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136B1 - Stopper device for crane boom collision prevent - Google Patents

Stopper device for crane boom collision prev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136B1
KR101173136B1 KR1020110142670A KR20110142670A KR101173136B1 KR 101173136 B1 KR101173136 B1 KR 101173136B1 KR 1020110142670 A KR1020110142670 A KR 1020110142670A KR 20110142670 A KR20110142670 A KR 20110142670A KR 101173136 B1 KR101173136 B1 KR 10117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opper device
boom
crane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대영
배태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트로
배태한
정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트로, 배태한, 정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트로
Priority to KR102011014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1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1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PURPOSE: A stopper device for preventing the collision of a crane boom is provided to prevent the damage of personal and real properties due to all kinds of accidents by having a structural function for self-collision absorption. CONSTITUTION: A stopper device for preventing the collision of a crane boom comprises a stopper device(21). The stopper device is composed of an upper frame(10) and a lower frame(11) and a buffer frame is installed in position of a crane boom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device. An elastic member is attached on the end of the upper frame and the end of the buffer frame. When the boom is crashed with the stopper device, the buffer frame formed in the boom enters into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because the diameter of the buffer frame is smaller than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Multiple buffer tubes are embedded in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to primarily absorb the impact.

Description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 {stopper device for crane boom collision prevent}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stopper device for crane boom collision prevent}

본 발명은 크레인 붐과 에이프레임 및 기타 구조물의 충돌 및 대형 사고를 예방하는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종래기술인 리미트 센서의 오작동 및 고장을 고려한 장치로써, 각종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for preventing the collision and large accident of the crane boom and a-frame and other structures, in particular, a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malfunction and failure of the conventional limit sensor, according to the risk of various accide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which can reduce physical property damage as well as improve reliability of a product.

본 발명은 크레인 붐과 에이프레임 및 기타 구조물의 충돌 및 대형사고를 예방하는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미트 센서의 오작동 및 고장을 고려한 장치로써, 각종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for preventing the collision and large accidents of the crane boom and a-frame and other structures, in particular, the device considering the malfunction and failure of the limit sensor, human and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risk of various accidents It not only reduces property damage but also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종래기술로써 ‘크레인’(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53291)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선박건조용 도크나 야적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지브크레인은 베이스의 기능을 하는 포탈프레임과, 이 포탈프레임의 상부에 지지수단을 통해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팅프레임과, 이 로테이팅프레임에 장착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윈치기구와, 기단이 로테이팅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윈치기구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거나 신축되는 지브와, 윈치기구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지브의 하측으로 늘어지도록 설치되는 걸이기구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포탈프레임은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올려져,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crane'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0853291) in general, jib crane mainly used in shipbuilding docks or yards are a portal frame that functions as a base, and on the upper part of the portal frame A rotating frame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ing means, a winch mechanism mounted on the rotating frame to wind and unwind the wire, and a proximal end hinged to the rotating frame to be rotated up and down by the winch mechanism; Stretching jib and hook mechanism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winch mechanism to hang down the jib. At this time, the portal frame is mounted on the rail installed on the ground, it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rail.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로울러를 개재하여 구성된 선회베어링을 이용하며, 이 선회베어링의 하판과 상판이 포탈프레임과 로테이팅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한다.      The support means uses a swing bearing configured between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via a roller, and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of the swing bearing are coupled to the portal frame and the rotating frame, respectively, to support the rotating frame. do.

이때, 이 선회베어링은 로테이팅프레임의 회전중심을 설정하는 기능과, 로테이팅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그리고, 상기 포탈프레임 또는 로테이팅프레임에는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ivot bearing performs the function of sett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ting frame and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rotating frame. In addition, a driv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portal frame or the rotating frame to rotate the rotating frame.

따라서, 상기 걸이기구에 옮길 물품을 걸어놓은 상태에서, 윈치기구로 걸이기구를 승강시키거나 지브의 길이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구동장치로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시켜 원하는 위치로 물품을 옮길수 있는 크레인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Therefore, in the state of hanging the goods to be moved to the hook mechanism, the crane can move the goods to a desired position by elevating the hook mechanism with a winch mechanism or adjusting the length or angle of the jib, and turning the rotating frame with the drive device. It is described as.

또한, 청구항1에는 베이스의 기능을 하는 포탈프레임과; 이 포탈프레임의 상부에 지지수단을 통해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팅프레임과; 상기 로테이팅프레임을 선회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로테이팅프레임에 장착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된 윈치기구와; 상기 로테이팅프레임에 설치되는 지브와; 이동시킬 물품을 걸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윈치기구에서 연장된 와이어에 연결되어 지브의 하측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걸이기구가 구비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포탈프레임과 로테이팅프레임에 결합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이 위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킹핀과; 원형의 궤적을 갖도록 구성되며 각각 포탈프레임의 상면과 로테이팅프레임의 하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설치되는 하부가이드레일및 상부가이드레일과, 회전축이 킹핀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하부가이드레일과 상부가이드레일의 사이 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로울러와, 로울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로울러를 지지하는 케이지유닛이 구비되어, 로테이팅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선회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유닛은 길이가 긴 금속판을 원형으로 만곡하여 구성된 내부 로울러케이지와, 이 내부 로울러케이지에 비해 직경이 큰 원형으로 구성되어 내부 로울러케이지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된 외부 로울러케이지와, 이 내, 외부 로울러케이지의 사이에 결합되어 내, 외부 로울러케이지의 간격을 고정하는 리테이너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 외부 로울러케이지는 일단에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지지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이 공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laim 1 includes a portal frame functioning as a base; A rotating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l frame through a supporting means; A driving device for pivoting the rotating frame; A winch mechanism mounted to the rotating frame to wind or unwind a wire; A jib installed on the rotating frame; A crane having a hook mechanism configured to hang or fix an item to be moved and connected to a wire extending from a winch mechanism and installed on a lower side of the jib, wherein the suppor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portal frame and the rotating frame. Is coupled to the king pin so that the rotating frame is not out of position; The lower guide rail and the upper guide rail, which are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trajectory and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l frame and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frame, respectively, and the lower guide rail and the upper guide rail so that the rotation axis faces the central axis of the kingpin. A plurality of rollers are disposed in a circular shape therebetween, and a cage unit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roller to support the roller, the support unit supporting the rotating frame stably, and the cage unit includes a long metal plate. The inner roller cage formed by rounding the inner ring, the outer roller cag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roller cage and arranged to form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inner roller cage, and coup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oller cages. , Retainer pin to fix the gap of outer roller cage The cr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outer roller cage is configur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 support panel provided with a connection bracket at one end.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써, ‘이동식 크레인’(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54993)에 의하면, 이동식 크레인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휠을 장착할 수 있는 휠연결부를 갖춘 수직프레임과, 상기 휠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로 이루어진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휠은 중심부가 일정 깊이만큼 요입된 레일홈을 형성하여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레일용휠과, 림과 타이어로 이루어져 평지를 주행하도록 상기 레일용휠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타이어휠로 구성된 것이고, 평지와 레일에 적용되는 주행수단을 동시에 장착하여 선택적인 구동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레일에서는 레인용휠에 의해 구동되고, 레일이 형성되지 않은 노면에서는 타이어휠에 의해 구동되어 광범위한 지형조건에 주행 가능토록 하며, 휠을 크레인에 연결할 때,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을 형성하여 평지뿐 아니라 굴곡진 경사면에서도 휠이 경사면에 따라 경사지도록 하여 노면과 휠이 뜨지 않고 접하여 주행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이동식 크레인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mobile crane'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Registration No. 20-0454993), the mobile crane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made of a rectangular shape, vertically to each corner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bottom thereof In the crane consisting of a vertical frame having a wheel connec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wheel, and a wheel rotatably mounted to the wheel connecting portion, the wheel is formed on the rail installed on the ground to form a rail groov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in the center Consists of guided rail wheels and a pair of tire wheels fixed to both sides of the rail wheels so as to travel on a flat surface consisting of rims and tires. By forming, it is driven by a rain wheel on the rail, and on the tire wheel on the road surface where the rail is not formed. It is driven by the vehicle so that it can be driven in a wide range of terrain conditions, and when the wheel is connected to the crane, the axis of rotation is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so that the wheel is inclin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as well as on the flat surface, so that the road surface and the wheel do not float. It is described as a mobile crane with improved runability and safety.

또한, 청구항1에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휠을 장착할 수 있는 휠연결부를 갖춘 수직프레임과, 상기 휠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로 이루어진 크레인에 상기 휠은 중심부가 일정 깊이만큼 요입된 레일홈을 형성하여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레일용휠과; 림과 타이어로 이루어져 평지를 주행하도록 상기 레일용휠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타이어휠; 로 구성된 이동식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휠연결부는 수직프레임 하단에 연결되는 상단플레이트와, 고정구가 천공되어 상기 상단플레이트의 양측 하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 전체적으로 ‘ㄷ’자 형을 갖고, 상기 고정구와 대응하는 연결구가 천공되어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기 지지판 하단에 연결되는 조립판으로 구성되고, 고정구와 연결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판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고정구와 연결구에 끼워져 회전프레임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원주형상의 고정봉; 상기 회전프레임의 조립판에 연결되고, 베어링을 내장하여 상기 휠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어링하우징;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In addition, claim 1 is a horizontal frame made of a rectangular shape, a vertical frame having a wheel connecting portion that is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wheel can be mounted on the lower end,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wheel connecting portion A wheel for a rail formed in a crane consisting of a wheel, the rail being guided by a rail installed on the ground to form a rail groov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enter; A pair of tire wheels fixed to both sides of the wheel for rails to travel on a flat surface consisting of a rim and a tire; In the mobile crane consisting of, the wheel connecting portion is fixed to the upper plat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and a pair of fixed plates that a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s of the upper plate and the fixture is perforated; A pair of support plates having a 'c' shape as a whole, and the connector and the corresponding connector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connecting plate connecting each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an assembly plat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A rotating frame formed between the fixing plates so that the fixing tool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located in a straight line; A cylindrical rod fixed to the fixture and the connector to form a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frame; A bearing housing connected to the assembly plate of the rotating fram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wheel by embedding a bearing; It is described as a mobile cra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크레인 충돌 방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38345)에 의하면, 지브크레인 붐에는 상기 지브크레인 붐의 회전각도 및 기울기를 각각 감지하여 감지 결과값을 상기 메인관리부로 전송하는 제1회전센서 및 기울기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타워크레인붐에는 상기 타워크레인붐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값을 상기 메인관리부로 전송하는 제2회전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메인관리부는 상기 GPS수신기로부터 전송받은 각 크레인의 GPS좌표, 상기 제1GPS부로부터 전송받은 GPS값을 통해 산출된 지브크레인붐의 회전각도 및 기울기 정보, 및 상기 제2GPS부로부터 전송받은 GPS값을 통해 산출된 타워크레인붐의 회전각도 정보, 상기 제1회전센서와 기울기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지브크레인붐의 회전각도 및 기울기 정보, 및 상기 제2회전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타워크레인붐의 회전각도 정보를 각각 기 저장된 해당 크레인의 3D 모델형상에 대입하여 상기 각 크레인 간의 충돌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충돌방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crane collision prevention and monitoring system'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umber 10-0938345), the jib crane boom detects the rotation angle and inclination of the jib crane boom, respectively, detection result value The first rotation sensor and the inclination sensor for transmitting to the main management unit is further provided, The tower crane boom further det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tower crane boom and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value to the main management unit further The main management unit is provided with GPS coordinates of each crane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rotation angle and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jib crane boom calculated through the GPS values received from the first GPS unit, and received from the second GPS unit. Ro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tower crane boom calculated by the GPS value, the rotation of the jib crane boom received from the first rotation sensor and the tilt sensor Preventing a collision between the cranes by inserting degrees and inclination information and ro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tower crane boom received from the second rotation sensor into 3D model shapes of the corresponding cranes respectively stored in advance. And monitoring system.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써, ‘크레인의 경보장치’(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308812)에는 충돌에 따른 크레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의 경보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는 붐조립체의 선단에 대해 훅크고정블럭이 소정거리 접근됨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근접센서의 감지에 의해 소정신호가 출력되면 그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온,오프 스위칭되는 릴레이부와, 릴레이부의 온, 오프 동작에 의해 운전자에 알리는 경보수단을 구비한다. 근접센서는 훅크고정블럭이 접근되었을 때 소자저항이 증가하는 자기저항소자와, 자기저항소자의 소자저항이 소정치 만큼 증가되면 구동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된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경보수단은 릴레이부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경음기이다. 이와 같은 경보장치는 근접센서에 의해서 훅크고정블럭이 붐조립체의 선단에 근접됨을 감지하여 경보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이를 미리 감지하여 윈치의 구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충돌에 따른 파손등을 방지하는 크레인의 경보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a crane warning device"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Registration No. 20-0308812) discloses a crane alarm devic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crane due to the collision. This includes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hook fixing block is approached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tip of the boom assembly, a relay unit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when the predetermined signal is output by the detection of the proximity sensor, and switching on and off the relay unit. Alarm 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by the on / off operation is provided. The proximity sensor is composed of a structure comprising a magnetoresistive element in which the element resistance increases when the hook fixing block approaches, and a transistor driven when the element resistance of the magnetoresistive element increases by a predetermined value. At this time, the alarm means is a horn driven by the on, off operation of the relay unit. Such an alarm device detects that the hook fixing block is near the tip of the boom assembly by the proximity sensor, so that the driver detects this in advance and stops the winch from driving, thereby preventing damage due to a collision. It is described.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크레인의 유동각도 및 충돌의 제한을 센서에 의지하고 있다.      Such prior arts rely on sensors to limit the flow angle and collision of cranes.

그러나 상기 크레인의 센서는 다른 기계들과의 센서 혼선 및 주위환경에 따른 먼지, 비 등에 의해 오류, 고장을 유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종래의 충돌 방지 시스템들은 센서의 오작동 및 고장에 대비하는 기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ensor of the crane may cause errors and failures due to sensor interference with other machines and dust, rain, etc.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conventional anti-collision systems lack a function to prepare for malfunction and failure of the sensor. There wa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외부충격에 대응 할수 있는 구조를 자체적으로 갖춤으로써, 리미트센서의 오작동 및 고장에 대비할 수 있으며 또한 신뢰성이 있는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respond to the external shock by itself,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malfunction and failure of the limit sensor and also to prevent the reliable crane boom collision It is to provide a stopper device.

본 발명은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의 에이프레임에 스토퍼장치(21)를 설치하여, 에이프레임(13)과 붐(1)의 충돌을 방지 내지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boom collision preventing stopp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device 21 is installed on the a frame of the crane, preventing or mitigating the collision between the a frame 13 and the boom 1.

본 발명은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는 붐을 지지하는 에이프레임에 설치되어 기존에 존재하는 리미트센서의 오작동 및 고장을 고려한 장치로써, 구조적으로 자체 충돌완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예방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boom collision prevention stopper device, the crane boom collision prevention stopper device is installed in the A frame supporting the boom, considering the malfunction and failure of the existing limit sensor, structurally self-mitigation It has a function and has a remarkabl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human and physical property due to the risk of various accidents.

도1은 크레인의 측면도
도2는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의 측면도
도3은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의 정면도
도4는 도2의 충돌부재가 부착된 완충장치의 확대측면도
도5는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의 사시도
1 is a side view of a crane
2 is a side view of the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3 is a front view of the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Figure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shock absorber attached to the impact member of Figure 2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본 발명은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의 에이프레임(13)에 스토퍼장치(21)를 설치하여, 상기 크레인의 에이프레임(13)과 붐(1)의 충돌을 방지 내지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which is provided with a stopper device (21) in the a frame 13 of the crane, to prevent or mitigate the collision between the a frame 13 and the boom (1) of the cran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스토퍼장치(21)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11)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인 수직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1103540447-pat00001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device 21 is composed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11, the overall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
Figure 112011103540447-pat00001
It is characterized by the shape.

또한, 상기 크레인 붐(1)에도 스토퍼장치(21)와 대응되는 곳에 완충프레임(2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rane boom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frame 20 is install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device (21).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끝단부와 붐에 부착된 완충프레임(20)의 끝단부에는 탄성부재(18,19)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end of the buffer frame 20 attached to the boo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s (18, 19) are attached.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크레인의 측면도, 도2는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의 측면도, 도3은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의 정면도, 도4는 도2의 충돌부재가 부착된 완충장치의 확대측면도, 도5는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crane, FIG. 2 is a side view of a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FIG. 3 is a front view of a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and FIG.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shock absorber with a collision member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본 발명은 육상 및 해양에서 사용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중량물을 들어 올려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를 칭하며 기능 및 형태에 따라 타워크레인, 갠트리크레인, 지브 크레인 등으로 분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anes used on land and at sea. Generally, a crane refers to a machine that lifts a heavy object and moves it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lassified into a tower crane, a gantry crane, a jib crane, and the like according to its function and shape.

상기 크레인 상부구조는 작업환경 등 필요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지브 크레인을 예로 든다.      The crane superstructure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eed, such as the working environment, 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e most commonly used jib crane as an example.

상기 지브 크레인은 크게 중량물을 이동시키도록 유동되는 붐과, 붐의 유동을 조정하는 기계실과, 기계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기계실을 지지하는 포탈부와, 크레인 자체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주행부를 포함한다.       The jib crane is a boom that is moved to move the heavy material greatly, a machine room for adjusting the flow of the boom, a portal portion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chine room to support the machine room with a constant height, and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crane itself It includes a running portion.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붐과 에이프레임 및 다른 시설물들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구비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크레인 붐의 유동각도 및 충돌 제한을 리미트센서 등에 의지하였다. 또한, 상기 리미트 센서는 검출대상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위치 등의 파악이 가능하므로 마찰이나 손상이 없어 수명이 길고 각종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도 높여준다. 그러나 상기 크레인의 센서는 주위환경에 따른 먼지, 비 등에 의한 오류 및 고장과 다른 기계들과의 센서 혼선 등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In general, cranes are equipped with a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s with booms and a-frames and other facilities. In the related art, the flow angle and the collision limit of the crane boom are relied on the limit sensor. In addition, since the limit sensor can grasp the position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detection target, there is no friction or damage, so the life is long and the human and physical property damage caused by the risk of various accidents can be reduced, as well as reliability of the product. Increase it. However, the sensor of the crane has the possibility of error, such as errors and failures due to dust, rain, etc.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ensor cross-talk with other machines.

그리고 만약 센서혼선 등의 오류가 발생하여 붐이 직접적으로 기계실에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된 경우에는 엄청난 충격에너지로 인해 기계파손 및 인명피해가 크다. And if an accident such as a sensor crosstalk occurs and the boom hits the machine room directly, the mechanical damage and human injury are great due to the enormous impact energy.

본 발명의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장치는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장치와 구조를 자체적으로 갖춤으로써,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충격을 줄일 수 있어 에이프레임 및 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rane boom collision preventing stop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ock absorber and a structure that can absorb shock energy effectively, thereby reducing the impact even when a collision occurs,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a frame and the boom.

상기 스토퍼장치는 에이프레임의 일부를 밑면으로 하여 수직단면형상이 삼각형상이 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삼각형상 중 상부프레임은 하부프레임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stopper device is installed such that a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becomes a triangular shape with a part of the A-frame as the bottom surface. And the upper frame of the triangular shape is formed longer than the lower frame.

따라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프레임들을 맞대었을 때 맞대어지는 지점으로부터 끝단부가 연장된 형상으로 위치하고 전체적인 스토퍼장치는 결과적으로 ‘

Figure 112011103540447-pat00002
’형상이 된다. 상기 스토퍼장치는 에이프레임을 이루는 재질과 동일하게 철, 스틸 등으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upper frame is located in the shape that the end portion extends from the butt point when the frames are butted, the overall stopper device is'
Figure 112011103540447-pat00002
'Shape. The stopper device is made of iron, steel, or the like as a material forming the A frame.

그리고 붐과 스토퍼 장치가 소정거리로 가까워 질 경우 스토퍼장치의 상부프레임 끝단부와 붐이 충돌하게 되며, 상기 충돌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장치가 요구된다.      In addition, when the boom and the stopper device appro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oom collides with the end of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and a shock absorber is required to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energy caused by the collision.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장치 상부프레임의 끝단부 내부에는 다수개의 완충튜브가 내장되는 완충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붐과 스토퍼장치의 충돌 시 상기 스토퍼장치의 상부프레임 끝단부와 대응되는 붐의 소정위치에도 완충프레임이 부착되어 있다.      Accordingly, a buffer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buffer tubes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end of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and cush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om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when the boom and the stopper device collide with each other. The frame is attached.

또한 충격 완충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토퍼장치 프레임 내부의 소정구간에 복원 탄성력이 좋은 다수개의 완충튜브를 설치함으로써 1차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고, 이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2차적으로는 스토퍼장치 프레임이 휘어짐으로써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primary shock absorption is achiev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tubes having good restoring elasticity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stopper device frame in order to improve the shock buffering effect. This deflection allows buffering.

상기 상부프레임 끝단부와 대응되게 붐에 형성된 완충프레임은 스토퍼장치의 상부프레임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서 붐과 스토퍼장치의 충돌 시 붐의 완충프레임이 스토퍼장치의 상부프레임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본 완충프레임의 재질은 스토퍼장치와 마찬가지로 철, 스틸 등으로 구성된다.      The buffer frame formed on the boom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upper frame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so that the buffer frame of the boom enters into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when the boom and the stopper device collide with each other. The material of this shock absorbing frame is made of iron, steel, etc. like the stopper device.

도4를 참조하면, 상부 플레이트내부에 형성된 완충부재의 양측 끝은 완충튜브를 정면 배치하여 직접적인 충돌을 흡수하고 중간부에는 복수개의 완충튜브를 측면 배치함으로써, 충돌 발생 시 복수개의 측면 배치된 완충튜브가 프레임 내부에서 전후로 왕복운동을 하며 스프링작용으로 충격 흡수 작용을 한다.       Referring to Figure 4, both ends of the buffer member formed in the upper plate to absorb the direct collision by placing the buffer tube in front and a plurality of buffer tubes in the middle portion, the plurality of side-side buffer tube when a collision occurs Reciprocates back and forth inside the frame and acts as a shock absorber by spring action.

상기 완충튜브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NR소재를 사용한다.       The buffer tube uses a commonly used NR material.

또한, 상부프레임의 끝단부와 붐에 부착된 완충프레임의 끝단부에도 NR소재의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스토퍼장치의 직접적인 파괴를 방지함으로써 스토퍼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되, 상기 상부프레임의 끝단부에 부착되는 탄성부재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붐의 완충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of the NR material is also attached to the end of the upper frame and the end of the buffer frame attached to the boom to prevent the direct destruction of the stopper device to extend the life of the stopper device, but the end of the upper frame The elastic member attached to the portion is formed with a hole so that the buffer frame of the boom can be inserted.

따라서 본 발명의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는 각종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도 높여준다.      Therefore, the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reduce human and physical property damage caused by the risk of various accidents, but als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는 붐을 지지하는 에이프레임에 설치되어 기존에 존재하는 리미트센서의 오작동 및 고장을 고려한 장치로써, 구조적으로 자체 충돌완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사고의 위험에 따른 인적, 물적 재산 피해를 예방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rane boom collision stopper device is installed in the A-frame supporting the boom in consideration of the malfunction and failure of the existing limit sensor, structurally has its own collision mitigation function and human due to the risk of various accidents In addition,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property.

1: 붐 2: 기계실
3: 포탈타워 4: 포탈거더
5: 주행부 10: 상부프레임
11: 하부프레임
13: 에이프레임 14: 충돌흡수자재
15: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맞대어지는 지점
16: 완충튜브 18, 19 : 탄성부재
20: 완충프레임 21: 스토퍼 장치
1: boom 2: machine room
3: Portal Tower 4: Portal Girder
5: driving unit 10: upper frame
11: underframe
13: Aframe 14: collision absorbing material
15: Point where upper frame and lower frame meet
16: buffer tube 18, 19: elastic member
20: buffer frame 21: stopper device

Claims (4)

크레인의 에이프레임(13)에 스토퍼장치(21)를 설치하여, 상기 크레인의 에이프레임(13)과 붐(1)의 충돌을 방지 내지 완화하는 크레인 붐충돌방지 스토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장치(21)는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11)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인 수직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41545589-pat00009
’형상이며,
상기 크레인 붐(1)에도 스토퍼장치(21)와 대응되는 곳에 완충프레임(20)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끝단부와 붐(1)에 부착된 완충프레임(20)의 끝단부에는 탄성부재(18,19)가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붐에 형성된 완충프레임은 스토퍼장치의 상부프레임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붐과 스토퍼장치의 충돌시 붐에 형성된 완충프레임이 스토퍼장치의 상부프레임내부로 진입하게 되며,
상기 스토퍼장치 상부프레임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완충튜브가 내장되어, 1차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고, 이를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지면 2차적으로는 스토퍼장치프레임이 휘어짐으로써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붐 충돌방지 스토퍼 장치
In the crane boom collision prevention stopper device which installs the stopper apparatus 21 in the a frame 13 of a crane, and prevents or alleviates the collision of the a frame 13 of the crane with the boom 1,
The stopper device 21 is composed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lower frame 11, the overall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
Figure 112012041545589-pat00009
'Shape,
In the crane boom 1 also installs a buffer frame 20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device 21,
Elastic members 18 and 19 are attached to the end of the upper frame 10 and the end of the buffer frame 20 attached to the boom 1.
In addition, the buffer frame formed on the boom is formed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the buffer frame formed on the boom enters into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when the boom and the stopper device collides,
A plurality of buffer tubes are built into the upper frame of the stopper device, so that a primary shock is absorbed, and when a shock exceeding this is applied, the stopper device frame is secondly curved to perform a buffering function. Crane Boom Anti-collision Stopper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142670A 2011-12-26 2011-12-26 Stopper device for crane boom collision prevent KR101173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670A KR101173136B1 (en) 2011-12-26 2011-12-26 Stopper device for crane boom collision prev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670A KR101173136B1 (en) 2011-12-26 2011-12-26 Stopper device for crane boom collision prev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136B1 true KR101173136B1 (en) 2012-08-16

Family

ID=46887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670A KR101173136B1 (en) 2011-12-26 2011-12-26 Stopper device for crane boom collision prev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1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75B1 (en) 2017-11-29 2019-05-23 주식회사 무스마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 of crane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7782A (en) 1997-11-25 1999-06-15 Kobe Steel Ltd Tower crane, its backstop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ower crane
JP2000143167A (en) 1998-11-10 2000-05-2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Backward overturning preventing device for jib in moving crane
JP2005145569A (en) 2003-11-11 2005-06-09 Kobelco Cranes Co Ltd Tower cra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7782A (en) 1997-11-25 1999-06-15 Kobe Steel Ltd Tower crane, its backstop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ower crane
JP2000143167A (en) 1998-11-10 2000-05-2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Backward overturning preventing device for jib in moving crane
JP2005145569A (en) 2003-11-11 2005-06-09 Kobelco Cranes Co Ltd Tower cra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75B1 (en) 2017-11-29 2019-05-23 주식회사 무스마 System for preventing collision of cran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0211A (en) Balancing device and crane with same
CN107190601B (en) A kind of vehicle emergency escape device
CN104863072A (en) Anti-collision and anti-rollover flexible roller intelligent protective fence
KR101173136B1 (en) Stopper device for crane boom collision prevent
KR101461193B1 (en) Crane with a collision prevention device
KR10144858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entrance of tunnel
CN114561889A (en) Stall protection device for trackless rubber-tyred vehicle
KR101666139B1 (en) Truck Mounted Attenuator
JP2002068665A (en) Base isolation type safety against wind
CN110228066B (en) Tunnel detection device and obstacle avoidance unit and obstacle avoidance method thereof
KR102193717B1 (en) Crane safety device
CN212222231U (en) Detection device for gantry crane and gantry crane
CN213569273U (en) Amplitude changing mechanism of tyre type crane
CN209835436U (en) Tire type crane chassis and crane
CN212475860U (en) Anticollision overhead traveling crane
CN204803798U (en) Anticollision flexible cylinder of formula intelligence rail guard of preventing turning on one's side
CN105172834B (en) Electric derailer and train rail
JP4986108B2 (en) Seismic derailment prevention system using a spreader
CN209700690U (en) The V-way formula catcher of the anti-race in inclined gallery
CN102991443A (en) Engineering machine and protection device
CN104674865A (en) Obstacle destroying vehicle
JPH10114971A (en) Contact preventive device for slewing heavy machine
CN215968709U (en) Robot running gear of detectable obstacle
CN218090603U (en) Public road bridge roof beam buffer stop
KR101222618B1 (en) Active Protective Protectors for Tru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