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055B1 - 광학 시트 - Google Patents

광학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055B1
KR101176055B1 KR1020100009404A KR20100009404A KR101176055B1 KR 101176055 B1 KR101176055 B1 KR 101176055B1 KR 1020100009404 A KR1020100009404 A KR 1020100009404A KR 20100009404 A KR20100009404 A KR 20100009404A KR 101176055 B1 KR101176055 B1 KR 101176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heet
light
microlens
pattern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9909A (ko
Inventor
정종구
민영근
토시히로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히가시야마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가시야마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가시야마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0000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0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이 배면에서 입사되어 전면으로 출사되는 기재시트; 상기 기재시트의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확산 패턴부의 밀도를 극대화시킨 전면 광확산층; 및 상기 기재시트의 배면에 입자가 포함된 배면 광확산층으로 이루어진 광학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랜덤하게 불규칙 배열되고, 인접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양각패턴의 서브 마이크로렌즈가 형성된 전면 광확산층을 구비한 것으로서, 확산 패턴의 개수를 높여 확산 패턴의 밀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빛의 집광효율을 높여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점광원을 사용하는 옥외광고, 대화면 TV 또는 조명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시트{OPTICAL SHEEET}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용 광학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크기 및 형상을 랜덤하게 불규칙 배열하고, 인접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형성된 간극까지 양각패턴으로 렌즈를 형성함으로써, 확산 패턴의 밀도를 극대화시킨 전면 광확산층을 구비한 광학 시트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LA) 패턴은 데이터 보존에서부터 고용량의 바이오에세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마이크로렌즈 패턴의 굴절을 응용하여 광학, 광전자, 생화학 분야뿐만 아니라, 레이저 빔 형상화 시스템(Laser beam shaping system), 광 화이버 커플링,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device, CCD), 광확산 등의 디스플레이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광확산 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분야에 이러한 마이크로렌즈 패턴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니트(이하, BLU라 한다) 크기의 대형화, 고품질화를 구현하게 되어 엘시디의 경쟁력 향상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보다 밝은 화상을 얻기 위해서, 확산 시트류의 적용을 줄이면서도 마이크로렌즈를 통한 집광효율은 극대화시키고, 램프에 의한 휘선을 은폐하는 능력을 개선하여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확산 시트 제작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LCD 대형화 및 박막화 추세와 더불어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한 시장요구에 따라, 고휘도 및 램프은폐성을 높여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고기능의 확산 시트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으로, 다양한 렌즈 패턴형상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마이크로 수준의 규칙적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 전자빔과 레이져를 이용하여 표면에 기록하거나, 포토리소그라피와 소프트 리소그래피 기법으로 기재상에 표출하는 방법 등의 고가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다양한 렌즈 패턴개발의 일환으로 최근에는 종래 렌즈배열의 규칙성으로부터 발생되는 간섭무늬를 억제할 수 있는 마이크로렌즈 배열의 랜덤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즉, 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이 원형단면의 반구일 경우, 렌즈하나를 한개의 입자로 간주할 수 있으며, 무수히 많은 입자들을 랜덤하게 배열하는 기술이 확보된다면 랜덤화된 마이크로렌즈의 패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균일한 형상의 렌즈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크기 및 서로 다른 모양의 렌즈가 혼재할 경우에도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종래 반구형의 마이크로렌즈가 규칙 또는 불규칙 배열된 광학 시트는 반구형 렌즈 배열상 기하학적인 한계로 인해, 마이크로 렌즈부 사이사이에 평탄한 빈 공간(평탄부)이 그대로 노출되는데[도 1], 이러한 부분에서는 입사된 광의 전반사(total reflection) 또는 확산되지 못하여 광 확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휘도저하 및 광의 균일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휘도 및 광의 균일도 향상으로 인한 램프 은폐성을 개선하고자 노력한 결과,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가 랜덤하게 불규칙 배열되고, 상기 인접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형성된 간극까지 양각패턴의 렌즈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재시트상에 확산 패턴들 사이의 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확산 패턴의 개수를 높여 확산 패턴의 밀도를 극대화시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시트의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확산 패턴부의 밀도를 극대화하여 휘도를 개선한 광학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크기 및 형상이 랜덤하게 불규칙 배열된 전면 광확산층을 구비하고, 기재시트 배면에 배면 광확산층을 구비하여 휘도를 개선한 광학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이 배면에서 입사되어 전면으로 출사되는 기재시트, 상기 기재시트의 전면에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랜덤하게 불규칙 배열되고, 인접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양각패턴의 서브 마이크로렌즈가 형성된 전면 광확산층 및 상기 기재시트의 배면에 입자가 포함된 배면 광확산층으로 이루어진 광학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에서, 상기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반구형 90~99.99% 및 타원형 0.01~10%의 면적비율로 랜덤하게 배열된 것이다. 이때, 전면 광확산층에서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차지하는 면적은 60%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에서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의 렌즈가 폭 20 내지 200㎛ 범위 이내에서 랜덤하게 배열되고,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높이는 10 내지 100㎛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시트에서 인접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양각패턴의 서브 마이크로렌즈의 높이는 이웃하는 메인 마이크로렌즈 높이 대비 2 내지 20%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에서 전면 광확산층의 두께는 10~250㎛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면 광확산층에 평균입경 0.005~20㎛을 가지는 1종 이상의 입자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20㎛ 입자크기의 입자가 0.01~30 중량부로 혼합된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배면 광확산층을 구비한다. 이때, 배면 광확산층의 두께가 0.2~10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면 광확산층 또는 배면 광확산층에 사용되는 입자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 입자는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기입자; 실리카, 중공실리카, NaF2, CaF2, MgF2, CeF3, 졸-겔 실리카, 산화세륨, 알루미나, 유리, ITO, ATO, AZO, SiN4, ZrO2 및 T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무기입자; 또는 금, 은 및 주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입자; 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에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확산 패턴부의 밀도를 극대화시킨 광학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확산 패턴부의 밀도를 극대화시킨 광학 시트는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크기 및 형상을 랜덤하게 불규칙 배열하고, 인접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형성된 간극까지 양각패턴으로 렌즈를 형성함으로써, 집광효율을 높여,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확산 패턴부의 밀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현재 LED광원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BLU)에서 램프 은폐성을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광원이 입사되는 기재시트 배면에 배면 광확산층을 더 구비함으로써,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고휘도 점광원인 LED광원을 사용한 옥외광고, 대화면 TV 또는 조명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반구형의 마이크로렌즈가 규칙 배열된 광학 시트의 800배 확대한 SEM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례의 광학 시트의 350배 확대한 SEM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례 및 비교예의 광학 시트에 대한 휘도측정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확산 패턴부의 밀도를 극대화시킴으로써, 휘도를 개선한 광학 시트를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광원이 배면에서 입사되어 전면으로 출사되는 기재시트;
상기 기재시트의 전면에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랜덤하게 불규칙 배열되고, 인접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양각패턴의 서브 마이크로렌즈가 형성된 전면 광확산층; 및
상기 기재시트의 배면에 입자가 포함된 배면 광확산층; 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확산 시트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 기재시트
본 발명의 광학 시트에 사용되는 기재시트는 기재시트 자체의 광투과도가 높아서 광의 손실이 없어야 하므로, 빛 투과율이 높은 투명한 시트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재시트의 광투과도는 전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0% 이상이다. 전투과율이 85% 미만배면, 충분한 광학적 특성을 얻을 수 없으며, 나아가 광분산 및 광확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기재시트의 두께는 백라이트 유니트의 크기에 따라 시트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발열량 증가에 따른 내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달라질 수 있으며, 일례로, 백라이트 유니트의 크기가 작은 소형 기기에서는 주로 두께 100㎛이하의 기재시트 사용이 바람직하며, 노트북 및 모니터 등의 중형 기기에는 50㎛~188㎛ 정도의 시트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텔레비전용 백라이트 유니트를 비롯한 대형 기기에는 125㎛ 이상의 두께를 가진 기재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백라이트 이외 목적의 광확산이라면 특별히 전투과율이나 기재시트의 두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의 확산 시트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기재시트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COP(cyclo-olefin polymer),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메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는 것이다.
2. 전면 광확산층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확산 패턴부의 밀도를 극대화시킨 전면 광확산층을 구비하여, 휘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전면 광확산층은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의 크기, 형상 및 위치를 랜덤하게 불규칙 배열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 반구형 렌즈 배열상 마이크로렌즈부 사이에 형성된 평탄부에 대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인접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양각패턴의 서브 마이크로렌즈를 형성함으로써, 광이 출사면에 집광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면 광확산층은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가 다양한 패턴형상으로 인한 길이(직경)와 곡률반경(촛점거리)이 랜덤하게 배열된 구조이며, 다양한 렌즈 크기가 랜덤하게 배열된 구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광확산층의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의 형상은 반구형 90~99.99% 및 타원형 0.01~10%의 면적비율로 랜덤하게 배열될 때, 광확산효과가 양호하다.
이때, 반구형 렌즈 직경대비, 타원형 렌즈의 장직경은 단직경의 1.1~5.0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3.0배일 때, 집광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컴퓨터로 랜덤 배열을 설계할 경우, 다양한 직경의 원형 렌즈를 혼합하여 배열하는 것에 비하여, 원형과 타원형을 혼합하는 것이 더욱 랜덤배열을 얻기가 용이한 큰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발생하는 안개현상(모아레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반구형 및 타원형의 혼합패턴으로 이루어진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경우, 타원형의 렌즈 면적비율이 0.01~10%로 배열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에서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의 렌즈 폭 20 내지 200㎛범위 이내에서 랜덤하게 배열되며, 반구형 및 타원형의 혼합패턴의 경우, 타원형 렌즈의 장직경은 단직경의 1.1~5.0배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3.0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비율이 1.1배 미만이면, 실질적인 혼합효과가 적고, 5.0배를 초과할 경우, 확산이 균일하지 않다.
또한,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높이는 10 내지 100㎛가 바람직하며, 마이크로렌즈의 높이가 10㎛미만이면, 광의 전반사량 증가로 인하여 오히려 휘도가 감소하거나, 확산효과가 낮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100㎛를 초과하면, 광의 집광성 및 광확산 효율측면에서 실질적인 효과가 적다.
이때, 타원형 패턴은 반구형 렌즈의 높이보다 25 내지 75%로 낮게 배열함으로써, 배면 광확산층을 통과한 빛이 전면 광확상층의 타원형 렌즈에 도달할 때, 유효각도는 수직 집광하되, 유효각도에서 벗어나는 빛의 경우, 이웃하는 반구형 패턴의 렌즈높이에 부딪혀, 재귀반사와 광굴절에 의하여 빛이 전면부로 집광되도록 하여 휘도를 개선한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이후, 본 발명의 배면 광확산층을 통과한 빛의 재귀반사와 광굴절에 의하여 빛이 전면부로 집광되도록 하여 휘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전체필름 면적에서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가 차지하는 면적은 렌즈 폭, 높이 및 원형/타원의 혼합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60% 이상이 바람직하며, 90% 이상이 되면, 렌즈의 랜덤배열성이 감소하여 안개현상(모아레 현상)이 관찰된다.
본 발명의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와 바로 이웃하는 마이크로렌즈간 간격이 짧게는 0부터 길게는 수십 ㎛에 이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인접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양각패턴(서브 마이크로렌즈)으로 형성한다. 이때, 서브 마이크로렌즈의 높이는 이웃하는 메인 마이크로렌즈 높이 대비 2 내지 20%가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서브 마이크로렌즈의 높이가 2% 미만이면, 입사된 광의 전반사 또는 산란되지 못하고, 20%를 초과하면, 메인 마이크로렌즈의 패턴 형상구현에 불리하여 광확산 기능이 저하된다. 이에,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기재시트상에 확산 패턴들 사이의 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확산 패턴의 개수를 높여 확산 패턴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도 3].
본 발명의 광학 시트 중, 마이크로렌즈로 형성된 전면 광확산층의 재질은 광경화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 불소계 및 이들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지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굴절률 1.30~1.60 범위를 충족하는 재질을 사용한다. 이때, 마이크로 렌즈로 형성된 전면 광확산층의 재질에 있어서, 굴절률은 굴절각, 즉 확산각도에 영향을 미치며, 굴절률 1.30 미만이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고분자가 많지 않으며, 굴절률 1.60를 초과하면, 굴절률을 증가시키는 첨가제를 별도의 공정으로 다량 첨가해야 한다는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시트에서, 전면 광확산층의 두께는 10~250㎛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광학 시트의 전면 광확산층에는 1종 이상의 입자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전면 광확산층에 입자를 함유할 경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후 수직 투과된 빛이 입자에 도달함으로써, 입자의 편광효과에 의한 램프의 휘선은폐 효율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입자와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굴절률 차이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휘도를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면 광확산층에 함유되는 입자는 0.005~20㎛을 가지며, 굴절률 1.30~3.50 범위에서 선택된 굴절률이 다른 적어도 1종 이상의 입자를 사용한다.
이때, 입자의 굴절률이 마이크로렌즈 재질 성분과 굴절율이 다르므로 광출사 경로가 다양해진다. 한편,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1종의 굴절율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차폐능력이 우수해지고, 시야각이 넓어진다.
상기 전면 광확산층에서 사용되는 입자는 광학 시트에 사용되는 입자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되며, 금속, 금속산화물, 무기입자, 중공입자, 하이브리드입자, 유기입자 등에서 선택 사용된다. 그 바람직한 일례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기입자; 실리카, 중공실리카, NaF2, CaF2, MgF2, CeF3, 졸-겔 실리카, 산화세륨, 알루미나, 유리, ITO, ATO, AZO, SiN4, ZrO2 및 T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무기입자; 또는 금, 은 및 주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입자;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다.
3. 배면 광확산층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기재시트의 배면에 입자를 함유하여 배면 광확산층을 형성함으로써, LED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산란되는 효과를 최대화할 뿐 아니라, 고휘도 점광원인 LED를 균일한 면광원과 같은 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이때, 본 발명의 후면 광확산층의 도포층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광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는데, 특히, 85% 이상의 전광선 투과율을 갖는 광확산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후면 광확산층의 도포층 두께가 0.2~10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인 것이 좋다. 만약 후면 광확산층의 두께가 0.2㎛ 미만이면, 적층 후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고, 100㎛를 초과하면, 전광선 투과율이 저하되어 원하는 광확산 효과를 구현할 수 없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배면 광확산층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20㎛ 크기의 입자가 0.01~30 중량부로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취급 및 입수가 용이한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례로는 아크릴계 수지, 요소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광선을 투과시켜야 하므로 무색 투명한 것이 좋다.
또한, 배면 광확산층에 사용되는 입자는 광학 시트에 사용되는 입자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 금속산화물, 무기입자, 중공입자, 하이브리드입자, 유기입자 등에서 선택 사용된다. 이때, 유기입자는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무기입자는 실리카, 중공실리카, NaF2, CaF2, MgF2, CeF3, 졸-겔 실리카, 산화세륨, 알루미나, 유리, ITO, ATO, AZO, SiN4, ZrO2 및 T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금속입자는 금, 은 및 주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이때, 후면 광확산층에 사용되는 입자는 전면 광확산층에 포함된 입자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후면 광확산층(4)에 사용되는 입자(41)의 입경은 0.005~20㎛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15㎛ 범위이다. 상기에서 입자의 입경이 0.005)㎛ 미만이면, 휘도 향상 및 광확산 효과가 미미하고, 입경이 20㎛를 초과하면, 광확산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코팅이 어렵고, 광확산층 적층 후에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고, 투과율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유기입자(41)의 바람직한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기입자(41) 0.01~30 중량부가 포함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5 중량부이다. 이때, 입자(41)의 양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휘도 향상 및 광확산 효과가 저하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후면 광확산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도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포성 향상을 위하여 전면 또는 후면 광확산층에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평활제(leveling agent)를 혼합하여 실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산제, 소포제, 가소제, 안정화제, 열화 방지제, 발포제 등의 첨가제를 부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고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기재시트로 사용하고,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기 기재시트의 배면에서 전면으로 통과하는 시점을 기준할 때, 기재시트의 전면에, 굴절률 1.49,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를 두께 20 ㎛로 코팅하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패턴이 설계된 반구형 패턴 및 타원형 패턴이 2:1의 면적비율로 배치시킨 후, 압착하면서 자외선 경화 램프에 의한 경화 공정을 수행하여 양각(凸)패턴의 전면 광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기재시트의 배면에, 하기 표 2에 기재된 배면 광확산층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기재시트로 배면에 메이어 바(Mayer Bar)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20℃에서 4분간 건조 경화시켜서 배면 광확산층을 형성시킨 광학 시트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0007053471-pat00001
Figure 112010007053471-pat00002
<실시예 3>
고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기재시트로 사용하고,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기 기재시트의 배면에서 전면으로 통과하는 시점을 기준할 때, 기재시트의 전면에, 아크릴계 모노머 및 올리고머 37 중량%,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계 경화제(Irgacure 184, Ciba Specialty Chemicals) 1 중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평균 입경 10㎛인 유기입자(굴절률 1.49) 9 중량%,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평균 입경 5㎛인 유기입자(굴절률 1.50) 3 중량%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50 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평활제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전면 광확산층 도포액을 메이어 바(Mayer Bar)를 이용하여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전면 광확산층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휘도 및 확산도 측정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광학 시트를 에 대한 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LED 램프 상에, 확산판 및 확산 시트를 적층시킨 후,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광학 시트를 장착한 32"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위에 패널을 조립 한 후, 탑콘사의 BM-7 측정기를 이용하여 9개 지점의 휘도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예 1로서, LED 램프 상에, 확산판 및 확산 시트를 적층한 후, 휘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의 휘도 측정결과, 본 발명의 전면 광확산층에 확산 패턴의 밀도가 높은 본 발명의 광학 시트의 경우, 휘도 향상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원이 출사되는 기재시트 전면에, 양각패턴의 마이크로렌즈의 크기 및 형상을 랜덤하게 불규칙 배열하고, 인접하는 각각의 마이크로렌즈 사이에 형성된 간극까지 양각패턴으로 렌즈를 형성함으로써 집광효율을 높여, 휘도가 향상된 광학 시트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시트 중, 전면 광확산층에 입자를 더 함유함으로써, 휘도 개선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고휘도 점광원인 LED를 균일한 면광원으로 변화시켜, 현재 LED광원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BLU)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인 램프 은폐성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휘도가 개선되어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되는 광학 필름류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 모듈의 슬림화 및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광학 시트는 고휘도 점광원인 LED광원을 사용한 옥외광고, 대화면 TV 또는 조명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1)

  1. 광원이 배면에서 입사되어 전면으로 출사되는 기재시트;
    상기 기재시트의 전면에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랜덤하게 불규칙 배열되고, 상기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와 바로 이웃하는 마이크로렌즈 사이의 간극이 양각패턴으로 형성된 서브 마이크로렌즈로 이루어진 전면 광확산층; 및
    상기 기재시트의 배면에 입자가 포함된 배면 광확산층;으로 이루어진 광학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반구형 90~99.99% 및 타원형 0.01~10%의 면적비율로 랜덤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차지하는 면적이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렌즈 폭 20 내지 200㎛ 범위 이내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패턴의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높이 10 내지 100㎛ 범위 이내에서 랜덤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패턴의 서브 마이크로렌즈의 높이가 이웃하는 메인 마이크로렌즈가 높이 대비 2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확산층의 두께가 10~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광확산층에 평균입경 0.005~20㎛를 가지는 1종 이상의 입자가 더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광확산층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20㎛ 입자크기의 입자가 0.01~30 중량부로 혼합된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배면 광확산층의 두께가 0.2~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 시트.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기입자; 실리카, 중공실리카, NaF2, CaF2, MgF2, CeF3, 졸-겔 실리카, 산화세륨, 알루미나, 유리, ITO, ATO, AZO, SiN4, ZrO2 및 T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무기입자; 또는 금, 은 및 주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 입자; 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 시트.
KR1020100009404A 2010-02-02 2010-02-02 광학 시트 KR101176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404A KR101176055B1 (ko) 2010-02-02 2010-02-02 광학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404A KR101176055B1 (ko) 2010-02-02 2010-02-02 광학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909A KR20110089909A (ko) 2011-08-10
KR101176055B1 true KR101176055B1 (ko) 2012-08-24

Family

ID=4492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404A KR101176055B1 (ko) 2010-02-02 2010-02-02 광학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40B1 (ko) * 2012-04-18 2014-07-01 주식회사 케이씨씨 불균일한 로컬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패턴을 갖는 광확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49633B1 (ko) * 2013-10-16 2014-10-13 이성호 고휘도 모아레 프리 마이크로 렌즈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과 마이크로 렌즈 필름을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과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장치
CN107976727B (zh) * 2017-12-21 2024-05-14 深圳市光科全息技术有限公司 一种led画质增强薄膜
CN114010956B (zh) * 2021-11-22 2024-04-23 北京翌光医疗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光学医疗仪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607A (ja) * 2000-05-16 2001-11-22 Kimoto & Co Ltd 光拡散性シート
KR100796479B1 (ko) * 2007-01-31 2008-01-21 미래나노텍(주) 광학 시트 및 상기 광학 시트가 구비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928639B1 (ko) 2007-04-05 2009-11-27 미래나노텍(주) 서로 다른 크기로 배열된 마이크로 렌즈와 백 코팅 면을갖는 광학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607A (ja) * 2000-05-16 2001-11-22 Kimoto & Co Ltd 光拡散性シート
KR100796479B1 (ko) * 2007-01-31 2008-01-21 미래나노텍(주) 광학 시트 및 상기 광학 시트가 구비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0928639B1 (ko) 2007-04-05 2009-11-27 미래나노텍(주) 서로 다른 크기로 배열된 마이크로 렌즈와 백 코팅 면을갖는 광학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909A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397B1 (ko) 광학 시트
CN101796437B (zh) 棱镜片、采用该棱镜片的背光单元及液晶显示装置
CN103430056B (zh) 微透镜阵列片以及包括所述微透镜阵列片的背光单元
KR101178722B1 (ko)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KR101450020B1 (ko) 확산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052799B1 (ko)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5397572B1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7003852A (ja) 拡散シート、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055057A (ja) 液晶表示装置
KR20160031033A (ko) 광 확산 소자, 광 확산 소자가 형성된 편광판 및 이들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78018A (ko) 마이크로 렌즈 광학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41337A (ko) 광확산 필름, 광확산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조명 기구
KR101530452B1 (ko) 광확산 소자 및 광확산 소자를 가진 편광판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들 방법으로 얻어진 광확산 소자 및 광확산 소자를 가진 편광판
JP2013225058A (ja) 光学板及び直下型点光源バックライト装置
KR101176055B1 (ko) 광학 시트
JP5736957B2 (ja) 導光板、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0210882A (ja) 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025438A (ja) 拡散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直下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230358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0135220A (ja) 面光源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1767136B1 (ko) 확산수단이 일체화된 확산판 기능포함 복합광학시트
KR100544518B1 (ko) 광손실을 최소화한 프리즘 필름
JP2015069014A (ja) 光制御シートおよび表示装置
JP2012103290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069347A (ja) 光学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