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872B1 -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872B1
KR101178872B1 KR1020100049859A KR20100049859A KR101178872B1 KR 101178872 B1 KR101178872 B1 KR 101178872B1 KR 1020100049859 A KR1020100049859 A KR 1020100049859A KR 20100049859 A KR20100049859 A KR 20100049859A KR 101178872 B1 KR101178872 B1 KR 101178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od bar
syringe
pist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289A (ko
Inventor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이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영 filed Critical 이희영
Priority to KR102010004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87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1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rotationally moving or pivot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lever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3Piston constructions to improve sealing or sl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는 바늘이 결합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공간의 개구된 단부에 실린더 플랜지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공간에 결합된 피스톤과 연결된 로드바를 손가락으로 밀거나 잡아 당겨 연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공간의 압력을 변화시켜 양압 또는 음압을 통해 바늘을 거쳐 약물을 투입하거나 추출하는 압력수단으로 구성된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플랜지에 탈착 가능하게 보조장치를 결합하되, 상기 로드가 보조장치에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보조장치에 주사기와 수평 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힌지 연결된 레버가 손의 악력에 의해 지렛대 원리로 작동되는 회전력이 발생되면 운동변환수단을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로드와 피스톤이 감속되어 이동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Injector structure for surge pressure ofreturnless}
본 발명은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기를 통해 인체의 조직물을 추출하거나 지방 및 약물을 주입하는 주사 시술을 한 손의 악력을 통해 압력 발생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주사기 압력의 세기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약액을 생체의 조직 내에 주입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써, 그 구성은 바늘이 결합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끼움 결합되고, 공간이 마련된 실린더와, 상기 공간에 결합되어 로드바의 당김 또는 미는 동작에 의해 연동하여 공간의 압력을 상승시켜 발생되는 양압 또는 음압을 통해 바늘을 거쳐 약물을 투입하거나 인체의 조직물을 추출하는 로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실린더 끝단과 로드바 끝단에는 플랜지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사기를 통해 약물을 인체에 투입 또는 인체의 조직물을 추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양손을 이용하여 실린더와 로드를 각각 잡은 상태에서 바늘을 인체에 침투시킨 후 로드를 후방으로 빼내는 동작에 의한 음압을 발생시켜 인체의 조직을 추출하거나, 상기 로드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동작에 의한 양압을 발생시켜 인체에 약물을 주입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주사기의 약물 주입 또는 인체의 조직물을 추출시 통상적으로 한 손은 주사 부위를 문지르는 등의 주사의 용이한 주입 또는 추출을 돕도록 하는 동시에 주사 대상자의 자세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고, 다른 한 손을 통해 주사기의 로드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한 손을 통한 주사기의 주사 동작은 손가락을 통해 실린더와 로드바의 플랜지를 각각 파지한 상태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되나, 이러한 주사 동작은 불편함을 가중시켜 주사 시술의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용량 주사기를 사용하여 많은 양의 약물을 인체에 투입하거나 점성이 있는 약물을 투입할 경우 주사기 공간에서 양압이 크게 발생하게 되면 실린더에 끼움 결합된 선단부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신체의 형태를 교정하기 위한 지방이식 시술의 경우 점성을 갖는 인체의 지방을 추출할 때 주사기 공간에서 음압이 크게 발생하게 되면 로드바의 당김 작동을 한 손으로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지방 흡입 시술시 바늘을 인체에 침투시킨 후 주사기에서 피스톤이 장착된 로드를 후방으로 빼내어 주사기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켜 바늘을 통해 지방을 주사기 공간 내부로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시술자의 실수에 의해 바늘의 끝단이 공기에 노출될 경우 주사기 내부의 음압이 소실되어 지방흡입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인체 내부에 약물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약물의 각기 다른 점성에 맞추어 시술자가 일정하게 힘을 가해 양압을 발생시켜 약물을 투입하여야 하나, 자칫 양압이 과해질 경우 인체의 주입 주변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주사기가 안정적으로 양압 또는 음압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전적으로 시술자의 손으로 느껴지는 물리적 저항에 의해 판단 되어지기 때문에 지방 및 약물의 추출과 주입 시술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를 통해 인체의 조직물을 한 손의 악력으로도 손쉽게 외부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압의 발생 과정에서도 압력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음압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기계적 동작으로 음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 내에서 음압 또는 양압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를 통해 지방 및 약물의 투입 또는 인체 조직을 추출하기 위한 시술시 주사기 내부의 공간에 대한 압력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의 공간에 음압 또는 양압의 압력 가변상태를 눈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변화를 시술자가 시인하면서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수동주사기 또는 단순 증압 주사기에서 압력의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간접 전달 방식으로 압력을 발생시켜 압력의 과부하 방지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는 바늘이 결합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공간의 개구된 단부에 실린더 플랜지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공간에서 피스톤과 연결된 로드바를 손가락으로 밀거나 잡아당겨 연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공간의 압력을 변화시켜 양압 또는 음압을 통해 바늘을 거쳐 약물을 투입하거나 추출하는 압력수단으로 구성된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플랜지에 탈착 가능하게 보조장치를 결합하되, 상기 로드바가 보조장치에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보조장치에 주사기와 수평 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힌지 연결된 레버가 손의 악력에 의해 지렛대 원리로 작동되는 회전운동이 발생되면 운동변환수단을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로드바와 피스톤이 증가된 힘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조장치는 실린더 플랜지에 고정되어 실린더와 수평선상으로 배치되는 메인블럭을 마련하고, 상기 메인블럭에는 하부가 개구된 가동공간과 고정공간을 형성시켜 로드바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한 가동블럭과 고정블럭을 각각 배치하되, 상기 가동블럭과 고정블럭이 탄성부재에 의해 가동공간과 고정공간에서 한 쪽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메인블럭 전방에 힌지 연결된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레버 타단에 형성된 가압돌기가 가동블럭의 하부를 밀어 기울기를 가변시키면서 후진시켜 관통공의 내주연 상하부 모서리가 하부 방향으로 로드바 외주면을 압박하면서 로드를 실린더 후방으로 이동시켜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악력을 해제시키면 레버가 힌지 연결 부분에 장착한 스프링을 통해 원상태로 복귀되는 동시에 탄성부재에 의해 가동블럭이 로드바와 직립 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차순의 전진 이동을 준비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의 공간 입구에는 로드바가 관통되는 가이드블럭을 결합하여 상기 로드바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블럭에는 전방에 고정턱을 형성한 고정클립을 설치하여 실린더 플랜지가 회전에 의해 고정턱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블럭은 고정공간에 설치하되, 상기 고정블럭의 하부를 부분 노출시키도록 설치하고 상기 로드바에 관통되도록 하되, 고정블럭은 탄성부재에 의해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관통공의 내주연 상하부가 로드바의 외주면을 하부 방향으로 압박하여 가동블럭에 의해 이동된 로드바가 음압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로드바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경우 고정블럭의 하부를 당겨 로드바와 직립된 상태로 전환시켜 상기 로드바의 관통공이 로드바의 외주면 압박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운동변환수단은 보조장치에 중심축을 통해 피니언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로드바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킨 레크기어와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의 내부에 한쪽 방향으로만 경사각을 갖는 내접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레버와 고정된 회전구에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내접기어와 치합되는 레칫기어가 레버에 의해 피니언이 일방향으로만 내접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조장치 후방에는 보조레치기어를 힌지 연결한 다음 스프링에 의해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주사기에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로드바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에 악력을 전달하는 과정 중에 탄성부재를 거치도록 하여 전달되는 압력의 크기에 의해 탄성부재의 인장되는 형상의 변화량이 달라지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형상 변화량의 측정을 통해 외부에서 압력의 세기를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에 악력을 전달하는 과정 중에 로드바에 결합시킨 탄성부재를 압박하도록 하여 전달되는 압력의 크기에 의해 탄성부재의 압축되는 형상의 변화량이 달라지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형상 변화량의 측정을 통해 외부에서 압력의 세기를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은 이중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을 실린더 공간에 결합시키되, 상기 제1피스톤의 일측면에 확인부재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피스톤에는 확인부재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피스톤의 확인부재와 제2피스톤의 홈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로드바를 통해 제2피스톤과 연동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제1피스톤을 이동시켜 공간에 음압 또는 양압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되, 상기 확인부재 외주연에 표기된 단위 눈금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의 자체 탄성에 의한 가변된 형상 길이로 공간에 발생된 음압 또는 양압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드의 외주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단에 커버를 고정시키고, 상기 로드바의 일단에는 버튼을 고정시켜 상기 버튼이 커버의 내부에 부분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커버의 내부에 탄성부재를 장착하여 레버에 의해 하우징이 이동되면 탄성부재가 압박되면서 실린더 공간의 압력보다 탄성부재의 압축력이 같거나 클 경우 버튼을 후방으로 간접 이동시켜 로드를 연동시킴으로써, 실린더 공간 내부에서 피스톤이 이동되어 음압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버튼과 로드바의 외주연에 단위 눈금을 표시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자체 탄성에 의한 가변된 형상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에서 발생된 음압 또는 양압의 세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는 실린더와 연장되게 장착되어 한 손의 악력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와 연동하는 가동블럭을 통해 로드바를 한 쪽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사기를 통해 인체 조직물을 한 손의 악력으로도 손쉽게 외부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는 한 손의 악력의 반복 동작에 따라 레버의 회동이 연동하여 로드바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킬 때 실린더에 연장되게 장착된 메인블럭에 설치한 고정블럭을 통해 로드바가 음압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음압의 발생 과정에서도 압력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음압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체 조직물 추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는 상기 메인블럭에 장착되어 음압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블럭의 기울기를 가변시켜 로드바의 상호 고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블럭의 간단한 기울기 동작 전환을 통해 실린더 공간의 음압 상태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 발생 보조장치의 조작성 및 음압 및 양압의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는 기존의 수동주사기 또는 단순 증압 주사기에서 압력의 과부하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공간의 내벽에 근접되게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을 결합하고 상기 제1,2피스톤 사이에 탄성부재를 결합하여 제2피스톤과 연결되어 실린더의 공간 외부로 연장된 로드를 통해 제2피스톤을 이동시켜 탄성공간의 압력을 통해 제1피스톤을 연동시킴으로써 공간에 내부에서 음압 또는 양압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실린더 외부로 노출된 로드바 끝단에 하우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 다음 로드바와 하우징 끝단에 고정시킨 각각 버튼과 커버를 결합하면서 커버의 내부에 탄성부재를 내입시켜 레버에 의한 하우징의 이동이 커버와 탄성부재를 거쳐 버튼으로 순차되게 전달되어 상기 버튼과 고정된 로드바에 의해 피스톤을 연동시켜 음압 또는 양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를 통한 힘의 간접 전달 방식으로 압력을 발생시켜 압력의 과부하 방지하여 주사 시술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는 주사기에서 음압 또는 양압을 발생시킬 때 제1피스톤에 설치된 확인부재에 단위 눈금을 표시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자체 탄성에 의한 형상 변화의 상태를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단위 눈금으로도 압력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재 주사기 공간에서 발생된 압력의 세기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 지방 및 약물의 투입 또는 인체 조직을 추출하기 위한 정밀한 주사 시술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는 로드바, 하우징, 커버, 버튼으로 구성한 압력표시장치 중에서 로드바와 버튼에 단위 눈금을 표시하여 주사기 외부로부터 압력 세기의 변화 상태를 보다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를 실린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장치를 실린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e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의 단계별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운동변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 순서도.
도 5a,b는 본 발명의 주사기 압력발생장치에 표시장치를 장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b 내지 도 7q,b는 본 발명의 주사기 압력발생장치에 다른 실시예의 표시장치를 장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를 실린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장치를 실린더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e은 본 발명의 보조장치의 단계별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운동변환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 순서도이며, 도 5a,b는 본 발명의 주사기 압력발생장치에 표시장치를 장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b 내지 도 7a,b는 본 발명의 주사기 압력발생장치에 다른 실시예의 표시장치를 장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e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가 적용되는 주사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주사기 100는 바늘 111이 결합된 선단부 110와, 상기 선단부 110와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 121이 마련되며 상기 공간 121의 개구된 단부에 실린더 플랜지가 형성된 실린더 120와, 상기 공간 121에 결합된 피스톤 131과 연결된 로드바 133를 손가락으로 밀거나 잡아 당겨 연동하는 피스톤 131에 의해 공간 121의 압력을 변화시켜 발생하는 양압 또는 음압을 통해 바늘을 거쳐 약물을 투입하거나 추출하는 압력수단 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단부 110는 실린더 120에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바늘 111이 장착된 선단부 110의 반대 방향 단부는 돌출턱(미부호)이 형성된다.
그리고, 실린더 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실린더 120의 공간 121에는 로드바 133와 연결된 피스톤 131으로 이루어진 압력수단 130이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131의 이동 방향에 따라 공간 121에서 음압 또는 양압을 발생시킨다.
음압은 로드바 133를 통해 피스톤 131을 실린더 120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공간 121에서 발생하여 인체에 침투된 바늘 111을 통해 공간 121으로 인체의 액상 조직을 추출할 때 이용한다.
반대로, 양압은 로드바 133를 통해 피스톤 131을 실린더 120 전방으로 밀어내어 발생시켜 인체에 침투된 바늘 111을 통해 공간 121에 충진된 액상의 약물을 인체에 주입시킬 때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사기 100에 압력 발생 보조장치 200는 상기 실린더 플랜지 122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보조장치 200를 결합하되, 상기 로드바 133가 보조장치 200에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보조장치 200에 주사기와 수평 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힌지 연결된 레버 240가 손의 악력에 의해 지렛대 원리로 회전력이 발생되면 운동변환수단 220을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로드바 133와 피스톤131이 증가된 힘으로 저속 이동한다.
상기 보조장치 200는 로드바 133가 관통되게 결합되면서 실린더 플랜지 122에 고정된 메인블럭 210이 마련된다.
상기 메인블럭 210는 전방에는 고정턱 216을 형성한 고정클립 215을 회전에 의해 실린더 플랜지 122에 끼움되어 실린더 120의 실린더 플랜지 122에 메인블럭 210이 수평선상으로 연장되어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 120에서 노출된 로드바 133는 메인블럭 210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로드바 133는 피스톤과 나사 체결로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120의 공간 121 입구에 로드바 133가 관통되는 가이드블럭 250을 결합하되, 상기 가이드블럭 250은 고정클립 215을 관통하여 메인블럭 210측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블럭 250이 로드바 133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실린더 120에 결합되는 메인블럭 210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메인블럭 210에는 운동변환수단 220이 설치된다.
상기 운동변환수단 220은 하부가 개구된 가동공간 211과 고정공간 212이 각각 구획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블럭 221과 고정블럭 222을 각각 설치한다.
여기서, 가동블럭 221과 고정블럭 222에는 관통공 213을 각각 형성시켜 상기 로드바 133를 관통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블럭 210에는 가동블럭 221과 고정블럭 222을 각각 이격되게 설치하되, 로드바 133를 관통시킨 다음 가동블럭 221과 고정블럭 222을 탄성부재 260에 의해 메인블럭 210의 한 쪽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럭 210 전방 하부에는 실린더 120와 수평 선상으로 이격되어 힌지 결합되어 스프링 241이 내재된 레버 240를 장착하고, 레버 240의 일측에 절곡된 가압돌기 242는 가동블럭 221의 전방 하부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가동블럭 221과 고정블럭 222의 직립 또는 기울기 방향에 따라 로드바 133의 이동 또는 고정 상태가 결정된다.
즉, 최초 가동블럭 221은 로드바 133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블럭 222은 상부가 로드바 133 끝단 방향으로 경사진 기울기를 갖은 상태로 배치된다.
이후, 레버 240의 회동에 의해 가압돌기 242가 가동블럭 221의 하부를 밀어 기울기를 가변시키면 관통공 213의 내주연 상하부 모서리가 하부 방향으로 로드바 133 외주면을 압박한 상태에서 후진시켜 로드를 실린더 120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실린더 120 공간 121에 음압을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레버 240에 악력을 해제하면 레버 240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동시에 탄성부재 260에 의해 가동블럭 221이 로드바 133와 직립 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전진 이동을 준비한다.
이때, 고정블럭 222은 탄성부재 260에 의해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관통공 213의 내주연 상하부가 로드바 133의 외주면을 하부 방향으로 압박하여 가동블럭 221에 의해 이동된 로드바 133가 음압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이는 레버 240를 통해 가동블럭 221의 다음 전진 이동을 준비할 때 음압에 의해 로드바 133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린더 120와 연장되게 장착되어 한 손의 악력에 의해 회동하는 레버 240와 연동하는 가동블럭 221을 통해 로드바 133를 한 쪽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사기 100를 통해 인체 조직을 한 손의 악력으로도 손쉽게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럭 210에 장착되어 음압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블럭 222의 기울기를 가변시켜 로드바 133와의 상호 고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고정블럭 230의 간단한 기울기 동작 전환을 통해 실린더 120 공간 121의 음압 상태를 간편하게 해재할 수 있고, 양압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여 압력 발생 보조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기용 압력 발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운동변환수단 220은 보조장치 200에 중심축 262을 통해 피니언 기어 26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로드바 133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시킨 레크기어 133a와 치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 260의 내부에 한쪽 방향으로만 경사각을 갖는 내접기어 261를 설치하여 상기 레버 240와 고정된 메인블럭 210에 스프링 281을 통해 탄력적으로 내접기어 261와 치합되는 레치기어 280가 레버 240에 의해 피니언 기어 260이 일 방향으로만 내접기어 261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한다.
즉, 손의 악력을 통해 레버 240를 지렛대 원리로 회전시키면 보조장치 200에 설치된 중심축 262을 기준으로 레버 240가 회전되면서 회전구 270을 연동시킨다.
상기 회전구 270의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에는 레치기어 280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레치기어 280의 일단이 스프링 281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향으로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내접기어 261와 레치기어 280는 일방향의 각도로 상호 치합되게 형성되어 있어 레치기어 280에 의해 피니언 기어 260가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 260의 회전에 의해 레크기어 133a가 후방으로 직선 운동하여 피스톤을 공간 내부에서 연동시켜 음압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 후방에는 보조레치기어 290를 힌지 연결한 다음 스프링 281에 의해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주사기에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로드바 133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음압에 의해 로드바 133가 원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도 5a와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에는 압력 표시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압력표시장치는 상기 피스톤 131에 악력을 전달하는 과정 중에 탄성부재 150를 거치도록 하여 전달되는 압력의 크기에 의해 탄성부재 150의 인장되는 형상 변화량이 달라지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 150의 형상 변화량의 측정을 통해 외부에서 압력의 크기를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 131은 이중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1피스톤 131a과 제2피스톤 131b을 공간에 결합시키되, 상기 제1피스톤 131a의 일측면에 확인부재 132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피스톤 131b에는 확인부재 132를 수용하는 홈 13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피스톤 131의 확인부재 132와 제2피스톤 131의 홈 134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 150로 연결하여 로드바 133를 통해 제2피스톤 131b과 연동하는 탄성부재 150에 의해 제1피스톤 131a을 이동시켜 공간에 음압 또는 양압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확인부재 132 외주연에 표기된 단위 눈금 135 또는 탄성부재의 형상의 변화량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 150의 자체 탄성에 의한 인장 및 압축된 길이의 가변 상태에 따라 음압 또는 양압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주사기를 통해 지방 등의 인체 조직을 주사기로 추출할 경우 바늘을 인체의 국소부위에 침투시킨 다음 로드바 133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피스톤 131a 제2피스톤 131b 사이에 결합한 탄성부재 150의 압력에 의해 제1피스톤 131a을 연동시킨다.
상기 공간 121의 후방으로 제1피스톤 131a과 제2피스톤 131b이 이동되면 상기 제1피스톤 131a 전방에 위치한 공간 121에 음압이 발생되면서 바늘을 통해 인체 조직을 추출한다.
여기서, 탄성부재 150의 자체 탄성은 공간 121의 압력 보다 크거나 동일한 세기를 갖을 때 음압이 발생된다.
자칫, 시술자의 실수로 로드바 133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진행하여 공간 121에서 발생된 음압이 과부하가 걸려 탄성부재 150의 인장력 보다 음압이 크게 발생할 경우 탄성부재 150에 인장력이 크게 부여되어 탄성부재 150의 탄성 길이가 길어진다.
이때, 시술자는 벌어진 탄성부재 150의 길이를 확인부재 132의 눈금 135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현재의 압력 발생 상태가 정상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양압을 발생시킬 경우 공간 121에 충진된 지방 및 약물을 인체에 투입하기 위해 바늘을 인체에 침투시킨 후 로드바 13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2피스톤 131은 탄성부재 150를 압박하면서 제1피스톤 131a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피스톤 131a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약물이 충진된 공간에 양압이 발생되어 지방 및 약물을 인체 내에 투입시킨다.
이때, 시술자가 실수로 로드바 133의 전진 이동속도를 높이게 되면 양압이 과도하게 발생되어 탄성부재 150의 자체 탄성의 압축력 보다 양압이 높아질 경우 탄성부재 150의 탄성에 의해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이때, 시술자는 좁아진 탄성부재 150의 형상 변화량 또는 확인부재 132의 눈금 135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압력 변화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크기어 133a와 피니언 기어 260의 작동으로 압력을 발생시키는 다른 실시예의 압력발생장치는 상기의 압력 표시장치가 적용이 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한 압력표시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는, 도 6a와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압력 표시장치는 아래와 같다.
상기 피스톤 131에 악력을 전달하는 과정 중에 로드바 133에 결합시킨 탄성부재 150를 압박하도록 하여 전달되는 압력의 크기에 의해 탄성부재 150의 압축되는 형상의 변화량이 달라지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 150의 형상 변화량의 측정을 통해 외부에서 압력의 세기를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가능하도록 주사기에는 로드바 133, 하우징 140, 커버 142 및 버튼 141이 마련된다.
상기 로드바 133의 외주연에는 상기 하우징 1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140 일단에는 커버 142를 고정시키고, 상기 로드바 133의 일단에는 커버 142에 수용되는 버튼 141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커버 142의 내부에 탄성부재 150를 장착하여 상기 레버 240에 의해 하우징 140이 이동되면 커버 142가 연동하여 탄성부재 150를 압박한다.
이때, 실린더 120 공간 121의 압력보다 탄성부재 150의 압축력이 크거나 같을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 15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 141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버튼 141과 일체로 고정된 로드바 133를 통해 공간 121 내부에서 피스톤 131을 이동시켜 음압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 131이 장착된 부근의 로드바 133와 버튼 141의 외주연에는 각각 단위 눈금 135이 표시되어 있어 탄성부재 150의 자체 탄성에 의한 형상 변화의 상태를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단위 눈금 135으로도 압력 변화를 병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주사기 외부로부터 압력 세기의 변화 상태를 보다 손쉽게 체크할 수 있다.
이는, 압력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현재 주사기 공간에서 발생된 압력의 세기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 지방 및 약물의 투입 또는 인체 조직을 추출하기 위한 정밀한 주사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기에서 레크기어 133a와 피니언기어 260 구조로 압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에는 상기 레크기어 133a가 외주연에 형성된 하우징 140의 일단에 도 6a와 도 6b에서 언급된 압력표시장치가 동일하게 설치되어 도 6a 및 도 6b와 동일하게 탄성부재 150의 형상의 길이 변화량 및 단위 눈금의 수치 변화량을 통해 압력 변화의 용이하고 정밀한 시인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 150는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재질의 특성 상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는 재질 및 탄성을 갖는 구조체이면 어느 것이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100 : 주사기 110 : 선단부
111 : 바늘 120 : 실린더
121 : 공간 122 : 실린더 플랜지
130 : 압력수단 131 : 피스톤
131a : 제1피스톤 131b : 제2피스톤
132 : 확인부재 133 : 로드바
133a : 레크기어 134 : 홈
135 : 눈금 140 : 하우징
141 : 버튼 142 : 커버
150 : 탄성부재 200 : 보조장치
210 : 메인블럭 211 : 가동공간
212 : 고정공간 213 : 관통공
215 : 고정클립 216 : 고정턱
220 : 운동변환수단 221 : 가동블럭
222 : 고정블럭 240 : 레버
241 : 스프링 242 : 가압돌기
250 : 가이드블럭 260 : 피니언 기어
261 : 내접기어 262 : 중심축
270 : 회전구 280 : 레치기어
281 : 스프링 290 : 보조레치기어
300 : 표시장치

Claims (12)

  1. 바늘 111이 결합된 선단부 110와, 상기 선단부 110와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 121이 마련되며 상기 공간 121의 개구된 단부에 실린더 플랜지 122가 형성된 실린더 120와, 상기 공간 121에서 피스톤 131과 연결된 로드바 133를 손가락으로 밀거나 잡아당겨 연동하는 피스톤 131에 의해 공간 121의 압력을 변화시켜 양압 또는 음압을 통해 바늘 111을 거쳐 약물을 투입하거나 추출하는 압력수단 130으로 구성된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플랜지 122에 탈착 가능하게 보조장치 200를 결합하되, 상기 로드바 133가 보조장치 200에 관통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보조장치 200에 주사기 100와 수평 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힌지 연결된 레버 240가 손의 악력에 의해 지렛대 원리로 작동되는 회전운동이 발생되면 운동변환수단 220을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로드바 133와 피스톤 131이 증가된 힘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조장치 200는 상기 보조장치 200는 실린더 플랜지 122에 고정되어 실린더 120와 수평선상으로 배치되는 메인블럭 210을 마련하고, 상기 메인블럭 210에는 하부가 개구된 가동공간 211과 고정공간 212을 형성시켜 로드바 133가 관통되도록 관통공 213을 형성한 가동블럭 221과 고정블럭 222을 각각 배치하되, 상기 가동블럭 221과 고정블럭 222이 탄성부재 150에 의해 가동공간 211과 고정공간 212에서 한 쪽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메인블럭 210 전방에 힌지 연결된 레버 24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레버 240 타단에 형성된 가압돌기 242가 가동블럭 221의 하부를 밀어 기울기를 가변시키면서 후진시켜 관통공 213의 내주연 상하부 모서리가 하부 방향으로 로드바 133 외주면을 압박하면서 로드를 실린더 120 후방으로 이동시켜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악력을 해제시키면 레버 240가 힌지 연결 부분에 장착한 스프링 241을 통해 원상태로 복귀되는 동시에 탄성부재 150에 의해 가동블럭 221이 로드바 133와 직립 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차순의 전진 이동을 준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120의 공간 121 입구에는 로드바 133가 관통되는 가이드블럭 250을 결합하여 상기 로드바 133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럭 210에는 전방에 고정턱 216을 형성한 고정클립 215을 설치하여 실린더 플랜지 122가 회전에 의해 고정턱 216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 222은 고정공간 212에 설치하되, 상기 고정블럭 222의 하부를 부분 노출시키도록 설치하고 상기 로드바 133에 관통되도록 하되, 고정블럭 222은 탄성부재 150에 의해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관통공 213의 내주연 상하부가 로드바 133의 외주면을 하부 방향으로 압박하여 가동블럭 221에 의해 이동된 로드바 133가 음압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로드바 133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경우 고정블럭 222의 하부를 당겨 로드바 133와 직립된 상태로 전환시켜 상기 로드바 133의 관통공 213이 로드바 133의 외주면 압박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수단 220은 보조장치 200에 중심축 262을 통해 피니언기어 260 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로드바 133 일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킨 레크기어 133a와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피니언기어 260의 내부에 한쪽 방향으로만 경사각을 갖는 내접기어 261를 설치하며, 상기 레버 240와 고정된 회전구 270에 스프링 281 을 통해 탄력적으로 내접기어 261와 치합되는 레치기어 280가 레버 240에 의해 피니언기어 260가 일방향으로만 내접기어 261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 200 후방에는 보조레치기어 290를 힌지 연결한 다음 스프링 281에 의해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탄력적되게 위치되도록 하여 주사기 100에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로드바 133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131에 악력을 전달하는 과정 중에 탄성부재 150를 거치도록 하여 전달되는 압력의 크기에 의해 탄성부재 150의 인장되는 형상의 변화량이 달라지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 150의 형상 변화량의 측정을 통해 외부에서 압력의 세기를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131에 악력을 전달하는 과정 중에 로드바 133에 결합시킨 탄성부재 150를 압박하도록 하여 전달되는 압력의 크기에 의해 탄성부재 150의 압축되는 형상의 변화량이 달라지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 150의 형상 변화량의 측정을 통해 외부에서 압력의 세기를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131은 이중의 구조로 이루어진 제1피스톤 131a과 제2피스톤 131b을 공간 121에 결합시키되, 상기 제1피스톤 131a의 일측면에 확인부재 132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피스톤 131b에는 확인부재 132를 수용하는 홈 134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피스톤 131a의 확인부재 132와 제2피스톤 131b의 홈 134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 150로 연결하여 로드바 133를 통해 제2피스톤 131b과 연동하는 탄성부재 150에 의해 제1피스톤 131a을 이동시켜 공간 121에 음압 또는 양압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되,
    상기 확인부재 132 외주연에 표기된 단위 눈금 135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 150의 자체 탄성에 의한 가변된 형상 길이로 공간 121에 발생된 음압 또는 양압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로드바 133와,
    상기 로드바 133의 외주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140과,
    상기 하우징 140 일단에 커버 142를 고정시키고, 상기 로드바 133의 일단에는 버튼 141을 고정시켜 상기 버튼 141이 커버 142의 내부에 부분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커버 142의 내부에 탄성부재 150를 장착하여 레버 240에 의해 하우징 140이 이동되면 탄성부재 150가 압박되면서 실린더 공간 121의 압력보다 탄성부재 150의 압축력이 같거나 클 경우 버튼 141을 후방으로 간접 이동시켜 로드를 연동시킴으로써, 공간 121 내부에서 피스톤 131이 이동되면서 음압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버튼 141과 로드바 133의 외주연에 단위 눈금 135을 표시하여 상기 탄성부재 150의 자체 탄성에 의한 가변된 형상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 121에서 발생된 음압 또는 양압의 세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150는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KR1020100049859A 2010-05-27 2010-05-27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KR101178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59A KR101178872B1 (ko) 2010-05-27 2010-05-27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59A KR101178872B1 (ko) 2010-05-27 2010-05-27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89A KR20110130289A (ko) 2011-12-05
KR101178872B1 true KR101178872B1 (ko) 2012-09-03

Family

ID=4549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859A KR101178872B1 (ko) 2010-05-27 2010-05-27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458B1 (ko) * 2014-06-12 2015-01-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못 용 가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67B1 (ko) * 2012-04-12 2014-02-28 방시열 의료용 약물 주입장치
KR101496048B1 (ko) * 2013-11-13 2015-03-02 유옥희 매뉴얼 인젝터
KR102068877B1 (ko) * 2017-11-03 2020-01-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주입식 주사기 및 주사액 자동 주입용 보조 장치
KR20190132779A (ko) 2018-05-21 2019-11-29 이세진 요리 보조 양념 기구
KR102134807B1 (ko) * 2018-07-31 2020-07-17 (주)나눔컴퍼니 음압조절수단이 구비된 지방흡입 및 이식용 주사기
KR102348897B1 (ko) * 2021-08-04 2022-01-11 주식회사 엔게인 약물 주입장치
CN115154765B (zh) * 2022-06-17 2023-10-20 江苏乐聚医药科技有限公司 无针注射器用脚踏式蓄能装置
CN115154766B (zh) * 2022-06-21 2023-10-20 江苏乐聚医药科技有限公司 用于无针注射器的自激发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877Y1 (ko) * 2003-05-26 2003-08-19 이희영 지방이식용 핸드피스
KR200423667Y1 (ko) 2006-05-31 2006-08-09 양희철 채혈용 주사기 자동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877Y1 (ko) * 2003-05-26 2003-08-19 이희영 지방이식용 핸드피스
KR200423667Y1 (ko) 2006-05-31 2006-08-09 양희철 채혈용 주사기 자동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458B1 (ko) * 2014-06-12 2015-01-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못 용 가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89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872B1 (ko) 주사기의 압력 발생장치
US10099016B2 (en) Syringe pressure generating and pressure displaying device
CA2549050C (en) Insertion device for infusion sets
CN1981702B (zh) 具有一体化穿刺设备的分析物监视系统
CN113598897B (zh) 电控穿刺针夹持装置
JP5989771B2 (ja) 注射器の圧力発生及び圧力表示装置
US7909796B2 (en) Injection device
US10702253B2 (en) Natural orifice translumenal minimally invasive surgical apparatus
US20070010841A1 (en) Lancet assembly
CN110292683B (zh) 被动触发装置的自动注射笔
CN105228533B (zh) 针定位装置
KR101665574B1 (ko) 정압 및 정량펌프
CN206285316U (zh) 一种精确定量移液的注射器
CN101683264B (zh) 体重及皮下脂肪厚度测量装置
CN114533159A (zh) 一种缓冲驱动装置及电动缝合器
US10219790B2 (en) Automatic device for skin biopsies
CN210873467U (zh) 一种自动注射推拉装置
CN217408875U (zh) 一种缓冲驱动装置及电动缝合器
CN218606710U (zh) 腹腔镜连续缝合器
CN210813173U (zh) 被动触发装置的自动注射笔
CN111035440B (zh) 一种脚踏装置以及包含该脚踏装置的推注泵
CN112842510B (zh) 一种带离合的消融设备
KR101050706B1 (ko) 란셋 재사용 방지장치
CN211094144U (zh) 一种医疗器械检测用辅助装置
CN109846714B (zh) 一种多功能美容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