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760B1 -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760B1
KR101172760B1 KR1020090135942A KR20090135942A KR101172760B1 KR 101172760 B1 KR101172760 B1 KR 101172760B1 KR 1020090135942 A KR1020090135942 A KR 1020090135942A KR 20090135942 A KR20090135942 A KR 20090135942A KR 101172760 B1 KR101172760 B1 KR 101172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light
cultivation
nutrient solution
seedlings
pp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8997A (ko
Inventor
박수현
심선택
전창후
이호현
박혜선
서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09013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7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5Leaf crops, e.g. lettuce or spina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1/00Planting
    • Y10S111/906Specialized commodity
    • Y10S111/913Vegetable, i.e. small s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파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을 완전히 차단한 완전 밀폐 공장형 식물생산 시스템 내 환경하에서 대파 생육에 적합한 광포화점을 찾고, 이를 통해 최적 인공광 범위를 찾을 수 있는 인공광을 이용해 대파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 재배 방법{Cultivation method of green onion by using artificial lighting}
본 발명은 태양광을 완전히 차단한 완전 밀폐 공장형 작물재배 시스템 내 환경하에서 인공광을 이용하여 대파를 용이하게 재배할 수 인공광을 이용해 대파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지에서 재배되는 대파의 육묘는 배수가 잘되는 논밭을 선택하여 폭이 60~120cm 되는 평평한 모판을 만들고, 여기에 4~6줄로 조파하여 씨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흙을 덮어, 90~120일간 육묘하여 정식묘를 얻게 된다.
이러한 정식묘는 폭 20cm, 깊이 18~20cm 정도로 파여진 이식 도랑에 1포기씩 2~3cm 간격으로 인력에 의해서 이식되며, 일조와 직립성의 관계를 고려하여 이식 도랑의 북쪽 벽에 기대어 세워서 이식된다.
이때의 복토는 이식 도랑의 윗면까지 하지 않고, 정식묘의 뿌리 부분 3~5cm 정도가 덮일 정도로 하며, 묘의 성장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복토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파의 육묘는 포장에 직접 조파를 하여 육묘한 다음, 이것을 인력에 의해 차례차례 뽑아서 50~100포기 단위의 다발로 만들어 정식 포장으로 운반 하고, 이것을 깊이 20cm 정도의 이식 도랑에 1포기씩 2~3 간격으로 이식하여 재배한다.
그러나, 노지를 이용하는 대파의 재배는 재배환경 예를 들면, 재배 시기, 풍흉 및 토양, 물의 오염, 병충해 등에 따라 생산에 많은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노지재배와 달리 수경재배는 토양의 좋고 나쁨과 관계없이 지하부 환경을 동일한 조건으로 만들어 줄뿐만 아니라 연속재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경재배 역시 공간 활용이 힘들고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병충해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충해로부터 자유로운 대파의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의 재배방법은 발아판 위 재배판에 육묘상과 물을 채우고, 대파 종자를 밀식 파종하여 암실에서 발아시키고, 발아 후 양액과 인공광을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정식묘를 얻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양액은 pH가 6.0~7.0이고, EC가 1.0이고,
상기 인공광은 200~280 PPF(μmol m-2 s-1)의 광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식묘를 재배 베드의 구멍당 1~3주씩 정식하고, 정식 후 양액과 인공광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식 후 공급되는 양액은 EC가 2.0이고,
상기 정식 후 공급되는 인공광은 280~400 PPF(μmol m-2 s-1)의 광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 재배 방법은 대파의 육묘 시와 재배 시 인공광을 이용함에 따라 병충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온도, 광, 탄산가스, 배양액 등의 환경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여 대파를 재배할 수 있도록 완전 밀폐형의 공장형 작물재배 시스템이 적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형 작물재배 시스템은 작물(대파)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실(10)과, 재배실(10)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환기실(20)을 포함한다.
재배실(10)에는 다단으로 적층된 재배베드(12)가 마련된다. 도 2에 확대 도 시한 바와 같이 각층의 재배베드(12)의 바닥면에는 물 또는 양액이 수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그 위에는 작물 재배를 위한 재배판(14)이 설치된다.
재배베드(12)에는 복수의 재배판(14)이 설치 가능하며, 성장 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된다. 재배판(14)과 대향하는 재배베드(12)의 상측에는 작물에 인공관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16)이 설치된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17,18은 재배베드(12)에 물 및 양액을 급배수하기 위한 급수관과 배수관이다.
환기실(20)은 재배실(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송풍부(21)와 천장에 마련된 순환부(25)를 포함한다.
송풍부(21)는 송풍팬(22)와 온습도조절장치(23)를 구비하여 작물에 최적화된 공기를 재배실(10)로 송풍하며, 재배실(10)과 송풍부(21) 사이의 측벽에 설치된 기류조절판(24)을 통해 송풍량을 조절한다. 재배실(10)로 송풍된 공기는 재배실의 타측에 마련되는 흡입구(26) 및 천장덕트(27)를 통해 연속적으로 순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공장형 작물재배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공광을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기 작물에 적합한 광량 조건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작물은 광합성이나 광형태 형성 등 광반응을 기본으로 하여 생장하므로 광포화점을 알아내어 이를 맞추어 주는 일이 중요하다. 여기서 광포화점은 광합성 속도가 최대가 되어 광도가 증가해도 광합성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포화상태의 광도를 말한다.
도 3은 인공광을 이용하여 재배되는 대파의 광량에 따른 CO2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의 재배 시 광포화점을 측정해 보면 대파의 광포화점은 500 PPF(μmol m-2 s-1)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의 광포화점을 근거로 하여 최적 인공광 범위를 찾기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공장형 작물재배 시스템에서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의 재배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장 먼저 발아판(미도시) 위 플라스틱 재배판(14)에 육묘상(우레탄 스펀지,미도시)과 물을 채운 후, 대파 종자를 밀식 파종하여 암실에서 발아시킨다.
발아 후 pH가 6.0~7.0이고, EC(전기전도도, Electric Conductivity) 1.0인 양액과 280 PPF(μmol m-2 s-1)의 인공광을 공급하여 20일 후 정식묘를 얻는다.
그리고 정식묘를 재배베드(12)의 구멍당 1~3주씩 정식하고, 양액을 공급하되 EC 농도가 2배인 양액을 공급하고 인공광을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대파를 재배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양액 조성은 일본 야마자끼 수경재배용 양액으로 한다. 육묘기간은 육묘환경에 따라 15~25일간 13~20cm 초장 크기로 육묘한다.
육묘 후 초장이 13~20cm 되었을 때 재배용 스티로폼 베드(12) 상판에 정식한다. 정식간격은 3~5cm X 3~5cm 정식 구멍은 25mm하여 구멍당 1~3주씩 끼워진 우레탄 스펀지를 정식한다.
정식 후 인공광으로 재배한 대파의 수확은 정식 후 60일경부터 직경이 13~30mm, 엽신장이 600mm 이상으로 자랐을 때 실시한다. 수확 시 파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베드(12) 표면 근처에서 잘라 수확한다.
한편, 육묘의 재배 시 공급되는 인공광의 광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파의 광포화점 즉, 500 PPF(μmol m-2 s-1)의 이하에서 결정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실험예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 육묘된 정식묘의 재배 시 공급되는 인공광의 광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파의 광포화점 즉, 500 PPF(μmol m-2 s-1)의 이하에서 결정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실험예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실험예1)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장형 작물재배 시스템 내에서 인공광을 이용하여 대파를 재배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육묘 시 대파의 최적 인공광 범위를 찾기 위해 실험한 것이다.
실험에 이용된 파종은 금장외대파를 이용하였으며, 육묘 시 PPF(μmol m-2 s-1)를 달리하여 20일간 대파의 엽신장, 직경, 생체중, 엽수를 측정하였다.
광량PPF
(μmol m-2 s-1)
150 200 280 330 400
엽신장(cm) 12.83 13.27 13.38 12.15 11.94
생체중(mg) 139 163 165 174 169
직경(mm) 1.2 1.8 1.88 1.91 1.95
엽수(개) 1.75 1.9 1.97 1.87 1.8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파의 경우 200~280 PPF(μmol m-2 s-1)의 넓은 범위에서도 일정한 생육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육묘 시 초기에 지나치게 높은 광량은 정식 스트레스를 받아 생육에 저해를 줄 수 있으므로 에너지 비용을 고려하여 200~280 PPF(μmol m-2 s-1) 범위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2)
실험예2는 공장형 작물재배 시스템 내에서 인공광을 이용하여 대파를 재배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대파의 재배 시 최적 인공광 범위를 찾기 위해 실험한 것이다.
실험에 이용된 파종은 금장외대파를 이용하였으며, 육묘 시 인공광량은 280 PPF(μmol m-2 s-1)로 고정하였고, 재배 시 인공광량을 달리하여 대파의 엽신장, 직경, 생체중, 엽수를 측정하였다.
광량PPF
(μmol m-2 s-1)
200 280 330 400 500
엽신장(cm) 65.34 67.59 67.1 66.73 64.52
생체중(g) 35.6 38.13 38.35 37.5 36.93
직경(mm) 12.59 13.11 13.34 13.5 14.1
엽수(개) 6 7 7 7 6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파의 경우 280~500 PPF(μmol m-2 s-1)의 넓은 범위에서도 일정한 생육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광량이 증가할수록 파의 생체중은 증가하나 에너지 비용을 고려하여 280~400 PPF(μmol m-2 s-1) 범위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 재배 방법에서는 대파에 국한하여 설명하였는데, 대파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식물들(예를 들면, 채소, 곡류, 인삼류 등)에 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대파의 육묘 시 및 재배 시 밀폐형의 공장형 작물재배 시스템에서 인공광을 이용하므로 병충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공장형 작물 재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인공광을 이용하여 재배되는 대파의 광량에 따른 CO2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4)

  1. 발아판 위 재배판에 육묘상과 물을 채우고,
    대파 종자를 밀식 파종하여 암실에서 발아시키고,
    발아 후 양액과 인공광을 주기적으로 공급하여 정식묘를 얻고,
    상기 정식묘를 재배 베드의 구멍당 1 ~ 3주씩 정식하고, 정식 후 양액과 인공광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식묘를 얻는 과정에서 상기 양액은 pH가 6.0~7.0이고, EC가 1.0이고, 상기 인공광은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가 200~280 PPF(μmol m-2 s-1)의 광도이며,
    상기 정식 이후 과정에서 상기 양액은 EC가 2.0이고, 상기 인공광은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가 280~400 PPF(μmol m-2 s-1)의 광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의 재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135942A 2009-12-31 2009-12-31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 재배 방법 KR10117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942A KR101172760B1 (ko) 2009-12-31 2009-12-31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942A KR101172760B1 (ko) 2009-12-31 2009-12-31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 재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997A KR20110078997A (ko) 2011-07-07
KR101172760B1 true KR101172760B1 (ko) 2012-08-14

Family

ID=4491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942A KR101172760B1 (ko) 2009-12-31 2009-12-31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4945A1 (zh) * 2017-11-06 2019-05-09 陈响 一种水稻旱地育苗盘
CN111758544A (zh) * 2020-06-30 2020-10-13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 牛大力组培苗的水培炼苗方法及其炼苗装置
KR102516141B1 (ko) * 2020-07-27 2023-03-30 농업회사법인 플랜티팜 주식회사 식물 재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378B1 (ko) 2003-09-05 2005-09-06 주식회사 태상인터내셔날 식물 공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378B1 (ko) 2003-09-05 2005-09-06 주식회사 태상인터내셔날 식물 공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997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0436B2 (ja) 植物栽培方法及び施設
KR101269814B1 (ko) 수경 인삼재배방법 및 장치
KR101330101B1 (ko) 접목·삽목묘 생산장치
CN111972204A (zh) 一种新型立地式控根容器栽培蓝莓的方法
KR101172760B1 (ko) 인공광을 이용한 대파 재배 방법
JP2005034043A (ja) 土耕植物栽培プラント
CN108184590B (zh) 一种人参种质资源保存及种子种苗繁育方法
JP2002125495A (ja) 溶液栽培装置
CN105393739A (zh) 以酚醛塑料花泥为基质培育桑树插条苗木的方法
CN111820093A (zh) 一种生姜穴盘育苗方法
CN110558215A (zh) 一种有机蔬菜栽培方法及其使用的栽培槽和应用
CN113973673B (zh) 一种珠芽魔芋扩繁种苗的方法
KR20200030220A (ko) 뿌리식물 수경재배용 시트
RU2717999C1 (ru) Способ полев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миниклубней из микрорастений картофеля в защищенной среде
CN111034557B (zh) 一种大麦黄花叶病室内接种用幼苗及接种后幼苗的培养方法
JP2012095633A (ja) 多目的型植物栽培装置
KR101172762B1 (ko) 공장형 작물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대파의 조직감 향상 방법
JPH07121190B2 (ja) 移動式作物栽培装置及び方法
CN108651024B (zh) 一种橡胶树大田扦插育苗方法
CN102224787A (zh) 利用湿润-漂浮育苗方式生产菌根烟苗的方法
CN111587750A (zh) 水稻大棚基质育秧方法
CN110537425A (zh) 一种大果榛子良种无性扦插繁育方法
WO2022270130A1 (ja) 果菜植物の栽培方法
JP2020110085A (ja) 植物栽培方法、植物栽培施設、及び水処理装置
CN212589230U (zh) 一种早春栽培节瓜的通风性小拱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