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743B1 -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743B1
KR101175743B1 KR1020100015849A KR20100015849A KR101175743B1 KR 101175743 B1 KR101175743 B1 KR 101175743B1 KR 1020100015849 A KR1020100015849 A KR 1020100015849A KR 20100015849 A KR20100015849 A KR 20100015849A KR 101175743 B1 KR101175743 B1 KR 10117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plug
beverage
separated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726A (ko
Inventor
최교익
함창범
Original Assignee
함창범
최교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창범, 최교익 filed Critical 함창범
Publication of KR2010013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65D25/087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the partition being in the form of a plug or the like which can be raised off its seat by means of a pull cord or the like, e.g. the plug being connected to the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제1 몸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2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에 설치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회전 또는 오프너의 가압에 의해 제1 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루어진 제1 마개; 상기 제2 몸체를 밀폐시키도록 제2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 마개; 및 상기 제1 마개와 제2 마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마개가 회전되어 이탈될 경우 제2 마개와 분리되고, 상기 제1 마개가 오프너의 가압에 의해 이탈될 경우 제2 마개와 함께 이탈되게 제2 마개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Container of beverage having dual structure}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2종의 음료(주류)를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보관하고,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2종의 음료를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는 사람이 마실 수 있는 액체로서, 물, 차(tea)류, 탄산음료, 식용알코올을 이용한 주류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액체상태의 음료는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고, 원활한 유통 및 판매를 위해서 별도의 음료 용기에 담겨지게 된다. 즉, 음료 용기에는 하나의 음료만 저장?보관되어 사용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서로 다른 2종의 음료를 혼합하여 마시고자 할 때, 별도의 용기를 마련하여 이 용기에 일정량의 음료를 따른 상태에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추가적으로 혼합시켜 이를 마시게 된다.
그러나, 2종 이상의 음료를 혼합한 혼합음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별도의 혼합용기가 필요하며, 2종류 이상의 음료를 구매하여야 하므로 구입비용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음료를 구입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음료가 구입되어 구입한 음료를 전부 섭취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용기에 서로 다른 2종의 음료를 저장?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2종의 음료를 서로 혼합시킬 수 있는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제1 몸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2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에 설치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회전 또는 오프너의 가압에 의해 제1 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루어진 제1 마개; 상기 제2 몸체를 밀폐시키도록 제2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 마개; 및 상기 제1 마개와 제2 마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마개가 회전되어 이탈될 경우 제2 마개와 분리되고, 상기 제1 마개가 오프너의 가압에 의해 이탈될 경우 제2 마개와 함께 이탈되게 제2 마개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마개의 하부와 제2 마개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연결봉이고, 상기 연결봉의 일측은 제1 마개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마개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사용되는 또 다른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마개의 하부와 제2 마개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연결봉이고, 상기 연결봉의 일측은 제1 마개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후크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어 제2 마개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고리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제1 음료와 제2 음료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는, 상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제1 몸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2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에 설치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를 밀폐시키도록 개방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마개; 상기 제2 몸체를 밀폐시키도록 제2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 마개; 상기 제1 마개와 제2 마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마개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1 마개를 가압하여 제1 마개를 1차 개방하거나 제1 마개와 제2 마개를 함께 2차 개방시키는 개봉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봉장치는, 손가락을 집어넣어 힘을 가하기 위한 손잡이부 및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제1 마개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를 구비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제1 마개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1 마개를 관통하여 제2 마개와 연결된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가 제1 마개의 일부를 가압하여 제1 마개의 일부가 1차 개방되도록 지렛대의 받침대 기능을 하는 리벳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봉장치는 제1 마개와 함께 제1 몸체로부터 분리되되, 상기 개봉장치가 제1 마개와 함께 제1 몸체로부터 분리시 제2 마개와 함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방부와 제1 마개의 접촉부에는 절취선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마개의 하면에는 개봉장치의 가압에 의해 1차 개방시 연결부재와 접촉되는 가압봉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사용되는 또 다른 개봉장치는, 손가락을 집어넣어 힘을 가하기 위한 손잡이부 및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제1 마개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를 구비하는 가압부재; 상기 제1 마개를 관통하여 가압부재와 제1 마개를 결합시키고, 상기 가압부가 제1 마개의 일부를 가압하여 제1 마개가 1차 개방되도록 지렛대의 받침대 기능을 하는 리벳부재; 및 상기 손잡이부와 제1 몸체의 상면을 연결하며 상기 가압부재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조절부재는 상기 제1 마개가 개방되어 가압봉이 연결부재에 접촉시 상기 가압부재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봉이 연결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부재에 저지하는 힘보다 높은 힘을 가하여 제2 마개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제1 음료와 제2 음료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빨대가 수납되도록 제1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구와 연통하는 제2 관통구가 제2 마개에 형성되며, 상기 개봉장치는, 손가락을 집어넣어 힘을 가하기 위한 손잡이부 및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제1 마개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를 구비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와 제1 마개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1 마개를 관통하여 제2 마개와 연결된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제1 관통구와 연통하는 제3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가 제1 마개의 일부를 가압하여 제1 마개의 일부가 1차 개방되도록 지렛대의 받침대 기능을 하는 리벳부재; 및 리벳부재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3 관통구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개폐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개봉장치는 제1 마개와 함께 제1 몸체로부터 분리되되, 상기 개봉장치가 제1 마개와 함께 제1 몸체로부터 분리시 제2 마개와 함께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관통구, 제2 관통구 및 제3 관통구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각 관통구를 통해 수납된 빨대는 각 관통구의 내주면과 일정부분 이격되도록 수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서로 다른 2종의 음료를 하나의 음료 용기에 저장?보관하여 선택적으로 2종의 음료를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다. 즉, 2종의 음료가 혼합되지 못하도록 두 개의 마개에 의해 각각 밀봉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마개를 개봉하여 2종의 음료를 각각 섭취하거나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다.
둘째, 하나의 음료 용기를 구매하더라도 2종의 음료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혼합음료를 제조할 경우 별도의 다른 종류의 음료 용기를 구매하지 않아 경제적인 손실이 줄어든다.
셋째,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음료 용기를 투명 재질로 제조하고, 색상이 다른 2종의 음료를 저장?보관함으로써 음료 용기의 미관이 향상된다.
넷째, 상기 음료 용기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2종의 음료를 각각 밀봉시키는 두 개의 마개를 연결하는 연결봉에 광고 문구를 디자인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식별가능하여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구비된 제1 마개만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구비된 제1 마개와 제2 마개가 함께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구비된 또 다른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구비된 개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구비된 개봉장치에 의해 개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구비된 개봉장치에 의해 제2 마개가 개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이중구조를 가는 음료 용기에 구비된 개폐마개에 의해 빨대가 빠져나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100)는 제1 수용부(111)가 형성된 제1 몸체(110), 상기 제1 수용부(111)에 설치되고 제2 수용부(121)가 형성된 제2 몸체(120), 상기 제1 몸체(110)를 밀폐시키는 제1 마개(130), 상기 제2 몸체(120)를 밀폐시키는 제2 마개(140) 및, 상기 제1 마개(130)와 제2 마개(1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50)를 구비한다.
제1 몸체(110)는 제1 음료(W1)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수용부(111)와, 상면이 개방되어 제1 음료(W1)를 배출할 수 있는 주입구(11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몸체(11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제1 마개(130)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11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마개(13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13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마개(130)가 상기 제1 몸체(11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제1 몸체(110)를 밀폐시키게 된다.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의 제1 수용부(111)에 설치되고, 제1 음료(W1)와 다른 종류의 제2 음료(W2)가 저장되는 제2 수용부(121)와, 상면이 개방되어 제2 음료(W2)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22)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몸체(120)는 상기 주입구(112)와 대향되어 제1 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연결부재(150)에 의해 제1 마개(130)와 제2 마개(14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에는 각각 제1 마개(130)와 제2 마개(14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21)가 밀폐되어 제1 수용부(111)에 저장된 제1 음료(W1)와 제2 수용부(121)에 저장된 제2 음료(W2)가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된다.
상기 제1 마개(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몸체(11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된다. 제1 마개(130)는 회전방향에 따라 제1 몸체(110)를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개(130)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 제1 몸체(110)로부터 이탈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제1 몸체(110)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2 마개(140)는 제2 몸체(120)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구(122)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억지끼움이란 구멍에 축을 끼워넣었을 때 틈새가 생기지 않는 구멍과 축의 결합을 뜻하는 것으로서, 구멍의 직경보다 축의 직경이 크게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배출구(122)의 직경보다 제2 마개(140)의 직경이 크게 이루어져 제2 마개(140)에 의해 배출구(122)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2 수용부(121)가 밀폐된다.
한편, 제2 마개(140)의 상면에는 결합부(145)가 마련된다. 상기 결합부(145)는 연결부재(150)와 연결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연결부재(15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그 구조 및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5)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재(150)는 제1 마개(130)와 제2 마개(14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소정 길이 및 소정 강성을 갖는 연결봉(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봉(150)의 일측은 제1 마개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 마개(14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부(145)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145)는 연결봉(150)이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 연결홈(1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봉(150)의 타측에는 연결홈(145)과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155)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마개(130)에 고정된 연결부재(150)가 제2 마개(140)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는, 선택적으로 제1 마개(130)만 제1 몸체(110)로부터 이탈시키거나, 제1 마개(130)와 제2 마개(140)를 함께 이탈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즉, 제1 마개(130)만 제1 몸체(110)로부터 이탈시킬 경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개(130)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 마개(130)에 고정된 연결봉(150)이 함께 회전하며 나사결합된 연결홈(145)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개(140)는 제2 몸체(12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제1 마개(130)와 연결봉(150)만 제1 몸체(110)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제1 마개(130)와 제2 마개(140)를 함께 이탈시킬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개(130)는 별도의 오프너(opener)(O)에 의해 이탈될 수 있다. 즉, 오프너(O)를 제1 마개(130)의 상단에 밀착시킨 후, 오프너(O)를 일정각도 상부로 회동시키면 제1 마개(130)는 오프너(O)에 의해 가압되어 제1 몸체(110)의 주입구(112)로부터 이탈하면서 일부 절곡된다. 이때, 상기 제2 마개(140)는 연결봉(150)과 나사결합된 상태이므로, 제1 마개(130)의 절곡에 따라 연결봉(150)에 의해 힘을 전달받게 된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개(140)가 연결봉(150)에 의해 제1 마개(130)와 함께 이탈된다. 상기 제2 마개(140)가 제2 몸체(120)로부터 이탈되면, 제2 수용부(121)에 저장된 제2 음료(W2)가 제1 수용부(111)에 저장된 제1 음료(W1)와 혼합되어 혼합음료가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마개(130)를 회전시키거나 별도의 오프너(O)를 이용하여 가압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음료 용기(100)에 저장된 2종의 음료(W1)(W2)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제1 수용부(111)에 저장된 제1 음료(W1)만 섭취를 원할 경우, 제1 마개(130)를 회전시키면 되고, 2종의 혼합 음료의 섭취를 원할 경우, 오프너(O)를 이용하여 제1 마개(130)를 가압하여 이탈시키면 된다.
또한, 제1 마개(130)를 회전시켜 제1 음료(W1)만 전부 섭취하게 되면, 남아있는 제2 음료(W2)를 섭취하기 위해, 다시 제1 마개(130)와 연결봉(150)을 제1 몸체(110)에 나사결합시킨 후, 오프너(O)로 제1 마개(130)를 이탈시키면 된다. 즉, 제1 마개(130)를 제1 몸체(110)에 나사결합시 연결봉(150)의 타측이 제2 마개(140)의 연결홈(145)과 나사결합됨으로써, 전술된 오프너(O)를 이용한 제1 마개(130)의 이탈과 동일한 구조로 제2 마개(140)가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음료(W1)를 섭취 후, 제2 음료(W2)를 별도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마개(130)의 회전 및 오프너(O)의 가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 마개(140)의 이탈 여부를 결정하도록 연결부재(150)가 제2 마개(140)에 나사결합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마개(130)의 회전 및 가압에 의해 제2 마개(140)가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이탈된다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채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50')는 소정 길이 및 소정 강성을 갖는 연결봉(150')이고, 상기 연결봉(150')의 일측은 제1 마개(13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 마개(140)의 상면에 마련된 결합부(145')와 고리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봉(150')의 타측에는 후크(hook) 형태의 고리(15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45')는 제2 마개(14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된 후크 형상의 고리(1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45')의 고리는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150')의 타측부에 형성된 고리(155')는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봉(150')과 결합부(145')가 고리연결된 상태에서, 제1 마개(130)의 회전 또는 오프너(O)의 가압에 의한 이탈시 선택적으로 제2 마개(140)가 연결부재(150')로부터 분리되거나 제1 마개(130)와 함께 이탈된다. 이러한 제1 마개(130)의 회전에 따른 제2 마개(140)의 이탈 여부는 나사결합된 연결봉(150)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제조된다. 이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에 저장된 음료(W1)(W2)을 식별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음료(W1)와 제2 음료(W2)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1 수용부(111)에 저장되는 제1 음료(W1)는 무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수용부(121)에 저장되는 제2 음료(W2)는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음료 용기(100)에 담긴 서로 다른 색상의 2종의 음료(W1)(W2)에 의해 음료 용기(100)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110)가 투명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봉(150)(150')의 외주면에 광고 문구를 디자인(미도시) 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연결봉(150)(150')에 디자인된 광고 문구는 제1 수용부(111)에 저장된 제1 음료(W1)에 의해 확대되어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음료(W1)가 볼록렌즈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100)는 음료가 배출되는 입구가 좁은 소위 '병'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200) 즉, '캔' 형상을 갖는 음료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200)는 제1 수용부(211)가 형성된 제1 몸체(210), 상기 제1 수용부(211)에 설치되고 제2 수용부(221)가 형성된 제2 몸체(220), 상기 제1 몸체(210)를 밀폐시키는 제1 마개(230), 상기 제2 몸체(220)를 밀폐시키는 제2 마개(240), 상기 제1 마개(230)와 제2 마개(2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50) 및, 상기 제1 마개(2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제1 마개(230)와 제2 마개(240)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진 개봉장치(260)를 구비한다.
제1 몸체(210)는 제1 음료(W1)를 저장할 수 있는 제1 수용부(211)와, 상면이 개방되어 제1 음료(W1)를 배출할 수 있는 개방부(21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몸체(210)는 상기 개방부(213)가 제1 마개(230)에 밀폐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2 몸체(220)는 제1 몸체(210)의 제1 수용부(211)에 설치되고, 제1 음료(W1)와 다른 종류의 제2 음료(W2)가 저장되는 제2 수용부(221)와, 상면이 개방되어 제2 음료(W2)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2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에는 각각 제1 마개(230)와 제2 마개(240)가 설치된다. 즉, 제1 수용부(211)와 제2 수용부(221)가 밀폐됨에 따라, 제1 수용부(211)에 저장된 제1 음료(W1)와 제2 수용부(221)에 저장된 제2 음료(W2)가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된다.
상기 제1 마개(230)는 상기 개방부(213)를 밀폐하도록 개방부(213)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개방편(2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부(213)와 제1 마개(230)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절취선(C)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편(232)은 후술할 개봉장치(260)에 의해 가압되어 제1 몸체(210)만 1차 개방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절취선(C)은 개봉장치(260)가 제1 몸체(210)로부터 이탈시 제1 마개(230)가 개봉장치(260)와 함께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 마개(240)는 제2 몸체(220)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구(222)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50)는 제1 마개(230)와 제2 마개(240)를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 및 소정 강성을 갖는 연결봉(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봉(250)의 일측은 제1 마개(23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 마개(24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봉(250)의 일측은 개봉장치(260)의 리벳부재(264)에 고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개봉장치(260)는 제1 수용부(211)에 저장된 제1 음료(W1)만 섭취하거나 혹은 제1 음료(W1)와 제2 음료(W2)를 혼합하여 섭취하기 위해 음료 용기(200)를 개봉하는 장치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에 의해 제1 마개(230)의 개봉편(232)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262) 및 상기 가압부재(262)의 지렛대 받침대 기능을 하는 리벳부재(264)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부재(262)는 제1 마개(230)의 상부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넣어 힘을 가하기 위한 손잡이부(262a) 및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제1 마개(230)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가압부(262b)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부재(262)는 상기 리벳부재(264)를 지렛대의 받침대로 하여 가압부(262b)가 제1 마개(230)의 개봉편(232)을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개봉편(232)은 제1 음료(W1)만을 섭취하는 1차 개봉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리벳부재(264)는 상기 제1 마개(230)를 관통하여 가압부재(262)와 제1 마개(230)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 마개(230)를 관통한 리벳부재(264)의 하측에는 연결부재(250)의 일측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개봉장치(26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20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음료(W1)만 섭취를 원할 경우, 개봉장치(260)의 손잡이부(262a)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리벳부재(264)를 중심으로 가압부(262b)가 제1 마개(230)의 개봉편(232)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가압편(232)은 절취선(C)의 일부를 따라 개봉되면서 제1 몸체(210)의 제1 수용부(211)로 밀려들어가 1차 개방된다. 즉, 가압편(232)에 의해 개봉부(213)가 일부 개봉됨에 따라 제1 음료(W1)를 배출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1 음료(W1)와 제2 음료(W2)를 혼합하여 섭취를 원할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편(232)에 의해 1차 개봉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62a)를 후방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그 당김력이 리벳부재(264)에 전달되고 동시에 리벳부재(264)에 고정된 연결봉(250)에 전달된다. 즉, 제1 마개(230)는 절취선(C)을 따라 완전히 개방되고, 제2 마개(240)에 고정된 연결봉(250)에 의해 제2 마개(240)가 함께 2차 개방된다. 따라서, 제2 몸체(220)의 제2 수용부(221)에 저장된 제2 음료(W2)가 제1 음료(W1)와 혼합되어 혼합음료가 제조된다.
한편, 상기 개봉장치(260)에 의해 제1 마개(230)가 1차 개방되고, 개봉장치(260)가 제1 몸체(2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제2 마개(240)와 함께 2차 개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봉장치(260)의 가압에 의해서만 선택적으로 제1 마개만 개방시키거나 제1 마개와 제2 마개를 함께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기 개봉장치(260)를 제1 몸체(21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제1 마개와 제2 마개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개봉장치를 구비한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200')는 제1 수용부(211)가 형성된 제1 몸체(210), 상기 제1 수용부(211)에 설치되고 제2 수용부(221)가 형성된 제2 몸체(220), 상기 제1 몸체(210)를 밀폐시키는 제1 마개(230'), 상기 제2 몸체(220)를 밀폐시키는 제2 마개(240), 상기 제1 마개(230')와 제2 마개(2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50) 및, 상기 제1 마개(2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제1 마개(230')와 제2 마개(240)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진 개봉장치(26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몸체(210), 제2 몸체(220), 제2 마개(240) 및 연결부재(250)는 앞선 실시예의 제1 몸체(210), 제2 몸체(220), 제2 마개(240) 및 연결부재(250)와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다만, 제1 마개(230')와 개봉장치(260')의 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제1 마개(230')는 제1 몸체(210)의 상면에 형성된 개방부(213)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마개(230')는 일부분이 제1 몸체(210)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나머지 부분에는 절취선(C)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마개(230')는 후술할 개봉장치(260')의 가압에 의해 상면과 일체로 형성된 부분을 기준으로 절곡되며 제1 개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마개(230')의 하면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가압봉(235')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봉(235')은 제1 마개(230')의 1차 개봉시 연결부재(250)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50)는 제1 마개(230')의 하면에 고정되되, 제1 마개(230')가 절곡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봉장치(260')는 가압에 의해 제1 마개(23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262'), 상기 가압부재(262')의 지렛대 받침대 기능을 하는 리벳부재(264') 및 상기 가압부재(262')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개방조절부재(26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262')와 리벳부재(264')는 전술된 개봉장치(260)의 가압부재(262) 및 리벳부재(264)와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개방조절부재(266')는 상기 가압부재(262')의 손잡이부(262a')와 제1 몸체(210)의 상면을 연결하며, 가압부재(262')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방조절부재(266')는 상기 제1 마개(230')가 개방되어 가압봉(235')이 연결부재(250)에 접촉되면 가압부재(262')가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개방조절부재(266')는 예컨대, 소정 길이를 갖는 끈(266')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끈(266')의 길이는 가압부재(262')에 의해 제1 마개(230')가 1차 개방시 제1 마개(230')의 하면에 설치된 가압봉(235')이 연결부재(250)에 접촉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끈(266')은 제1 몸체(210)의 상면에 놓여있으며, 가압부재(262')에 의한 1차 개방시 가압부재(262')는 상기 끈(266')의 길이만큼 회동하며 제1 마개(23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마개(230')가 개방되면, 제1 마개(230')의 하면에 형성된 가압봉(235')이 연결부재(250)의 측면과 접촉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개봉조절부재(266')가 저지하는 힘보다 높은 힘으로 가압부재(262')를 가압하면 제2 마개(24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개방된 상태에서 가압부재(262')를 소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면, 연결부재(250)와 접촉된 가압봉(235')이 연결부재(25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제2 마개(240)가 제2 몸체(220)로부터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개봉조절부재(266')인 끈은 2차 개방을 위한 가압력의 의하여 끊어지거나 손잡이부(262a') 또는 제1 몸체(21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어 1차 개방된 상태로부터 가압부재(262')가 더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용부(211)에 저장된 제1 음료(W1)와 제2 수용부(221)에 저장된 제2 음료(W2)가 혼합되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2 마개(240)는 가압봉(235')의 가압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제2 몸체(220)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에 따르면 빨대가 수납되어 선택적으로 제2 수용부에 저장된 음료를 섭취하도록 또 다른 개봉장치가 채용될 수 있는데, 그러한 실시예 중의 하나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200")는 제1 수용부(211)가 형성된 제1 몸체(210), 상기 제1 수용부(211)에 설치되고 제2 수용부(221)가 형성된 제2 몸체(220), 상기 제1 몸체(210)를 밀폐시키는 제1 마개(230), 상기 제2 몸체(220)를 밀폐시키는 제2 마개(240"), 상기 제1 마개(230)와 제2 마개(2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50") 및, 상기 제1 마개(2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제1 마개(230)와 제2 마개(240")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진 개봉장치(26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몸체(210), 제2 몸체(220) 및 제1 마개(230)는 앞선 실시예의 제1 몸체(210), 제2 몸체(220) 및 제1 마개(230)와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다만, 제2 마개(240"), 연결부재(250")와 개봉장치(260")의 구조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250")는 제1 마개(230)와 제2 마개(240")를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 및 소정 강성을 갖는 연결봉(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봉(250")의 일측은 제1 마개(23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 마개(24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봉(250")의 일측은 개봉장치(260")의 리벳부재(264")에 고정된다.
즉, 이러한 연결부재(250")는 앞선 실시예의 연결부재(25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상기 연결부재(25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제1 관통구(258")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마개(240")에는 상기 제1 관통구(258")와 연통하는 제2 관통구(248")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마개(240")는 앞선 제2 마개(240)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만 제1 관통구(258")와 연통하도록 제2 관통구(248")가 형성된 것에 있어 차이가 있다.
상기 개봉장치(260")는 가압에 의해 제1 마개(23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262"), 상기 가압부재(262")의 지렛대 받침대 기능을 하며 상기 제1 관통구(258")와 연통하는 제3 관통구(268")가 형성된 리벳부재(264") 및 상기 리벳부재(264")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3 관통구(268")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개폐마개(269")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262")는 전술된 개봉장치(260)의 가압부재(262)와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리벳부재(264")는 상기 제1 마개(230)를 관통하여 가압부재(262")와 제1 마개(230)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리벳부재(264")의 하측에는 연결부재(250")의 일측이 고정되어 제1 관통구(258")와 제3 관통구(268")가 연통된다. 즉, 상기 제1 관통구(258")와 제2 관통구(248") 및 제3 관통구(268")는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일직선을 이룬다.
이러한 제1 관통구(258")와 제2 관통구(248") 및 제3 관통구(268")를 통하여 빨대(10)가 수납된다. 즉, 상기 빨대(10)의 하측 일부가 제2 마개(240")의 제2 수용부(221)에 위치되며, 빨대(10)의 상측이 리벳부재(264")의 제3 관통구(268") 내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빨대(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부분에 자바라 구조의 주름부(11)가 형성된 통상적인 빨대이다. 단, 상기 빨대(10)의 길이는 주름부(11)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수용부(221)의 바닥면으로부터 리벳부재(264")의 상면 부근까지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후술할 개폐마개(269")를 제거시 제3 관통구(268")를 통하여 빨대(10)를 용이하게 빼내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빨대(10)는 각 관통구(258")(248")(268")의 내주면과 일정부분 이격되도록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빨대(10)를 통하여 제2 음료(W2)를 섭취시 용이하게 제2 음료(W2)를 섭취하기 위함이다. 즉, 빨대(10)와 각 관통구(258")(248")(268")의 이격된 공간은 공기가 순환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개폐마개(269")는 리벳부재(264")의 상단에 설치되어 제3 관통구(268")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마개(269")는 상기 제3 관통구(268")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삽입부(269a") 및 상기 삽입부(269a")와 연결되어 상기 제3 관통구(26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머리부(269b")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3 관통구(268")에는 상기 삽입부(269a")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부(269a")가 제3 관통구(268")에 나사결합시 머리부(269b")에 의하여 개폐마개(269")가 제3 관통구(268")로 들어가지 못하고 리벳부재(264")의 상단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개폐마개(269")를 리벳부재(264")의 상단에 설치하여 제3 관통구(268")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수단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3 관통구(268")를 밀폐시키며 상기 관통구들(258")(248")(268")을 통해 수납된 빨대(10)를 선택적으로 빼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채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리벳부재(264")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리벳부재(264")의 상단에 초음파 접착되어 제3 관통구(268")를 밀폐시키는 박판이나 상기 제3 관통구(268")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져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탄성재질로 제조된 고무마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리벳부재(264")의 제3 관통구(268")를 개방함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빨대(10)가 리벳부재(264")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진다. 이는 상기 빨대(10)가 제2 수용부(221)에 저장된 제2 음료(W2)의 부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올라오게 된다.
더욱이, 상기 빨대(10)에 형성된 주름이 일정부분 펴지면서 빨대(10)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리벳부재(264")의 상단으로 빨대(10)의 일부가 돌출되어 진다. 이에, 돌출되어진 빨대(10)를 이용하여 제2 수용부(221)에 저장된 제2 음료(W2)를 선택적으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전술된 실시예들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벳부재(264")의 상단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2 마개(240")를 제거함으로써 제1 수용부(211)와 제2 수용부(221)에 저장된 음료를 혼합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각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제조되고, 제1 음료(W1)와 제2 음료(W2)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제1 음료(W1)는 무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봉(250)의 외주면에는 광고 문구가 디자인될 수 있다. 즉, 상기 음료 용기(200)(200')(200")는 전술된 '병' 형상을 갖는 음료 용기(100)의 재질 및 음료의 색상과 동일하며, 연결봉(150)(150')에 의한 광고 효과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100)(200)(200')(200")는 편리하게 2종의 음료를 혼합하여 혼합음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다른 색상의 2종의 음료가 저장되어 음료 용기의 미관이 향상됨에 따라 음용뿐만 아니라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인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병 형상을 갖는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100)는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에 고정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기존의 유리병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병에 제2 몸체(120)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즉, 제2 몸체(120)의 직경을 제1 몸체(110)의 주입구(112)의 직경보다 작도록 하여 제1 몸체(110)에 삽입시킨 후, 접착제, 고주파 접착, 가열에 의한 접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1 몸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1 : 제1 음료 W2 : 제2 음료
100, 200, 200', 200" :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110, 210 : 제1 몸체 120, 220 : 제2 몸체
130, 230, 230' : 제1 마개 140, 240, 240" : 제2 마개
150, 150' 250, 250" : 연결부재 260, 260', 260" : 개봉장치

Claims (12)

  1.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1 수용부가 형성된 제1 몸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2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에 설치된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1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회전 또는 오프너의 가압에 의해 제1 몸체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루어진 제1 마개;
    상기 제2 몸체를 밀폐시키도록 제2 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 마개; 및
    상기 제1 마개와 제2 마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제1 마개가 회전되어 이탈될 경우 제2 마개와 분리되고, 상기 제1 마개가 오프너의 가압에 의해 이탈될 경우 제2 마개와 함께 이탈되게 제2 마개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마개의 하부와 제2 마개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연결봉이고, 상기 연결봉의 일측은 제1 마개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마개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마개의 하부와 제2 마개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연결봉이고, 상기 연결봉의 일측은 제1 마개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후크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어 제2 마개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고리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제1 음료와 제2 음료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15849A 2009-06-24 2010-02-22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KR101175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86 2009-06-24
KR20090056586 2009-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726A KR20100138726A (ko) 2010-12-31
KR101175743B1 true KR101175743B1 (ko) 2012-08-21

Family

ID=4351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849A KR101175743B1 (ko) 2009-06-24 2010-02-22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15B1 (ko) * 2013-03-13 2014-01-09 한동호 2액형 음료용기
KR20180083291A (ko) * 2018-07-12 2018-07-20 이강욱 아이스 음료 농도 유지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9044A (ja) * 1996-11-08 1998-05-26 Kobayashi Bankin Kogyo Kk 中間隔壁を有する缶容器
JP2008239246A (ja) 2007-02-28 2008-10-09 Tetsuo Tanaka 飲料容器
KR100864782B1 (ko) 2006-06-08 2008-10-22 목은상 씨리얼과 우유 또는 음료를 함께 먹을 수 있는 우유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9044A (ja) * 1996-11-08 1998-05-26 Kobayashi Bankin Kogyo Kk 中間隔壁を有する缶容器
KR100864782B1 (ko) 2006-06-08 2008-10-22 목은상 씨리얼과 우유 또는 음료를 함께 먹을 수 있는 우유팩
JP2008239246A (ja) 2007-02-28 2008-10-09 Tetsuo Tanaka 飲料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415B1 (ko) * 2013-03-13 2014-01-09 한동호 2액형 음료용기
WO2014142445A1 (ko) * 2013-03-13 2014-09-18 Han Dong Ho 2액형 음료용기
CN104755386A (zh) * 2013-03-13 2015-07-01 韩曈皓 双液式饮料容器
KR20180083291A (ko) * 2018-07-12 2018-07-20 이강욱 아이스 음료 농도 유지기
KR102046257B1 (ko) 2018-07-12 2019-11-18 이강욱 아이스 음료 농도 유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726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0802B (zh) 具有可拆移盖子的饮料容器
US20080011748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JP2011016588A (ja) 飲料の注入方法
US20120228166A1 (en) Single Serve Combination Wine Bottle and Wine Glass
US20080105639A1 (en) Fresh product dispensing system
CN104755386A (zh) 双液式饮料容器
KR101175743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음료 용기
KR10142409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US10981689B2 (en) Multiple container device
KR20120001224U (ko) 이중 병마개의 내,외부마개의 결속구조
KR101424381B1 (ko) 컵(또는 잔) 형태로 전환되는 용기
US20050155974A1 (en) Drinking vessel designed to incorporate an alcoholic beverage container
KR20080000223U (ko) 티 캡
KR20120001097U (ko) 병뚜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음용수 병
US20110042342A1 (en) Reusable container closure
RU113723U1 (ru) Насадка для бутылки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WO2007135560A2 (en) Stopper for bottles or receptacles of various kind
KR200326267Y1 (ko) 음료수 용기의 체결구조
TWI323719B (en) Beverage bottle with material separated from solution
KR200397046Y1 (ko) 커플 용기
KR200311192Y1 (ko) 컵 겸용 병마개
KR20130101747A (ko) 복수의 용기목에 결합되는 병마개
KR20100011941U (ko) 이중사출 방식의 통 뚜껑
KR200403951Y1 (ko) 분리형 음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