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951Y1 - 분리형 음용용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음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951Y1
KR200403951Y1 KR20-2005-0028711U KR20050028711U KR200403951Y1 KR 200403951 Y1 KR200403951 Y1 KR 200403951Y1 KR 20050028711 U KR20050028711 U KR 20050028711U KR 200403951 Y1 KR200403951 Y1 KR 200403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inking
lid
lower lid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수
Original Assignee
전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수 filed Critical 전광수
Priority to KR20-2005-0028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나누는 분리막을 갖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중앙이 관통된 하부뚜껑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뚜껑 상단에는 주입구를 갖는 상부뚜껑이 하부뚜껑의 외주면을 감싸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뚜껑부;로 구성된 분리형 음용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음용용기는 하나의 용기 내에 두 가지 이상의 음료를 충진하고 용이하게 구분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매자는 좀 더 다양화된 제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제품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음용용기{A separate drinking pail}
본 고안은 분리형 음용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둘 이상의 분리된 용기부를 갖도록 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두 가지 이상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설계된 분리형 음용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용용기로는 탄산음료나 과일음료, 녹차, 생수를 담는데 사용되는 알루미늄 캔과 피트(PET)병, 유리병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 캔은 알루미늄 재질의 몸체에 소정의 음료가 충진되고, 그 상면에는 고리를 이용하여 억지로 힘을 가하면 주입구 부분이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피트(PET)병은 음료가 충진되는 몸체를 합성수지의 한 종류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를 성형한 제품으로 상면에는 나사결합에 의해 개폐되는 뚜껑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유리병은 주로 탄산음료나 맥주를 담는데 사용되며 유리를 성형하여 제조된 몸체에 음료를 충진하고, 그 상면에 금속의 뚜껑을 억지로 결합시켜 병따개를 이용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음용용기들은 재질이나 구성에서는 차이점이 있으나 음료가 충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충진된 음료를 마시기 위한 주입구 또는 뚜껑이 구비된 공통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현재까지 소개되고 있는 음용용기들은 대부분 한 종류의 음료만을 충진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구매자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그 종류만큼의 음료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며, 판매자들은 구매자들에게 좀 더 다양화된 상품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용기 내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음용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나누는 분리막을 갖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중앙이 관통된 하부뚜껑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뚜껑 상단에는 주입구를 갖는 상부뚜껑이 하부뚜껑의 외주면을 감싸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뚜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용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용용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음료가 충진되는 용기부(10)와, 상기 용기부(10)의 상단에 삽입되어 충진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부(2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용기부(10)는 그 내부에 음료가 충진되는 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밀폐성을 갖는 분리막(11)이 설치되어 두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와 같은 분리된 공간에 각각 다른 종류의 음료를 충진하게 된다.
뚜껑부(20)는 용기부(10)의 상단에 삽입되며 중앙이 관통된 하부뚜껑(22)과, 상기 하부뚜껑(22)의 외주면을 감싸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뚜껑(2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뚜껑(21)에는 용기부(10)에 충진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주입구(25)가 구비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인 (25a)는 주입구(25)를 밀봉하기 위한 밀폐구로서, 이러한 밀폐구(25a)는 최초 제품 생산시 주입구(25)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기부(10)와 뚜껑부(20)는 알루미늄 캔의 형태로 일체화 성형하거나, 용기부(10)와 뚜껑부(20)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고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용기부(10)와 뚜껑부(20)가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기부(10)와 하부뚜껑(22)의 접합면에 나선부(12)를 형성하여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이 이루어짐으로써, 용기부에 음료를 재충전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음용용기는 용기부(10)에는 분리막(11)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에 각각 다른 음료가 충진되어 있고, 그 상단에 뚜껑부(20) 중 하부뚜껑(22)은 용기부(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뚜껑(21)은 하부뚜껑(22)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주입구 방향을 마시고자 하는 음료가 충진된 부분으로 회전시켜 음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용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의 내부공간이 분리막(11)에 의해 3개의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뚜껑부(20)는 도 1과 도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세 공간으로 분리된 용기부(10)의 경우에도 상부뚜껑(21)을 회전하여 주입구(25) 부분을 마시고자 하는 음료가 담긴 공간에 위치시키면 용이하게 음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용용기는 하나의 용기 내에 두 가지 이상의 음료를 충진하고 용이하게 구분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매자는 좀 더 다양화된 제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제품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형 음용용기는 하나의 용기 내에 두 가지 이상의 음료를 충진하고 용이하게 구분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판매자는 좀 더 다양화된 제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제품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용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용용기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용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용기부
11 : 분리막 12 : 나선부
20 : 뚜껑부
21 : 상부뚜껑 22 : 하부뚜껑
25 : 주입구 25a : 밀폐구

Claims (2)

  1. 내부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나누는 분리막을 갖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중앙이 관통된 하부뚜껑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뚜껑 상단에는 주입구를 갖는 상부뚜껑이 하부뚜껑의 외주면을 감싸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뚜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용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와 하부뚜껑의 접합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용용기.
KR20-2005-0028711U 2005-10-07 2005-10-07 분리형 음용용기 KR200403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711U KR200403951Y1 (ko) 2005-10-07 2005-10-07 분리형 음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711U KR200403951Y1 (ko) 2005-10-07 2005-10-07 분리형 음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951Y1 true KR200403951Y1 (ko) 2005-12-14

Family

ID=4370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711U KR200403951Y1 (ko) 2005-10-07 2005-10-07 분리형 음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9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525B2 (en)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US10569924B2 (en) Lightweight polymeric container finish
US20010022304A1 (en) Container
US20060102581A1 (en) Multiple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filling and assembling same
AU2005332139A1 (en) Liquid container
WO2013043211A1 (en) Single serving beverage vessel with a resealable lid
US20010035417A1 (en) Resealable cup-shaped beverage container
KR20080068081A (ko) 병과 컵/뚜껑 조합체
US20140332495A1 (en) Beverage or alcohol container
US20220041339A1 (en) Single anchor closure
WO2002036444A1 (en) Container module and modular container formed therefrom
KR10142409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EP0117948B1 (en) Container for beverages
KR100980768B1 (ko) 이중용기
KR200403951Y1 (ko) 분리형 음용용기
KR20090041265A (ko) 고형 및 액상물질을 분리 수용하는 용기
KR200314066Y1 (ko)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
AU2013101237A4 (en) A spill proof beverage container
RU54902U1 (ru) Бутылка
EP2643228B9 (en) Beverage container and stopper for such container
KR20110107553A (ko) 이중 뚜껑을 겸비한 더블 페트병
TWM550720U (zh) 飲料杯及其杯蓋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0363580Y1 (ko) 용이한 성형 및 밀폐구조를 갖는 음료뚜껑
EP1254847A1 (en)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