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143B1 - Driving part structure of crane - Google Patents

Driving part structure of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143B1
KR101173143B1 KR1020110142519A KR20110142519A KR101173143B1 KR 101173143 B1 KR101173143 B1 KR 101173143B1 KR 1020110142519 A KR1020110142519 A KR 1020110142519A KR 20110142519 A KR20110142519 A KR 20110142519A KR 101173143 B1 KR101173143 B1 KR 10117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tie
anchor
down devic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대영
배태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트로
배태한
정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트로, 배태한, 정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트로
Priority to KR102011014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1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1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66C23/92Snubbers or dashpots for preventing backwards swinging of jibs, e.g. in the event of cable or tackle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PURPOSE: A driving part structure for a crane is provided to prevent the early abrasion of a rail clamp due to a slip phenomenon and to improve driving ability and stability of a crane by controlling the driving slip phenomenon due to poor weather conditions. CONSTITUTION: A driving part structure for a crane comprises a storm anchor(100), crane tie-down devices(200), crane overturn preventing devices(300), large rocars(512), and small rocars(513). The storm anchor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a portal leg frame(5). The crane tie-down devices are installed in both sides of the storm anchor. The crane overturn preventing devices are installed in both sides of the crane tie-down devices and are positioned between wheels. The large rocars and small rocars connect the storm anchor, the crane tie-down devices, the crane overturn preventing devices, and the wheels.

Description

크레인 주행부 구조 {driving part structure of crane}{Driving part structure of crane}

본 발명은 레일 위에서 작동되는 크레인의 주행부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돌풍 및 강풍에 크레인의 밀림현상을 고정하는 크레인 스톰앵커와, 크레인의 레일이탈과 전도를 방지하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와, 돌풍 및 강풍에 의한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주행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nning part of a crane operating on a rail, and in particular, a crane storm anchor fixing the jungle of the crane to the gust and the strong wind, a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crane from falling off and falling, and a gust And a crane tie-down device for preventing the crane from falling down due to strong winds.

본 발명은 레일 위에서 작동되는 크레인의 주행부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돌풍 및 강풍에 크레인의 밀림현상을 고정하는 크레인 스톰앵커와, 크레인의 레일이탈과 전도를 방지하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와, 돌풍 및 강풍에 의한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톰앵커와, 크레인 전도방지장치와, 크레인 타이다운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주행부 구조는 크레인이 풍압 등의 외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크레인 주행 및 작업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안전장치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nning part of a crane operating on a rail, and in particular, a crane storm anchor fixing the jungle of the crane to the gust and the strong wind, a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crane from falling off and falling, and a gust And a crane tie-down device for preventing the crane from falling down due to strong winds. The crane moving part structure including the storm anchor, the crane fall-down prevention device, and the crane tie-down device may prevent the crane from resisting external force such as wind pressure. It is a safety devic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crane driving and work by making it possible.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평행하게 이격된 레일을 따라 작업위치로 이동되어 일정위치에 정지된 후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해안지역의 특성상 심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상기 크레인의 브레이크가 제동되어 있어도 브레이크 제동력보다 큰 돌풍 및 강풍에 의해 크레인의 주행부는 움직이게 되고 한번 움직인 크레인은 가속도가 붙어 위험한 상황을 초래 할 수도 있다.       In general, the crane is moved to the working position along the rails spaced in parallel to be stopped at a certain position to perform the work, in the case of severe wind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astal area is greater than the brake braking force even if the brake of the crane is brake The moving part of the crane is moved by the gusts and strong winds, and once the crane moves, acceleration may cause a dangerous situation.

종래기술로써 ‘크레인’(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53291)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선박건조용 도크나 야적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브크레인은 베이스의 기능을 하는 포탈프레임과, 이 포탈프레임의 상부에 지지수단을 통해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팅프레임과, 이 로테이팅프레임에 장착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윈치기구와, 기단이 로테이팅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윈치기구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거나 신축되는 지브와, 윈치기구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지브의 하측으로 늘어지도록 설치되는 걸이기구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탈프레임은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올려져,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crane'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0853291) in general, jib crane mainly used in shipbuilding docks or yards are a portal frame that functions as a base, and on the upper part of the portal frame A rotating frame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ing means, a winch mechanism mounted on the rotating frame to wind and unwind the wire, and a proximal end hinged to the rotating frame to be rotated up and down by the winch mechanism; Stretching jib and hook mechanism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winch mechanism to hang down the jib. At this time, the portal frame is mounted on the rail installed on the ground, it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rail.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로울러를 개재하여 구성된 선회베어링을 이용하며, 이 선회베어링의 하판과 상판이 포탈프레임과 로테이팅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한다.      The support means uses a swing bearing configured between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via a roller, and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of the swing bearing are coupled to the portal frame and the rotating frame, respectively, to support the rotating frame. do.

이때, 이 선회베어링은 로테이팅프레임의 회전중심을 설정하는 기능과, 로테이팅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포탈프레임 또는 로테이팅프레임에는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ivot bearing performs the function of sett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and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rotating frame. In addition, a driv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portal frame or the rotating frame to rotate the rotating frame.

따라서, 상기 걸이기구에 옮길 물품을 걸어놓은 상태에서, 윈치기구로 걸이기구를 승강시키거나 지브의 길이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구동장치로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시켜 원하는 위치로 물품을 옮길수 있는 크레인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Therefore, in the state of hanging the goods to be moved to the hook mechanism, the crane can move the goods to a desired position by elevating the hook mechanism with a winch mechanism or adjusting the length or angle of the jib, and turning the rotating frame with the drive device. It is described as.

또한, 청구항1에는 베이스의 기능을 하는 포탈프레임과; 이 포탈프레임의 상부에 지지수단을 통해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팅프레임과; 상기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로테이팅프레임에 장착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윈치기구와; 상기 로테이팅프레임에 설치되는 지브와; 이동시킬 물품을 걸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윈치기구에서 연장된 와이어에 연결되어 지브의 하측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걸이기구가 구비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포탈프레임과 로테이팅프레임에 결합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이 위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킹핀과; 원형의 궤적을 갖도록 구성되며 각각 포탈프레임의 상면과 로테이팅프레임의 하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설치되는 하부가이드레일및 상부가이드레일과, 회전축이 킹핀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하부가이드레일과 상부가이드레일의 사이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로울러와, 로울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로울러를 지지하는 케이지유닛이 구비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선회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유닛은 길이가 긴 금속판을 원형으로 만곡하여 구성된 내부 로울러케이지와, 이 내부 로울러케이지에 비해 직경이 큰 원형으로 구성되어 내부 로울러케이지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된 외부 로울러케이지와, 이 내, 외부 로울러케이지의 사이에 결합되어 내, 외부 로울러케이지의 간격을 고정하는 리테이너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 외부 로울러케이지는 일단에연결브라켓이 구비된 지지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이 공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laim 1 includes a portal frame functioning as a base; A rotating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l frame through a supporting means; A driving device for pivoting the rotating frame; A winch mechanism mounted to the rotating frame to wind or unwind a wire; A jib installed on the rotating frame; A crane having a hook mechanism configured to hang or fix an item to be moved and connected to a wire extending from a winch mechanism and installed on a lower side of the jib, wherein the suppor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portal frame and the rotating frame. Is coupled to the king pin so that the rotating frame is not out of position; The lower guide rail and the upper guide rail, which are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trajectory and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l frame and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frame, respectively, and the lower guide rail and the upper guide rail so that the rotation axis faces the central axis of the kingpin. A plurality of rollers are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therebetween, and a cage unit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roller to support the roller, the support unit supporting the rotating frame stably, and the cage unit includes a long metal plate. The inner roller cage formed by rounding the inner ring, the outer roller cag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roller cage and arranged to form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inner roller cage, and coup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oller cages. , Retainer pin to fix the gap of outer roller cage The cr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and outer roller cage is configur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 support panel provided with a connecting bracket at one end.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써, ‘언로더 밀림 방지용 고임목 체결 장치’(공개 특허 공보 공개번호: 10-2003-0053787) 에 따르면 상부에 가이드 쉬이브가 설치되어 있는 레일 클램프와, 상기 가이드 쉬이브를 수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홈이 형성되고 지지대에 의해 언로더 주행부의 하부에 고정된 유동케이스로 구성된 클램프부와; 휠과 휠 사이에 위치하며 언로더 주행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하부에 쉬이브가 장착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 홈이 형성되고 그 측단부에 쉬이브가 장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사각형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 쉬이브가 장착된 고임목과, 상기 고임목과 지지대 사이에 부착되는 스프링으로 고성된 지지부와; 상기 레일 클램프의 가이드 쉬이브와 상기 고임목의 가이드 쉬이브 사이를 각각의 쉬이브를 통하여 연결된 와이어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밀림 방지용 고임목 체결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according to the 'unloader anti-roller fastening device' (Publication Publication No. 10-2003-0053787) according to the rail clamp is provided with a guide sheave on the top, and accommodates the guide sheave A clamp portion formed of a flow case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nloader traveling portion by a support having a rectangular groove formed therein so as to be movable; A case positioned between the wheel and the wheel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unloader driving part, the support having a sheave mount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a case having a rectangular groove formed to be fixed to the side of the support and the sheave mounted to the side end thereof; A support portion secured by a spring attached to the guide bush so as to move along the rectangular groove of the case, and a spring attached between the spring and the support; It is described as an unloader thickening fasten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unloader roll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wire connected between the guide sheaves of the rail clamp and the guide sheaves of the chock wood through each shive.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83925) 에 의하면, 하역기에 있어서, 하역기 하측에 장착되는 클램프 하우징 내측에 제1실린더가 고정되어 그 하측에 링크로서 클램프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클램프로드의 하측에 내측으로 향한 경사면을 갖는 죠가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하우징에 고정되는 크램프 고정판에 스프링을 개재하여제1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린더의 하단부 역시 링크의 하측에 스프링이삽입토록 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대향설치되어 클램프하우징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로드에 고정되는 가이드바가 스프링을 개재하여 클램프로드에 이동가능토록 삽입되고, 상기 클램프로드의 하단에 외측으로 향하여 경사면을 갖는 죠가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anti-rolling device of the unloading machine'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83925), in the unloading machine, the first cylinder is fixed inside the clamp housing mounted below the unloading machine. A clamp ro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as a link, and a jaw having an inclined surface facing inward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lamp rod, and a first cylinder is installed on a clamp fixing plate fixed to the clamp housing via a spring.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is also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link to the first fixing spring to be inserted,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fixing so as to be movable inside the clamp housing, the guide bar fixed to the clamp rod is A jaw is inserted into the clamp rod so as to be movable through a spring and has an inclined surface outward at the lower end of the clamp rod. It is described as hayeokgi advance protection of being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fixing portion coupled.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하역장비용 자동 레일 스톱퍼’(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561521)에 의하면,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주행차륜과 레일의 사이에 삽입되어 하역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공지의 하역장비용 자동 레일 스톱퍼에 있어서, 상기 하역장비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형성하되 일측에는 나선공이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몸체와, 상기 나선공과 나선결합을 하기 위한 나선부가 외주연에 형성되어 나선회전을 통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간격조절구와, 상기 간격조절구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측에 형성하되 하부에는 일정거리를 갖도록 이탈 방지턱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하되 전방에는 상기 주행차륜의 외주연과 밀착되도록 만곡형상의 밀착부를 구비한 받침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장비용 자동 레일 스톱퍼라고 기재되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automatic rail stopper for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0561521), is inserted between the traveling wheel and the rail moving along the rail is known for fixing the unloading equipment In the automatic rail stopper for unloading equipment, the connecting frame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nloading equipment, and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frame, one side of the spiral hole perfo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piral portion for the spiral coupling with the spiral hole It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is provided with a gap adjusting device for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rough the spiral rotation, the hydraulic cylinder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gap adjusting device, and formed on the rod side of the hydraulic cylinder, but having a separation stop to have a certain distance in the lower portion It is formed in the case and the inside of the case, but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ing wheel in front It said loading dock cost automatic stopper rail, characterized by doeeojim composed of a supporting member comprising a close contact with the geometry is described.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갠트리 크레인 장치’(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92799)에 의하면 벽면레일수단은, 벽면에 고정되는 벽면레일지지단과; 상기 벽면레일지지단의 일측에 설치되는 벽면레일과; 상기 벽면레일의 일측에 구비되어, 벽면레일을 따라 유동하는 벽면레일바퀴와; 상기 벽면레일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벽면레일이 벽면레일지지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벽면레일고정수단과; 상기 벽면레일지지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대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는 벽면전도방지수단과; 상기 가로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벽면레일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벽면바퀴지지단과; 상기 벽면바퀴지지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벽면레일바퀴가 상기 벽면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방지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gantry crane device'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92799), the wall rail means includes: a wall rail support end fixed to a wall; A wall rail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ll rail support end; A wall rail whee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ll rail and flowing along the wall rail; Wall rail fixing mea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ll rail to fix the wall rail to the wall rail support end; A wall conduction prevention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all rail support end to prevent conduction of the rotating table; A wall wheel support en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and supporting the wall rail wheel to be rotatably installed; A detachment prevention en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all wheel support end to support the wall rail wheel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wall rail; It is described as a gantry crane device comprising a.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크레인 고정용 클램프 장치’(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486363)에 의하면, 레일을 따라 움직이면서 화물을 선적 혹은 하역하는 크레인의 하부에 설치되는 클램프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가압하여 작업 중에는 크레인의 유동이 없도록 하는 크레인 고정용 클램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좌우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하부면에는 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패드의 상측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구속되어 회전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롤러가 구비되는 죠와; 상기 클램프하우징의 좌우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웨지프레임의 내측 중심부에 부착되며 쇄기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와 맞닿게되며 상면 수평부에는 롤러의 진행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부착되는 쇄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고정용 클램프장치라고 기재되어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crane fixing clamp devic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86363), installed in the clamp housing that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rane for loading or unloading cargo while moving along the rail In the clamping device for fixing the crane so that there is no flow of the crane during the operation by pressing the rail, the left and right of the rail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the lower surface is attached to the pad and restr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upper center of the pad A jaw which is rotated and provided with a roller protruding outwardly; A wedge attached to the inner center of the wedge fram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lamp housing and formed into a concave shape in the shape of a wedge so as to contact the roller, and a topper having a stopper attached to the upper horizontal portion to limit the traveling distance of the roller; It is described as a crane fixing c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크레인의 장기간 운행 시 고정 장치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 감소와 고임목의 끼임 등의 잔고장이 잦다는 문제점과 복잡한 시스템으로 인한 잔고장과 하역기의 밀림현상에 의해 롤러와 레일클램프가 접촉하는 접촉면에 변형과 크랙의 발생되어 잦은 부품교체가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rior arts have problems such as frequent problems such as reduced elasticity of springs installed in the fixing device and pinching of high-necked wood during long-term operation of the crane,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roller and the rail clamp contacted by the crushing phenomenon of the unloading machine and the unloading machine due to a complicated system. There was a problem that frequent parts replacement is inevitable due to deformation and cracks i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크레인 주행부는 돌풍 및 강풍 등의 기상불량으로 발생되는 주행 밀림현상을 제어가능하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밀림형상에 따른 레일클램프의 조기마모와 이에 따른 수리시간 및 비용들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크레인 주행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rane runn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elps control the running jungle caused by bad weather such as gusts and strong winds, but also of the rail clamp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jungle It is to provide a crane moving structure that can prevent premature wear and subsequent repair time and costs.

또한, 크레인의 주행성 및 안정성을 향상하며, 급작스런 외력에 의한 크레인 전도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크레인 주행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o improve the running and stability of the crane, and to provide a crane running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sudden fall of the crane due to external forces.

또한, 상기 크레인을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주행직각방향으로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안전성 있는 작업과 크레인의 밀림현상 및 전도현상으로 인해 발생 되어질 수 있는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크레인 주행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fixing the crane not only in the direction of travel but also in the direction of travel, more precise and safe work and minimizing the damage of human and physical property due to the risk of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the crane's rolling and falling phenomenon It is to provide a crane traveling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reliability for.

본 발명은 크레인 주행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주행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6)는 포탈레그 프레임(5)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주행부는 포탈레그 프레임(5)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스톰앵커(100)와, 상기 스톰앵커(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와,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의 양측에 설치되되, 각 바퀴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와, 복수개의 바퀴와, 상기 스톰앵커(100)와, 타이다운장치(200)와, 크레인 전도방지장치(300) 및 바퀴를 연결하는 라지로카(512), 스몰로카(513), 보기(5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running part structure, in the crane running part structure, the running part 6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l leg frame 5, the running part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portal leg frame (5) The installed anchor anchor 100, the crane tie-down device 2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orm anchor 100, and the cran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rane tie-down device 200, the crane located between each wheel The fall prevention device 300, a plurality of wheels, the storm anchor 100, the tie-down device 200,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300 and the large loca 512, the small loca (connecting the wheel) 513, a view 5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크레인 주행부는 돌풍 및 강풍 등의 기상불량으로 발생되는 주행 밀림현상을 제어가능하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밀림형상에 따른 레일클램프의 조기마모와 이에 따른 수리시간 및 비용들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rane runn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elps control the running jungle caused by bad weather such as gusts and strong winds, but also early wear of the rail clamp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jungle And thus the repair time and costs ar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크레인의 주행성 및 안정성을 향상하며, 급작스런 외력에 의한 크레인 전도를 미연에 방지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mproves the running and stability of the crane,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the fall of the crane due to sudden external force in advance.

또한, 상기 크레인을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주행직각방향으로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안전성 있는 작업과 크레인의 밀림현상 및 전도현상으로 인해 발생 되어질 수 있는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fixing the crane not only in the direction of travel but also in the direction of travel, more precise and safe work and minimizing the damage of human and physical property due to the risk of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the crane's rolling and falling phenomenon There is a noticeable effec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도1은 크레인의 측면도
도2는 크레인의 주행부의 정면도
도3은 크레인 스톰앵커의 정면도
도4는 크레인 스톰앵커의 측면도
도5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정면도
도6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측면도
도7은 상부링크의 정면도
도8은 이음로드와 풀림 방지용 나사의 정면도
도9은 하부링크의 정면도
도10은 홀더의 정면도
도11은 홀딩피트에 설치된 홀더의 측면도
도12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사시도
도13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확대 정면도
도14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정면도
도15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측면도
도16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전개도
도17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정면도
도18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측면도
도19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전개도
도20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사시도
도21은 도20의 조립도
도22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사시도
도23은 도22의 조립도
도24는 지브 크레인(jib crane)의 설치 예
도25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의 설치 예
도26은 트레벨링 타워 크레인의(traveling tower crane) 설치 예
도27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리미트스위치 상세도
도28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제된 경우의 리미트스위치 상세도
도29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고정플레이트의 상세도
도30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제된 경우의 고정플레이트의 상세도
도31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체된 경우의 정면도
도32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정면도
1 is a side view of a crane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crane
3 is a front view of a crane storm anchor;
4 is a side view of a crane storm anchor;
5 is a front view of the crane tie-down device
Figure 6 is a side view of a crane tie down device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link
8 is a front view of a joint rod and a screw for preventing loosening;
9 is a front view of the lower link;
10 is a front view of the holder
11 is a side view of a holder installed in the holding pit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ne tie-down device
Figure 13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crane conduction prevention device
14 is a front view of the coupling method 1 of the crane conduction prevention device
15 is a side view of a coupling method of the crane conduction prevention device 1
Figure 16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upling method 1 of the crane conduction prevention device
17 is a front view of the case 2 of the coupling method of the crane anti-conduction device
18 is a side view of the case 2 of the coupling method of the crane anti-conduction device
Figure 19 is an exploded view of the case 2 coupling method of the crane conduction prevention device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1 of the coupling method of the crane anti-conduction device
Fig. 21 is an assembly view of Fig. 20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2 of the coupling method of the crane anti-conduction device
Figure 23 is an assembly view of Figure 22
Fig. 24 shows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jib crane
25 is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gantry crane
Fig. 26 shows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traveling tower crane.
Figure 27 is a detailed view of the limit switch when the crane tie down device is fixed;
Fig. 28 is a detailed view of the limit switch when the crane tie down device is released;
29 is a detailed view of the fixing plate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fixed;
30 is a detailed view of the fixing plate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released;
Fig. 31 is a front view when the crane tie down device is disassembled
32 is a front view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fixed;

본 발명은 크레인 주행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주행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6)는 포탈레그 프레임(5)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주행부는 포탈레그 프레임(5)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스톰앵커(100)와, 상기 스톰앵커(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와,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의 양측에 설치되되, 각 바퀴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와, 복수개의 바퀴와, 상기 스톰앵커(100)와, 타이다운장치(200)와, 크레인 전도방지장치(300) 및 바퀴를 연결하는 라지로카(512), 스몰로카(513), 보기(5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running part structure, in the crane running part structure, the running part 6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l leg frame 5, the running part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portal leg frame (5) The installed anchor anchor 100, the crane tie-down device 2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orm anchor 100, and the cran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rane tie-down device 200, the crane located between each wheel The fall prevention device 300, a plurality of wheels, the storm anchor 100, the tie-down device 200,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300 and the large loca 512, the small loca (connecting the wheel) 513, a bogie 514.

또한, 상기 스몰로카(513)는 하부에 보기(514)가 설치되어, 상기 보기(514)에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mall car 51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gie 514 is installed at the bottom, the wheel is installed in the bogie 514.

또한, 상기 크레인 스톰앵커(100)는 바(bar)형상의 앵커레바(113)와, 상기 앵커레바(113)의 끝단에 설치된 락킹로드(114)와, 바닥의 일부구간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로드(114)의 하부가 위치하며 체결되는 체결 피트(pit)(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ane storm anchor 100 is a bar (bar) anchor lever 113, the locking rod 114 is installed on the end of the anchor lever 113, and installed in a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locking rod The lower portion of the 11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pit (130) to be fastened.

또한,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는 주행부(6) 상부에 설치된 힌지프레임(511)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어 있는 상부 링크 (201)와, 상기 상부 링크(201)에 연결되는 이음로드(203)와, 상기 이음로드(203)와 연결되는 하부링크(205)와, 상기 하부링크(205)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바닥에 형성된 홀딩피트(221)내의 체결판(222)에 힌지연결 되어있는 홀더(2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ane tie-down device 200 is an upper link 201 is hinged fixed to one end of the hinge frame 511 installed on the running portion 6, and the joint rod (201) connected to the upper link (201) 203, the lower link 205 connected to the joint rod 203,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link 205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fastening plate 222 in the holding pit 221 formed on the botto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lder 206.

또한,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는 크레인의 주행부(6)와 연결되는 본체(301)와, 상기 본체(301) 하부에 위치하며 걸림홈(320)이 하면에 형성된 연결구(303)와, 상기 연결구(303)의 걸림홈(320)이 기초면(지상)에 설치된 레일(302)을 감싼 듯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300 and the main body 301 connected to the running portion 6 of the crane, and the connector 303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1 and the locking groove 32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the engaging groove 320 of the connector 30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s wrapped around the rail 302 is installed on the base surface (ground).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1은 크레인의 측면도, 도2는 크레인의 주행부의 정면도, 도3은 크레인 스톰앵커의 정면도, 도4는 크레인 스톰앵커의 측면도, 도5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정면도, 도6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측면도, 도7은 상부링크의 정면도, 도8은 이음로드와 풀림 방지용 나사의 정면도, 도9은 하부링크의 정면도, 도10은 홀더의 정면도, 도11은 홀딩피트에 설치된 홀더의 측면도, 도12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사시도, 도13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확대 정면도, 도14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정면도, 도15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측면도, 도16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전개도, 도17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정면도, 도18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측면도, 도19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전개도, 도20은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사시도, 도21은 도20의 조립도, 도22는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의 사시도, 도23은 도22의 조립도, 도24는 지브 크레인(jib crane)의 설치 예, 도25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의 설치 예, 도26은 트레벨링 타워 크레인의(traveling tower crane) 설치 예, 도27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리미트스위치 상세도, 도28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제된 경우의 리미트스위치 상세도, 도29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고정플레이트의 상세도, 도30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제된 경우의 고정플레이트의 상세도, 도31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해체된 경우의 정면도, 도32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된 경우의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side view of the crane,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running portion of the crane,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crane storm anchor,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crane storm anchor,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crane tie-down device, Figure 6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link,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joint rod and the loosening screw,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lower link,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holder, Fig. 11 is a holding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ane tie-down device, Fig. 13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crane anti-conduction device, Fig. 14 is a front view of the case 1 of the coupling method of the crane anti-conduction device, and Fig. 15 is the crane electric conduction. Side view of the coupling method of the prevention device 1, Figure 16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upling method 1 of the crane conduction prevention device, Figure 17 is a front view of the coupling method 2 of the crane conduction prevention device, Figure 18 is a combination of the crane conduction prevention device Side view of the case 2, Figure 19 is the crane conduction 20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upling method of the branch device,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method 1 of the crane anti-conduction device, FIG. 21 is an assembly view of FIG. 20, FIG. 23 is an assembly view of FIG. 22, FIG. 24 is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jib crane, FIG. 25 is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gantry crane, FIG. 26 is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traveling tower crane, Fig. 27 is a detailed view of the limit switch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fixed; Fig. 28 is a detailed view of the limit switch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released; Fig. 29 is a detail of the fixing plate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fixed. 30 is a detailed view of the fixing plate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released, FIG. 31 is a front view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disassembled, and FIG. 32 is a front view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fixed.

본 발명은 육상 및 해양에서 사용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중량물을 들어 올려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를 칭하며 기능 및 형태에 따라 트레벨링(주행식) 타워크레인, 갠트리크레인, 지브 크레인 등으로 분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anes used on land and at sea. Generally, a crane refers to a machine that lifts a heavy object and moves it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he crane is classified into a tleveling tower crane, a gantry crane, a jib crane, and the like according to its function and shape.

트레벨링 타워 크레인의 본체는 레일 위를 주행 하며, 붐은 좌우로 360°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붐에는 트롤리가 설치되어있으며, 상기트롤리는 전후운동을 하며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후크의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The main body of the leveling tower crane travels on the rail, and the boom can rotate 360 ° to the left and right. The trolley is installed in the boom, and the trolley moves forward and backward and enables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hook using a wire rope.

갠트리 크레인은 서로 마주보는 ‘

Figure 112011103468390-pat00001
’자 형상으로 본체는 레일위를 주행하며, 본체상부에 위치한 트롤리는 횡방향 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트롤리로부터 후크를 내려서 중량물을 이동시킨다. 대개 300톤 이상의 중량물 처리 능력을 가진 크레인을 골리앗 크레인이라 지칭하며, 주로 대형 조선소에서 선박의 일부분 혹은 대형블록전체를 리프팅 하는데 사용한다.Gantry cranes face each other
Figure 112011103468390-pat00001
'In the shape of the main body travels on the rail, the trolley located above the main body is a lateral movement. It also lowers the hook from the trolley to move the weight. Cranes with heavy load handling capacity of more than 300 tonnes are usually referred to as goliath cranes and are mainly used in large shipyards to lift parts of ships or entire large blocks.

지브 크레인은 갠트리 크레인과 같이 레일 위에 설치하여 주로 안벽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취급하는 장비이다. 돌출된 붐에는 메인후크(스프레더)와 보조후크가 존재하며 상기 붐에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붐은 좌우로는 360°회전이 가능하고 상하 작동각도는 보통 30°~80°이며 다양한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조선소에서 선체지원용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크레인의 종류 중 하나이다.      Jib cranes are installed on rails like gantry cranes and move along the inner wall to handle heavy loads. The protruding boom includes a main hook (spreader) and an auxiliary hook, and the heavy material is suspended on the boom to enable vertical rotation. The boom can rotate 360 ° from side to side, and the operating angle of up and down is usually 30 ° ~ 80 °, and it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cranes for hull support in shipyards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unloading various cargoes.

상기 크레인 상부구조는 작업환경 등 필요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지브 크레인을 예로 든다.        The crane superstructure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eed, such as the working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e most commonly used jib crane as an example.

상기 지브 크레인은 크게 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과, 붐의 유동을 조정하는 기계실과, 기계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기계실을 지지하는 포탈부와, 크레인 자체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주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탈부는 기계실의 하부에 설치되는 타워형상의 포탈타워와, 포탈타워의 하부에 설치되는 포탈거더와, 상기 포탈거더의 하부에 설치되는 포탈레그로 구성되며, 상기 포탈레그 하부에는 주행부가 설치되어 있다.       The jib crane is a boom that is moved to move the heavy material greatly, a machine room for adjusting the flow of the boom, a portal portion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chine room to support the machine room with a constant height, and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crane itself It includes a running portion. In addition, the portal portion includes a tower-shaped portal tower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chine room, a portal girder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portal tower, and a portal leg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portal girder, and a running part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portal leg. have.

상기 주행부는 포탈레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행부는 포탈레그 프레임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스톰앵커와, 상기 스톰앵커의 양측에 설치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와,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양측에 설치되되, 각 한 쌍식의 바퀴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와, 복수개의 바퀴와, 상기 구성들을 연결하는 로카 등을 포함한다.       The traveling part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l leg frame, and the traveling part is a storm anchor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ortal leg frame, a crane tie down devic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torm anchor, and both sides of the crane tie down device. Installed, but includes a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positioned between each pair of wheels, a plurality of wheels, a loca and the like connecting the components.

상기 포탈레그 프레임의 중간부에는 스톰앵커기둥이 포탈레그 프레임 하부부터 레일바닥까지 설치되어 있으며, 포탈레그 프레임 하부의 양측에는 힌지프레임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힌지프레임은 사다리꼴의 동일 형상을 한 플레이트가 공간을 두고 전, 후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라지로카의 상부가 삽입되어 라지로카핀으로 상호를 결합하게 된다.      In the middle of the portal leg frame, the storm anchor pillar is install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l leg frame to the rail bottom, and hinge frames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l leg frame. The hinge frame is formed by the same shape of the trapezoidal plate spaced apart before and after the space, the upper portion of the large rojika is inserted into the space i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large rojicarpin.

타이다운은 라지로카핀의 일단의 연장부에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타이다운은 라지로카핀에서 바닥에 형성된 홀딩피트 내의 체결판까지 이어져있다.      The tie down is hinged to an extension of one end of the large locapine, and the tie down extends from the large locapine to the fastening plate in the holding pit formed at the bottom.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지로카의 정면 형상은 삼각형상의 상부와, 사각형상의 하부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의 양측 끝단부는 둥근형상으로 되어있으며, 전체적인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1103468390-pat00002
’형상으로 되어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front shape of the large loca is formed of a triangular upper portion and a rectangular lower portion,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is rounded, the overall vertical cross section '
Figure 112011103468390-pat00002
'It is in shape.

또한 상기 라지로카는 동일한 형상의 플레이트가 공간을 두고 전, 후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 양측 끝단부의 둥근 형상에는 스몰로카의 상부가 삽입되어 힌지로 상호 결합되되, 상기 스몰로카의 형상은 라지로카와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large roca is a plate having the same shape is formed spaced apart before and after the space, the round shape of the both ends of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small locator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the shape of the small locator Is the same as

또한 상기 라지로카는 스톰앵커기둥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 되고, 상기 라지로카의 양측 하부에는 스몰로카가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스몰로카의 중간부에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large loca is install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storm anchor pillar, the small loca ar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arge loca by a hinge,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mall loka.

상기 스몰로카의 양측하부에는 보기가 장착되며, 상기 보기는 한 쌍의 바퀴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기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1103468390-pat00003
’형상으로 되어있다.Bogies are mounted on both side lower portions of the small car, and the bogies ar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 pair of wheels.
Figure 112011103468390-pat00003
'It is in shape.

상기 크레인의 주행부는 4개의 세트로 구성되어있다.       The traveling part of the crane consists of four sets.

각 세트는 통상적으로 라지로카, 미들로카, 스몰로카, 보기로 구성되되, 상기 라지로카 1개는 미들로카 2개를 구성하며, 상기 미들로카 1개는 스몰로카 2개를 구성하며, 상기 스몰로카 1개는 보기 2개를 구성하며, 상기 보기 1개는 바퀴 2개를 구성하게 된다.      Each set typically consists of large loca, midloca, small loca, bogie, wherein the large loca consists of two middle loca, and the middle loca comprises two small loca, and the small loca One constitutes two bogies, and one bogie constitutes two wheels.

그러므로 한 세트는 라지로카 1개와, 미들로카 2개와, 스몰로카 4개와, 보기 8개와, 바퀴 16개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Therefore, a set means one large lorocar, two middle loca, four small loca, eight bogies, and sixteen wheels.

따라서 상기 주행부의 한 세트는 라지로카 1개와, 미들로카 2개와, 스몰로카 4개와, 보기 8개와, 바퀴 16개로 구성되기 때문에, 4개의 세트로 구성된 1대의 크레인에는 라지로카 4개와, 미들로카 8개와, 스몰로카 16개와, 보기 32개와, 바퀴 64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도2에는 미들로카가 생략되어 있다)       Therefore, one set of the driving part is composed of one large lorocar, two middle loca, four small loca, eight bogies, and sixteen wheels. A dog, 16 smallocars, 32 bogies, and 64 wheels are common (the middle loca is omitted in FIG. 2).

또한 바퀴의 개수를 조절할 경우 제2의 미들로카 및 제 3의 미들로카를 추가할 수 있으며,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특수한 경우 미들로카 1개에 제2 미들로카 1개와 스몰로카 1개로도 구성할 수 있다.
Also, when adjusting the number of wheels, a second middle car and a third middle car can be added and removed. In a special cas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one middle loca, one second middle car and one small car.

상기 스톰앵커와,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와,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를 순차적으로 살펴본다.      The storm anchor, the crane tie-down device, and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sequentially.

먼저, 상기 스톰앵커는 크레인 주행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바(bar)형상의 앵커레바와, 상기 앵커레바의 일단에 형성된 웨이트와, 상기 앵커레바의 타단에 설치된 락킹로드와, 바닥의 일부구간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로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체결되는 체결 피트(pit)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레바의 중간부는 힌지에 의해 지지대에 힌지고정되며, 또한 고정핀에 의해 고정대에 고정 되거나 분리된다.     First, the storm anchor is installed in the crane running portion, a bar-shaped anchor lever, a weight formed at one end of the anchor lever, a locking rod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anchor lever, and a partial section of the floor.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rod and includes a fastening pit (pit) to be fastened.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anchor lever is hinged to the support by a hinge, it is also fixed or separated by a fixing pin to the support.

힌지를 기준으로 볼 때, 앵커레바의 일측에는 웨이트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락킹로드가 설치된다. 웨이트는 앵커레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은 힘으로 편리하게 스톰앵커의 착탈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Based on the hinge, the weigh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nchor lever, the locking rod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The weigh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nchor lever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operation of the storm anchor with a small force.

상기 앵커레바에는 앵커레바 타단의 수직하방향으로 소정하중을 가지는 락킹로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락킹로드는 지지대의 힌지를 기준으로 볼 때 락킹로드의 무게와 힌지에서부터 락킹로드까지의 길이를 곱한 수치가 웨이트의 무게에 힌지에서부터 웨이트까지의 무게를 곱한 것보다 큰 수치가 되게 설계된다. 안전을 위하여 보통 락킹로드의 자체무게가 웨이트보다 더 큰 하중을 가지게 설계한다.      The anchor lever is provided with a locking rod having a predetermined load in the vertical lower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anchor lever. The locking rod is designed such that the value of the weight of the locking rod and the length from the hinge to the locking rod is greater than the weight of the weight multiplied by the weight of the hinge. For safety, the locking rod's own weight is usually designed to have a larger load than the weight.

곧, 상기 스톰앵커의 운동은 앵커레바 중간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웨이트가 부착되고 타측에는 락킹로드가 부착된 시소운동에 빗대어 표현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movement of the storm anchor can be expressed in comparison with the seesaw movement is attached to the weight on one side and the locking rod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around the hinge of the anchor lever.

상기 크레인의 고정 작업 시, 락킹로드의 하부는 바닥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 때 락킹로드는 바닥의 일부구간에 설치된 체결피트 내부에 특별한 체결수단 없이 락킹로드의 자체 무게만으로 안정적으로 안착되어진다.     When fixing the crane,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rod is lowered to the bottom, wherein the locking rod is stably seated only by its own weight of the locking rod without a special fastening means inside the fastening feet installed in some sections of the bottom.

한편, 크레인의 구동 전, 작업자는 앵커레바 일단부측 또는 웨이트 자체를 눌려서 웨이트를 하강시킨 후에 고정핀으로 앵커레바를 고정대에 고정시킴으로써 스톰앵커는 바닥 체결피트에 고정되기 전의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진다.       On the other hand, before the crane is driven, the operator presses the anchor lever one end side or the weight itself to lower the weight, and then the anchor anchor is fixed to the fixing rod with the fixing pin, so that the storm anchor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efore being fixed to the bottom fastening feet.

또한, 락킹로드 상부 일측에 락킹로드의 체결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한다.       In addition, a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locking ro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locking rod.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스톰앵커의 체결유무를 감지하여 제어반(기계실)에 전달함으로써, 락킹로드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크레인의 주행부를 구동하는 전기동력원을 차단하여 크레인의 주행을 불가능하게 함으로 크레인 등의 파손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limit switch senses whether the anchor anchor is fastene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panel (machine room), thereby preventing the crane from running by blocking the electric power source driving the crane moving part in the locked lock state. To prevent.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하여 전기동력원을 온, 오프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제어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관용 기술이며, 또한 리미트 스위치 자체도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And turning on and off the electric power source by the limit switch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only used technique widely used in the control technology field, and also the limit switch itself is generally used widely use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스톰앵커는 돌풍 및 강풍 등의 기상불량으로 발생되는 주행 밀림현상을 제어가능하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크레인의 밀림현상으로 인해 발생 되어질 수 있는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 증가를 제공한다.
Therefore, the storm anchor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elps control the driving jungle caused by bad weather such as gusts and strong winds, but also damages to human and physical properties due to the risk of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jungle of cranes. Minimize and provide increased reliability for the product.

다음으로,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크레인을 바닥에 형성된 홀딩피트 내의 체결판에 고정 체결시켜 돌풍이나 강풍 및 지진 등에 저항할 수 있게 하는 안전장치이다.     Next, the crane tie-down device is a safety device that can be fixed to the fastening plate in the holding feet formed on the floor to resist gusts, strong winds and earthquakes.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긴 바(bar) 형상으로 설치되며, 두 개 이상의 부재가 모여 결합 고정되는 장치이다.   The crane tie-down device is installed in the shape of a long bar (bar), is a device that two or more members are gathered and fixed.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주행부 상부에 설치된 라지로카핀의 일단에 힌지고정되어 있는 상부링크와, 상부링크와 하부링크 사이에서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이음로드와, 이음로드와 상부 링크 및 하부링크가 체결된 후 이음로드의 풀림을 방지하는 상,하 풀림 방지용 나사와, 하부링크와, 바닥에 형성된 소정깊이의 홀딩피트와, 홀딩피트의 바닥에 고정되어있는 체결판과, 체결판에 힌지고정 되어 하부링크와 연결핀으로 체결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The crane tie-down device includes an upper link hinged to one end of a large loca pin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a driving unit, a joint rod for adjusting a length between the upper link and the lower link, a joint rod, an upper link, and a lower link. The upper and lower loosening screws to prevent loosening of the joint rod, the lower link, the holding feet of the predetermined depth formed on the bottom, the fastening plate fixed to the bottom of the holding feet, and the fastening plate And a holder fastened to the lower link and the connecting pin.

그러므로 상기 크레인의 고정 시, 주행부 상부에 설치된 라지로카핀에 힌지 고정되어 있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바닥하부까지 수직으로 이어지며, 상기 주행부 상부의 측면에는 상부 링크과, 상부 풀림 방지용 나사와, 이음로드와, 하부 풀림 방지용 나사와, 하부링크와, 홀더가 서로 체결되어 수직 형상을 이룬다.       Therefore, when the crane is fixed, the crane tie-down device which is hinged to the large roca pin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unning portion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portion, the upper anti-loosening screws and joints The rod, the lower loosening prevention screw, the lower link, and the holder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 vertical shape.

상기 상부 링크의 상부는 ‘

Figure 112011103468390-pat00004
’형상으로 상부에 홀(hole)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상부링크의 상부는 라지로카핀의 측면에 설치된다.The upper part of the upper link is'
Figure 112011103468390-pat00004
A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hap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link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large locarpin.

또한,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는 ‘바(bar)’형상으로, 이음로드와 체결 되는 부분의 외경은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음로드의 지름은 상부 링크와 하부링크의 지름보다 크고,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경에는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link is a 'bar (bar) shape, the outer diameter of the portion that is fastened to the joint rod is formed with a screw surface.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ro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link and the lower link, it is made of a pipe shape,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with a screw surface.

그러므로 상부 링크와 하부링크는 이음로드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곧 이음로드의 상부는 상부링크 하부의 나사면과 체결되고, 이음로드의 하부는 하부링크 상부의 나사면과 체결되며,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 사이에 체결 되는 이음로드와의 나사면 체결길이로 타이다운 장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pper link and the lower link are fastened by a joint rod. In other words, the upper part of the joint rod is fastened to the screw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link, and the lower part of the joint rod is fastened to the screw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lower link, and the screw surface fastening length of the joint rod is fastened between the upper link and the lower link. The length of the tiedown device can be adjusted.

또한 체결이 이루어진 이음로드의 상, 하부에는 풀림방지용 나사를 조여 더욱 안정성 있게 이음로드를 고정 시킨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joint rod made of fastening to tighten the anti-loosening screws to fix the joint rod more stably.

상기 풀림방지용 나사는 ‘

Figure 112011103468390-pat00005
’형상으로 내경에는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경에는 나사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The loosening screw is'
Figure 112011103468390-pat00005
'In shape, the inner surface is formed with a screw surface, the outer diameter is attached to the handle to rotate the screw.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링크 하부와 하부링크 상부의 바(bar) 외경에 상기 풀림방지용 나사 내경의 나사면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이음로드는 더욱 안정성 있게 고정 된다. 곧, 상부링크 바(bar)외경의 나사면과 상부풀림용나사 내경의 나사면이 체결되고, 하부링크 바(bar)외경의 나사면과 하부풀림용나사 내경의 나사면이 체결되는 것이다.By rotating the handle, the threaded surface of the anti-loosening screw inner diameter is engaged with the bar outer diameter of the upper link lower portion and the lower link upper portion, so that the joint rod is more stably fixed. In other words, the screw surfac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link bar (bar) and the screw thread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loosening screw is fastened, the screw surfac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link bar (bar) and the inner thread of the lower loosening screw is fastened.

또한 상부링크 하부가 왼나사이면, 상부 풀림방지용나사는 왼나사이고, 이음로드의 상부는 왼나사이고, 이음로드의 하부는 오른나사이고, 하부 풀림방지용나사는 오른나사이며, 또한 하부링크 상부는 오른나사가 된다.     Also, i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link is left-handed, the upper loosening prevention screw is left-handed, the upper part of the joint rod is left-handed, the lower part of the jointed rod is right-handed, the lower loosening prevention screw is right-handed, and the upper lower link is right-handed. do.

그러므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 사이 간격을 이음로드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link and the lower link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joint rod to the left or right.

한편, 본발명은 크레인의 고정 작업 시, 크레인 주행부에 설치된 상부 링크와, 상부 풀림 방지용 나사와, 이음로드와, 하부 풀림 방지용 나사와, 하부링크가 서로 체결되어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바닥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깊이를 가지는 홀딩피트(holding pit)가 존재한다. 상기 홀딩피트에는 체결판이 고정되어있고, 상기 체결판에 홀더의 일단이 체결핀에 의해 힌지 고정되고, 홀더의 타단이 체결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하로 회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xing the crane, the upper link installed in the crane running portion, the upper screw for preventing loosening, the joint rod, the lower screw for preventing loosening, the lower link is fastened to each other and fixed to the floor, There is a holding pit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surface. A fastening plate is fixed to the holding pit, one end of the holder is hinged to the fastening plate by a fastening pin, and the other end of the holder rotates about the fastening pin and rotates up and down.

그리고 상기 홀더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공간을 두고 전, 후로 이격되고, 상기 공간에 하나의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일부 겹쳐 용접함으로써 완성된 결합체이다. 곧, 상기홀더의 일단에는 체결판이 체결핀으로 힌지 고정되고, 타단에는 하부링크의 하부단부가 연결되는 것이다.The holder is an assembly in which two plates are spaced apart before and after a space, and one plate is inserted into the space and partially overlapped to weld. That is, one end of the holder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late is hinged with a fastening pi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link.

또한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가 고정될 때, 체결판과 홀더는 동일 직선상에 있고, 크레인 타이다운장치가 해제될 때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상태가 된다. 곧 크레인 타이다운장치가 해제될 때는 홀더가 홀딩피트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누운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가 누운 상태에 있을 때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홀딩피트를 평탄한 덮개로 덮는다.       In addition,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fixed, the fastening plate and the holder are on the same straight line, and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released, they are in a stat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on whe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released, the holder will li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holding feet. Further, when the holder is in a lying state, the holding feet are covered with a flat cover for the safety of the operator.

곧, 상기 크레인의 고정 시에는 하부링크와 홀더가 체결되되, 상기 하부링크의 하부와, 홀더의 상부에는 홀(hole)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홀(hole)들을 겹쳐 연결핀을 삽입함으로써 하부링크와 홀더가 체결된다. 또한, 크레인의 주행 시에는 하부링크와 홀더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뽑음으로써,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를 해제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crane is fixed, the lower link and the holder are fasten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link and an upper portion of the holder are formed with holes, and the lower link is inserted by overlapping the holes. And holder are fastened. In addition, when the crane is running by pulling out the connecting pin connecting the lower link and the holder, the crane tie-down device is to be released.

그리고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의 체결유무를 감지하여 제어반(운전실)에 전달함으로써 안전성을 도모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곧, 하부링크와 홀더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크레인의 주행부를 구동하는 전기동력원을 차단하여 크레인의 주행을 불가능하게 함으로 크레인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rane tie-down device is provided with a limit switch for the safety by detecting the fastening of the crane tie-down device and transmitting to the control panel (cab). In other words,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link and the holder is fastened, the electric power source driving the crane driving part is blocked to prevent the crane from being damaged by disabling the crane.

한편, 상기 상부링크에는 중앙에 고정구멍이 천공된 고정플레이트가 용접부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 표면에는 고정엔드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타이다운 장치를 해제할 경우, 타이다운 장치가 최상부의 라지로카핀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고정구멍을 통하여 고정핀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고정핀의 전단부는 타이다운 장치의 상부링크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삽입됨으로써, 타이다운 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지 않고 그대로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nk is welded to the fixing plate in the center of the fixing hole, and the fixing end plat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when the operator releases the tie-down device, the tie-down device is the top When the fixed pin is rotated about a large loca pin, and the fixing pin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hole of the fixing plate,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upper link of the tie-down device, thereby releasing the tie-down device. In this state, it will remain as it is without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그리고 고정핀의 후단부에는 손잡이가 직각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엔드플레이트 사이에 고정시킨다.      A handle is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fixing pin at a right angle, and the handle is rotated to fix it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fixing end plate.

한편, 타이다운 장치를 해제상태에서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고정핀을 상부링크와 고정플레이트의 고정구멍들에서 이탈시킴으로써 타이다운 장치의 상부링크가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타이다운 장치를 홀딩피트의 체결판에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ie-down device is to be fixed in the released state, after rotating the handl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upper link of the tie-down device is free to move by releasing the fixing pin from the fixing holes of the upper link and the fixing plate. As a result, the tie-down device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fastening plate of the holding feet.

곧, 상부링크의 상단에는 리미트스위치용 감지레바를 용접하여 부착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용 감지레바는 타이다운이 고정 및 해제에 따라 상부링크의 상단이 정지상태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되는 상부링크의 상단에 부착된 리미트스위치용 감지레바가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힘을 가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어, 상기 리미트스위치에서 감지신호를 제어반에 전달하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upper limit of the upper link of the upper limit of the upper link of the upper limit of the upper link of the upper limit of the upper link of the upper limit of the upper limit of the upper link of the upper limit of the upper limit of the upper link of the upper limit of the upper switch The sensing lever for the limit switch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force applied to the limit switch to operate the limit switch, the limit switch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panel.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 자체는 일반적으로 제어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관용 수단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limit switch itself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only used means widely used in the control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고정 함으로써 로드가 밴딩 되거나 급격한 편마모 현상의 발생을 예방하며,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횡방향 동요운동 등에 의한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rane tie-down device prevents the occurrence of bending or sudden uneven wear by connecting two or more members in sequence and the crane tie-down device prevents the crane from falling down due to lateral shaking motion.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는 크레인을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주행직각방향으로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안전성 있는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crane tie-down device can be fixed more precisely and securely by fixing the crane not only in the driving direction but also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마지막으로,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는 크레인의 주행부와 연결되는 본체와, 본체 하부에 존재하며 걸림홈이 하면에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레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는 각 한쌍식의 바퀴 사이에 위치한다. 즉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를 가운데 두고 좌우로 한 쌍식의 바퀴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Finally,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is composed of a main body that is connected to the running portion of the crane, the connector is presen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rail coupled to the engaging groove of the connector. And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is located between each pair of wheels. In other words, a pair of wheels are position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in the center.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는 좌, 우측 연결구가 특정형상을 가지며 서로 맞물려서 하나의 완전한 연결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좌, 우측 연결구의 하단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구의 하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은 레일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걸림홈은 레일을 감싼 듯이 형성된다. 곧 레일과 걸림홈은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In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the left and right connectors have a specific shape and mesh with each other to form one complete connector. Hooks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ors, and thus hooking groov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ors. The locking groov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ail, and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as if the rail is wrapped. In other words, the rail and the locking groove are installed at a distance.

상기 연결구와 본체가 체결홀에 원기둥 형상을 한 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고정되어지며, 상기 연결핀의 양쪽상단에 존재하는 플랜지 걸림홈에는 본체를 양쪽에서 고정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가 각각 걸리고, 볼트 및 너트로 최종 고정결합 하게 된다.      The connector and the main body are fixed by inserting a connecting pin having a cylindrical shape in the fastening hole, and the flange engaging grooves present at both upper ends of the connecting pin are fastened to end plates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on both sides, and bolts and nuts. Final fixed coupling.

또한, 상기 크레인전도방지장치의 체결홀과 연결핀 사이에는 부시(BUSH)가 형성되어 연결구와 연결핀의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a bush (BUSH) is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hole and the connection pin of the crane conductivity prevention device to enabl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pin.

상기 부시는 크레인의 정상적인 크레인 주행 시에 레일의 측면과 연결구의 걸림고리가 접촉하여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연결핀을 중심으로 연결구가 미끄럼 운동을 하므로 연결구의 폭보다 연결핀의 폭이 더 넓다.     The bush prevents wear or damage due to contact between the side of the rail and the hook of the connector during normal crane running of the crane. Since the connector slides around the connecting pin,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i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or. wide.

상기 부시(BUSH)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DU BUSH (DUCOL STEEL BUSH)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DU BUSH는 베어링의 일종으로 고하중과 충격하중에 잘 견디고, 탁월한 내마모성을 지녀 수명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The bush (BUSH) uses a commonly used DU BUSH (DUCOL STEEL BUSH) material. The DU BUSH is a kind of bearing, which is resistant to high loads and impact loads, has excellent wear resistance, and has a long service life.

한편,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는 좁은 공간에서 장치를 결합하기 위해 부품을 여러 개로 나눔으로써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관리 및 보수의 편리성을 확보하였으며, 상기 크레인 전도방지 장치는 연결핀의 결합방향에 따라 2가지의 다른 형상의 실시례로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to facilitate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by dividing the parts into several to combine the device in a narrow space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repair,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n Depending on the direction, it can be applied in two different shapes.

실시례 1인 도 14, 15, 16, 20, 21을 참조하면,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의 결합방식 경우1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결구는 좌, 우측 연결구가 결합하여, 하나의 완전한 연결구를 이룬다. 좌측 연결구는 중앙에 수평구멍이 천공된 직사각형 플레이트 두 개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설치되고, 두 개의 플레이트 하면에는 걸림고리가 결합된 것이고, 상기 우측 연결구는 중앙에 수평구멍이 천공된 직사각형 플레이트 한 개만이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 걸림고리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좌, 우 걸림고리가 결합되어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의 걸림홈은 홈을 아랫방향으로 하여 본체의 하단부에 결합 되고, 연결구와 본체에 형성된 체결홀에 원기둥 형상을 한 연결핀이 삽입됨으로써 고정되어진다. (도14를 참고하면, 상기 체결홀은 연결구의 전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핀의 양쪽상단에 존재하는 플랜지 걸림홈에는 본체를 양쪽에서 고정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가 각각 걸리고, 볼트 및 너트로 최종 고정결합 하게 된다.      14, 15, 16, 20, and 21, the assembly method of the case 1 of the coupling method of the crane fall prevention apparatus is as follows. The connector is combined with the left and right connectors to form one complete connector. The left connector is installed with two horizontally spaced rectangular plates facing each other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wo lower plates are provided with a hook ring, and the right connector has only one rectangular plate with horizontally perforated holes in the center. It is installed and the hook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engaging ring is coupled to form a connector, the engaging groove of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with the groov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connecting pin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and the main body It is fixed. (Refer to Fig. 14,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connector.) In addition, the flange engaging grooves present at both upper ends of the connecting pins have end plates for fixing the main body on both sides, and bolts and nuts. Final fixed coupling.

상기와 같은 실시례1의 결합방법은 연결핀이 전도방지장치에 크레인의 주행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크레인의 주행 시 전도방지장치의 횡방향 요동운동(도 14를 기준으로 할때 좌,우측 운동)의 운동 각도 범위 한계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레일에 대한 전도방지 장치가 경직되지 않고 유연성이 뛰어남으로써 크레인의 안정감을 향상시킨다. (도2를 참조했을 때 크레인은 좌, 우측으로 주행하고, 도14를 참조했을 때 크레인은 전, 후방으로 주행한다. )
Coupling method of Example 1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connect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all prevention devic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rane, so that the transverse rocking motion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when the crane travels (left and right movements based on FIG. 14). The range of angular range of motion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crane by not having rigidity against the rails and being flexible. (The crane travels left and right when referring to Fig. 2, and the crane travels forward and backward when referring to Fig. 14.)

실시례2는 도 17, 18, 19, 22, 23를 참조하면,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의 결합방식 경우2는 좌, 우측 연결구가 결합하여, 하나의 완전한 연결구를 이룬다. 좌측 연결구는 중앙에 수평구멍이 천공되고, 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이고, 하부에 좌측 걸림고리가 형성된 것이고, 우측 연결구의 중앙에 수평구멍이 천공되고, 일면에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고, 하부에 우측 걸림고리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좌, 우측 연결구의 걸림고리는 결합하여 걸림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이 홈을 아랫방향으로 하여 본체의 하단부에 안착 하고 연결구와 본체에 형상된 체결홀에 원기둥 형상을 한 연결핀이 연결구에 삽입됨으로써 힌지 고정되어진다. (도17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홀은 연결구의 좌, 우측으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연결핀의 양쪽상단에 존재하는 플랜지 걸림홈에는 본체를 양쪽에서 고정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가 각각 걸리고, 볼트 및 너트로 엔드플레이트와 연결핀은 최종 고정결합 된다.     17, 18, 19, 22, and 23, the coupling method of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in the case 2, the left and right connectors are combined to form one complete connector. The left connector is a horizontal hole is drilled in the center,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on one side, the left hook is formed at the bottom, the horizontal hole is punched in the center of the right connector, the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The right hook is formed at the bottom. In addition, the engaging ring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ors is combined to form a locking groove. In addition, the locking groove is seated i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with the groove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in having a cylindrical shape in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nnector and the main body is hing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or. (Refer to Fig. 17,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onnector.) In addition, the flange engaging grooves present at both upper ends of the connecting pins have end plates for fixing the main body on both sides, and bolts and End plate and connecting pin are finally fixed with nut.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를 상기방법으로 고정결합 시켰을 때는 작업자가 연결핀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많은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결함이 생겼을 때 바퀴를 해체 하지 않고서도 연결부위에 대한 검사 및 수리가 가능함을 뜻한다. (도2를 참조했을 때 크레인은 좌, 우측으로 주행하고, 도 17을 참조했을 때 크레인은 전, 후방으로 주행한다. )      When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is fixedly coupled in the above manner, the operator secures a lot of sp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in is fastened. This means that in the event of a fault, it is possible to inspect and repair the connection without disassembling the wheel. (The crane travels left and right when referring to Fig. 2, and the crane travels forward and backward when referring to Fig. 17.)

따라서 본 발명의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는 크레인 주행부에 설치되어 주행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급작스런 외력에 의한 크레인 전도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rane fall preven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rane running portion to improve the running and stabil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ane fall over by a sudden external force in advance.

상기 크레인의 주행부에 설치된 장치들은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주행직각방향으로도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안전성 있는 작업과 크레인의 밀림현상 및 전도현상으로 인해 발생 되어질 수 있는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 devices installed in the traveling part of the crane are fixed not only in the driving direction but also in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direction, so that human and physical property damages due to the risk of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more accurate and safe work and the rolling and falling of the crane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minimizing this and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1: 붐 2: 기계실
3: 포탈타워 4: 포탈거더
5: 포탈레그(포탈레그 프레임) 6: 주행부
100: 크레인 스톰앵커 110: 웨이트
111: 고정핀 113: 앵커레바
114: 락킹로드 122: 고정대
123: 지지대 130: 체결피트
200: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 201: 상부링크
202: 상부 풀림 방지용 나사 203: 이음로드
204: 하부 풀림 방지용 나사 205: 하부링크
206: 홀더 207: 연결핀
208: 체결핀 221: 홀딩피트
222: 체결판 223: 라지로카핀
230: 리미트 스위치 231: 리미트 스위치 감지레바
240: 고정플레이트 241: 고정구멍
242: 고정 엔드(end) 플레이트 243: 고정핀
300: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
301: 본체 302: 레일
303: 연결구 304: 결합홈
305: 결합돌기 306: 엔드(END) 플레이트
307: 우측 연결구 308: 좌측 연결구
310: 체결홀 311: 연결핀
312: 플랜지걸림홈 320: 걸림홈
321: 걸림고리
501: 스톰앵커기둥 511: 힌지프레임
512: 라지로카(large locker) 513: 스몰로카(small locker)
514: 보기
1: boom 2: machine room
3: Portal Tower 4: Portal Girder
5: Portal Leg (Portal Leg Frame) 6: Travel Section
100: crane storm anchor 110: weight
111: fixing pin 113: anchor lever
114: locking rod 122: fixed base
123: support 130: fastening feet
200: crane tie-down device 201: upper link
202: upper loosening prevention screw 203: joint rod
204: lower loosening screw 205: lower link
206: holder 207: connecting pin
208: fastening pin 221: holding feet
222: fastening plate 223: large loca pin
230: limit switch 231: limit switch detection lever
240: fixing plate 241: fixing hole
242: fixing end plate 243: fixing pin
300: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301: main body 302: rail
303: connector 304: coupling groove
305: engaging projection 306: end plate
307: right connector 308: left connector
310: fastening hole 311: connecting pin
312: flange locking groove 320: locking groove
321: hook
501: storm anchor pillar 511: hinge frame
512: large locker 513: small locker
514: View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포탈레그 프레임(5)의 하부에 주행부(6)가 설치되는 크레인 주행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6)는 포탈레그 프레임(5)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스톰앵커(100)와, 상기 스톰앵커(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와,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의 양측에 설치되되 바퀴 사이에 위치하는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와, 복수개의 바퀴와, 상기 스톰앵커(100)와, 타이다운장치(200)와, 크레인 전도방지장치(300) 및 바퀴를 연결하는 라지로카(512), 또는 스몰로카(513)를 포함하되,
상기 스몰로카(513)는 하부에 보기(514)가 설치되어, 상기 보기(514)에 바퀴가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크레인 스톰앵커(100)는 바(bar)형상의 앵커레바(113)와, 상기 앵커레바(113)의 끝단에 설치된 락킹로드(114)와, 바닥의 일부구간에 설치되며 상기 락킹로드(114)의 하부가 위치하며 체결되는 체결 피트(pit)(130)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크레인 타이다운 장치(200)는 주행부(6) 상부에 설치된 힌지프레임(511)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어 있는 상부 링크 (201)와, 상기 상부링크(201)에 연결되는 이음로드(203)와, 상기 이음로드(203)와 연결되는 하부링크(205)와, 상기 하부링크(205)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바닥에 형성된 홀딩피트(221)내의 체결판(222)에 힌지연결 되어있는 홀더(206)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300)는 크레인의 주행부(6)와 연결되는 본체(301)와, 상기 본체(301) 하부에 위치하며 걸림홈(320)이 하면에 형성된 연결구(303)와, 상기 연결구(303)의 걸림홈(320)이 지상기초면에 설치된 레일(302)을 감싸듯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주행부 구조
In the crane traveling part structure in which the traveling part 6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portal leg frame 5, the said traveling part 6 is the storm anchor 100 provided in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portal leg frame 5, Crane tie-down device 2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orm anchor 100, the crane fall-down prevention device 3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ane tie-down device 200 and located between the wheels, a plurality of wheels And, the storm anchor 100, the tie-down device 200,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300 and includes a large loca 512, or a small car 513 for connecting the wheel,
The small car 513 is a bogie 514 is installed at the bottom, the wheel is installed in the bogie 514,
The crane storm anchor 100 is a bar (bar) anchor lever 113, the locking rod 114 is installed on the end of the anchor lever 113, and installed in a portion of the floor and the locking rod 114 The lower portion of the) is to include a fastening pit (130) to be fastened,
The crane tie-down apparatus 200 includes an upper link 201 hinged to one end of a hinge frame 511 installed on the driving unit 6 and a joint rod 203 connected to the upper link 201. And a lower link 205 connected to the joint rod 203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link 205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fastening plate 222 in the holding pit 221 formed on the bottom. It includes a holder 206,
The crane fall prevention device 300 is a main body 301 connected to the running portion 6 of the crane, the connector 303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1 and the locking groove 32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Crane travel part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groove 320 of the connector 303 is installed as if the rail 302 is installed on the ground foundation surface
삭제delete
KR1020110142519A 2011-12-26 2011-12-26 Driving part structure of crane KR1011731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19A KR101173143B1 (en) 2011-12-26 2011-12-26 Driving part structure of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519A KR101173143B1 (en) 2011-12-26 2011-12-26 Driving part structure of cr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143B1 true KR101173143B1 (en) 2012-08-16

Family

ID=4688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519A KR101173143B1 (en) 2011-12-26 2011-12-26 Driving part structure of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14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976B1 (en) * 2021-09-06 2022-04-08 두텍 주식회사 Safe crane wheel bogie replacement device with 3-axis movement and overturn prevention function of crane equipped with wheel bogie with high maintenance convenience and lateral rigid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665A (en) * 2000-08-30 200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Base isolation type safety against wi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665A (en) * 2000-08-30 200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Base isolation type safety against wi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976B1 (en) * 2021-09-06 2022-04-08 두텍 주식회사 Safe crane wheel bogie replacement device with 3-axis movement and overturn prevention function of crane equipped with wheel bogie with high maintenance convenience and lateral rigid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134B2 (en) Crane hook block
US4597497A (en) Hoist with redundant safety features
US20130068713A1 (en) Lifting frame device
KR101173130B1 (en) crane accident preventing method
US5245940A (en) Load lifting device
KR101184598B1 (en) Crane storm anchor
WO2016058266A1 (en) Port mobile crane capable of being proof against storm wind and capable of overturning to transfer by means of mechanism design
CN103410540A (en) Loader for hydraulic supports of fully-mechanized coal mining faces of coal mines
EP1084984A1 (en) Mobile crane, particularly port mobile crane, for normal and heavy loads
JP2011504440A (en) Lift assembly including trapezoidal strong back beam system
KR101173143B1 (en) Driving part structure of crane
RU2307783C1 (en) Tower crane
KR102626438B1 (en) Automated safety hydraulic tie-down system against storm wind for outdoor cranes
US4181194A (en) Safety clamp device and apparatus utilizing same
RU2405734C1 (en) Mine cage mounting device (versions)
US3536204A (en) Anchoring device for gantry cranes
JPH09278374A (en) Inclination correcting device for crane with weight truck
KR101173149B1 (en) Crane tie-down device
KR101184600B1 (en) Prevention device of crane rollover
CN111547625B (en) Rail crane transportation turns to platform truck
US3502228A (en) Safety device for crane boom
CN112937627A (en) Hydraulic band-type brake device for switch train of fully mechanized caving face
RU2305639C1 (en) Manipulator
CN217200971U (en) Lifting ship loader
CN211621222U (en) Light hanging basket suitable for bridge detection and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