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378B1 - Lif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including two or more motors - Google Patents

Lif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including two or more mot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378B1
KR101174378B1 KR1020100006951A KR20100006951A KR101174378B1 KR 101174378 B1 KR101174378 B1 KR 101174378B1 KR 1020100006951 A KR1020100006951 A KR 1020100006951A KR 20100006951 A KR20100006951 A KR 20100006951A KR 101174378 B1 KR101174378 B1 KR 101174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s
motor
wire
power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9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7503A (en
Inventor
허정순
Original Assignee
(주) 청원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청원기연 filed Critical (주) 청원기연
Priority to KR1020100006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378B1/en
Publication of KR2011008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andcar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는, 동력부는, 동력원으로서 동일한 출력을 가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모터들 각각을 제1 모터 내지 제n 모터라 할 때, 와이어 드럼은 모터 개수 n의 자연수 배수에 해당되는 개수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 하나당 동일한 수가 동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모터 내지 제n 모터 중 어느 한 모터 및, 상기 어느 한 모터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한 조의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 구동부 내지 제n 구동부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구동부 내지 제n 구동부에 각각 포함되는 한 조의 상기 와이어 드럼들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축들은, 기계적인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 회전수를 강제하는 동기화 연결축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종래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승강 견인력이나 속도를 실현할 수 있으면서도, 모터의 용량 증가에 따른 하중 집중 등에 따른 구조 불안정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 car lift having a plurality of mo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unit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motors having the same output as a power source, and when each of the motors is called a first motor to an nth motor, The drum is composed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a natural number drainage of the number n of motors, and the same number per one motor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rum is one of the first to n-th motors and one or more of the motors. The first to n-th driving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set of wire drum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ower shafts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pair of wire drums respectively included in the first to n-th driving units are mechanical. It is configured to be interconnected by a synchronous connecting shaft forcing the same rotational speed by being connected in a manner, twic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ith all possible to realize a lifting or pulling force on the speed,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problems such as unstable structure or the like in accordance with load concentration due to the increase of the capacity of the motor.

Description

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LIF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INCLUDING TWO OR MORE MOTORS}LIFT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INCLUDING TWO OR MORE MOTORS}

본 발명은 카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굴착 현장과 같은 공사 작업에 적용되며, 덤프 트럭, 공사용 중장기 등의 하중물을 단차진 두 지점 이상에 승강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카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lift, and more particularly, mainly applied to construction work such as excavation site, the car is configured to move by lifting a load such as a dump truck, construction medium and long term to two or more steps It's about the lift.

지하철 공사 현장과 같이 지면을 굴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곳에서는, 트럭, 레미콘 등과 같은 공사용 장비 등을 지상으로부터 굴착된 작업 현장으로 이동 시켜주어야 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한다.In places where excavations are performed on the ground, such as subway construction sites, it is common to move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trucks and ready-mixed concrete from the ground to the excavated work sites.

이러한 때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로서, 지상의 하부에 위치하는 굴착 지점과 지상을 연결하는 승강기의 개념으로 작업 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카리프트가 사용되고는 한다.As an essential equipment at this time, a car lift that is temporarily fixed during the working period is used in the concept of an elevator connecting the ground with an excavation poin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ground.

전술한 카리프트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통해 종래에 사용되어온 카리프트의 일례를 설명한다.In order to briefly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ar lift, an example of a car lift conventionally us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카리프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품들의 연결관계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위쪽에서 본 평면도 형태로 카리프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뼈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정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져 각 구성 부품이 설치되는 주 프레임(10)과, 상기 주 프레임(10)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카리프트 장비의 동력원인 모터(20), 상기 모터(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두 개의 와이어 드럼(30) 및, 상기 와이어 드럼(30)에 일단이 결합됨으로써 회전에 따라 와이어 드럼(4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40)가 도시된다.Figure 3 is a plan view from the top to show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car lift in the form of a car,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xed structure, so as to serve as a skeleton supporting the entire structure Two wires that ar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frame 10, the motor 20, which is a power source of the carlift equipment, and is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10, in which component parts are installed. One end is coupled to the drum 30 and the wire drum 30, and the wire 40 is wound or un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drum 40 as it is rotated.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와이어 드럼(30) 한 개로부터 각각 두 개의 와이어(40)가 서로 반대 방향의 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두 개의 와이어 드럼(30)으로부터 연장된 네 방향의 와이어(40)는 각각 상기 주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되는 부분인 카트(도시되지 않음)의 네 부분에 안정적으로 균등하게 견인력을 가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since the two wires 40 extend from two wire drums 30 in two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e four wires 30 extend from two wire drums 30. The wires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stably and equally apply traction to four portions of the cart (not shown), which are each supported and lifted by the main frame 10.

한편, 상기 모터(20)와 와이어 드럼(30)의 연결 경로 상에는, 모터(20)의 동력축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출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감속 기어 조합을 포함하는 감속기(27) 및 비상 정지나, 모터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모터 브레이크(28)가 개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on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motor 20 and the wire drum 30, the reducer 27 and the emergency stop including a reduction gear combination for reducing the power shaft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20 to increase the output, It is common to interpose a motor brake 28 to prevent the motor from rotating in reverse.

도시된 예는 동력원인 모터로부터 와이어 드럼 등이 직접 동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된 모터 직결 방식 카리프트로서, 과거에는 전동 모터를 구동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된 유압의 힘으로 유압 모터를 구동하여 와이어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카트를 승강시키는 유압 방식 리프트가 많이 쓰였으나, 유압 발생 장치 및 와이어 드럼 구동 장치 등 지상에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부품이 많고, 따라서 동력 전달 경로 또한 길고 복잡하여 효율이 떨어지는 반면, 도시된 모터 직결 방식 카리프트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고속의 승강 작업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The illustrated example is a motor direct type car lift connected to directly receive power by a wire drum, etc. from a motor as a power source. In the past, a hydraulic motor is generated by driving an electric motor, and a hydraulic motor is driven by the generated hydraulic power. Many hydraulic lifts are used to rotate the drums to lift and unroll the wires, but there are many components that need to be installed separately on the ground, such as hydraulic generators and wire drum driv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motor direct type car lift show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high speed lifting operation is possible.

반면, 최근의 작업 추세는 더 빠른 승강 속도를 구현하고, 더 높은 하중을 감당할 수 있는 카리프트를 요구하고 있으나, 모터 직결 방식의 경우, 더 강한 출력을 내기 위해서는 더 높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예를 들어 모터의 용량이 400kW에 육박하는 경우, 모터 자체의 하중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이에 따른 감속기의 크기, 중량도 커지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주 프레임의 상부에 이러한 부품들이 설치될 경우 집중되는 하중이 너무 커서 구조가 불안정해지며, 이들을 지상으로 내려 놓을 경우 와이어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리턴 활차가 많이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 등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recent work trends require higher lift speeds and lifts that can handle higher loads.However, in the case of the motor direct connection method, a higher capacity motor must be used to produce a stronger output. For example, when the capacity of the motor is close to 400 kW, the load of the motor itself is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size and weight of the speed reducer are also increased, so that such component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in the form as shown. In this case, the concentrated load is so large that the structures become unstable, and when they are lowered to the groun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return pulley must be used to change the wire angle.

더욱이, 동일 출력에서도 수배의 견인력을 내기 위해서, 움직 도르래의 원리를 적용하여 승강 속도는 감소되는 대신 카트 견인력을 수배로 높이는 구조가 적용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카트에 풀리(pulley,도르래)를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이동 풀리(움직 도르래)를 이용하는 구조의 카리프트의 경우, 와이어 드럼으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를 풀리를 거쳐 리턴하여 다시 주프레임 상부측에 연결한 구조가 되므로, 카트 승강시 감당하여야 하는 하중은 반으로 감소하는 반면 와이어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의 길이는 2배가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하나의 와이어 드럼에 두 방향의 와이어를 감는 구조에 있어서는, 와이어 드럼의 길이 확장 한계에 따른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굴착 깊이가 수십 미터에 달할 정도로 깊은 작업장에 사용되는 카리프트에 있어 더욱 큰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
Furthermore, in order to produce multiple times of traction even at the same output, the principle of moving pulley is applied to increase the cart traction by several times instead of reducing the lifting speed. For example, a pulley is installed on the cart. Thus, in the case of a car lift structure using a moving pulley (moving pulley), the wire extending from the wire drum is returned through the pulley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frame, so that the load to be taken up and down the cart Since the length of the wire wound on the wire drum is reduced by half, the length of the wire wound on the wire drum is doubled. Thus, in the structure of winding the wire in two directions in one wire drum in the form as shown in FIG. Problems can also arise, especially in workplaces where the excavation depth is tens of meters. In the car for a lift that has been emerging as a bigger problem.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카리프트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ar lift,

모터 출력의 증가에 따른 하중 집중으로 인한 구조 불안정화를 방지하면서도, 높은 출력으로 빠른 속도와 강한 견인력을 담보할 수 있는 카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 capable of ensuring high speed and strong traction at high power while preventing structural instability due to load concentration due to the increase in motor power.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카리프트에 움직도르래 원리를 적용하면서도,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 드럼의 외주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의 와이어 드럼이 제공될 수 있는 구조의 카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 of a structure in which an appropriate number of wire drums can be provided so as to sufficiently secure the outer circumferential area of the wire drum to which the wire is wound while applying the pulley principle to the lift.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는, 다른 높이로 단차진 두 곳 이상의 지점에 하중물, 특히 트럭 등 공사용 차량을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승강 작업의 수행을 위하여,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고정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져 각 구성 부품이 설치되는 주 프레임과, 상기 하중물이 탑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되는 부분인 카트, 상기 카트에 승강 이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카트에 연결되어 승강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상기 동력부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외주면상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된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동력원으로서 동일한 출력을 가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터들 각각을 제1 모터 내지 제n 모터라 할 때(n은 2 이상의 정수), 상기 와이어 드럼은 상기 모터 개수 n의 자연수 배수에 해당되는 개수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 하나당 동일한 수가 동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모터 내지 제n 모터 중 어느 한 모터 및, 상기 어느 한 모터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한 조의 와이어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 구동부 내지 제n 구동부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구동부 내지 제n 구동부에 각각 포함되는 한 조의 상기 와이어 드럼들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축들은, 기계적인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 회전수를 강제하는 동기화 연결축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r lif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arrying out the lifting operation to move the load, in particular trucks, such as construction vehicles at two or more points stepped to different heights , A cart consisting of a fixed structure supporting the entire structure and a main frame on which each component is installed, and a structure on which the load can be mounted and being supported and lifted by the main frame, lifting the cart Carrier comprising a power unit for providing a moving force, a wire connected to the cart to transfer the lifting power, a wire drum rotated by the power from the power unit configured to wind or unwind the wir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power unit may include at least two motors having the same output as a power source. Wherein each of the motors is a first motor to an nth motor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the wire drum is configured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a natural number multiple of the motor number n, and the same number per motor By being energized, the first to n-th driving unit including any one of the first to n-th motors and one or more pairs of wire drums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motors is formed. The power shafts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set of wire drums respectively included in the first to nth driving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ynchronous connecting shaft forcing the same rotational speed by being connected in a mechanical manner. .

더욱이, 상기 동기화 연결축은 유니버셜 조인트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synchronization connecting shaft is preferably a universal joint structure.

더욱이, 상기 와이어 드럼은, 상기 와이어와 상기 카트와의 연결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drum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ire and the cart.

이때, 상기 와이어와 상기 카트의 연결부는, 상기 하중물이 탑재되는 상기 카트의 사각 형태 바닥면의 꼭지점 부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4개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드럼 역시 상기 4곳의 연결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와이어가 각각 독립적으로 감기거나 풀릴수 있도록 4개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모터는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2개가 구비되어 각각 2개씩의 와이어 드럼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를 이룸으로써, 상기 각각의 구동부를 구성하는 한조의 상기 와이어 드럼들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축들이 동일한 시간당 회전수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동기화 연결축에 의해 상호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re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art, four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vertex portion of the square bottom surface of the cart on which the load is mounted, so that the wire drum also extends from the four connection portion Four wires are provided so that each of the wires can be independently wound or unwound, while the motor is provided with two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wo wire drums, respectively. By forming two driving units, the power shafts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pair of wire drums constituting the driving units may be interconnected by the synchronization connecting shafts so that the power shafts may have the same rotational speed.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r lift with a plurality of mo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종래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승강 견인력이나 속도를 실현할 수 있으면서도, 모터의 용량 증가에 따른 하중 집중 등에 따른 구조 불안정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attain more than twice the lifting traction force and speed than in the prior art, and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structural instability due to load concentration caused by an in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motor.

둘째, 카트의 서로 다른 지점에 연결되는 각 와이어에 걸리는 견인력, 속도를 완벽하게 일치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카트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Second, by perfectly matching the traction force, the speed applied to each wire connected to different points of the cart, the stable operation of the cart can be made.

셋째, 작업을 위한 이동 높이차의 증가 및/또는 움직 도르래 원리 적용에 따른 와이어의 길이 증가시에도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 드럼의 수를 다양하게 변경하기 용이한 구조로 제공된다.
Third, in order to cope with the increase in the moving height difference for work and / or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moving pulley principle, the structure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easy to change the number of wire drums to which the wire is wound.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카리프트의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카리프트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car lift having a plurality of moto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carft of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ar lift.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한편, 도 3을 통해서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서와 동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similar functions as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종래 카리프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 3과 유사한 관찰 각도를 가지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로서, 트럭 등의 하중물에 대한 승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 및 작업 모습의 예를 도시한다.
1 is a plan view from above of a car lift having a plurality of moto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an observation angle similar to that of FIG. 3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ar lift, and FIG. As a front view of a car lift having a plurality of moto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s seen from the front, an example of a specific structure and operation for carrying out a lifting operation for a load such as a truck is show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리프트 역시 도 3을 통해 전술한 카리프트와 마찬가지로 동력원으로서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드럼(30)들, 상기 와이어 드럼(30)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와이어 드럼의(30) 외주에 연결된 와이어(40)와 이들을 지지하는 뼈대를 이루는 구조물인 주프레임(10)을 구비한 구조이나,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예가 모터(20) 한 개와, 상기 모터(20)에 연결된 두 개의 와이어 드럼(30)만으로 구성된 것과는 달리, 제1 모터(21)와 제2 모터(22)의 두 개의 모터와, 상기 모터들에 각각 두 개씩 동력적으로 연결된, 총 네 개의 와이어 드럼(30)들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구성상의 큰 차이를 보인다.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wound or unwound to the motor as a power source, the wire drum 30, the wire drum 30 is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wire drum 30, as in the above-described car lift through One end is a structure having a main frame 10, which is a structure forming a skeleton for supporting the wire 40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re drum 30, the conventional example shown in Figure 3 is a motor 20 Unlike only one and two wire drums 30 connected to the motor 20, two motors of the first motor 21 and the second motor 22 and two motors of the motors are respectively provide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configuration in that it has a total of four wire drums (30) connected.

즉, 종래에 사용되는 용량의 모터 개수를 두 배로 증가시킴으로써 출력을 두 배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22)들이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출력은 배수로 증가시키면서도, 설치 위치를 적절히 균형있게 선택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용량이 큰 한 개의 모터를 설치하는 경우 주 프레임(10)상의 일 지점에 하중이 집중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구조가 불안해지는 단점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output can be doubled by doubling the number of motors of the conventional capacity, as shown in the case where the motors 21 and 22 are composed of two or more, while the output increases in multiples, By properly selec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e becomes unstable as a whole by the load concentration on one point on the main frame 10 when installing a single motor having a larger capacity than the conventional.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모터(21)와 제2 모터(22)는 동일한 용량의 것이 선택되고, 상기 모터들에 동일한 수의 와이어 드럼(30)들이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도시된 예와 같이 사각 바닥면을 가진 카트(50)의 네 지점에 연결되는 와이어(40)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감을 수 있는 네 개의 와이어 드럼(30)을 구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2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50)에 장착된 풀리(60)를 경유하여 와이어(50)를 리턴하는 구조로 움직 도르래 원리를 적용하거나, 작업을 위한 굴착 깊이가 크게 증가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종래 문제가 되었던, 와이어(40)의 길이 증가에 따른 와이어 드럼(30)의 표면적 확보 한계치를 크게 확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tor 21 and the second motor 22 are selected to have the same capacity, and the same number of wire drums 30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motors, respectively, the illustrated example As shown in FIG. 2, four wire drums 30 can be independently wound to wires 40 connected to four points of the cart 50 having a rectangular bottom surfac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ulley 60 is mounted on the cart 50 and the wire 50 is returned to the structure, and the pulley principle is applied, or the excavation depth for work is greatly increased. However, as the length of the wire 40 increases, the surface area securing limit of the wire drum 30 can be greatly expanded.

한편, 카트의 안정적인 승강 작동을 위한 구조로서, 앞서 언급한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카리프트 구조를 다시 한번 돌아본다.On the other hand, as a structure for the stable lifting operation of the cart, the conventional carlift structure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종래 카리프트의 경우, 승강되는 카트(50)의 네 지점에 연결되기 위해 네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40)들을 가지는데, 안정적인 승강 작업을 위해서는 이들 네 부분의 와이어(40)들 각각이 카트(50)를 견인하는 견인력, 견인 속도가 완전히 일치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ar lift shown in FIG. 3, the wires 40 extend in four directions to be connected to four points of the cart 50 to be lifted and lowered. Each of the towing force to pull the cart 50, the towing speed must be completely matched.

이를 위해, 한 개의 모터(20)로부터 발생한 동력은, 동일한 하나의 감속기(27)를 거쳐 동일한 회전수로 양 측의 두 개의 와이어 드럼(30)에 전달되고, 동일 와이어 드럼(30) 외주면 상에 연결된 두 방향의 와이어(40)는 당연히 동일한 속도로 감기거나 풀리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 두 개의 와이어 드럼(30) 역시 동일 지름의 원통형 외측면을 가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네 개의 와이어(40) 전체는 완전히 동일한 속도로 카트(50)에 견인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power generated from one motor 20 is transmitted to the two wire drums 30 on both sides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via the same one speed reducer 27 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me wire drum 30. Of course, the wires 40 connected in two directions are naturally wound or unwound at the same speed, and the two wire drums 30 also have a structure having a cylindrical outer surface of the same diameter, such that the entire four wires 40 To give the cart 50 a traction force at the exact same speed.

즉, 카트(50)의 안정적인 승강 작동을 위해서는 각 와이어 드럼(30) 회전의 '동기화'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That is, the 'synchronization' of each wire drum 30 rota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stable lifting operation of the cart 50.

도 3을 통해 전술한 종래 구조의 경우에서는, 와이어 드럼(30)이 두 개이더라도, 동일 감속기를 경유하여 동력을 전달받게 되므로 전술한 '동기화'가 문제가 될 소지가 크지 않지만, 본 발명의 경우, 두 개 이상의 모터(21,22)들을 구비하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각각의 모터(21,22)들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드럼(30)들을 동기화함으로써, 동일한 회전 속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된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3, even if there are two wire drums 30, since the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reducer, the above-described 'synchronization' is not a big problem, bu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tructure having two or more motors 21 and 22, by synchronizing the wire drums 30 which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motors 21 and 22 dynamically, This is a very important task.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도 1의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와이어 드럼(30)들과 제1 모터(21)로 이루어진 제1 구동부(201)와, 도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와이어 드럼(30)들과 제2 모터(21)로 이루어진 제2 구동부(201)는 각각 독립적인 동력원에 의해 독자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구조이지만, 승강 작동의 안정화를 위해 동기화를 위한 수단을 더욱 포함하여야만 한다.Therefore, basically, the first driving unit 201 consisting of two wire drums 30 and the first motor 21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of FIG. 1, and two wire drum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 The second drive unit 201 consisting of the 30 motors and the second motor 21 is a structure that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by an independent power source, but must further include means for synchronization for stabilizing the lifting operation.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에 속하는 한 조의 와이어 드럼(30)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축과, 제2 구동부에 속하는 한 조의 와이어 드럼(30)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축은, 동기화 연결축(100)에 의해 기계적으로 완전히 동기화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1, the power shaft transmits power to a set of wire drums 30 belonging to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ransmits power to a set of wire drums 30 belonging to the second driving unit. The power shaft is mechanically completely synchronized by the synchronization connecting shaft 100.

부언하면, 제1 구동부의 동력축과 제2 구동부의 동력축은 동기화 연결축(100)에 의해 상호 연장된 구조가 되므로, 동일한 용량임에도 불구하고 제1 모터(21) 및 제2 모터(22)를 포함한 각각의 동력부로부터 다소간의 회전수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동기화 연결축(100)이 이들의 회전을 완전히 일치하도록 기계적으로 강제하게 되므로, 각 구동부를 구성하는 와이어 드럼(30)들에 다른 회전수의 동력이 전달될 가능성은 원천적으로 차단된다.In other words, since the power shaft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power shaft of the second driving unit are mutually extended by the synchronization connecting shaft 100, the first motor 21 and the second motor 22 may be used despite the same capacity. Even when a sligh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otations occurs from each power unit included, the wire connecting shafts 30 constituting each drive unit because the synchronization connecting shaft 100 is mechanically forced to completely match their rotations. The possibility of transmitting power at different speeds is essentially blocked.

동기화의 수단으로서, 전기전자적인 방법이 아닌 전술한 기계적 방법을 적용하는 이유는, 전기전자적 방법의 경우 센서 등 동기화를 위한 추가적인 부품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만일에 있을지 모를 교란, 부품의 오작동 등으로 인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위험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As a means of synchronization, the reason for applying the above-described mechanical method rather than the electro-electronic method is that the electro-electronic method requires not only additional parts for synchronization, such as sensors, but also due to disturbances, malfunction of parts, etc. This is because the risk of serious problems cannot be completely excluded.

한편, 상기 동기화 연결축(100)의 경우, 각 구동부의 동력축이 일 직선상에서 다소 어긋난 경우라 하더라도 큰 무리 없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니버셜 조인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ynchronization connecting shaft 100, even if the power shaft of each drive unit slightly shifted on one straight line, it is preferable to have a universal joint structure in order to be able to transfer the power without great effort.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모터의 용량을 증가시킬 경우 문제가 되었던 주 프레임 상 일지점의 하중 집중에 따른 전체 구조의 불안정화를 기본적으로 방지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면서도, 모터 개수의 증가에 따라 기존보다 수배의 출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트의 승강 작동 또한 기존과 마찬가지로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카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is configuration prevents destabilization of the entire structure due to load concentration at one point on the main frame, which is a problem when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motor. In addition to having an outpu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art can also provide a lift that can be stably performed as before.

따라서, 기존 카리프트보다 승강 이동 속도가 더 빠르고 더 큰 하중을 감당할 수 있는 고효율의 카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와이어 드럼의 개수 또한 비교적 자유롭게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작업 높이의 증가 등에 따른 와이어 양의 증가시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구조의 카리프트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efficiency lift that can lift and move faster than a conventional lift and can bear a larger load, as well as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wire drums relatively freely, thereby increasing the working heigh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ft having a structure that can flexibly cope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wire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wir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를 도시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illustrated and described embodiments.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regarded 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주 프레임 20: 모터
21: 제1 모터 22: 제2 모터
27: 감속기 28: 모터 브레이크
30: 와이어 드럼 40: 와이어
50: 카트 60: 풀리
100: 동기화 연결축 201: 제1 구동부
202: 제2 구동부
10: main frame 20: motor
21: first motor 22: second motor
27: reducer 28: motor brake
30: wire drum 40: wire
50: cart 60: pulley
100: synchronization connecting shaft 201: first drive unit
202: second drive unit

Claims (4)

다른 높이로 단차진 두 곳 이상의 지점에 하중물, 즉 트럭과 같은 공사용 차량을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승강 작업의 수행을 위하여, 전체 구조를 지지하는 고정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져 각 구성 부품이 설치되는 주 프레임(10)과, 상기 하중물이 탑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되는 부분인 카트(50), 상기 카트(50)에 승강 이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카트(50)에 연결되어 승강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40), 상기 동력부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외주면상에 상기 와이어(4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된 와이어 드럼(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동력원으로서 동일한 출력을 가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터(20)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모터들 각각을 제1 모터(21) 내지 제n 모터라 할 때(n은 2 이상의 정수),
상기 와이어 드럼(30)은 상기 모터 개수 n의 자연수 배수에 해당되는 개수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20) 하나당 동일한 수가 동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모터(21) 내지 제n 모터 중 어느 한 모터 및, 상기 어느 한 모터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한 조의 와이어 드럼(30)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 구동부(201) 내지 제n 구동부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구동부(201) 내지 제n 구동부에 각각 포함되는 한 조의 상기 와이어 드럼(30)들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축들은, 기계적인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동일 회전수를 강제하는 동기화 연결축(100)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
In order to carry out a lifting operation to move a load, that is, a construction vehicle such as a truck, to two or more points stepped to different heights, a main frame in which each componen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fixed structure supporting the entire structure ( 10) and the cart 50 which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load can be mounted and is supported and lifted by the main frame 10, a power unit for providing lift movement force to the cart 50; The wire 40 is connected to the cart 50 to transfer the lifting power, including a wire drum 30 is rotated by the power from the power unit configured to wind or unwind the wire 4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car lift configured,
The power unit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motors 20 having the same output as a power source, and when each of the motors is a first motor 21 to an nth motor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The wire drum 30 is composed of a number corresponding to a natural number multiple of the number n of the motor, and the same number per one of the motors 20 is dynamically connected, thereby allowing any one of the first motors 21 to nth motors. A first drive unit 201 to n-th drive unit including a motor and one or more sets of wire drums 30 connected to any one of the motors,
The power shafts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set of wire drums 30 included in the first driving unit 201 to the nth driving unit, respectively, are connected in a mechanical manner so as to force the same rotational speed. Carft with a plurality of motors, characterized in that interconnected by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연결축(100)은 유니버셜 조인트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
According to claim 1, The synchronization connecting shaft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versal joint structure, a car lift having a plurality of motor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30)은, 상기 와이어(40)와 상기 카트(50)와의 연결부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
3. The wire drum (30)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ire drum (30) is provided with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connections between the wire (40) and the cart (50). Car lif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40)와 상기 카트(50)의 연결부는, 상기 하중물이 탑재되는 상기 카트(50)의 사각 형태 바닥면의 꼭지점 부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4개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드럼(30) 역시 상기 연결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상기 와이어(40)가 각각 독립적으로 감기거나 풀릴수 있도록 4개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모터는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2개가 구비되어 각각 2개씩의 와이어 드럼(30)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제1 구동부(201)와 제2 구동부(202)를 이룸으로써, 상기 각각의 구동부를 구성하는 한조의 상기 와이어 드럼(30)들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축들이 동일한 시간당 회전수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동기화 연결축(100)에 의해 상호 연결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다수의 모터를 구비한 카리프트.
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ire 40 and the cart 50, four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vertex portion of the rectangular bottom surface of the cart 50 on which the load is mounted, Accordingly, the wire drum 30 is also provided with four so that the wires 40 respectively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wound or unwound independently,
The motor is provided with two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an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wire drums 30 so as to form the first driving unit 201 and the second driving unit 202,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ynchronization connecting shaft 100 so that the power shaf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set of the wire drum 30 constituting the drive unit can have the same number of revolutions per hour, Car lift with motor.
KR1020100006951A 2010-01-26 2010-01-26 Lif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including two or more motors KR101174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51A KR101174378B1 (en) 2010-01-26 2010-01-26 Lif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including two or more mo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951A KR101174378B1 (en) 2010-01-26 2010-01-26 Lif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including two or more mo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503A KR20110087503A (en) 2011-08-03
KR101174378B1 true KR101174378B1 (en) 2012-08-16

Family

ID=4492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951A KR101174378B1 (en) 2010-01-26 2010-01-26 Lif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including two or more mot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3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690B1 (en) * 2019-02-11 2021-02-02 (주)천보기계 Wind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817Y1 (en) * 2005-03-24 2005-06-22 허정순 Car lif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817Y1 (en) * 2005-03-24 2005-06-22 허정순 Car li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503A (en)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4694B2 (en) Electric winch device and mobile crane
JP3152034B2 (en) Traction sheave type elevator device
CN105164045B (en) Cable hoist
CN106978830A (en) Diaphragm wall excavating gear
JP5014545B2 (en) Hoist force balance device having two traction cables and a hoisting device equipped with such a device
AU6410900A (en) Electric motor
GB2439133A (en) Lifting and rotating mechanism
CN204897083U (en) Directly drive elevator steering mechanism
KR101174378B1 (en) Lif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including two or more motors
CN104876089A (en) Direct-driven elevator steering mechanism
CN203833542U (en) Balancing weight lifting unit and engineering machine
CN104261293B (en) Winding drum single-acting rope changing system of four-winding drum grab ship unloader and rope changing method
CN215854813U (en) Novel haulage winch
CN204057826U (en) Four winding drum grab bucket ship unloader reel single action changes rope system
KR100876675B1 (en) Gantry crane for replacing generator and method of replacing generator thereof
KR101335496B1 (en) Modular arrangement of a double wrap traction elevator machine with dynamic braking
WO2021008449A1 (en) Lifting system and large mining excavator
CN104590995B (en) Full hydraulic control trolley system of bridge crane
KR200388173Y1 (en) Hoist apparatus and small hoist crane with the same
CN101618821A (en) Double-drum hoisting machine
JP2006341980A (en) Elevator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590993A (en) Travelling mechanism of cart
JP3149416B2 (en) Elevator hoist
JP3788054B2 (en) Trolley device for overhead crane
JP3149415B2 (en) Traction sheave type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