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798B1 -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798B1
KR101178798B1 KR1020100090433A KR20100090433A KR101178798B1 KR 101178798 B1 KR101178798 B1 KR 101178798B1 KR 1020100090433 A KR1020100090433 A KR 1020100090433A KR 20100090433 A KR20100090433 A KR 20100090433A KR 101178798 B1 KR101178798 B1 KR 10117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ladder
blocking plate
wire
h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28528A (en
Inventor
류순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to KR102010009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798B1/en
Publication of KR20120028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5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7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에 평상시의 안전을 위해 밀폐용 해치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맨홀 속에 회전축에 감긴 와이어형 사다리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맨홀의 하단에 차단판이 한쪽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판은 해치와 연결된 개폐제기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사다리는 제어기구에 의해 그 풀림 작동이 제어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재피난장치는 맨홀 속에 회전축에 감긴 와이어 사다리를 설치함으로써 맨홀 내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다리를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vacuation device of a high-rise building, a manhole of a size that allows a person to pass through the floor surface of the veranda provided in the high-rise building, the sealing hat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manhole for everyday safety Is installed in the manhole, a wire ladder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is installed in the manhole, the blocking plate is install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manhole, the block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hatch The wire ladder is controlled to be released by a control mechanism. The fire evacu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not only simplifies the structure inside the manhole by installing a wire ladder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in the manhole, and also enables to easily support the ladder. .

Description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에 베란다 바닥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맨홀이 형성되고, 맨홀속에 와이어형 사다리가 회전축에 감겨져 설치되며, 맨홀의 입구에 해치가 설치되는 한편, 맨홀의 아래쪽에 차단판이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비상시에 해치를 열고 와이어형 사다리와 차단판을 펼쳐서 아래층과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화재등 비상의 경우에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피신할 수 있게 한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vacuation device for a high-rise building, in particular, a manhole through which a person can pass through the floor of a balcony is formed in the building, a wire-shaped ladder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and a hatch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manhole. On the other hand, the blocking plate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nhole so that it can be rotated to open the hatch in case of an emergency, and to connect with the lower floor by connecting the wire ladder and the blocking plate, so that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fire, it can be safely escaped to the lower floor. A fire evacuation device for a high-rise building.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호텔과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피난하기에 곤란한 경우가 많다.In general, fires in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hotels are often difficult to evacuate.

특히 고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출입문을 통하여 바깥으로 탈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내에 갇혀 연기에 질식하거나 화염에 그대로 노출되어 질식사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a fire occurs on a high floor and cannot escape outside through a door, there is a problem such as being trapped indoors and suffocating by smoke or being exposed to flame as it i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여러 가지 비상탈출장치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 대부분의 비상탈출구는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various emergency escape devices have been proposed, but most of these emergency exits are not effectively used.

특히 종래의 대부분 비상탈출장치는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에 여러 가지 보조장비를 설치하여 화염과 연기가 닿지 않는 건물의 바깥으로 피신하게 된 것이 많은데, 이러한 기존의 비상탈출장치는 여러 가지 보조장비를 사용하여 건물의 바깥으로 피신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피신할 때 위험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실제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most conventional emergency escape devices have been evacuated to the outside of buildings where flames and smoke do not reach by installing various auxiliary devices on the balustrades installed on the veranda. Such conventional emergency escape devices use various auxiliary devices. Because it is supposed to evacuat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only dangerous when evacuating due to the fire on the higher floor, but also dangerous.

예컨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 10-2009-50258, 55396호 등과 같은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아파트의 베란다에 구비된 난간에 보조 확장사다리를 설치하고,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 사다리를 확장하여 아래층의 베란다와 연결한 다음, 확장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uch as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09-50258, 55396, and the like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n auxiliary extension ladder on the balustrade provided on the balcony of the apartment, and when the fire occurs It extends to connect to the veranda downstairs and then takes the extension ladder to the downstairs.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확장사다리가 건물의 바깥면을 통하여 펼쳐지기 때문에, 사람이 확장사다리를 타고 이동할 때 아래쪽에 아무런 안전 받침판이 없는 허공을 가로질러 가야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고 분위기도 좋지 않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s very dangerous and has a good atmosphere because the extension ladder is sprea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so when a person moves on the extension ladder, he or she must go across the air without any safety support plate at the bottom. There was such a problem.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화재피난장치로서, 고층건물의 베란다에 맨홀을 뚫고, 이 맨홀의 아래쪽 아래층에 사다리를 설치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맨홀과 사다리를 통하여 아래층의 피신할 수 있게 한 장치를 제안한 바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e evacuation device, which is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manhole in the veranda of the high-rise building, and installed a ladder in the lower floor of the manhole, through the manhole and ladder in case of fire We have proposed a device that can be evacuated downstairs.

그런데 이러한 기존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위층에서 맨홀을 통과한 다음 아래층의 베란다 벽면에 설치된 사다리를 타고 내려갈 때 통상 위층의 난간과 아래층의 난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사람이 빈 허공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xisting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a person is exposed to empty air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a railing of the upper floor and a railing of the lower floor when passing down the manhole in the upper floor and then descending on a ladder installed on the veranda wall of the lower floor. have.

즉, 통상적으로 고층아파트 등의 건물에서는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베란다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베란다의 난간과 난간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만약 고층 아파트의 높은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아래층으로 피신할 경우에 베란다에 형성된 맨홀과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할 때,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사람이 허공의 빈공간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공포심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a building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an upper porch and a lower porch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lustrade and the railing of the veranda. In this case, when moving downstairs with manholes and ladders formed on the veranda, people are exposed to empty space in the air while moving upstairs with ladders. .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여러 가지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베란다는 연결하는 사다리가 고정설치된 장치가 있었는바, 이들 선행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고정 사다리가 아래층 베란다의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 설치된 사다리로 인하여 방범 상의 문제가 생기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as an invention relating to various fire evacuation apparatus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as a device in which a ladder connecting the upper veranda and the lower veranda was fixedly installed. In addition to occupying the space, there were inconveniences such as security problems caused by the fixed ladder installed.

또 다른 화재피난장치로서, 베란다의 바닥면에 형성된 맨홀 속에 사다리를 접어 넣을 수 있게 하여, 평상시에는 사다리가 맨홀 속에 접혀진 상태로 내장되고, 비상의 경우에는 맨홀 속의 사다리가 맨홀에서 빠져나와 펼쳐지게 한 구조가 있었으나, 이러한 기존의 장치는 맨홀 속에 다수개의 사다리 부재로 이루어진 사다리를 접어 넣어 보관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펼쳐진 사다리가 구조적으로 취약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As another fire evacua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fold a ladder into a manhol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veranda so that the ladder is normally folded in the manhole and, in an emergency, the ladder in the manhole is released from the manhole and unfolded. However, this conventional device not only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old a ladd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adder members in the manhole,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laid ladder is structurally weak.

이에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물의 바깥면을 거치지 않고 화재가 발생한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아래층으로 공포심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아래층으로 피신할 수 있게 하면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한 고층건물의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fire breaks out in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it is possible to escape to the lower floor safely without fear from the floor where the fire does not go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without the fea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vacuation device for a high-rise building that can be operated simply and simply.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층건물용 화재피난장치는,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맨홀과; 상기 맨홀의 입구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평상시에 안전을 위해 맨홀의 입구를 막아 주는 밀폐용 해치; 상기 맨홀 속에 회전축을 통하여 감고 펼칠 수 있게 설치된 와이어형 사다리; 상기 맨홀의 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맨홀을 아래쪽에서 막아줌과 더불어, 비상시에는 위층의 베란다 사이에 형성된 난간의 빈공간을 차단해 주는 차단판; 상기 차단판과 해치를 연결하여 평상시에 차단판이 맨홀의 하단을 밀폐하고 비상시에 맨홀을 개방해 주는 차단판 개폐기구 및; 상기 와이어형 사다리가 감겨지는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는 사다리 제어기구로 이루어진다.Fire evacuation device for a high-rise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n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anda provided in the high-rise building and the size that can pass; A sealing hatch installed to rotate at the inlet of the manhole and blocking the inlet of the manhole for safety; A wire ladder installed in the manhole to be wound and unrolled through a rotating shaft; A blocking plate which is mounted to rotate at the bottom of the manhole and prevents the manhole from below, and blocks an empty space of the balustrade formed between the veranda of the upper floor in an emergency; A block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blocking plate and the hatch to seal the lower end of the manhole at normal times and to open the manhole in an emergency; It is provided with a ladder control mechanism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to which the wire-shaped ladder is wound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화재 등 비상의 상태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차단판 개폐기구를 해제시켜 차단판의 록크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맨홀의 하단을 막고 있던 차단판이 아래쪽으로 펼쳐지면서 맨홀의 하단을 개방하고, 이어 맨홀의 해치를 열고 사다리 제어기구를 록크 해제상태로 전환하면 사다리의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와이어형 사다리를 풀어서 아래층의 베란다까지 펼쳐지게 되므로, 화재가 발생한 위층의 사람이 와이어형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피신할 수 있게 된다.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an emergency state such as a fire occurs, by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blocking plate by releasing the block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e blocking plate which was blocking the lower end of the manhole unfolded downward and the bottom of the manhole If you open the hatch of the manhole and then switch the ladder control mechanism to the unlocked state, the rotating shaft of the ladder rotates and the wire ladder is released to spread to the veranda of the lower floor. Evacuate downstairs.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용 화재피난장치는 평상시에는 맨홀 속에 와이어형 사다리가 회전축에 감겨져 내장되어 있으면서 맨홀의 입구는 해치에 의해 닫혀져 있고, 맨홀의 하단은 차단판에 의해 닫힌 상태로 있게 된다.Fire evacuation device for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structure is usually a wire-shaped ladder is wound around the rotary shaft in the manhole while the entrance of the manhole is closed by a hatch, the bottom of the manhole is closed by a blocking plate Will b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와이어형 사다리를 사용함으로써, 사다리의 부피를 줄일 수가 있으므로 맨홀의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맨홀의 하단을 막고 있는 차단판을 개폐기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개폐시킬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can reduce the volume of the ladder by using a wire ladder, thereby simplify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nhole, and by using an opening / closing mechanism to block the lower plate of the manhol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open and close easily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고층건물의 베란다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베란다에 뚫린 맨홀에 와이어 사다리가 감겨져 내장되고 해치와 차단판이 각각 맨홀의 상하단에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맨홀에 와이어형 사다리가 접혀져 내장되고, 해치와 차단판이 닫힌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베란다에서 해치가 닫힌 상태를 내려다 본 사시도,
도 4는 해치가 닫힌 상태에서 맨홀 내부에 와이어 사다리와 차단판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맨홀 아래에 장착되는 차단판을 록크하는 차단판 개폐기구의 록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맨홀 아래에 장착되는 차단판을 개폐하는 차단판 개폐기구가 록크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차단판 개폐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부분 측면도,
도 8은 맨홀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차단판 개폐기구의 링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맨홀의 상단에 설치된 해치와 아래쪽의 차단판이 개방되고, 와이어 사다리가 펼쳐지기 시작하는 상태의 내부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맨홀에서 와이어 사다리가 아래로 내려가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와이어 사다리가 감겨지는 회전축의 작동을 제어하는 사다리 제어기구가 록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사다리 제어기구가 록크해제되어 회전축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해치가 개방되고 아래의 차단판이 완전히 펼쳐지며, 와이어 사다리가 아래층으로 완전하게 내려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도면 1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다리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를 위층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다리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를 아래층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와이어 사다리 제어기구를 감아주는 조작핸들을 해치의 윗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와이어 사다리 제어기구에 조작핸들을 꽂아 넣어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 사다리를 감아 주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randa of a high-rise building equipped with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re ladder is wound around a manhole drilled in the veranda, and a hatch and a blocking plate are respectively clos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nhole,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shaped ladder folded into the manhole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hatch and the blocking plate is clos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down the hatch closed state on the veranda equipped with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wire ladder and the blocking plate inside the manhole in the hatch closed stat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block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locking the blocking plate mounted under the manhole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unlocking the block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ocking plate mounted under the manhole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7 is a partial partial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nk of the block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mounted on the frame of the manhole is mounted;
Figure 9 is an intern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tch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anhole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 blocking plate at the bottom is open, the wire ladder begins to unfol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e ladder starts to descend in a manhole equipped with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ladder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shaft is wound wire ladder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control mechanism is unlocked in the state of FIG. 11 to allow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freely;
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tch is open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 blocking plate below is fully extended, the wire ladder is fully lowered to the lower floor,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upper flo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dder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letely unfolded, as in Figure 13,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the fully laid out ladder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hand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tch, the operation handle winding the wire ladder control mechanism 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winding a wire ladder by inserting an operation handle into a wire ladder control mechanism and rotating a rotating shaft 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건물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는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1)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맨홀(2)과; 상기 맨홀(2)의 입구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평상시에 안전을 위해 맨홀(2)의 입구를 막아 주는 밀폐용 해치(3); 상기 맨홀(2) 속에 회전축(4)을 통하여 감고 펼칠 수 있게 설치된 와이어형 사다리(5) 및; 상기 맨홀(2)의 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맨홀(2)을 아래쪽에서 막아줌과 더불어, 비상시에는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난간(6)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공간(7)을 차단하는 차단판(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building equipped with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e evacuation device of a high-ris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loor surface of the veranda (high-rise building) A manhole (2) formed in a size that a person can pass through in 1); A sealing hatch (3)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manhole (2) to block the inlet of the manhole (2) for safety in normal times; A wire ladder 5 installed in the manhole 2 so as to be wound and unrolled through a rotation shaft 4; It is mounted so as to rotate at the bottom of the manhole (2) to prevent the manhole (2) from the bottom in normal, and in the emergency, the empty space (7) formed between the upper porch and the lower handrail (6) It comprises a blocking plate 8 to block the.

그리고 상기 차단판(8)과 해치(3)를 연결하여 평상시에 차단판(8)이 맨홀(2)의 하단을 밀폐하고 비상시에 맨홀(2)을 개방하도록 차단판(8)의 록크상태를 개폐하는 차단판 개폐기구(9) 및; 상기 와이어형 사다리(5)가 감겨지는 회전축(4)에 설치되어 회전축(4)의 회전을 제어하는 사다리 제어기구(10)를 구비하고 있다.Then, the blocking plate 8 is connected to the hatch 3 so that the blocking plate 8 normally seals the lower end of the manhole 2 and the lock state of the blocking plate 8 is opened to open the manhole 2 in an emergency. Block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9 for opening and closing; It is provided with the ladder control mechanism 10 which is provided in the rotating shaft 4 by which the said wire ladder 5 is wound, and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4.

상기 맨홀(2)은 건물을 지을 때 베란다의 바닥면(1)에 일체로 형성하되, 사람이 충분하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하여야 하며, 이 맨홀(2)에 힌지를 중심으로 여닫을 수 있게 밀폐용 해치(3)가 설치된다.The manhole (2) should be integrally formed on the floor (1) of the veranda when building, but should be large enough to allow a person to pass through, and the manhole (2) is sealed to open and close around the hinge. A molten hatch 3 is installed.

상기 맨홀(2) 속에 회전축(4)을 통하여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된 와이어형 사다리(5)는 도면 4와 도면 10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와이어(51,52)가 평형하게 배열되고, 이들 와이어(51,52) 사이에 다수개의 발판(5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양쪽 2개의 와이어(51,52)가 동시에 회전축(4)에 감길 수 있게 되어 있다.The wire ladder 5 mounted in the manhole 2 so as to be rotatable through the rotation shaft 4 has two wires 51 and 52 arranged in an equilibrium as shown in FIGS. 4 and 10. A plurality of scaffolds 53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se wires 51 and 52 so that both wires 51 and 52 can be wound around the rotation shaft 4 at the same time.

한편, 맨홀(2)의 아래쪽을 막아주는 차단판(8)은 도면 9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맨홀(2)의 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 개폐기구(9)의 개폐 작동에 따라 맨홀(2)의 하단을 막아 주거나 맨홀(2)의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되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the blocking plate 8 which blocks the bottom of the manhole 2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anhole 2 to open and close the block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9. Depending on blocking the lower end of the manhole (2) or is rotated to the bottom of the manhole (2) is to be unfolded.

또한, 상기 차단판(8)은 도면 1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판(81)속에 내부판(82)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차단판(8)이 펼쳐질 때 상기 내부판(82)이 외부판(81)속에서 빠져 나와 그 길이를 길게 만들게 되어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13, the blocking plate 8 is coupled to the inner plate 82 so as to move freely in the outer plate 81, so that the inner plate 82 when the blocking plate 8 is unfolded. ) Out of the outer plate 81 is made to lengthen the length.

이와 같이 차단판(8)의 길이가 길어지게 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차단판(8)이 펼쳐져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난간(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7)을 가능한 많이 막아 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This lengthening of the barrier plate 8 allows the barrier plate 8 to be unfolded to prevent as much of the space 7 formed between the upper porch and the lower railing 6 as possible. It is for.

한편, 상기 차단판 개폐기구(9)는 해치(3)에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슬라이더(91)와; 상기 슬라이더(91)와 연결되어 해치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 레버(92); 상기 차단판(8)의 한쪽 모서리에 돌출된 걸림고리(93) 및; 상기 이동 레버(92)와 연결되어 차단판(8)의 걸림고리(93)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면서, 하단에 걸림판(94)을 갖춘 링크(95)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block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9) and the slider 91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on the hatch (3); A protruding lever 92 connected to the slider 91 and protruding downward of the hatch; A catching ring 93 protruding from one corner of the blocking plate 8; It is made of a link 95 having a locking plate 94 at the bottom while selectively engaging the locking ring 93 of the blocking plate 8 in connection with the moving lever 92.

그리고 상기 링크(95)는 도면 4와 도면 8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맨홀(2)의 프레임(21) 속에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관통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91)와 연결된 돌출 레버(92)가 링크(95)를 밀고 당김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8, the link 95 penetrates into the frame 21 of the manhole 2 so as to be moved back and forth, so that the protrusion lever 92 connected to the slider 91 is provided. The link 95 is moved back and forth by pushing and pulling.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91)가 돌출 레버(92)를 통하여 링크(95)를 밀고 당길 때 맨홀(2)의 프레임(21) 속에 설치된 링크(95)가 쉽게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도면 7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95)의 상단(95a)을 요철형상으로 만들고, 이 요철형의 상단(95a)에 돌출 레버(92)가 결합되어 이동하게 함으로써, 슬라이더(9)의 이동에 따라 링크(95)가 쉽게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Here, shown in FIG. 7 to allow the link 95 installed in the frame 21 of the manhole 2 to move back and forth easily when the slider 91 pushes and pulls the link 95 through the protruding lever 92. A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end 95a of the link 95 is formed into an uneven shape, and the protruding lever 9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95a of the uneven shape so as to move the link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r 9). 95) can easily move back and forth.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평상시에 맨홀(2)의 상단에는 해치(3)가 닫혀져 있고, 맨홀(2)의 하단에는 차단판(8)이 닫혀있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링크(95)의 걸림판(94)이 차단판(8)의 옆면에 돌출된 걸림고리(93) 아래에 걸려져 링크(95)의 걸림판(94)이 차단판(8)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tch 3 is normally closed at the upper end of the manhole 2, and the blocking plate 8 is closed at the lower end of the manhole 2. In this state, the link 95 is caught. The plate 94 is caught under the locking ring 93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blocking plate 8 so that the locking plate 94 of the link 95 supports the blocking plate 8.

따라서, 상기 차단판(8)은 맨홀(2)의 아래쪽에 닫힌 상태를 그대로 유지게 되고, 이렇게 닫힌 차단판(8) 위에 회전축(4)에 감기지 않은 일부 와이어 사다리(5)의 하단이 늘어진 상태로 얹혀 있게 된다.Therefore, the blocking plate 8 is kept in the closed state at the bottom of the manhole 2, and the lower end of some wire ladders 5 which are not wound on the rotating shaft 4 above the closed blocking plate 8 are sagging. It is put on state.

이러한 평상시의 상태에서 슬라이더(91)의 윗면에 설치된 손잡이(96)를 뒤쪽으로 당기면 슬라이더(91)가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돌출레버(92)를 통하여 링크(95)를 뒤쪽으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도면 6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95)의 걸림판(94)이 차단판(8)의 걸림고리(93)에서 빠져나오게 된다.In this usual state, when the handle 9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r 91 is pulled backward, the slider 91 is moved backward, and the link 95 is moved backward through the protruding lever 92, an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 the locking plate 94 of the link 95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ring 93 of the blocking plate 8.

이렇게 차단판(8)의 걸림고리(93)에서 링크(95)의 걸림판(94)이 빠져나오면, 차단판(8)의 록크가 해제되어 자유로운 상태로 되므로, 차단판(8)이 한쪽의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 9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여 아래쪽으로 쳐지게 된다.When the locking plate 94 of the link 95 is pulled out of the locking ring 93 of the blocking plate 8, the lock of the blocking plate 8 is released and free, so that the blocking plate 8 is The hinge is rotated and shown downward as shown in FIG. 9.

상기 차단판(8)이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내려가면, 내부판(82)이 외부판(81)에서 빠져 나와 도면 13과 도면 18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펼쳐져서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난간(6) 사이에 형성되는 빈공간(7)을 부분적으로 차단해 주게 된다.When the blocking plate 8 is rotated downward, the inner plate 82 exits the outer plate 81, and as shown in FIGS. 13 and 18, the bottom plate 8 unfolds downward to extend the upper porch and the lower floor. The empty space 7 formed between the railings 6 is partially blocked.

이렇게 상기 차단판(8)이 빈공간(7)을 부분적으로 차단해 주게 하는 이유는 차단판(8)에 이어 아래쪽으로 펼쳐지는 와이어 사다리(5)를 타고 아래층으로 내려올 때 고층에서 빈 공간(7)을 통하여 느껴지는 불안감을 부분적으로 해소해 주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blocking plate 8 partially blocks the empty space 7 is that the empty space 7 at the high floor when descending to the lower floor by the wire ladder 5 extending downward after the blocking plate 8. ) To partially relieve anxiety.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판(8)이 아래쪽으로 펼쳐져 내려가면, 회전축(4)에 감겨져 있지 않은 와이어 사다리(5)의 선단 일부분이 도면 9와 도면 10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맨홀(2)의 아래쪽으로 쳐지게 되고, 이 와이어 사다리(5)는 사다리 제어기구(10)에 의해 풀리지 않게 록크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아래쪽으로 내려가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ocking plate 8 unfolds downward, the manhole 2 as shown in FIGS. 9 and 10 has a portion of the tip of the wire ladder 5 which is not wound on the rotating shaft 4. The wire ladder 5 is locked downward by the ladder control mechanism 10 so that the wire ladder 5 is not lowered anymore.

한편, 상기 와이어 사다리(5)의 풀림 작동을 제어하는 사다리 제어기구(10)는 도면 10과 도면 11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사다리(5)를 감아 보관하는 회전축(4)의 한쪽 선단에 설치된 톱니기어(101)와, 상기 톱니기어(101)의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축(4)의 회전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와이어 사다리가 풀려지는 것을 제어하는 하는 제어레버(102), 상기 회전축(4)을 강제로 역회전시켜 회전축(4)에 와이어 사다리(5)를 감아 주는 별도의 조작핸들(103) 및, 상기 조작핸들(103)을 끼워 회전축(4)을 강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결합구(104)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ladder control mechanism 10 for controlling the loosening operation of the wire ladder 5, as shown in Figures 10 and 11, one end of the rotary shaft 4 for winding and storing the wire ladder (5) The control gear 102 and the rotation shaft 4 for controlling the release of the wire ladder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gear gear 101 and the gear gear 101 to prevent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 Separately operated handle 103 for forcibly rotating the wire ladder 5 on the rotating shaft 4 by reverse rotation, and a handle coupler 104 for forcibly rotating the rotating shaft 4 by inserting the operating handle 103. Is made of.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사다리 제어기구(10)는 평상시에 상기 제어레버(102)가 도면 11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기어(101)에 걸려져 있게 되므로, 상기 톱니기어(101)와 연결된 회전축(4)이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되어 있게 된다.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dder control mechanism 10 is normally caught by the gear gear 101, as shown in Figure 11, the control lever 102, so that the gear gear 101 and The connected rotary shaft 4 does not rotate and is stopped.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맨홀(2)의 해치(3)를 열고 아래쪽의 차단판(8)을 개방한 다음, 상기 제어레버(102)를 도면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톱니기어(101)에 맞물려 있던 제어레버(102)가 톱니기어(101)에서 빠져 나와서 회전축(4)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hatch 3 of the manhole 2 is opened, the lower blocking plate 8 is opened, and then the control lever 10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control lever 102 engaged with the gear 101 exits the gear 101 and makes the rotation shaft 4 freely rotatable.

상기 회전축(4)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면, 와이어 사다리(5)는 아래쪽으로 쳐져 있던 자체의 무게에 의해 회전축(4)을 회전시키면서 아래쪽으로 풀려 내려가서 도면 13과 도면 14 및 도면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한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베란다는 연결해 준다.When the rotary shaft 4 can rotate freely, the wire ladder 5 is released downward while rotating the rotary shaft 4 by the weight of its own downward stroke, as shown in FIGS. 13 and 14 and 15. As you can see, the veranda on the upper floor and the fire on the lower floor connect.

이렇게 와이어 사다리(5)가 완전하게 펼쳐져 위층과 아래층이 연결되고 차단판(8)이 난간(6) 위의 빈공간(7) 일부를 차단해 주면, 화재가 발생한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와이어 사다리(5)를 타고 안전하게 피신할 수가 있는 것이다.When the wire ladder 5 is completely unfolded so that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are connected, and the blocking plate 8 blocks a part of the empty space 7 on the railing 6, the wire ladder 5 from the upper floor to the lower floor where the fire has occurred ) Can be safely escaped.

한편, 상기 와이어 사다리(5)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 또는 처음 설치하면서, 회전축(4)에 와이어 사다리(5)를 감을 때는 도면 16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핸들(103)을 톱니기어(101)와 연결된 결합구(104)에 삽입하여 돌리면, 톱니기어(101)가 역회전하면서 와이어 사다리(5)를 감아 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 ladder 5 is completely unfolded or first installed, the wire ladder 5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4, as shown in FIG. 16, as shown in FIG. Insert and turn into the coupling hole 104 connected to), the gear gear 101 is wound around the wire ladder (5) while the reverse rotation.

그리고 상기 조작핸들(103)은 도면 17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해치(3)의 윗면 또는 아랫면에 결합 너트를 사용하여 설치해 둠으로써, 필요할 때 간단하게 분리하여 사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And as shown in Figure 17, the operation handle 103 is installed by using a coupling nut on the top or bottom of the hatch (3), so that it can be used by simply separating and using when necessar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평상시에 회전축(4)에 감긴 와이어 사다리(5)가 맨홀(2) 속에 내장되어 있고, 맨홀(2)의 상단에는 해치(3)가 덮여 있으며, 맨홀(2)의 하단에는 차단판(8)으로 막혀져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ladder 5 wound around the rotational shaft 4 is usually embedded in the manhole 2, the upper end of the manhole 2 is covered with a hatch 3, and the manhole The lower end of (2) is in a state of being blocked by the blocking plate (8).

따라서 평상시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설치된 맨홀을 아래쪽에서 쳐다보나 위쪽에서 보아도 맨홀(2) 속에 내장된 와이어 사다리(5)가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 사다리(5)가 회전축(4)에 감겨져 있기 때문에 차단판(8)에 가해지는 무게를 줄일 수가 있다.Therefore, in normal times, the mandrel installed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s at the bottom, even if viewed from the top does not see the wire ladder (5) embedded in the manhole (2) can not only keep the appearance clean, but also the wire ladder (5) Since it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4, the weight applied to the blocking plate 8 can be reduced.

이러한 평상의 상태에서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해치(3)를 열기 전에 먼저, 손잡이(96)를 잡고 슬라이더(91)를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더(91)와 연결된 돌출 레버(92)에 의해 링크(95)가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링크(95)의 하단에 설치된 걸림판(94)이 차단판(8)의 걸림고리(93)에서 빠져 나와 차단판(8)의 록크상태를 해제해 주게 되므로, 차단판(8)이 한쪽 선단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쳐지게 된다.In such a normal state, before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and the hatch 3 is opened, first, by holding the handle 96 and moving the slider 91 to the rear, the lever 91 is connected to the slider 91. As the link 95 moves backward, the locking plate 94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link 95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ring 93 of the blocking plate 8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blocking plate 8. Therefore, the blocking plate 8 is rotated downward by hitting the hinge installed at one end.

그리고 2중 구조로 이루어진 차단판(8)은 외부판(81)에서 내부판(82)이 빠져 나와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난간(6)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7)의 일부를 막아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blocking plate 8 having a double structure prevents the inner plate 82 from the outer plate 81 to block a part of the empty space 7 formed between the upper porch and the lower railing 6. do.

그 다음, 상기 와이어 사다리(5)를 움직이지 못하게 붙잡아 주고 있는 사다리 제어기구(10)의 제어레버(102)를 돌리면, 제어레버(102)의 선단이 톱니기어(101)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빠져나와 회전축(4)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Then, turning the control lever 102 of the ladder control mechanism 10 holding the wire ladder 5 in a motionless state, the tip of the control lever 102 is pulled out in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gear gear 101. I and the rotating shaft 4 can rotate freely.

이렇게 회전축(4)의 록크 상태가 해제되면 와이어 사다리(5)가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풀려져 내려가서 위층과 아래층은 연결해 주게 되므로, 맨홀(2)을 통하여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lock state of the rotary shaft 4 is released in this way, the wire ladder 5 is releas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and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layer can be safely escaped to the lower floor through the manhole 2. will b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맨홀(2) 속에 회전축(4)에 감긴 와이어 사다리(5)를 설치함으로써 맨홀(2) 내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다리(5)를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implifies the structure inside the manhole 2 by providing a wire ladder 5 wound around the rotation shaft 4 in the manhole 2, but also facilitates the ladder 5. It is possible to obtain such effects as being able to support it.

1 - 베란다 바닥면 2 - 맨홀
3 - 해치 4 - 회전축
5 - 와이어 사다리 6 - 난간
7 - 빈 공간 8 - 차단판
9 - 차단판 개폐기구 10 - 사다리 제어기구
21 - 맨홀 프레임 51, 52 - 와이어
53 - 발판 91 - 슬라이더
92 - 돌출레버 93 - 걸림판
94 - 걸림고리 95 - 링크
96 - 손잡이 101 - 톱니기어
102 - 제어레버 103 - 조작핸들
104 - 결합구
1-veranda bottom 2-manhole
3-hatch 4-axis of rotation
5-wire ladder 6-handrail
7-Blank 8-Block
9-Block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10-Ladder control mechanism
21-manhole frame 51, 52-wire
53-Scaffolding 91-Sliders
92-Protrusion lever 93-Hanging plate
94-Hook 95-Link
96-Handle 101-Gears
102-Control Lever 103-Control Handle
104-splice

Claims (3)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1)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맨홀(2)과; 상기 맨홀(2)의 입구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평상시에 안전을 위해 맨홀(2)의 입구를 막아 주는 밀폐용 해치(3); 상기 맨홀(2) 속에 회전축(4)을 통하여 감고 펼칠 수 있게 설치된 와이어형 사다리(5); 상기 맨홀(2)의 하단에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맨홀(2)을 아래쪽에서 막아줌과 더불어, 비상시에는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난간(6)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공간(7)을 차단하는 차단판(8); 상기 차단판(8)과 해치(3)를 연결하여 평상시에 차단판(8)이 맨홀(2)의 하단을 밀폐하고 비상시에 맨홀(2)을 개방하도록 차단판(8)의 록크상태를 개폐하는 차단판 개폐기구(9) 및; 상기 와이어형 사다리(5)가 감겨지는 회전축(4)에 설치되어 회전축(4)의 회전을 제어하는 사다리 제어기구(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판 개폐기구(9)가 해치(3)에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슬라이더(91)와; 상기 슬라이더(91)와 연결되어 해치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 레버(92); 상기 차단판(8)의 한쪽 모서리에 돌출된 걸림고리(93) 및; 상기 이동 레버(92)와 연결되어 차단판(8)의 걸림고리(93)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면서, 하단에 걸림판(94)을 갖춘 링크(9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A manhole (2) formed in a size that allows a person to pass through the floor surface (1) of the veranda provided in the high-rise building; A sealing hatch (3)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manhole (2) to block the inlet of the manhole (2) for safety in normal times; A wire ladder (5) installed in the manhole (2) to be wound and unrolled through a rotating shaft (4); It is mounted so as to rotate at the bottom of the manhole (2) to prevent the manhole (2) from the bottom in normal, and in the emergency, the empty space (7) formed between the upper porch and the lower handrail (6) Block plate 8 to block; By connecting the blocking plate 8 and the hatch 3, the lock plate 8 is normally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blocking plate 8 seals the lower end of the manhole 2 and the manhole 2 is opened in an emergency. Block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9 and; It is made to include a ladder control mechanism 10 is installed on the rotary shaft 4 is wound the wire-shaped ladder (5), and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4),
A slider 91 installed to allow the blocking plat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9 to move back and forth on the hatch 3; A protruding lever 92 connected to the slider 91 and protruding downward of the hatch; A catching ring 93 protruding from one corner of the blocking plate 8; Fire evacuation of a high-ris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link 95 having a locking plate 94 at the bottom while selectively engaging the locking ring 93 of the blocking plate 8 is connected to the moving lever 92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 제어기구(10)가 와이어 사다리(5)를 감아 보관하는 회전축(4)의 한쪽 선단에 설치된 톱니기어(101)와, 상기 톱니기어(101)의 회전을 제어하여 회전축(4)을 회전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와이어 사다리가 풀려지는 것을 제어하는 하는 제어레버(102), 상기 회전축(4)을 강제로 역회전시켜 회전축(4)에 와이어 사다리(5)를 감아 주는 별도의 조작핸들(103) 및, 상기 조작핸들(103)을 끼워 회전축(4)을 강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결합구(1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The gear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dder control mechanism (1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gear gear (101) and the gear gear (101)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tating shaft (4) for winding and storing the wire ladder (5). The control lever 102 for controlling the release of the wire ladder by preventing the rotation shaft 4 from being rotated, and a separate winding of the wire ladder 5 on the rotation shaft 4 by forcibly rotating the rotation shaft 4. Fire evacuation device of a high-rise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operation handle 103, the handle engaging port 104 for forcibly rotating the rotary shaft 4 by inserting the operation handle 103
KR1020100090433A 2010-09-15 2010-09-15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1787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33A KR101178798B1 (en) 2010-09-15 2010-09-15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33A KR101178798B1 (en) 2010-09-15 2010-09-15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28A KR20120028528A (en) 2012-03-23
KR101178798B1 true KR101178798B1 (en) 2012-08-31

Family

ID=4613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433A KR101178798B1 (en) 2010-09-15 2010-09-15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7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125B1 (en) * 2014-07-11 2015-06-09 경기엔지니어링(주) Escape Ladder Apparatus and Escape Ladde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610A (en) 2001-10-31 2003-05-13 Nikko:Kk Rope ladder for evacuation
KR100725267B1 (en)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Ladder apparatus for disaster escape
KR100787812B1 (en) 2007-01-04 2007-12-21 정원규 System of emergency escape for multistory buil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610A (en) 2001-10-31 2003-05-13 Nikko:Kk Rope ladder for evacuation
KR100725267B1 (en) 2006-04-19 2007-06-04 (주)관동건업 Ladder apparatus for disaster escape
KR100787812B1 (en) 2007-01-04 2007-12-21 정원규 System of emergency escape for multistory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28A (en)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267B1 (en) Ladder apparatus for disaster escape
KR101173585B1 (en) Eemergency escaping apparatus of a layer space
KR101684335B1 (en)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KR102005216B1 (en) The fire escaping apparatus in high buildings
KR101615728B1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KR101030286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having a boarding structure using exclusively in a balustrade of veranda
KR200450122Y1 (en) veranda type emergency release apparatus
KR101892255B1 (en)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20070060646A (en) Ladder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KR10117124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130103132A (en) Eemergency shelter apparatus a hatch type
KR10117879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131484B1 (en) Escap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KR101171249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153908B1 (en) Ladder for evacuation
KR101043592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1130970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130047815A (en) A concealed evacuation-ladder with changeable bodyframe
KR101702044B1 (en) Railing features provided by the refuge
KR200357968Y1 (en) Rail for escape
KR101130971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096500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0481693B1 (en) An emergency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20100138588A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1141292B1 (en) Safety railing which is transformed into rescue ladder during the event of f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