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832B1 -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832B1
KR101177832B1 KR1020100048739A KR20100048739A KR101177832B1 KR 101177832 B1 KR101177832 B1 KR 101177832B1 KR 1020100048739 A KR1020100048739 A KR 1020100048739A KR 20100048739 A KR20100048739 A KR 20100048739A KR 101177832 B1 KR101177832 B1 KR 10117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langes
pad
seal gasket
inter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222A (ko
Inventor
강기수
박성국
전영남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83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3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collar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패드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호 결합되는 제1, 제2 플랜지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용 패드로서, 상기 제1, 제2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제2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제2 플랜지와 상호 면 접촉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플랜지용 패드는 서로 다른 재질의 플랜지가 상호 면 접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PAD FOR FLANGE AND FLANGE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결합되는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파이프는 하중이나 설치 편의성 및 이동성을 위해 그 길이가 제한적이며, 이러한 파이프의 단부에는 타 부품을 장착하거나, 파이프의 설치위치의 길이에 따라 각 파이프 간의 이음을 위하여 상기 각 파이프의 단부에는 각각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랜지는 상기 각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거나, 부품의 단부를 보완할 때 사용되며, 보통, 파이프와 파이프를 상호 연결할 경우에는 파이프의 내부로 관통되는 연료나 오일, 또는 가스등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 가스켓을 개재하여 상호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즉,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랜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상호 연결되기 위한 제1 파이프(1)와 제 2 파이프(3)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제2 파이프(1, 3)의 상호 마주하는 단부에는 제1, 제2 플랜지(5, 7)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제2 플랜지(5, 7)는 상호 마주한 상태로, 상기 제1, 제2 플랜지(5, 7) 사이를 시일하기 위한 시일 가스켓(9)이 개재되어 상호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파이프(1)와 제2 파이프(3)는 상호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랜지부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랜지(5)와 제2 플랜지(7)의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시일 가스켓(9)에 의해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1, 제2 플랜지(5, 7)의 외주면 측 사이에 공간(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11)은 상기 제1, 제2 플랜지(5, 7) 상호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될 경우, 연성을 띄는 재질의 플랜지(5 or 7)가 강성을 띄는 재질의 플랜지(7 or 5) 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로 인해, 플랜지(5 or 7)가 파괴되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호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플랜지(5, 7)가 상호 면 접촉됨에 따라 부식이 발생될 수 있으며, 선박의 운행 중 진동 발생 시, 상기 각 플랜지(5, 7) 사이에 미세한 공극과 시일 가스켓(9)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각 파이프(1, 3)를 통해 이동되는 가스나 오일류 등이 상기 공간(11)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플랜지의 결합 시, 각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로서, 시일 가스켓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하여 재질이 서로 다른 플랜지를 연결할 경우, 연성을 띄는 재질의 플랜지가 강성을 띄는 재질의 플랜지 측으로 당겨져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재질의 플랜지가 상호 면 접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는 상호 결합되는 제1, 제2 플랜지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용 패드로서, 상기 제1, 제2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제2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제2 플랜지와 상호 면 접촉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시일 가스켓에 대응하여 중앙에 상기 시일 가스켓의 외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두께는 상기 시일 가스켓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관통홀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제2 플랜지에 각각 형성되는 볼트홀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장착홈은 상기 관통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각 플랜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각 플랜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는 상호 결합되는 제1, 제2 플랜지; 상기 제1, 제2 플랜지 사이의 중앙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 및 상기 제1,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시일 가스켓 외측에 개재되는 전술한 플랜지용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플랜지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의 각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호 볼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플랜지의 재질은 연성이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시일 가스켓에 대응하는 면에 상기 시일 가스켓과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에 의하면, 플랜지의 결합 시, 각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함으로써, 각 플랜지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각 플랜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재질이 서로 상이한 각 플랜지를 연결할 경우, 연성을 띄는 재질의 플랜지가 강성을 띄는 재질의 플랜지 측으로 당겨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재질의 플랜지가 상호 면 접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는 상기 각 플랜지의 사이를 시일 가스켓과 함께 이중으로 시일할 수 있어 선박의 운행 중 진동 발생 시, 상기 각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공극과 시일 가스켓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각 파이프를 통해 이동되는 가스나 오일류 등이 상기 공간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호 연결된 플랜지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가 적용된 플랜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가 적용된 플랜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가 적용된 플랜지 조립체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120)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100)는 플랜지(105, 107)의 결합 시, 각 플랜지(105, 107)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10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하여 상기 각 플랜지(105, 107)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플랜지(105, 107) 사이를 지지함으로써, 재질이 서로 다른 플랜지(105, 107)를 연결할 경우, 연성을 띄는 재질의 플랜지(105 or 107)가 강성을 띄는 재질의 플랜지(107 or 105) 측으로 당겨져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재질의 플랜지(105, 107)가 상호 면 접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120)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10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제1, 제2 플랜지(105, 107)와, 상기 제1, 제2 플랜지(105, 107) 사이의 중앙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109)과, 상기 제1, 제2 플랜지(105) 사이의 상기 시일 가스켓(109) 외측에 개재되는 플랜지용 패드(10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플랜지(105, 107)는 파이프(101, 103)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101, 103)의 각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볼트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플랜지(105, 107)는 그 재질이 연성이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105)는 상기 시일 가스켓(109)과 대응하는 일면에 상기 시일 가스켓(109)과 접촉되는 돌출부(11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120)는 상기 제1, 제2 파이프(101, 103)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 파이프(101, 103)의 상호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제1, 제2 플랜지(105, 107)의 사이에 시일 가스켓(109)이 개재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111) 사이에 장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120)는 상기 공간(111)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제2 플랜지(105, 107)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제2 플랜지(105, 107)와 상호 면 접촉되는 몸체부(1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21)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일 가스켓(109)에 대응하여 중앙에 상기 시일 가스켓(109)의 외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관통홀(12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23)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제2 플랜지(105, 107)에 각각 형성되는 볼트홀(113)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장착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장착홈(125)은 상기 관통홀(123)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21)는 상기 각 플랜지(105, 107)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각 플랜지(105, 107)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21)의 두께(T1)는 상기 시일 가스켓(109)의 두께(T2)보다 큰 두께(T1>T2)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장착홈(125)이 상기 각 볼트홀(113)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관통홀(123)의 원호방향을 따라 4개소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각 볼트홀(113)의 개수 및 위치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121)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각 플랜지(105, 107)의 형상과 동일하게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각 플랜지(105, 107)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각 플랜지(105, 107)의 형상에 맞게 다각형상으로 그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120)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100)를 적용하면, 제1, 제2 파이프(101, 103)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제2 플랜지(105, 107)의 결합 시, 각 플랜지(105, 107)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109)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11)에 장착함으로써, 각 플랜지(105, 107)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각 플랜지(105, 107)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재질이 서로 상이한 각 플랜지(105, 107)를 상호 연결할 경우, 연성을 띄는 재질의 플랜지(105 or 107)가 강성을 띄는 재질의 플랜지(107 or 105) 측으로 당겨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재질의 플랜지(105, 107)가 상호 면 접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120)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100)는 상기 각 플랜지(105, 107)의 사이를 시일 가스켓(109)과 함께 이중으로 시일할 수 있어 선박의 운행 중 진동 발생 시, 상기 각 플랜지(105, 107)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공극과 시일 가스켓(109)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각 파이프(101, 103)를 통해 이동되는 가스나 오일류 등이 상기 공간(11)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플랜지 조립체 101...제1 파이프
103...제2 파이프 105...제1 플랜지
107...제2 플랜지 109...시일 가스켓
111...공간 113...볼트홀
121...몸체부 123...관통홀
125...장착홈

Claims (10)

  1. 상호 결합되는 제1, 제2 플랜지의 사이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용 패드로서,
    상기 제1, 제2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제2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제2 플랜지와 상호 면 접촉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시일 가스켓에 대응하여 중앙에 상기 시일 가스켓의 외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두께는 상기 시일 가스켓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는 플랜지용 패드.
  2. 삭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외주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제2 플랜지에 각각 형성되는 볼트홀에 대응하여 다수개의 장착홈이 형성되는 플랜지용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착홈은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는 플랜지용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각 플랜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각 플랜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플랜지용 패드.
  6. 삭제
  7. 상호 결합되는 제1, 제2 플랜지;
    상기 제1, 제2 플랜지 사이의 중앙에 개재되는 시일 가스켓; 및
    상기 제1, 제2 플랜지 사이의 상기 시일 가스켓 외측에 개재되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랜지용 패드;
    를 포함하는 플랜지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플랜지는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의 각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호 볼트 체결되는 플랜지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플랜지의 재질은 연성이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플랜지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시일 가스켓에 대응하는 면에 상기 시일 가스켓과 접촉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플랜지 조립체.
KR1020100048739A 2010-05-25 2010-05-25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 KR101177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39A KR101177832B1 (ko) 2010-05-25 2010-05-25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39A KR101177832B1 (ko) 2010-05-25 2010-05-25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222A KR20110129222A (ko) 2011-12-01
KR101177832B1 true KR101177832B1 (ko) 2012-08-28

Family

ID=4549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739A KR101177832B1 (ko) 2010-05-25 2010-05-25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8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1892A (en) 1968-01-03 1970-07-28 Res Eng Co Se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1892A (en) 1968-01-03 1970-07-28 Res Eng Co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222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10588A (ja) 開口を貫通するケーブルを封止して保持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308765B1 (ko) 가스 터빈 케이싱 구조
US6241254B1 (en) Detachable stationary sealing device
JP6581000B2 (ja) 変速機ケース
JP6962729B2 (ja) 漏洩防止装置
KR101177832B1 (ko) 플랜지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플랜지 조립체
CN105299234A (zh) 密封装置及具有其的航空发动机
KR200446817Y1 (ko) 가스켓 홈이 형성된 배관의 메탈링
JP2011052585A (ja) ヘッドカバー固定構造
JP2019183894A (ja) 配管継手構造
KR20190135819A (ko) 선체 배기계통의 페네트레이션 피스 어셈블리
JP4743725B1 (ja) ライニング体及びそれを用いたライニング構造物
JP2013177902A (ja) 索条ケース
JP2016008717A (ja) フランジ継手
JP6829323B2 (ja) 排気装置用遮熱カバー
KR20120019895A (ko) 배관 부재 관통 구조
JP4882827B2 (ja) 配管の継手構造
JP6990913B2 (ja) 配管継手構造
KR100647065B1 (ko) 파이프 커플링
JP6100739B2 (ja) 可撓継手の止水カバー
JP2014088904A (ja) 分岐管接続装置
JP6644412B2 (ja) 接合構造
JP7361423B2 (ja) 管継手の組付方法
JP2018198513A (ja) 管路口防水装置及びシール部材
KR20190068079A (ko) 후크 볼트의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