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805B1 - 냉장고용 선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805B1
KR101175805B1 KR1020050064516A KR20050064516A KR101175805B1 KR 101175805 B1 KR101175805 B1 KR 101175805B1 KR 1020050064516 A KR1020050064516 A KR 1020050064516A KR 20050064516 A KR20050064516 A KR 20050064516A KR 101175805 B1 KR101175805 B1 KR 101175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helf
guide groove
refrigerator
mov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343A (ko
Inventor
구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80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9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의 양측벽에 성형되어 있는 지지부에 장착되는 장착부(22)와; 상기 장착부(22)의 하단을 따라 전후방으로 길게 뻗어 형성된 안착리브(28)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이동받침부재(38)와; 상기 장착부(22)에 체결되어 장착부(22)의 상하 및 좌우 변형을 방지하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형강(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선반은 이동받침부재(38)의 임의탈거를 방지하여 냉장고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선반, 장착부, 받침부재, 보강형강

Description

냉장고용 선반{Shelf For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선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분리해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결합상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선반 22:장착부
24:체결부 24a:제1스크류홀
26:결합돌기 28:안착리브
28a:제1가이드홈 28b:제2가이드홈
28c:수납지지단 30:제1관통부
32:안착단 34:제2관통부
36:고정받침부재 38:이동받침부재
38a:걸림돌기 38b:끼움돌기
40:보강형강 42:수직부
42a:제2스크류홀 44:수평부
46:낙하방지부
본 발명은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 직하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냉장고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내부에는 음식물이 놓여지는 선반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된다. 최근에는 냉장고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음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종래의 이동식 선반과 함께 고정식 선반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고정식 선반은 이동식 선반과는 달리 냉장고 내부의 양측벽에 성형된 지지부에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이동식 선반은 전후로 이동가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지지부에서 완전히 분리되기도 한다.
이와는 달리 고정식 선반은 선반의 일부를 접철 또는 이동시켜 선반 직하부의 공간을 활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고정식 선반은 상기 지지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설치된다. 이를 위해 선반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지지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도록 소정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선반을 지지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반의 일측을 지지부의 일측에 끼우고, 선반의 타측을 지지부의 타측에 끼워 선반을 지지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조립과정을 고려하여 제조자는 선반의 좌우길이를 양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부의 선단 사이의 최단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한다. 따라서, 선반이 지 지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선반과 지지부 사이에 소정간격의 갭(gab)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식 선반에는 선반 직하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이동받침부재가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받침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받침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선반의 일부분(이하 '장착부'라 한다)은 반복적으로 휨모멘트를 받게 된다.
결국,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잦은 이동으로 인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장착부는 상기 갭만큼의 간격으로 점점 더 벌어지게 되어, 상기 장착부가 상기 이동받침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이동받침부재는 본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상기 선반에서 임의로 탈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반의 강도를 보강하여 냉장고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냉장고용 선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내의 양측벽에 성형되어 있는 지지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하단을 따라 전후방으로 길게 뻗어 형성된 안착리브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이동받침부재와; 상기 장착부에 체결되어 장착부의 상하 및 좌우 변형을 방지하도록 강도를 보 강하는 보강형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리브는 일측면의 전단부에서 가운데부위를 따라서 소정폭만큼 들어간 제1가이드홈과; 일측면의 가운데부위에서 후방으로 소정폭만큼 들어간 제2가이드홈과; 하단부 일측을 따라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동받침부재를 선택적으로 수납가능하게 하는 수납지지단;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받침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후단에 걸어지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2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리브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후방에는 고정받침부재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받침부재는 선택적으로 상기 수납지지단에 수납되어 상기 고정받침부재의 직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보강형강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구비된 체결부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하변형을 억제하는 수직부와; 상기 체결부의 하면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장착부의 좌우변형을 억제하는 수평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선반은 이동받침부재의 임의탈거를 방지하여 냉장고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선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0)은 냉장고 내부의 양측벽에 성형되어 있는 지지부(미도시)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면에 음식물이 놓여진다. 상기 선반(2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장착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22)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부(22)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보강형강(40)이 체결되는 체결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24)의 일측면에는 보강형강(40)을 체결시키기 위한 제1스크류홀(2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크류홀(24a)의 하방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26)가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26)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것으로, 선반(20)을 지지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22)의 타측, 즉 상기 결합돌기(26)가 구비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에는 상기 장착부(22)의 하단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길게 뻗은 안착리브(28)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리브(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받침부재(38)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리브(28) 일측면의 대략 전단부에서 가운데부위에는 제1가이드홈(28a)이 소정폭만큼 상대적으로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28a)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돌기(38a)가 걸어지게 하고, 선택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끼움돌기(38b)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리브(28)의 대략 가운데부위에서 후방으로는 제2가이드홈(28b)이 소정폭만큼 들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홈(28b)은 걸림돌기(38a)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홈(28a)의 후방에 상기 안착리브(28)의 하단을 따라서는 측방으로 돌출된 수납지지단(28c)이 구비된다. 상기 수납지지단(28c)은 이동받침부재(38)를 수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반(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착단(32)의 일측을 경계로 뒤쪽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1관통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부(3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안착단(3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32)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받침부재(36)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제1관통부(30)는 안착단(32)에 안착되는 고정받침부재(36)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선반(20)에는 상기 안착단(32)의 일측을 경계로 앞쪽에 상하방향 및 전방으로 관통되어 있는 제2관통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부(34)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받침부재(38)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안착단(32)에 안착되는 고정받침부재(36)는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받침부재(36)는 상기 안착단(32)에 고정설치되어, 상면에 음식물이 보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받침부재(38)는 상기 제2관통공(2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안착리브(28)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이동받침부재(38)는 선반(20)의 직하방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동받침부재(38)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안착리브(28)의 상면에 안착되고 양측 가장자리 후단에 형성된 걸림돌기(38a)가 안착리브(28)의 제1가이드홈(28a)에 걸어져 있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수납지지단(28c)에 선택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정받침부재(36)의 직하 방에 위치된다.
상기 이동받침부재(38)의 양측 자장자리 전단에는 끼움돌기(38b)가 구비된다. 상기 끼움돌기(38b)는 상기 안착리브(28)의 상면 전단부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끼워져 있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28b)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받침부재(38)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제1가이드홈(28b)을 따라 안내되는 끼움돌기(38b)는 선반(20)과 안착리브(28)간의 접촉면적을 작게 하여 이동받침부재(38)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이동받침부재(38)가 제2관통부(34)를 완전히 차폐하고 있을 때에는 이동받침부재(38)의 후단부와 이에 마주보는 안착단(32)의 일측 사이에는 소정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2)의 체결부(24)에 체결되는 보강형강(40)은 횡단면이 'L'형으로 된다. 상기 보강형강(40)은 상기 장착부(2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보강형강(40)은 상기 체결부(24)에 밀착되도록 수직부(42)와 수평부(44)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42)에는 상기 체결부(24)에 보강형강(40)을 체결시키기 위한 제2스크류홀(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42)는 상기 체결부(24)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것으로, 전후양단에서 상하방향으로 굽힘모멘트를 받는 장착부(22)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수직부(42)는 장착부(22)에 작용하는 좌우방향의 휨모멘트에 대해서도 장착부(22)의 강도를 보강하게 한다.
상기 수평부(44)는 상기 수직부(42)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수직부(42)와 수평부(44)가 따로 사출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평부(44)를 장착부(22)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이 추가되어야 한다. 상기 수평부(44)는 상기 체결부(24)의 하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좌우로 휨모멘트를 받는 장착부(22)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수평부(44)는 장착부(22)에 상하로 작용하는 굽힙모멘트에 대해서도 장착부(22)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6은 상기 고정받침부재(36)에 올려진 음식물이 임의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방지부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선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반(20)은 안착단(32)에 고정받침부재(36)를 안착시키고, 제2관통부(34)를 차폐하도록 이동받침부재(38)를 안착리브(28)에 안착시킨 다음, 보강형강(40)을 장착부(22)의 체결부(24)에 체결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선반(20)은 냉장고 내부의 양측벽에 성형되어 있는 지지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냉장고 내부에 선반(20)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선반(20) 직하부의 공간을 활용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안착리브(28)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이동받침부재(38)의 선단을 상방으로 살짝 든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게 되면, 걸림돌기(38a)가 제1가이드홈(28a)에서 이탈되고 상기 이동받침부재(38)는 고정받침부재(36)의 직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가이드홈(28a)을 따라 안내되는 끼움돌기(38b)와 제2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걸림돌기(38a)는 이동받침부재(38)와 안착리브(28)간의 접촉면적을 작게 하여 그 이동을 원활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이동받침부재(38)는 수납지지단(28c)에 지지되어 고정받침부재(36)의 직하방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2관통부(34)가 열리게 되면, 상기 제2관통부(34)를 이용하여 상기 선반(20)의 바로 아래에 있는 선반(20)에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음식물을 놓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관통부(34)를 활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다시 상기 이동받침부재(38)를 상기 안착리브(28)에 안착시키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 내부의 공간을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 상기 이동받침부재(38)의 이동을 반복하게 되면, 상기 장착부(22)의 앞부분, 즉 상기 안착단(32)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휨모멘트를 반복적으로 받게 된다. 여기서, 장착부(22)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형강(40)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장착부(22)의 앞부분이 상하 및 좌우로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즉, 일차적으로는 보강형강(40)의 수직부(42)에 의해 장착부(22)의 상하 및 좌우변형이 억제되고, 이차적으로 수평부(44)에 의해 좌우 및 상하변형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받침부재(36)가 따로 성형된 후 상기 안착단(32)에 안 착되어 상기 제1관통부(30)를 차폐하도록 구성되나, 상기 제1관통부(30)가 형성되지 않도록 고정받침부재(36)를 선반(20)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선반은 냉장고 내부에 성형되어 있는 지지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에 'L'형 보강형강을 체결시킴으로써, 장착부의 휘어짐을 억제하여 이동받침부재의 임의탈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고내의 양측벽에 형성된 지지부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판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장착부의 하단을 따라 전후방으로 길게 뻗어 형성된 안착리브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이동받침부재;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받침부재; 그리고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구비된 체결부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하변형을 억제하는 수직부와, 상기 체결부의 하면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장착부의 좌우변형을 억제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보강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리브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홈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받침부재를 선택적으로 수납하는 수납지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선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받침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후단에 걸어지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2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와;
    상기 안착리브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선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받침부재는 선택적으로 상기 수납지지단에 수납되어 상기 고정받침부재의 직하방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선반.
  5. 삭제
KR1020050064516A 2005-07-15 2005-07-15 냉장고용 선반 KR101175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516A KR101175805B1 (ko) 2005-07-15 2005-07-15 냉장고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516A KR101175805B1 (ko) 2005-07-15 2005-07-15 냉장고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343A KR20070009343A (ko) 2007-01-18
KR101175805B1 true KR101175805B1 (ko) 2012-08-24

Family

ID=3801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516A KR101175805B1 (ko) 2005-07-15 2005-07-15 냉장고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8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482A (ja) 1981-10-07 1983-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の可変棚
JPS5956684A (ja) 1982-09-27 1984-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の可変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482A (ja) 1981-10-07 1983-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の可変棚
JPS5956684A (ja) 1982-09-27 1984-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蔵庫の可変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343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331B2 (en) Refrigerator receptacle
CN113251735B (zh) 带特定的承载框架的搁板组件以及家用制冷器具
US20100170290A1 (en) Domestic appliance
KR102574759B1 (ko) 냉장고 도어의 조립구조
CN111629633A (zh) 用于抽屉的前面板
KR101275569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장착구조
KR20100032549A (ko) 냉장고의 선반
KR101175805B1 (ko) 냉장고용 선반
US20170370633A1 (en) Regrigerator with glass shelves
US10473383B2 (en) Refrigerator shelf translation system
KR19980053939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어셈블리
KR20180022236A (ko) 냉장고
CN105318638B (zh) 用于制冷器具的冷藏物存放装置
KR100728363B1 (ko) 냉장고용 저장용기의 가이드레일
JP4879698B2 (ja) カウンター隙間部材の施工方法
KR20070004359A (ko) 냉장고의 식품 저장 구조
JP4493568B2 (ja) 冷蔵庫
KR100766112B1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밀폐구조
CN216557910U (zh) 冰箱抽屉
JP2008125635A (ja) 収納ユニット
JP4781182B2 (ja) 家具
KR100487819B1 (ko) 냉장고의 도어용 저장부 구조
JP6857008B2 (ja) 冷蔵庫
KR100518019B1 (ko)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JPH01118087A (ja) 冷蔵庫の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