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191B1 - 쌈 채소 포장용 지그 - Google Patents

쌈 채소 포장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191B1
KR101177191B1 KR1020100024685A KR20100024685A KR101177191B1 KR 101177191 B1 KR101177191 B1 KR 101177191B1 KR 1020100024685 A KR1020100024685 A KR 1020100024685A KR 20100024685 A KR20100024685 A KR 20100024685A KR 101177191 B1 KR101177191 B1 KR 10117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s
packing
jig
box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509A (ko
Inventor
국윤도
Original Assignee
국윤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윤도 filed Critical 국윤도
Priority to KR102010002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19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05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밭에서 수확된 쌈 채소(상추, 배추, 취나물, 뉴그린, 청겨자, 케일, 비트, 셀러리, 파슬리 등)를 포장박스 내에 가지런히 포장할 때 사용하는 쌈 채소 포장용 지그(jig)에 관한 것으로, 포장박스 내에 지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그에 형성된 요입부 내에 쌈 채소의 절단부위가 위치되도록 넣은 다음 포장박스로부터 지그를 빼내기만 하면 포장박스 내에 쌈 채소가 가지런한 상태로 포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포장박스(10)의 내면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갖으며 상, 하부가 개방된 본체(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쌈 채소(20)의 절단부위(21)가 위치되는 요입부(2)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1)의 높이(t1)를 포장박스(10)의 높이(t2)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포장박스(10)의 상부로 노출된 본체(1)의 양측에는 손잡이(3)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쌈 채소 포장용 지그{omitted}
본 발명은 밭에서 수확된 쌈 채소(상추, 배추, 취나물, 뉴그린, 청겨자, 케일, 비트, 셀러리, 파슬리 등)를 포장박스 내에 가지런히 포장할 때 사용하는 쌈 채소 포장용 지그(jig)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포장박스 내에 지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그에 형성된 요입부 내에 쌈 채소의 절단부위가 위치되도록 넣은 다음 포장박스로부터 지그를 빼내기만 하면 포장박스 내에 쌈 채소가 가지런한 상태로 포장될 수 있도록 하는 쌈 채소 포장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에서 자란 쌈 채소는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잎을 따 수확한 다음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포장박스 내에 비닐을 깔고 수확된 크기가 다른 쌈 채소를 무작위로 차곡차곡 넣어 포장함으로써 출하된다.
그러나 이렇게 출하된 쌈 채소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쌈 채소의 잎이 포장박스의 내면에 접속되도록 포장됨에 따라 쌈 채소를 유통 및 판매하는 과정에서 포장박스와 쌈 채소의 접촉 면적의 증대로 쌈 채소가 쉽게 무르게 되므로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둘째, 쌈 채소가 포장박스 내에 무작위로 포장됨에 따라 그 크기 또한 다르게 됨으로써, 높은 경매가격을 기대할 수 없어 농가 소득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포장박스 내에 쌈 채소를 크기에 따라 가지런히 포장하여 높은 경매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포장박스에 포장된 쌈 채소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포장박스의 내면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갖으며 상, 하부가 개방된 본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쌈 채소의 절단부위가 위치되는 요입부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의 높이를 포장박스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포장박스의 상부로 노출된 본체의 양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쌈 채소 포장용 지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요입부를 갖는 지그를 이용하여 포장박스 내에 쌈 채소를 가지런히 포장하게 되므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수확된 쌈 채소의 절단부위가 포장박스의 내면에 위치되어 있어 유통 및 판매과정에서 쌈 채소의 잎이 포장박스의 내면에 접속됨에 따라 무르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소비자에게 쌈 채소를 신선한 상태로 판매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체에 형성된 요입부 내에 수확된 쌈 채소의 절단부위가 위치되도록 가지런히 포장함에 따라 포장된 쌈 채소의 품질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되므로 높은 경매가격을 받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농가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수확된 쌈 채소의 절단부위를 본체의 요입부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포장되는 쌈 채소가 가지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포장에 따른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쌈 채소 포장용 지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쌈 채소 포장용 지그를 이용하여 포장박스의 내부에 쌈 채소를 포장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쌈 채소 포장용 지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쌈 채소 포장용 지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쌈 채소 포장용 지그를 이용하여 포장박스의 내부에 쌈 채소를 포장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본 발명은 포장박스(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확된 쌈 채소(20)를 포장박스(10)의 내부에 가지런히 정렬되도록 하는 본체(1)는 상,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외면은 포장박스(10)의 내면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갖고 있으며 본체(1)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쌈 채소(20)의 절단부위(21)가 위치되는 요입부(2)가 형성되어 있다.
즉, 포장박스(10)에 포장되는 쌈 채소(20)의 크기가 크면 본체(1)의 일면에만 요입부(2)를 형성하여도 되지만, 그러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체(1)의 양면에 상호 대향되거나, 어긋나게 요입부(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대개는 포장박스(10)에 포장되는 쌈 채소(20)의 크기가 포장박스(10)에 비하여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의 양면에 위치되게 요입부(2)가 형성된 지그(jig)를 더욱 많이 사용할 것이다.
이 때, 상기 요입부(2)의 형상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태로 하여도 되지만,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3과 같이 물결형태 등 수확되는 쌈 채소(2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형상은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본체(1)를 구성하는 재질로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가 널리 사용 가능하지만, 상호 다른 특징을 가지므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즉, 금속재질로는 주로 비중이 낮은 알루미늄(Al)을 사용하지만, 그래도 무거워 장시간 포장을 하는 과정에서 단순 노동에 따른 피로도가 높아질 우려가 있으나, 내구성이 우수하여 파손될 염려가 없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지그(jig)를 제작하면 무게가 가벼워 포장작업 시 힘을 덜 수 있는 장점을 갖지만,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본체(1)의 높이(t1)를 포장박스(10)의 높이(t2)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포장박스(10)의 상부로 노출된 본체(1)의 양측에는 손잡이(3)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지그를 포장박스(10)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쌈 채소(20)의 포장을 완료하고 나면 포장박스(10)로부터 지그를 빼내어야 되는데, 이 때에는 포장박스(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3)를 이용하여 포장박스(10)로부터 본 발명의 지그를 손쉽게 빼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지그를 이용하여 포장박스(10)의 내부에 수확된 쌈 채소(20)를 포장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장박스(10)의 상부 덮개(11)를 개방한 상태에서 포장박스(10)의 내부에 본 발명의 지그를 넣으면 포장박스(10)의 내면에 본체(1)의 바깥 면이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박스(10)의 내부에 지그를 위치시키고 나면 포장되는 쌈 채소(20)의 종류에 따라 포장용 비닐(도시는 생략함)을 지그의 내부에 위치시키는데, 상기 포장용 비닐은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 후, 수확된 쌈 채소(20)의 절단부위(21)가 본체(1)에 형성된 요입부(2)에 위치되도록 쌈 채소(20)를 차례로 위치시키기만 하면 포장된 쌈 채소(20)가 가지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으로 포장박스(10)의 내부에 쌈 채소(20)가 가지런한 상태로 가득 채워지고 나면 포장용 비닐을 덮고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3)를 파지한 상태에서 포장박스(10)의 상부로 들어올리면 포장박스(10)로부터 본 발명의 지그가 분리되고, 이에 따라 포장박스(10)의 상부덮개(11)를 덮고 테이핑(tapping)함으로써, 쌈 채소(20)의 포장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동일한 크기를 갖는 쌈 채소(20)를 본 발명의 지그에 의해 포장박스(10)의 내부에 가지런한 상태로 포장한 상품은 경매 시 우수한 품질로 인정받아 높은 경매가격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1 : 본체 2 : 요입부
3 : 손잡이 10 : 포장박스
20 : 쌈 채소 21 : 절단부위

Claims (3)

  1. 포장박스(10)의 내면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갖으며 상, 하부가 개방된 본체(1)의 일면 또는 양면에 쌈 채소(20)의 절단부위(21)가 위치되는 요입부(2)를 형성하되, 상기 본체(1)의 높이(t1)를 포장박스(10)의 높이(t2)보다 높게 설정하고 상기 포장박스(10)의 상부로 노출된 본체(1)의 양측에는 손잡이(3)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쌈 채소 포장용 지그.
  2. 삭제
  3. 삭제
KR1020100024685A 2010-03-19 2010-03-19 쌈 채소 포장용 지그 KR10117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85A KR101177191B1 (ko) 2010-03-19 2010-03-19 쌈 채소 포장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85A KR101177191B1 (ko) 2010-03-19 2010-03-19 쌈 채소 포장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509A KR20110105509A (ko) 2011-09-27
KR101177191B1 true KR101177191B1 (ko) 2012-08-24

Family

ID=4495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685A KR101177191B1 (ko) 2010-03-19 2010-03-19 쌈 채소 포장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097B1 (ko) * 2014-01-06 2015-03-0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쌈 채소 포장용 가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587B1 (ko) * 2017-05-08 2019-02-18 박노창 가이드 일체형 채소 포장용 박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372A (ja) 1999-12-07 2001-06-19 Inax Corp 植物性食材の貯蔵ケース
JP2003191937A (ja) * 2001-12-25 2003-07-09 Moriyama:Kk 食品用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372A (ja) 1999-12-07 2001-06-19 Inax Corp 植物性食材の貯蔵ケース
JP2003191937A (ja) * 2001-12-25 2003-07-09 Moriyama:Kk 食品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097B1 (ko) * 2014-01-06 2015-03-05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쌈 채소 포장용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509A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8113C (en) Produce package and method for displaying produce for sale
KR101177191B1 (ko) 쌈 채소 포장용 지그
KR101268418B1 (ko) 싸바리 포장박스 및 포장박스 제작방법
KR20060089589A (ko) 포도를 매달아 포장하는 포도포장상자 및 포도송이 상하부줄기 만드는 방법 , 포도를 매달아 포장하거나 포도송이의 상하부 줄기를 고정하는 방법
KR100897789B1 (ko) 과채류 보호구
CN204132080U (zh) 一种适用于水果栽培中预先脱掉外层袋的双层纸套袋
JP2017095118A (ja) 容器本体、中皿、及び蓋体からなる包装用容器
KR20090000631U (ko) 과일상자.
EP2301858A1 (en) Carrier for brick-type containers
JP3175928U (ja) 包装材
JP3213596U (ja) 植栽用保水容器
KR101016482B1 (ko) 치약 포장용 박스
JP6167380B2 (ja) 果実包装容器
CN210734940U (zh) 一种保温泡沫包装盒
CN218908207U (zh) 食品包装盒
CN201424237Y (zh) 一种用于水果运输的塑料篮
GB2462153A (en) Fresh produce pack comprising tray and outer perforated wrap
CN206297923U (zh) 一种闭式水果保护套
KR200411910Y1 (ko) 리본 기능을 겸한 포장상자 묶음 밴드
KR101254594B1 (ko) 손잡이가 형성된 봉투밀폐용 클립
CA2967480C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mproved disposable lid
JP3199227U (ja) 収容容器
CN206954756U (zh) 快速拆卸和组装的礼品包装盒
KR100860639B1 (ko) 김밥 포장지
JP3200875U (ja) 甘唐辛子類の販売用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