 방향 그리고 Z축 방향으로 위치한 볼스크류(21-3)(21-4)(21-5)와 이들의 구동을 위한 각각의 모터(M)를 구비하여, 이 볼스크류(21-3)(21-4)(21-5)의 해당 동작에 따라 촬영부(21)(22)(23)(24)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엘엠가이드(21-6)로 구성된다. 여기서 Z축 방향 볼스크류(21-5)는 탭 구조물의 3차원 구조에 따라 다른 높이에 형성된 탭의 촬영 및 검사 대상물(21-5)에 대한 카메라 포커싱을 위한 것이다. 상기 촬영부(21)(22)(23)(24)의 카메라는 한 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측면 경사방향으로의 촬영은 별도의 미러계(미도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촬영부(21)(22)(23)(24)의 하측에는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제 2승강 실린더(26)가 설치된다. 제 2승강 실린더(26)는 후술하는 조명부재(27)를 탭 구조물의 하부 표면으로 가능한 한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제 2승강 실린더(26)의 상부에는 탭 구조물의 후방으로부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재(27)가 설치된다. 이 조명부재(27)는 백라이트(back light)를 채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탭 검사장치에서 언로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딩부(30) 이전에는 라인스캔 카메라(36)가 설치된다. 이 라인스캔 카메라(36)는 검사 대상물의 형상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탭 구조물이 2층 구조로 이송되므로 Z축 방향으로 볼스크류(36-1)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라인스캔 카메라(36)의 하부에는 검사대상물에 대한 조명을 위하여 백라이트(36-2)가 설치된다. 라인스캔 카메라(36) 이후에 언로딩부(30)가 구비된다. 언로딩부(30)에는 탭 구조물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대(31)가 설치된다. 그리고 언로딩부(30)와 그리고 안착대(31)의 하부에는 상하방향(Z축 방향)으로 안착대(31)를 승강시키는 제 3승강 실린더(32)가 구비된다. 제 3승강 실린더(32)의 상측에는 배출부(50) 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로드리스 실린더(33)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로드리스 실린더(33)의 상부에 상기 안착대(31)가 배출부(50)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안착대(31)에 안착된 양품의 탭 구조물은 로드리스 실린더(33)에 의하여 이동하여 배출부(50) 측으로 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제 3이송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31)의 상부에는 언로딩부(30)에서 게이지 검사부(40) 측으로 연장된 제 3이송부재(48)가 설치된다. 이 제 3이송부재(48)는 영상 검사 후 탭의 형성상태가 불량이라고 판단된 탭 구조물의 정밀 검사를 위하여 탭 구조물을 게이지 검사부(4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제 3이송부재(48)는 다수개의 흡착기(48-1)와, 흡착기(48-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언로딩부(30)에서 게이지 검사부(40) 측으로 연장된 로드리스 실린더(48-2) 및 엘엠가이드(48-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탭 구조물 검사장치는 제 1지지부재(13)에 구비된 액추에이터(13-1a, 13-1b, 13-1c, 13-1d, 13-1e, 13-1f)로 양측에서 탭 구조물을 가압하여 파지하고 이송하는 구조이므로, 탭 구조물에 큰 외력이 작용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하여 탭 구조물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탭 구조물은 양측에서 가압 지지되어 이송되므로 탭 구조물 자중에 의한 변형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클램핑 패드가 접촉하고 있는 탭 구조물 부분은 검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탭 구조물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구가 마련되지 않아 일정한 위치로 탭 구조물을 위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탭 구조물에 큰 외력이 작용할 수 없으며, 자중에 의한 탭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탭 구조물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탭 구조물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탭 구조물이 안착하여 이송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지지이송부와, 상기 지지이송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탭 구조물을 촬영 검사하는 영상 검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부는 구동부에 연결 설치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판상의 투명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탭 구조물은 투명패널 상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에는 제1 설치부재와, 상기 제1 설치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제2 설치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투명패널은 일측은 제1 설치부재 상부에 안착되고 타측은 제2 설치부재 상부에 안착되어 베이스 패널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설치부재에는 제2 설치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설치부재에는 제1 턱부와 마주하는 제2 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패널의 일측은 제1 턱부 상에 안착되고 타측은 제2 턱부 상에 안착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설치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제1 턱부 상에 안착된 투명패널을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설치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제2 턱부 상에 안착된 투명패널을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가 구비되어 양측에서 투명패널을 고정 지지하며;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오목부 일측의 돌기는 제1 설치부재의 상단에 접하고, 오목부의 타측의 돌기는 투명패널의 상부에 접하여 투명패널을 가압하며;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제2 설치부재의 상단에 접하는 접촉돌기와, 상기 접촉돌기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투명패널의 상부에 접하여 투명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패널에 구비되어 투명패널에 안착한 탭 구조물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수단은 베이스 패널과 투명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설치부재와, 상기 제3 설치부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패널 양측으로 위치하여 투명패널의 상부로 연장된 측부부재와, 양단이 상기 측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투명패널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조정부재와, 상기 베이스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설치부재를 왕복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조정부재와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투명패널의 상부로 고정 구비된 제2 조정부재로 이루어지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송수단은 조정벨트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설치부재와, 상기 베이스 패널 일단으로 구비되는 제1 조정풀리와, 상기 제2 조정풀리설치공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조정풀리와, 상기 제1 조정풀리와 제2 조정풀리에 감긴 조정벨트와, 상기 제1 조정풀리를 구동하는 조정모터로 이루어지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 설치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설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제2 조정풀리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수단은 제3 설치부재와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홈부에 위치하고 조정벨트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이밍블록과, 상기 제3 설치부재와 타이밍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 패널 일단으로 구비되는 제1 조정풀리와, 상기 제2 조정풀리설치공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조정풀리와, 상기 제1 조정풀리와 제2 조정풀리에 감긴 조정벨트와, 상기 제1 조정풀리를 구동하는 조정모터와, 설치홈부의 외측 양측에 위치하도록 제3 설치부재에 구비되며 단부가 설치홈부 경계를 지나 연장되어 타이밍블록과 마주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복열의 제1 벨트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복열의 제2 벨트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의 폭방향 양측으로 위치하는 측면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이송부의 일측은 제1 벨트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이송부로 연장되어 타측은 제2 벨트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와 지지이송부 사이에 지지이송부의 양측으로 제1 승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와 지지이송부 사이에 지지이송부의 양측으로 제2 승강수단이 구비된 탭 구조물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조정부는 각 제1 벨트컨베이어의 외측으로 제1 벨트컨베이트와 나란하게 위치하며 일측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단부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멀어지는 안내부를 가지는 측면가압부재와, 상기 측면가압부재를 폭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측면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가압수단은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볼스크루와, 상기 볼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상부에 폭방향으로 관통된 안내공이 형성된 볼너트와, 상기 안내공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의 양단에 구비되어 안내공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제1 지지부재와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와 볼너트 사이에 위치하며 안내축이 삽입된 제1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가압부재는 완충부재에 연결된 탭 구조물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에 의하면, 탭 구조물이 투명한 투명패널 상에 안착되어 이송되므로 자중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며, 탭 구조물을 양측에서 가압하거나 파지하여 이송하지 않으므로 가압 파지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압되거나 파지되기 위하여 가려지는 부분이 없으며, 탭 구조물에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고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탭 구조물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지지부재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의 로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 구비되는 영상 검사부에서 네 개의 촬영부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영상 검사부의 촬영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영상 검사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언로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서 제 3이송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탭 구조물 검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 구비되는 측면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 구비되는 지지이송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 구비되는 지지이송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의 지지이송부에 구비된 구동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의 지지이송부에 구비된 베이스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6은 도 12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7은 도 12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8은 도 12의 'D'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9는 도 12의 'A'부 쪽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의 지지이송부에 구비된 조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조정수단에 구비되는 타이밍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2는 제2 가압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탭 구조물 검사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 구비되는 측면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 구비되는 지지이송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에 구비되는 지지이송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의 지지이송부에 구비된 구동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의 지지이송부에 구비된 베이스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6은 도 12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7은 도 12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8은 도 12의 'D'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9는 도 12의 'A'부 쪽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 탭 구조물 검사장치의 지지이송부에 구비된 조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조정수단에 구비되는 타이밍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2는 제2 가압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9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세로 방향을 '폭방향'으로, 도 12의 세로 방향 중 상부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향'으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벨트컨베이어(210) 사이 및 제2 벨트컨베이어(310) 사이를 '내측'으로, 그 반대 방향을 '외측'으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탭 구조물 검사장치(100)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복열의 제1 벨트컨베이어(210)로 이루어지는 제1 이송부(200)와, 상기 제1 이송부(200)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복열의 제2 벨트컨베이어(310)로 이루어진 제2 이송부(300)와, 일측은 제1 벨트컨베이어(210)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이송부(300)로 연장되어 타측은 제2 벨트컨베이어(310)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이송부(500)와,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210)와 지지이송부(500) 사이에 지지이송부(500)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 승강수단(610)과,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310)와 지지이송부(500) 사이에 지지이송부(500)의 양측으로 구비된 제2 승강수단(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부(200)의 폭방향 양측으로 위치하는 측면조정부(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승강수단(610)과 제2 승강수단(620)은 유압이나 공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20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탭 구조물을 이송하도록 작동하고, 제2 이송부(300)도 좌측에서 우측으로 탭 구조물을 이송하도록 작동한다. 도 9에서 도면부호 213은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복열의 제1 벨트컨베이어(210)를 연결하여 같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1 연결축을, 211은 상기 복열의 제1 벨트컨베이어(210)의 롤러(미도시) 중 일측의 롤러에 연결된 제1 피동기어를, 231은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하는 제1 구동기어를, 230은 상기 제1 구동기어를 구동하는 제1 모터를, 313은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복열의 제2 벨트컨베이어(310)를 연결하여 같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2 연결축을, 310은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310)를 구동하는 제2 모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조정부(400)는 제1 이송부(200)의 각 제1 벨트컨베이어(210)의 외측으로 제1 벨트컨베이트(210)와 나란하게 위치하며 일측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단부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멀어지는 안내부(431)를 가지는 측면가압부재(430)와, 상기 측면가압부재(430)를 폭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측면가압수단(410)으로 이루어진다. 도 9에서 도면부호 420은 상기 측면가압부재(430)의 하부로 구비되어 측면가압부재(430)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가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안내부(431)는 제1 이송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간격이 서로 멀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면가압수단(410)은 폭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볼스크루(411)와, 상기 볼스크루(411)의 회전에 따라 폭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며 상부에 폭방향으로 관통된 안내공(4133)이 형성된 볼너트(414)와, 상기 안내공(4133)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 안내축(4155)과, 상기 안내축(4155)의 양단에 구비되어 안내공(4133)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제2 지지부재(4153)와 완충부재(415)와, 상기 완충부재(415)와 볼너트(414) 사이에 위치하며 안내축(4155)이 삽입된 제1 스프링(4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가압부재(430)는 완충부재(415)에 연결된다. 상기 측면가압부재(430)는 직접 안내축(4155)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이송부(200)가 작동하여 제1 이송부(200)의 제1 벨트컨베이어(210) 상에 안착된 탭 구조물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며, 이송 시 상기 측면가압부재(430)의 안내부(431)에 의하여 제1 벨트컨베이어(210) 사이의 중심부로 안내되며, 제1 이송부(200)의 상부로 이격되며 폭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카메라와 조명수단을 구비한 영상 검사부 하부로 탭 구조물이 이송되고 제1 이송부(200)의 작동이 중단되면, 양측으로부터 측면가압부재(430)가 폭방향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양측에서 탭 구조물을 가압하여 탭 구조물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탭 구조물의 위치가 조정되면 영상 검사부가 폭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탭 구조물의 영상을 획득하여 탭 구조물을 검사하게 된다. 이때, 지지이송부(500)의 이송부(550)는 제2 이송부(300)의 제2 컨베이어벨트(31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영상 검사부의 작동은 종래 기술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탭 구조물 검사 장치에 구비되는 지지이송부(500)는 탭 구조물이 안착하여 이송되는 이송부(550)와 상기 이송부(550)를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51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51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이송부(550)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이송부(200)의 제1 벨트컨베이어(210) 사이와 제2 이송부(300)의 제2 벨트컨베이어(310) 사이를 왕복 운동한다.
상기 구동부(51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운동수단(518)과, 상기 직선운동수단(518)을 구동하는 구동모터(5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운동수단(518)은 볼스크류와 볼너트로 구성할 수도 있고, 타이밍벨트와 타이밍풀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직선운동수단(518)의 양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가이드레일(515)과 가이드레일(515)을 따라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슬라이더(517)로 이루어진 리니어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리니어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이송부(550)의 운동이 정숙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3에서 도면부호 513은 구동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감속기를, 519는 설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설치부(519)는 직선운동수단(518)의 왕복 운동하는 구성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직선운동수단(518)이 볼스크루와 볼너트를 이루어지는 경우 볼너트에 구비되며, 타이밍벨트와 타이밍풀리로 이루어지는 경우 타이밍벨트 상에 구비되어, 이송부(550)가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설치부(519)는 판상의 판재를 타이밍벨트나 볼너트에 나사 체결한 구성으로 하고 이송부(550)를 판상의 설치부(519)에 다시 나사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55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510)의 설치부(519)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부(510)의 구동에 의하여 왕복 운동을 한다. 상기 이송부(550)는 설치부(519)에 고정 설치되는 판상의 베이스 패널(560)과, 상기 베이스 패널(560)로부터 상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판상의 투명패널(590)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패널(590)은 강화 유리, 투명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검사 대상물인 탭 구조물은 투명패널(590) 상에 안착되어 이송된다. 도 11, 도 12, 도 13,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패널(560)은 슬라이더(517)의 상부에 고정되어 안내되어 정숙한 왕복 운동을 한다. 도 16의 도면부호 561은 슬라이더(517)에 나사 체결을 하기 위하여 베이스 패널에 형성된 슬라이더나사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도 14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패널(560)의 상부에는 제1 설치부재(571)와, 상기 제1 설치부재(57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2 설치부재(521)가 구비되며, 상기 투명패널(590)은 일측은 제1 설치부재(571) 상부에 안착되고 타측은 제2 설치부재(521) 상부에 안착되어 베이스 패널(560)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설치부재(571)에는 제2 설치부재(5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턱부(571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설치부재(520)에는 제1 턱부(5713)와 마주하는 제2 턱부(5211)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패널(590)의 일측은 제1 턱부(5713) 상에 안착되고 타측은 제2 턱부(5211)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1 설치부재(571)의 상단에는 상기 제1 턱부(5713) 상에 안착된 투명패널(590)을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57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설치부재(521)의 상단에는 상기 제2 턱부(5211) 상에 안착된 투명패널(590)을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523)가 구비되어 양측에서 투명패널(590)을 고정 지지한다. 상기 제1 가압부재(573)와 제2 가압부재(523)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나사 체결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제1 설치부재(571)의 상단과 상기 제2 설치부재(521)의 상단에 각각 나사 체결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압부재(573)는 폭방향으로 오목부(5731)가 형성되어 오목부(5731) 일측의 돌기는 제1 설치부재(571)의 상단에 접하고, 오목부(5731)의 타측의 돌기는 투명패널(590)의 상부에 접하여 투명패널(590)을 가압한다. 상기 제1 가압부재(573)에 형성되는 나사공은 오목부(5731)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18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압부재(523)는 제2 설치부재(521)의 상단에 접하는 접촉돌기(5235)와, 상기 접촉돌기(5235)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투명패널(590)의 상부에 접하여 투명패널(590)을 가압하는 가압돌기(5236)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돌기(5235)와 가압돌기(5236)는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압부재(523)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개구공(5233)이 형성된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돌기(5235)와 가압돌기(5236) 사이에 폭방향으로 복수의 나사공(5237)이 형성되어 제2 설치부재(521)에 나사 체결된다. 그리고 나사공(5237)이 형성된 반대 단부에 턱부(5231)가 형성되며 상기 턱부(5231)에 폭방향으로 복수의 나사공(5239)이 형성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턱부(5231)에 마주하는 턱부를 가진 조정1부재(525)가 나사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 설치부재(521)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투명패널(590)과 베이스 패널(560) 사이에 조명수단(1001)이 위치하며, 상기 조명수단(1001)의 상부로 투명패널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라인카메라(1003)가 설치된다. 상기 조명수단(1001)의 양단은 투명패널(590) 및 베이스 패널(560)의 폭방향 양단으로 돌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설치 구조물에 고정되며, 상기 라인카메라(1003)도 도시하지 않은 설치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다.
도 12, 도 14, 도 15, 도 17,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는 상기 베이스 패널(560)에 구비되어 투명패널(590)에 안착한 탭 구조물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5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조정수단(530)은 베이스 패널(560)과 투명패널(590) 사이에 위치하여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설치부재(535)와, 상기 제3 설치부재(535)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패널(590) 양측으로 위치하여 투명패널(590)의 상부로 연장된 측부부재(531)와, 양단이 상기 측부부재(531)에 연결되며 상기 투명패널(590)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조정부재(533)와, 상기 베이스 패널(560)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설치부재(535)를 왕복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조정부재(533)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투명패널(590)의 상부로 고정 구비된 제2 조정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가압부재(523)가 제2 조정부재로 되며, 상기 제2 가압부재(523)의 턱부(5231)에 조정1부재(525)가 나사 체결되는 경우 상기 조정1부재(525)가 제2 조정부재로 된다.
상기 제1 설치부재(571)는 제1 이송부(200)를 향하는 베이스 패널(56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며, 제2 설치부재(521)는 제2 이송부(300)를 향하는 베이스 패널(560)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패널(560)의 상부에는 제1 이송부(200)를 향하는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567)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567)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 통공(566)과 제2 조정풀리설치공(565)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567)는 제1 이송부(200)를 향하는 단부에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오목안내부(564)를 가진다. 도 15에서 도면부호 563은 베이스 패널(560)을 설치부(519)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나사공을, 569는 제1 이송부(200)를 향하는 베이스 패널(560)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 설치부재(571)가 체결되는 제1 설치부나사공을, 568은 제2 이송부(300)를 향하는 베이스 패널(560)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2 설치부재(521)가 체결되는 제2 설치부나사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설치부재(571)의 하단에는 오목하게 안내오목부(5711)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오목부(5711)는 오목안내부(564)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을 형성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조정벨트(582)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설치부재(535)와, 상기 베이스 패널(560) 일단으로 구비되는 제1 조정풀리(581)와, 상기 제2 조정풀리설치공(565)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조정풀리(583)와, 상기 제1 조정풀리(581)와 제2 조정풀리(583)에 감긴 조정벨트(582)와, 상기 제1 조정풀리(581)를 구동하는 조정모터(5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정모터(580)는 제1 설치부재(571)에 길이 방향 외측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조정풀리(581)는 조정모터(580)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상기 안내오목부(5711)는 오목안내부(564)에 의하여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베이스 패널(560)의 상부를 지나고, 제2 조정풀리(583)를 통과한 후에는 베이스 패널(560)의 하부를 지나게 된다.
상기 제3 설치부재(535)는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설치홈부(5351)가 형성되며, 제2 조정풀리설치공(565)은 상기 베이스 패널(560)의 길이 방향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다. 상기 설치홈부(5351)는 제1 이송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송수단은 제3 설치부재(535)와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홈부(5351)에 위치하고 타이밍 벨트인 조정벨트(582)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이밍블록(537)과, 상기 제3 설치부재(535)와 타이밍블록(537)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532)과, 상기 베이스 패널(560) 일단으로 구비되는 제1 조정풀리(581)와, 상기 제2 조정풀리설치공(565)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조정풀리(583)와, 상기 제1 조정풀리(581)와 제2 조정풀리(583)에 감긴 조정벨트(582)와, 상기 제1 조정풀리(581)를 구동하는 조정모터(580)와, 설치홈부(5351)의 외측 양측에 위치하도록 제3 설치부재(535)에 구비되며 단부가 설치홈부(5351) 경계를 지나 연장되어 타이밍블록(537)과 마주하는 걸림부재(536)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이밍블록(537)은 폭 방향 양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핀공형성부(5371)를 구비하며, 상기 핀공형성부(5371) 사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조정벨트(582)와 치합하는 복수의 돌기(5375)를 구비한다. 상기 핀공형성부(5371)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핀공(5373)이 형성된다. 상기 핀공(537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핀(534)이 삽입되며, 타이밍블록(537)을 지나 상기 제3 설치부재(535)와 타이밍블록(537)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532)을 관통하여 제3 설치부재(535)로 연장된다. 상기 핀(534)의 단부는 상기 제3 설치부재(53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설치부재(535)와 반대 방향으로 핀공(5373)으로부터 노출된 핀(534)의 단부는 핀공(5373)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블록(537)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기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부(5351)에는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홈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타이밍블록(537)이 설치홈부(5351)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20에서 도면부호 539는 상기 타이밍블록에 나사 체결되어 조정벨트(582)를 타이밍블록(537)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도시한 것이며, 도 21에서 5377은 고정부재(539)를 타이밍블록(537)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나사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이밍블록(537)과 스프링(532)을 구비함으로써 조정수단(530)에 의한 조정시 탭 구조물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패널(560)의 폭방향 양측으로 측면거치부재(미도시)를 구비하도록 하고, 측부가이드레일(5391)을 설치하며 측부가이드레일(539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가이드운동부재(5321)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설치부재(535)가 가이드운동부재(5321)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제3 설치부재(535)의 길이 방향 운동이 정숙해진다.
도 12, 도 16, 도 18 및 도 19에서 도면부호 501은 가이드레일(515)이 설치되는 지지대를 도시한 것이다.
검사를 하기 위하여 탭 구조물을 제1 이송부(200)에 공급하면, 제1 이송부(200)의 작동에 의하여 탭 구조물은 제1 이송부(200)의 폭방향 양측으로 위치한 측면조정부(400)의 안내부(431)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도 1에서 우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1 이송부(2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 구조물(미도시)에 설치된 영상 검사부의 하부로 탭 구조물이 위치하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예를 들면,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감지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정지 명령에 출력되고 제1 이송부(200)의 작동이 정지하며, 측면조정부(400)가 작동하여 탭 구조물의 폭 방향 위치가 조정된다. 그리고 영상 검사부가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탭 구조물을 촬영 검사하게 된다.
검사가 종료되면, 제1 승강수단(610)이 상승하여 1차 검사가 완료된 탭 구조물을 상승시키며, 상승이 완료되면 지지이송부(500)가 작동하여 이송부(550)가 제1 벨트컨베이어(210) 사이로 전진하게 된다. 상기 이송부(550)의 전진이 완료되면, 제1 승강수단(610)이 하강하며 제1 승강수단(610)에 지지된 탭 구조물은 이송부(550)의 투명패널(590) 상에 안착한다. 상기 투명패널(590)의 상면은 제1 벨트컨베이어(21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투명패널(590) 상에 안착한 탭 구조물은 지지이송부(500)에 구비된 조정수단(530)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가압되어, 조정부재(533)와 제2 조정부재 사이에서 길이 방향 위치가 조정된다.
그리고 구동부(510)의 작동에 의하여 이송부(550)는 제2 벨트컨베이어(310) 사이로 이송되며, 이송 중 상기 투명패널(590)과 베이스 패널(56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조명수단(1001)과 상기 투명패널(590)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된 라인카메라(1003)에 의하여 촬영되어 검사가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550)가 제2 벨트컨베이어(310) 사이로 이송되면 제2 승강수단(620)이 상승하여 검사가 진행된 탭 구조물을 상승시키고, 상승된 상태에서 이송부(550)는 제1 이송부(200)를 향하여 전진하고, 전진 후에 제2 승강수단(620)이 다시 하강하여 탭 구조물은 제2 벨트컨베이어(310) 상에 안착되어 제2 이송부(300)에 의하여 이송된다. 상기 투명패널(590)의 상면은 제2 벨트컨베이어(31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탭 구조물 검사장치 200: 제1 이송부
300: 제2 이송부 500: 지지이송부
610: 제1 승강수단 620: 제2 승강수단

Claims (9)

  1. 탭 구조물이 안착하여 이송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지지이송부와, 상기 지지이송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탭 구조물을 촬영 검사하는 영상 검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부는 구동부에 연결 설치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판상의 투명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탭 구조물은 투명패널 상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부에는 제1 설치부재와, 상기 제1 설치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제2 설치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투명패널은 일측은 제1 설치부재 상부에 안착되고 타측은 제2 설치부재 상부에 안착되어 베이스 패널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부재에는 제2 설치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설치부재에는 제1 턱부와 마주하는 제2 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패널의 일측은 제1 턱부 상에 안착되고 타측은 제2 턱부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제1 턱부 상에 안착된 투명패널을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설치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제2 턱부 상에 안착된 투명패널을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가 구비되어 양측에서 투명패널을 고정 지지하며;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오목부 일측의 돌기는 제1 설치부재의 상단에 접하고, 오목부의 타측의 돌기는 투명패널의 상부에 접하여 투명패널을 가압하며;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제2 설치부재의 상단에 접하는 접촉돌기와, 상기 접촉돌기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투명패널의 상부에 접하여 투명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널에 구비되어 투명패널에 안착한 탭 구조물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수단은 베이스 패널과 투명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설치부재와, 상기 제3 설치부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명패널 양측으로 위치하여 투명패널의 상부로 연장된 측부부재와, 양단이 상기 측부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투명패널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조정부재와, 상기 베이스 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3 설치부재를 왕복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조정부재와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투명패널의 상부로 고정 구비된 제2 조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조정벨트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설치부재와, 상기 베이스 패널 일단으로 구비되는 제1 조정풀리와, 상기 제2 조정풀리설치공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조정풀리와, 상기 제1 조정풀리와 제2 조정풀리에 감긴 조정벨트와, 상기 제1 조정풀리를 구동하는 조정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설치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설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패널에는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된 제2 조정풀리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수단은 제3 설치부재와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홈부에 위치하고 조정벨트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이밍블록과, 상기 제3 설치부재와 타이밍블록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 패널 일단으로 구비되는 제1 조정풀리와, 상기 제2 조정풀리설치공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조정풀리와, 상기 제1 조정풀리와 제2 조정풀리에 감긴 조정벨트와, 상기 제1 조정풀리를 구동하는 조정모터와, 설치홈부의 외측 양측에 위치하도록 제3 설치부재에 구비되며 단부가 설치홈부 경계를 지나 연장되어 타이밍블록과 마주하는 걸림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구조물 검사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복열의 제1 벨트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복열의 제2 벨트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제2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의 폭방향 양측으로 위치하는 측면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이송부의 일측은 제1 벨트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이송부로 연장되어 타측은 제2 벨트컨베이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벨트컨베이어와 지지이송부 사이에 지지이송부의 양측으로 제1 승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벨트컨베이어와 지지이송부 사이에 지지이송부의 양측으로 제2 승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구조물 검사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조정부는 각 제1 벨트컨베이어의 외측으로 제1 벨트컨베이트와 나란하게 위치하며 일측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단부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멀어지는 안내부를 가지는 측면가압부재와, 상기 측면가압부재를 폭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측면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가압수단은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볼스크루와, 상기 볼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상부에 폭방향으로 관통된 안내공이 형성된 볼너트와, 상기 안내공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의 양단에 구비되어 안내공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제1 지지부재와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와 볼너트 사이에 위치하며 안내축이 삽입된 제1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가압부재는 완충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구조물 검사장치.
KR1020110003269A 2011-01-12 2011-01-12 탭 구조물 검사 장치 KR10117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269A KR101179537B1 (ko) 2011-01-12 2011-01-12 탭 구조물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269A KR101179537B1 (ko) 2011-01-12 2011-01-12 탭 구조물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89A KR20120081889A (ko) 2012-07-20
KR101179537B1 true KR101179537B1 (ko) 2012-09-17

Family

ID=4671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269A KR101179537B1 (ko) 2011-01-12 2011-01-12 탭 구조물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46639B (zh) * 2023-09-21 2023-11-21 广州科达电器有限公司 一种音响转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103B1 (ko) 2001-02-05 2002-09-28 메카텍스 (주) 액정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의 패널수평반송장치
KR100769691B1 (ko) 2006-02-16 2007-10-24 (주)코미 탭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탭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103B1 (ko) 2001-02-05 2002-09-28 메카텍스 (주) 액정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의 패널수평반송장치
KR100769691B1 (ko) 2006-02-16 2007-10-24 (주)코미 탭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탭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89A (ko) 201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3509B (zh) 压缩机转子装配系统及装配方法
US20180297784A1 (en) Item transfer apparatus, item inspection apparatus, item transfer method, and item inspection method
US95818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detecting device
CN107063167B (zh) 精切块状产品检测装置
KR100244688B1 (ko) 웨이퍼 반송장치
KR101102566B1 (ko) 부품이송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비전검사기
CN111781212A (zh) 一种木板缺陷视觉检测装置
KR101155961B1 (ko) 컨베이어가 1축을 대체한 2축 구동 검사장치
JP2006300913A (ja) 導光板外観検査装置
KR101032089B1 (ko) 기판검사장치
WO2010082313A1 (ja) 搬送装置
KR102488727B1 (ko) 센터링 장치
CN113670362B (zh) 一种全自动光学精密测量设备
KR101179537B1 (ko) 탭 구조물 검사 장치
CN116908204B (zh) 一种基于aoi检测的半导体检测设备
KR20130000631A (ko) 볼트 자동 체결장치
KR20020049848A (ko) 수평식 핸들러의 픽커 간격조절장치
CN112798618A (zh) 线路板检测装置
KR100676071B1 (ko) 백라이트유닛의 이송용 트레이 자동 이송시스템
CN212379308U (zh) 一种木板缺陷视觉检测装置
KR101704357B1 (ko) 요동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반송 장치
CN105954305B (zh) 一种x-ray无损透视检测仪
CN109078863B (zh) 一种光学检测设备
CN211989743U (zh) 一种圆柱工件检测平台
CN211374551U (zh) 基板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