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906B1 -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적합한 유압펌프장치 - Google Patents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적합한 유압펌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906B1
KR101178906B1 KR20100109577A KR20100109577A KR101178906B1 KR 101178906 B1 KR101178906 B1 KR 101178906B1 KR 20100109577 A KR20100109577 A KR 20100109577A KR 20100109577 A KR20100109577 A KR 20100109577A KR 101178906 B1 KR101178906 B1 KR 101178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iston cylinder
hydraulic pump
pump device
driv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120A (ko
Inventor
김옥배
Original Assignee
가온소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소프트(주) filed Critical 가온소프트(주)
Priority to KR20100109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9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8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non-mechanical gearing, e.g. flui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이용자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통상의 자전거 구조에 적합하도록 설치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큰 용량의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압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캠과, 상기 구동캠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둘레 전체에 일정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피스톤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펌핑부는 피스톤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실린더에 작동유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되 일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피스톤실린더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실린더의 외측에서 그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소정지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누름판과, 상기 피스톤이 상기 피스톤실린더 내에서 후퇴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캠이 상기 누름판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펌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적합한 유압펌프장치{HYDRAULIC PUMP FOR BICYCLES}
본 발명은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적합한 유압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둘레 전체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피스톤펌프부가 내부를 회전하는 구동캠에 의해 펌핑작용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압구동방식 자건거에 적합한 구조의 유압펌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설치될 수 있는 유압펌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자전거는 회전축(1)과 뒷바퀴(6)의 축에 각각 스프로킷을 설치하고 양 스프로킷에 체인을 걸어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동하고 있다.
그러한 구동방식은 기계적 마찰손실을 발생시키고 후륜만을 구동하게 되며 구동에너지가 저장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최근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유압구동방식 자전거는 유압펌프장치 및 유압모터를 설치하여 페달(2)의 회전으로 유압펌프장치가 유압을 발생시키고, 바퀴에 설치된 유압모터에 유압을 전달함으로써 주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계적인 마찰저항 없고 전륜과 후륜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유압에너지가 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되었다가 유압모터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페달(2)이 설치되는 회전축(1) 부분, 즉 “A"부분은 이용자의 두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이고, 그 공간이 협소하여 복잡한 구조의 유압펌프장치를 설치하기 곤란하다. 또한 이용자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그 설치공간에 맞는 유압펌프장치를 설계하더라도, 유압펌프장치의 용량이 줄어들고 자전거를 구동할 수 있는 충분한 유압력을 발생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압펌프장치의 형상 및 그 하우징의 설치로 인하여 자전거의 형상 및 구조가 크게 달라지게 되므로 이용자가 쉽게 적응할 수 없고 설계상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이용자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통상의 자전거 구조에 적합하도록 설치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큰 용량의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압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캠과, 상기 구동캠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둘레 전체에 일정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피스톤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펌핑부는 피스톤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실린더에 작동유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되 일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피스톤실린더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실린더의 외측에서 그 일단이 힌지축에 의해 소정지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누름판과, 상기 피스톤이 상기 피스톤실린더 내에서 후퇴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캠이 상기 누름판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펌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피스톤과 상기 누름판은 링크부재에 의해 링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스톤펌핑부가 펌핑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실린더는 상기 펌핑블록에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이 힌지결합되는 상기 소정지점은 상기 펌핑블록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캠이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판에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과 상기 구동캠은 원웨이베어링 또는 원웨이클러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유압펌프장치는 전체적으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캠과, 상기 구동캠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둘레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환형을 이루는 다수의 펌핑블록과, 상기 펌핑블록의 하부에 형성되는 피스톤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실린더에 작동유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되 일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도록 상기 펌핑블록에 설치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와, 상기 피스톤실린더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실린더의 외측 중 상기 펌핑블록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힌지축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과 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구동캠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눌려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피스톤이 상기 피스톤실린더 내에서 후퇴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펌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캠은 장경과 단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압펌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유압펌프장치는 자전거의 페달부에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탑승자의 다리가 페달을 구동하더라도 그 구동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유압펌프장치는 구동캠의 주변에 다수의 피스톤펌프가 설치되어 구동캠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피스톤펌프가 작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므로, 전체적으로 맥동이 크지 않은 유압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의 크기를 평활화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 등 유압평활장치가 불필요하거나, 그것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작은 용량의 것만 설치하면 자전거의 구동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의 유압펌프장치는 구동캠이 회전하면서 누름판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구동캠이 누름판을 부드럽게 타고 넘을 수 있으므로 페달에 의한 회전축의 회전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구동캠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이 받아야 할 측방향의 가압력을 누름판이 담당함으로써 피스톤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자전거의 일예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장치에서 피스톤펌핑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장치가 자전거에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장치의 작동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장치의 유압회로의 개략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장치(10)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장치(10)를 구성하는 피스톤펌핑부(30)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장치(10)는 회전축(22)에 결합되는 구동캠(20)과, 상기 구동캠(2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둘레 전체에 일정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피스톤펌핑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캠(20)은 통상의 캠의 형상과 같이 회전축(22)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긴 폭과 짧은 폭을 가지는 편심된 형상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장경(長徑)과 단경(短徑)을 가지는 타원형의 원반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동캠(20)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펌핑부(30)의 피스톤(35)이 전진운동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캠(20)의 회전이 계속 진행되면 후술하는 누름판(37)을 반복적으로 누르게 됨으로써 피스톤(35)이 피스톤실린더 내에서 작동유체를 가압하는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누름판(37)을 누르는 작용은 타원형인 구동캠(20)의 장경에 해당하는 양측부(회전축을 중심으로 긴 길이에 해당하는 장경부분이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장경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단경이 형성된다)에서 동시에 발생하고 있다.
상기 구동캠(20)과 회전축(22)은 원웨이베어링(23) 또는 원웨이클러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동캠(20)이 일방향(도 2의 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고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아 회전축(22)의 공회전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캠(20)은 후술하는 누름판(37)의 힌지축(37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상기 누름판(37)에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원웨이베어링(23) 또는 원웨이클러치를 설치한다.
상기 피스톤펌핑부(30)는 피스톤실린더(31)와, 피스톤실린더(31)에 작동유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되 일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유입구(33) 및 유출구(34)와, 상기 피스톤실린더(31)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5)과, 피스톤실린더(31)의 외측에서 그 일단이 힌지축(374)에 의해 소정지점에 힌지결합되고 피스톤(35)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35)과 연결되는 누름판(37)과, 피스톤(35)이 피스톤실린더(31) 내에서 후퇴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372)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실린더(31)는 통상의 피스톤실린더(31)와 같이 펌핑블록(32)에 원통형 공간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서 피스톤(35)이 왕복운동을 하고 있다.
상기 피스톤실린더(31)의 상부에는 작동유체의 유입구(33) 및 유출구(34)가 설치된다. 피스톤(35)의 후퇴에 따라 피스톤실린더(31)의 내부에 압력이 낮아져 작동유체가 유입구(33)를 통해 피스톤실린더(31) 내부로 유입되고, 피스톤(35)의 전진(압축)에 따라 피스톤실린더(31) 내부의 유체를 밀어내게 되므로 작동유체가 유출구(34)를 통해 가압되어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위하여 상기 유입구(33) 및 유출구(34)에는 각각 일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331,341)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구(33)에 설치된 체크밸브(331)는 피스톤실린더(31) 내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상기 유출구(34)에 설치된 체크밸브(341)는 피스톤실린더(31)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유입구(33) 및 유출구(34)를 통한 유체의 흐름은 일방향만이 허용되고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구체적으로 차단볼과 차단볼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의 유체의 압력이 발생하면 차단볼을 밀어내어 유체가 흐를 수 있고 그 반대방향의 흐름은 볼이 유로를 막아 유체의 흐름이 발생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피스톤실린더(31)가 설치된 펌핑블록(32)의 일측 하부에는 누름판(37)의 일단이 힌지축(374)에 힌지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누름판(37)은 피스톤(35) 하측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고 그 길이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긴 길이의 판상체이고, 구동캠(20)의 회전이 계속되면 누름판(37)을 눌러주는 작용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누름판(37)은 피스톤(35)의 하부에서 피스톤(35)과 링크부재(353)에 의해 링크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링크부재(353)에 의해 링크결합됨으로써 누름판(37)의 선회운동을 피스톤(35)의 직선운동으로 원활히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353)는 누름판(37)이 힌지축(374)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로 왕복선회운동을 함에 따라 피스톤(35)에 횡방향의 변위를 강제하지 않고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요소이므로, 누름판(37)과 피스톤(35)의 연결은 반드시 링크부재(353)에 한정되지 않고 횡방향의 슬립이나 변위를 흡수하면서 피스톤(35)에 상하운동을 전달하는 방식이면 어떠한 연결구조라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누름판(37)과 상기 펌핑블록(32) 사이에는 탄성체(372)인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372)은 피스톤(35)이 피스톤실린더(31) 내에서 후퇴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귀력을 부가하는 것으로서, 누름판(37)이 힌지축(374)을 중심으로 피스톤실린더(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받음으로써 피스톤(35)이 후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372)은 피스톤(35)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피스톤실린더(31) 내에서 피스톤(35)의 운동방향과 평행하게 코일스프링이 배치되어 피스톤(35)이 코일스프링을 압축 후 탄성력에 의해 밀려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72)은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 피스톤(35)이 하사점에 도달하여 더 이상 피스톤(35)이 후퇴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하고, 그 상태에서 도 2의 “B"부분과 같이 구동캠(20)의 단경부가 누름판(37)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캠(20)의 장경부에서는 피스톤(35)이 도 2의“C"부분과 같이 상사점에 도달할 수 있도록 스프링(372)과 링크부재(353)의 길이가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피스톤펌핑부(30)는 그 본체의 역할을 하는 펌핑블록(32)이 설치된다. 상기 펌핑블록(32)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상기 피스톤실린더(31)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피스톤실린더(31)에 연통되는 유입구(33) 및 유출구(34)가 형성된다. 또한, 누름판(37)의 힌지축(374)은 펌핑블록(32)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유압펌프장치(10)는 다수의 피스톤펌핑부(30)가 구동캠(20)의 외측에서 회전축(22)을 중심으로 둘레 전체에 배치된다. 즉, 상기 펌핑블록(32)이 둘레 전체에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서로 접하여 다수가 배치됨으로써 환형을 이루고 있다. 이웃하는 펌핑블록(32)들은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서 결합수단(322,323)에 의해 서로 체결되고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유압펌프장치(10)가 자전거의 패달(2)과 결합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유압펌프장치(10)는 원반형상으로 구성이 가능하므로 도 1에서 도시하는 종래의 스프로킷이 설치된 “A"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기존 자전거의 각부 설치공간이 크게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유압펌프장치(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패달(2)에 양다리를 올리고 구동하더라도 양 다리의 패달구동동작이 방해받지 않을 뿐 아니라, 유압펌프장치(10)의 피스톤펌핑부(30)가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자전거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유압펌프장치(10)는 하우징(60)에 의해서 외부가 전체적으로 커버된 상태이다. 상기 하우징(60)은 펌핑블록(32)의 측벽과 접하도록 커버되고 있으나, 그 직경방향으로는 다수의 펌핑블록(32)이 결합된 상태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와 같이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발생하는 하우징(60)과 펌핑블록(32)의 상부면 사이의 여유공간에 유입구(33)와 유출구(34)에 각각 연결되는 유압호스(미도시)가 배치된다. 다수의 유입구(33)에 각각 연결되는 유압호스는 하나로 모아져 주유입구(51)와 연결되고, 다수의 유출구(34)에 각각 연결되는 유압호스는 하나로 모아져 주유출구(52)와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7은 자전거의 프레임이다.
다음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장치(10)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의 (a) 및 (b)는 유압펌프장치(10)의 펌핑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이용자가 페달(2)을 구름으로써 회전축(22)의 회전이 발생하면, 회전축(22)은 원웨이베어링(23) 또는 원웨이클러치에 의해 일방향의 회전만이 발생한다. 상기 회전에 따라 구동캠(20)이 회전하면서 구동캠(20)의 장경부분이 누름판(37)과 접촉하여 힌지축(374)을 중심으로 피스톤(35)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선회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35)은 피스톤실린더(31) 내에서 전진하여 내부의 작동유체에 압력을 가하여 유출구(34)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 때, 상기 유출구(34)의 체크밸브(341)는 볼이 스프링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유로가 열리게 된다.
이후, 도 5의 (b)와 같이, 구동캠(20)이 더 회전하게 되면, 구동캠(20)의 장경이 누름판(37)을 벗어나게 되고 누름판(37)은 탄성체(372)(스프링)의 작용으로 피스톤실린더(31)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며, 링크부재(353)에 의해 연결된 피스톤(35)은 하사점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 때, 피스톤실린더(31) 내부에는 압력이 낮아지고, 그 압력차에 의해 유입구(33)에 설치된 체크밸브(331)의 볼이 스프링을 눌러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리저버(80)에 저장된 작동유체가 피스톤실린더(31)의 내부로 유입된다. 작동유체가 피스톤실린더(31)로 유입되는 시점에서는 유출구(34)에 설치된 체크밸브(341)의 볼이 유출구(34)를 막고 있으므로 유입구(33)만이 개방되어 있다.
결국, 구동캠(20)의 장경이 피스톤펌핑부(30)를 1회 지날때마다 피스톤실린더(31)에서 가압된 유체가 유출되고, 다시 리저버(80)에 연결된 유입구(33)로 유체가 유입되는 작용이 1회 발생한다.
본 실시예의 유압펌프장치(10)는 회전축(22)의 둘레에 다수의 피스톤펌핑부(30)가 설치되므로 구동캠(20)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작용이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이에 따라, 구동캠(20)의 1회전시 복수의 펌핑작용이 나뉘어 발생하고 맥동작용이 크지 않은 상태에서 지속적인 유압의 발생이 가능하므로 큰 맥동작용에 의한 파손이나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상기 구동캠(20)은 누름판(37)의 힌지축(37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누름판(37)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구동캠(20)이 누름판(37)을 원활하게 타고 넘을 수 있다. 누름판(37)의 설치로 인하여 피스톤(35)이 그 진행방향에 직각인 측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받지 않게 되고, 누름판(37)이 그것을 흡수할 수 있으며, 누름판(37)과 구동캠(20)이 서로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운동을 전달하므로 힌지축(374)에 가해지는 측방향 힘이 작고 누름판(37)의 지지도 비교적 용이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펌프장치(10)가 설치된 자전거에 대한 개략적인 유압회로를 도시하는 것으로, 피스톤펌핑부(30)에서 발생한 유압은 주유출구(51)를 통해 자전거 바퀴(6)의 유압모터(70)에 전달된다. 유압모터(70)를 구동시킨 작동유체는 리저버(80)에 모여 저장된다. 이용자가 페달을 계속 구동시키면 유압펌프장치(10)에는 리저버(80)로부터 작동유체가 유입되고 다시 유압모터(70)로 배출되는 펌핑작용이 계속적으로 발생된다.
상기 유압모터(70)는 자전거의 앞바귀와 뒷바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고, 앞바퀴와 뒷바퀴에 동시에 설치되어 유압펌프장치(10)에서 유압이 동시에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압펌프장치는 자전거 기술분야 뿐 아니라 유압펌프가 사용되는 타 기술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음도 또한 밝혀둔다.
10; 유압펌프장치 20; 구동캠
22; 회전축 23; 원웨이베어링
30; 피스톤펌핑부 31; 피스톤실린더
32; 펌핑블록 322; 결합수단
323; 결합수단 33; 유입구
331; 체크밸브 34; 유출구
341; 체크밸브 35; 피스톤
353; 링크부재 37; 누름판
372; 탄성체(스프링) 374; 힌지축
51; 주유입구 52; 주유출구
60; 하우징 70; 유압모터
80; 리저버

Claims (7)

  1. 회전축(2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캠(20)과,
    상기 구동캠(2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둘레 전체에 배치되는 다수의 피스톤펌핑부(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펌핑부(30)는
    피스톤실린더(31)와,
    상기 피스톤실린더(31)에 작동유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되 일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는 유입구(33) 및 유출구(34)와,
    상기 피스톤실린더(31)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5)과,
    상기 피스톤실린더(31)의 외측에서 그 일단이 힌지축(374)에 의해 소정지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피스톤(35)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35)과 연결되는 누름판(37)과,
    상기 피스톤(35)이 상기 피스톤실린더(31) 내에서 후퇴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372)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캠(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캠(20)이 상기 누름판(37)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펌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5)과 상기 누름판(37)은 링크부재(353)에 의해 링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펌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펌핑부(30)는 펌핑블록(32)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실린더(31)는 상기 펌핑블록(32)에 형성되며,
    상기 누름판(37)이 힌지결합되는 상기 소정지점은 상기 펌핑블록(32)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펌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20)이 상기 힌지축(37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판(37)에 접촉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2)과 상기 구동캠(20)은 원웨이베어링(23) 또는 원웨이클러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펌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장치(10)는 전체적으로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펌프장치
  6. 회전축(2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캠(20)과,
    상기 구동캠(20)의 외측에서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둘레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환형을 이루는 다수의 펌핑블록(32)과,
    상기 펌핑블록(32)의 하부에 형성되는 피스톤실린더(31)와,
    상기 피스톤실린더(31)에 작동유체를 유입 및 유출시키되 일방향의 흐름만을 허용하도록 상기 펌핑블록(32)에 설치되는 유입구(33) 및 유출구(34)와,
    상기 피스톤실린더(31)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5)과,
    상기 피스톤실린더(31)의 외측 중 상기 펌핑블록(32)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힌지축(374)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피스톤(35)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스톤(35)과 링크부재(353)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구동캠(20)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눌려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누름판(37)과,
    상기 피스톤(35)이 상기 피스톤실린더(31) 내에서 후퇴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37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펌프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과,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20)은 장경과 단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펌프장치
KR20100109577A 2010-11-05 2010-11-05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적합한 유압펌프장치 KR101178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9577A KR101178906B1 (ko) 2010-11-05 2010-11-05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적합한 유압펌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9577A KR101178906B1 (ko) 2010-11-05 2010-11-05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적합한 유압펌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120A KR20120048120A (ko) 2012-05-15
KR101178906B1 true KR101178906B1 (ko) 2012-09-03

Family

ID=4626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9577A KR101178906B1 (ko) 2010-11-05 2010-11-05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적합한 유압펌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4807A (en) * 2013-06-04 2014-12-10 Genius Ip Ltd Hydraulic and pneumatic drive system
CN113879445A (zh) * 2020-07-01 2022-01-04 蔡保源 自行车气压助力设备
KR102519384B1 (ko) * 2021-06-01 2023-04-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식 개폐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120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907B1 (ko) 압력 생성 장치
JP2012067755A (ja) ポンプ
KR101178906B1 (ko) 유압구동방식 자전거에 적합한 유압펌프장치
US10502366B2 (en) Oil injection apparatus
CN101876302A (zh) 一种多缸往复泵
WO2016011898A1 (zh) 轴向柱塞式液压泵
US20160121969A1 (en) A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system, and a motor and a pump therefor
CN105041594A (zh) 具有带变形区域的缸座的紧凑型径向活塞液压机
CN105090008A (zh) 一种新型轴向柱塞泵
CN104153986A (zh) 液压回程的轴向柱塞式液压泵
AU622700B2 (en) Low-noise pump assembly
US20060182640A1 (en) High pressure pump
CN104100482A (zh) 抗磨损的轴向柱塞式液压泵
CN203394694U (zh) 一种对置式轴向柱塞泵
CN204082514U (zh) 抗磨损的轴向柱塞式液压泵
CN105114278A (zh) 一种新型轴向柱塞泵
CN103256198A (zh) 柱塞泵以及带有该柱塞泵的水净化装置
CN104500363B (zh) 具有润滑系统的柱塞泵
CN103397994B (zh) 一种对置式轴向柱塞泵
CN113623161A (zh) 一种带润滑功能的斜盘式柱塞泵
CN113236519A (zh) 一种通轴轴向斜盘柱塞泵
KR200323148Y1 (ko) 편심캠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을 갖춘 윤활유공급장치
CN203162498U (zh) 超高压电动黄油加注机
CN214787836U (zh) 一种三缸柱塞泵
CN207634628U (zh) 一种收获机皮带张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