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669B1 -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669B1
KR101172669B1 KR1020110005886A KR20110005886A KR101172669B1 KR 101172669 B1 KR101172669 B1 KR 101172669B1 KR 1020110005886 A KR1020110005886 A KR 1020110005886A KR 20110005886 A KR20110005886 A KR 20110005886A KR 101172669 B1 KR101172669 B1 KR 101172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mark
digital content
user
watermark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491A (ko
Inventor
박일환
배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주)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주)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Priority to KR102011000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6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06F16/2379Updates performed during online database operations; commi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Securing storage systems
    • G06F3/0623Securing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기 삽입된 워터마크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기 삽입된 워터마크 신호가 없는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 및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를 포함한 워터마크 신호를 생성한 후 업로드 된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함으로써 손쉽고 간편하게 워터마크 웹 등록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ON-LINE WATERMARK SERVIC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작권 보호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는 그 특성상 콘텐츠를 복제한 복제 콘텐츠와 원본 콘텐츠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저작권자(예를 들어, 콘텐츠 제작자, 아티스트, 개발자 등)의 허락 없이 디지털 콘텐츠를 불법 복제하여 유통시키면, 저작권자들이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생산)하는데 들인 노력 및 비용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는 등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합법적인 권리를 보호받지 못하게 된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는 온라인을 통해 쉽게 유통되고 복제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가 커지게 되며, 그로 인해 디지털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인터넷 환경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유통 방지를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 워터마크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디지털 워터마크 기술은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자의 정보를 은닉하여 삽입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 경우, 디지털 콘텐츠가 불법 복제되더라도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서 저작권자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작권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저작권자 개인이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를 포함하는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은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를 포함한 워타마크를 삽입하도록 해주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일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중으로 워터마크 웹 등록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들이 온라인 상에서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된 워터마크를 검출하도록 해주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의 온라인 상의 유통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워터마크 웹 등록을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상기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기 삽입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워터마크 신호가 기 삽입되어 있는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서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추출하는 워터마크 검출기; 상기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기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업로드 된 디지털 콘텐츠에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 및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는 워터마크 삽입기; 및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기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기 삽입된 워터마크 신호를 추출하도록 상기 워터마크 검출기를 제어하고, 상기 추출한 워터마크 신호에서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워터마크 웹 등록이 불가하다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기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도록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가 포함된 워터마크 신호를 쉽고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들이 디지털 콘텐츠를 워터마크 웹 등록할 때,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이미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동일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중복 등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워터마크 웹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유통시킬 수 있는데, 이때 다운로드한 디지털 콘텐츠에는 저작권 정보가 워터마크 형태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안심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 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 삽입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은 웹 서버(102), 워터마크 삽입기(104), 워터마크 검출기(106), 데이터베이스(108), 및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예를 들어, 개인 또는 기업)는 자신의 클라이언트(15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등)를 통해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1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클라이언트(150)를 통해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에 업로드(Upload)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포함한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클라이언트(150)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로는 예를 들어,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자 성명, 저작권자의 홈 페이지 주소,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제조 일자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클라이언트(150)를 통해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 로드(Download)하여 유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각 사용자들은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해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를 포함한 워터마크 신호를 손쉽고 간편하게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클라이언트(150)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에 업로드 한 후,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 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되어 있는지, 그리고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되어 있다면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는 어떻게 되는지 등을 알고 싶은 경우,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 신호를 검출한 후, 해당 다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은 온라인 상에서 워터마크 검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웹 서버(102)는 상기 클라이언트(150)가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웹 서버(102)는 사용자 인증 결과,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즉, 회원 가입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150)로 워터마크 웹 등록을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워터마크 웹 등록이란, 각 사용자가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에 온라인으로 접속한 후, 웹 상에서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를 포함한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여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웹 서버(102)는 상기 워터마크 웹 등록 절차에 따라 해당 안내 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15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웹 서버(102)는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 신호를 검출하여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워터마크 검출을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서버(102)는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의 온라인 상에서의 유통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경우, 온라인 모니터링을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104)는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150)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업로드 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104)는 상기 클라이언트(15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 및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워터마크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한 워터마크 신호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한다.
즉, 워터마크 삽입기(104)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 이외에 상기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워터마크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는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할 때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상기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에 의해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언제 워터마크 웹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동일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이중으로 워터마크 웹 등록이 이루어진 경우, 워터마크 웹 등록의 선후 관계를 파악하여 이중 등록에 따른 혼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10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비져블(Visible)한 형태 또는 인비져블(Invisible)한 형태로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104)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의 크기를 다양한 크기로 변경한 후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가 이미지 파일인 경우,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104)는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의 크기를 예를 들어, 1024×768, 720×480, 640×480, 및 120×120 크기로 각각 변경한 후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크기로 워터마크 웹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들을 다운 로드하여 사용 용도에 맞게 각각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다양한 크기로 워터마크 웹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 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 예를 들어, 120×120 크기로 변경된 디지털 콘텐츠는 이미지 검색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 웹 등록 서비스 시스템(100)에는 여러 사용자들이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여 등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들의 검색 편의를 위해 디지털 콘텐츠를 120×120 크기로 변경하여 이미지 검색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104)는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할 때 삽입 구간을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1시간짜리 영상 콘텐츠인 경우,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104)는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시작 부분 5분과 종료 부분 5분에만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마크 검출기(106)는 상기 사용자가 워터마크 웹 등록하려고 업로드한 디지털 콘텐츠에 이미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워터마크 신호에서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작권 정보를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해주고,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워터마크 웹 등록을 할 수 없음을 알려준다.
즉,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워터마크 웹 등록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업로드한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업로드한 디지털 콘텐츠에 이미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워터마크 검출기(106)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된 워터마크 신호를 추출하여 저작권 정보를 표시하여 준다.
이로써,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이미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정당한 저작권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워터마크 웹 등록되었으므로 다시 워터마크 웹 등록을 할 수 없음을 알려준다. 이는 동일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워터마크 웹 등록이 중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워터마크 검출기(106)는 상기 사용자가 워터마크 검출을 위해 디지털 콘텐츠를 업로드한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워터마크 검출기(106)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한 워터마크 신호에서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여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하여 준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8)는 사용자 별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8)는 사용자 별로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108)는 각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이미지 검색용 파일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클라이언트(150)가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상기 웹 서버(102)를 제어한다. 여기서, 해당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워터마크 웹 등록 절차에 따라 안내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웹 서버(102)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가 워터마크 웹 등록을 위해 디지털 콘텐츠를 업로드한 경우,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에 이미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워터마크 신호가 이미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추출하도록 상기 워터마크 검출기(106)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한 상기 워터마크 신호에서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작권 정보를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해주고,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워터마크 등록을 할 수 없음을 알려주도록 상기 웹 서버(102)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에 이미 삽입된 워터마크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사용자의 저작권 정보 및 상기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워터마크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도록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104)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를 다양한 크기로 변경한 후, 다양한 크기로 변경된 디지털 콘텐츠 각각에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도록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104)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워터마크 신호의 삽입 구간을 정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도록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10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A(즉, 정당한 저작권을 갖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 워터마크 웹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자 B가 영상 처리 및 음성 처리를 통해 워터마크 신호가 검출되지 못할 정도로 변형하여 다시 업로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워터마크 검출기(106)를 통해 워터마크 신호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B의 저작권 정보가 포함된 워터마크 신호가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되어 등록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 A가 상기 워터마크 웹 등록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이 사실을 발견하고,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가 정당한 저작권이 없는 사용자 B에 의해 중복 등록되었다는 사실을 신고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워터마크 검출기(108)를 통해 사용자 A에 의해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와 사용자 B에 의해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에서 각각 워터마크 신호를 추출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추출한 워터마크 신호에서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중복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 중 어느 것이 먼저 워터마크 웹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인지를 판단하여 그 사실을 웹 페이지를 통해 표시해준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나중에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등록을 취소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중복 등록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 간에 혼선을 방지하고 정당한 저작권을 가진 사용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워터마크 검출을 위해 디지털 콘텐츠를 업로드한 경우, 상기 업로드한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 신호를 검출하도록 상기 워터마크 검출기(106)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한 워터마크 신호에서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여 웹 페이지 상에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은 워터마크 웹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웹 상에서의 유통 상황 및 불법 복제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웹 상의 블로그, 카페, 및 포털 사이트 등을 모니터링 사이트로 설정한 후,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URL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집한 URL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URL에 개시된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불법 복제되어 유통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 상황 및 불법 복제 여부 등을 일정 시간 단위로 분석하여 통계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 정보가 포함된 워터마크 신호를 쉽고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들이 디지털 콘텐츠를 워터마크 웹 등록할 때,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이미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동일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중복 등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워터마크 웹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유통시킬 수 있는데, 이때 다운로드한 디지털 콘텐츠에는 저작권 정보가 워터마크 형태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안심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 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마크 삽입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워터마크 삽입기(104)는 스케일러(121), 워터마크 생성부(124), 및 워터마크 삽입부(127)를 포함한다.
상기 스케일러(121)는 상기 제어부(110)가 발생하는 이미지 크기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업로드한 디지털 콘텐츠의 크기를 다양한 크기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케일러(121)는 상기 이미지 크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1024×768, 720×480, 640×480, 및 120×120의 크기로 각각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마크 생성부(124)는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와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워터마크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는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수신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려고 할 때, 내부의 타이머(미도시)를 통해 현재 시간을 확인한 후, 현재 시간을 워터마크 삽입 시간 정보로 하여 상기 워터마크 생성부(124)로 전달한다.
상기 워터마크 삽입부(127)는 상기 스케일러(121)를 통해 다양한 크기로 변경된 디지털 콘텐츠 각각에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워터마크 삽입부(127)는 상기 제어부(110)가 발생하는 삽입 구간 제어 신호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구간에만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2 : 웹 서버 104 : 워터마크 삽입기
106 : 워터마크 검출기 108 : 데이터베이스
110 : 제어부 121 : 스케일러
124 : 워터마크 생성부 127 : 워터마크 삽입부
150 : 클라이언트

Claims (8)

  1. 사용자가 접속하는 경우, 워터마크 웹 등록을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상기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디지털 콘텐츠에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포함하는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는 워터마크 삽입기;
    상기 워터마크 웹 등록된 디지털 콘텐츠의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사이트를 설정하고, 상기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URL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 상황 및 불법 복제 상황 중 하나 이상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도록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업로드 된 디지털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크기로 변경한 후, 상기 서로 다른 크기로 변경된 각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크기로 변경된 각 디지털 콘텐츠 중 가장 작은 크기의 디지털 콘텐츠를 이미지 검색용으로 저장하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 삽입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상기 업로드된 디지털 콘텐츠의 일정 구간에만 삽입하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기 삽입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워터마크 신호가 기 삽입되어 있는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서 상기 워터마크 신호를 추출하는 워터마크 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 신호가 기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기 삽입된 워터마크 신호를 추출하도록 상기 워터마크 검출기를 제어하고, 상기 추출한 워터마크 신호에서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워터마크 웹 등록이 불가하다는 내용을 표시하는,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KR1020110005886A 2011-01-20 2011-01-20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KR101172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86A KR101172669B1 (ko) 2011-01-20 2011-01-20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86A KR101172669B1 (ko) 2011-01-20 2011-01-20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91A KR20120084491A (ko) 2012-07-30
KR101172669B1 true KR101172669B1 (ko) 2012-08-08

Family

ID=4671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886A KR101172669B1 (ko) 2011-01-20 2011-01-20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766B1 (ko) * 2017-12-12 2019-05-07 주식회사 이니셜티 모바일을 위한 효율적 워터마킹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491A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2045B (zh) 具商業規則應用之媒體內容來源偵測系統、方法與電腦可讀取式媒體
US84429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distribution of electronic files
US20020168082A1 (en) Real-time, distributed, transactional, hybrid watermarking method to provide trace-ability and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 in peer-to-peer networks
KR101800373B1 (ko) 불법 콘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40021549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d autheticating works and authorship based on watermark technique
US9137415B2 (en) Using a security feature with a digital image file
CN105303069A (zh) 一种数字版权管理系统及方法
KR20010097834A (ko) 암호화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디지털워터마킹을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07051A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配信方法、及び装置
JP2013093912A (ja) デジタルワークの分配及び利用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0459491C (zh) 一种提取水印的方法
KR20150096211A (ko) 디지털콘텐츠의 무결성 보장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72669B1 (ko) 온라인 워터마크 서비스 시스템
WO2018124431A1 (ko) 웹사이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JP3865347B2 (ja) プログラムへの透かしの挿入方法及びシステム
CN112470150A (zh) 控制方法、内容管理系统、程序及数据结构
KR20030015742A (ko)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 복제 및 무단 배포 추적 시스템
JP3539146B2 (ja) 著作物の使用条件違反チェック方法及び装置、並びに、著作物の使用条件違反チェック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02032290A (ja) 検査方法及び検査システム
JP2002016891A (ja) コンテンツ利用条件検査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EP201224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dia data used in web sites
JP2001136363A (ja) コンテンツ利用許諾管理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US97539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 tracking
KR20210068929A (ko) 이미지 무단 복제 및 무단 도용 추적 시스템
KR20030041501A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및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