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531B1 -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531B1
KR101172531B1 KR1020120042510A KR20120042510A KR101172531B1 KR 101172531 B1 KR101172531 B1 KR 101172531B1 KR 1020120042510 A KR1020120042510 A KR 1020120042510A KR 20120042510 A KR20120042510 A KR 20120042510A KR 101172531 B1 KR101172531 B1 KR 101172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ver member
forming member
per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철
이홍재
Original Assignee
이홍재
이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재, 이광철 filed Critical 이홍재
Priority to KR102012004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45D2/367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2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 A45D2/3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with base clam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8Surface-wav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7/06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combined chemical and therm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열퍼머 시술시에 모발이 균일한 열에너지를 전달받도록 하여 모발이 손상되지 않고 양호한 퍼머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물결형태의 웨이브 퍼머는 물론이고 여러 가지 형태의 웨이브 퍼머가 시술 가능하도록 개선된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퍼머약을 모발에 도포하고 20-30분간 방치하는 퍼머약도포과정(S1)과, 상기 모발에 도포 된 퍼머약을 미온수로 세척하여 제거하는 퍼머약제거과정(S2)을 갖는 모발연화단계(T1) 및 상기 모발을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필름히터(13,130)가 내장된 모발성형부재(11,110)의 성형돌륜부(111)와, 필름히터(13)가 내장된 모발덮개부재(12,120)의 덮개요홈부(121) 사이에 모발(H)이 수평방향으로 일자상으로 펴지도록 개재되게 하여 열에너지를 전달받도록 하는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에 의해 모발이 80-120℃에서 5-20분간 가열되도록 하는 펴진모발열처리과정(S3)과, 상기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내에 모발(H)이 개재된 상태에서 10-15분간 방치하여 5-30℃로 서냉 되도록 하는 펴진모발냉각과정(S4)과, 상기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을 해체하여 모발 풀림이 되도록 하는 세팅해체과정(S5)을 갖는 모발열처리성형단계(T2) 및 상기 모발(H)에 중화제를 도포하고 7-10분간 방치하여 중화되게 하는 중화제도포과정(S6)과, 상기 모발에 도포된 중화제를 세척하여 제거되게 하는 중화제제거과정(S7)을 갖는 모발중화처리단계(T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된 것으로서, 모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물결모양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의 웨이브퍼머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wave perm method and that device}
본 발명은 웨이브퍼머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결모양의 웨이브퍼머가 도모되게 하면서도 모발에 손상을 주지 않고 신속 간편하게 퍼머 시술이 도모되도록 개선된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브 퍼머 시술은 크게 구분하여 단순히 퍼머약과 같은 약품에 의존하는 퍼머시술과 열에너지를 모발에 부여하여 퍼머가 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한 퍼머약에만 의존하는 퍼머 보다는 열에너지를 모발에 부여하여 퍼머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윤기 있고 오랜 시간 동안 퍼머 모양이 유지된다는 것도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열에너지를 모발에 부여하여 퍼머가 되도록 하는 방법을 주로 선호하고 있으며, 이러한 퍼머 시술이 되도록 하는 장치들이 개시되었다.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39118호 및 동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82751호, 동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13239호, 동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18330호와 같은 웨이브퍼머용 퍼머롯드 및 웨이브퍼머방법과 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그 모두가 원형 막대 형태로 된 퍼머롯드에 모발을 감아서 열에너지가 부여되도록 하여 웨이브 퍼머가 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발에 손상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곡선형태의 웨이브 퍼머만 되는 것일 뿐이며 다른 형태의 여러 가지 형태의 웨이브퍼머가 되도록 시술하지 못하는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들은 퍼머롯드에 모발이 여러 번 감겨 지게 하여 퍼머가 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퍼머 시술을 완료하고 퍼머롯드로부터 모발을 풀게 되면 단순한 곡선형태의 웨이브 퍼머 만 되는 것일 뿐이며, 구불구불한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의 웨이브퍼머가 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여러 가지 모양의 헤어 패션을 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퍼머롯드에 모발이 여러 번 감겨 지게 한 한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부여하기 때문에 퍼머롯드에 밀착된 모발과 그러하지 못한 모발에 전달되는 열에너지가 차이가 있어서 모발에 미치는 퍼머온도 차이로 인해 불량하게 퍼머가 되거나 모발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모발(H)은 도 1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모표피(cuticle)(Ha)와 모피질(cortex)(Hb) 및 중심에 모수질(medulla)(Hc)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모표피(Ha)는 모발(H)의 가장 외부에 위치하고 비늘모양 또는 기와지붕 모양처럼 겹쳐져 있는 모습을 하고 있지만 멜라닌 색소가 없기 때문에 반투명하게 보이는 물질이다.
그리고 모피질(Hb)은 모표피(Ha)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모발의 대부분인 85-90부피%를 차지하고 있으며, 모피질(Hb)의 구성요소는 캐라틴 단백질, 세포간 간충물질, 피질세포,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피질세포는 섬유다발과 같은 형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모피질(Hb)은 친수성을 띠면서 멜라닌 색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퍼머시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이기도 하다.그리고 모발의 영양성분이라고 볼 수 있는 간충물질은 그 양에 따라 모발의 성질이나 질감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모발에 적당한 수분과 탄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 외에도 탄력 있는 웨이브 퍼머 상태로 형성되게 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화학적, 물리적 원인에 의해서 간충물질이 유실되고 나면 다시 회복하기란 매우 힘들다.
모수질(Hc)은 모발(H)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솜털이나 가는 모발에는 잘 찾아 볼 수 없고 주로 굵은 모발(H)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약간의 멜라닌 색소입자가 존재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는 모발(H)에 대한 퍼머의 원리는 열 또는 화학약품의 작용에 의하여 모발(H)의 조직에 변화를 주어 인공적으로 웨이브 컬이 형성되도록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1차적으로 퍼머약(1제)으로 모발(H)의 모표피(Ha)가 연화되게 함으로써 도 1의 (b)와 같이 모표피(Ha)가 갈라져서 모피질(Hb)이 외부의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시술된다.
그리고 퍼머약을 세척하여 제거하고 모발(H)을 드라이 건조시킨 후에 2차적인 시술을 하게 되고, 다음 2차적으로 퍼머롯드와 그로부터 발산되는 열에너지에 의해서 인공적으로 웨이브 컬이 형성되게 하는데, 모피질(Hb)의 단백질 성분은 열을 받으면 쉽게 굳어버리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퍼머롯드에 감겨 진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받음으로써 모발(H)이 휘어진 상태에서 단백질이 굳음에 따라 웨이브 컬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 3차적으로 중화제(2제)에 의해서 갈라져 있던 모표피(Ha)를 도 1의 (a)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시술에 의해 퍼머가 되는 것이고, 단백질 성분의 모피질(Hb)이 휘어져서 굳어 있는 상태에서 갈라져 있던 모표피(Ha)가 다시 메꾸어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웨이브 컬 상태가 계속 유지되게 퍼머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퍼머롯드에 모발이 여러 번 감겨져서 퍼머 시술이 될 때 퍼머롯드의 외주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모발(H)과, 그 외측으로 겹쳐지게 감겨져 있는 모발은 각각 열에너지를 받는 온도에 있어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즉, 퍼머롯드에 감겨지게 되는 모발은 퍼머롯드의 외주면과 근접될수록 높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반면에 퍼머롯드의 외주면과 먼 거리에 위치하게 되는 모발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부여받을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모발은 적정한 퍼머온도에 해당되는 열에너지를 균등하게 받아야만이 양호한 퍼머 시술이 되는데, 모발을 퍼머롯드에 감겨 지게 하여 퍼머 시술을 하는 경우에는 퍼머롯드의 외주면에 모발이 근접될수록 높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고 그러하지 못한 모발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퍼머롯드의 외주면과 근접되게 감겨져서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모발(H)의 모표질(Hb)과 그러하지 못한 모발(H)의 모표질(Hb)에서 유출되는 수분량에서 차이가 나게 된다. 즉, 높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모발(H)의 모표질(Hb)에서는 많은 량의 수분이 유출되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모발(H)의 모표질(Hb)에서는 적은 량의 수분이 유출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모발은 적당한 수분을 유지하여야 만이 탄력 있는 웨이브 퍼머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열퍼머 시술시에 모발(H)의 모표질(Hb)에서 수분이 많이 유출될수록 거칠어지고 손상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므로 가급적 열에너지를 모발(H)에 부여하는 퍼머시술 시간이 짧고 퍼머온도가 낮을수록 모발 손상도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퍼머롯드에 의해 퍼머 시술을 하는 경우에는 높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모발(H)의 모표질(Hb)에서는 많은 량의 수분이 유출되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모발(H)의 모표질(Hb)에서는 적은 량의 수분이 유출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령 높은온도의 열에너지를 받는 상태를 퍼머온도와 퍼머시간 기준으로 하여 퍼머 시술을 하게 되면 열퍼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퍼머롯드의 외주면과 먼 거리에 감겨져 있는 모발(H)은 퍼머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 동안 열에너지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모표질(Hb)의 단백질 성분이 완전히 굳지 못하게 되므로 웨이브 컬력이 감소 되기 때문에 퍼머시술이 완료된 후에 웨이브 컬력이 균일하지 못한 상태로 퍼머가 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그리고 반대로 모발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받는 상태를 적정한 퍼머온도와 퍼머시간 기준으로 하여 시술하게 되면 열퍼머 시간이 충분하여 퍼머롯드의 외주면과 먼 거리에 감겨져 있는 모발(H)의 경우 모표질(Hb)의 단백질 성분이 완전히 굳게 되므로 웨이브 컬력이 좋아지게 되지만 퍼머롯드의 외주면과 근접되게 감겨져서 고온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모발(H)은 모표질(Hb)에서 많은 량의 수분이 유출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모발(H)이 거칠어지고 뻣뻣해져서 컬력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모발 손상도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퍼머롯드에 의한 열퍼머를 시술하는데 있어 비숙련자가 시술할 경우에 모발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열퍼머 시술을 하여도 모발 손상이 초래되지 않으면서도 비숙련자도 매우 수월하게 열퍼머를 할 수 있고 물결형태의 웨이브 퍼머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의 웨이브 퍼머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KR 20-0239118 Y1 2001.10.06 KR 20-0282751 Y1 2002.07.23 KR 10-0413239 B1 2004.01.30 KR 10-0418330 B1 2004.02.14
본 발명은 열퍼머 시술시에 모발이 균일한 열에너지를 전달받도록 하여 모발이 손상되지 않고 양호한 퍼머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된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결형태의 웨이브 퍼머는 물론이고 여러 가지 형태의 웨이브 퍼머가 시술 가능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퍼머약을 모발에 도포하고 20-30분간 방치하는 퍼머약도포과정과, 상기 모발에 도포 된 퍼머약을 미온수로 세척하여 제거하는 퍼머약제거과정을 갖는 모발연화단계 및 상기 모발을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필름히터가 내장된 모발성형부재의 성형돌륜부와, 필름히터가 내장된 모발덮개부재의 덮개요홈부 사이에 모발이 수평방향으로 일자상으로 펴지도록 개재되게 하여 열에너지를 전달받도록 하는 펴진모발퍼머수단에 의해 모발이 80-120℃에서 5-20분간 가열되도록 하는 펴진모발열처리과정과, 상기 펴진모발퍼머수단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펴진모발퍼머수단내에 모발이 개재된 상태에서 10-15분간 방치하여 5-30℃로 서냉 되도록 하는 펴진모발냉각과정과, 상기 펴진모발퍼머수단을 해체하여 모발 풀림이 되도록 하는 세팅해체과정을 갖는 모발열처리성형단계 및 상기 모발에 중화제를 도포하고 7-10분간 방치하여 중화되게 하는 중화제도포과정과, 상기 모발에 도포된 중화제를 세척하여 제거되게 하는 중화제제거과정을 갖는 모발중화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웨이브퍼머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필름히터가 내장되고 성형돌륜부를 가진 낱개의 모발성형부재와, 상기 성형돌륜부가 삽입되는 덮개요홈부가 있고 필름히터가 내장된 낱개의 모발덮개부재를 갖는 펴진모발퍼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발성형부재와, 그 상부에 포개지도록 결속되는 모발덮개부재 사이에서 모발이 수평방향으로 일자상으로 펴지도록 개재되게 하여 모발이 열에너지를 전달받도록 이루어지는 웨이브퍼머장치를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필름히터가 내장되고 성형돌륜부와 성형요홈부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교대로 구비되게 연장되는 모발성형부재와, 상기 성형돌륜부가 삽입되는 덮개요홈부 양측에 성형요홈부에 삽입되는 라운딩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필름히터가 내장된 낱개의 모발덮개부재를 다수 갖는 펴진모발퍼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발성형부재와, 그 상부에 포개지도록 결속되는 모발덮개부재 사이에서 모발이 수평방향으로 일자상으로 펴지도록 개재되게 하여 모발이 열에너지를 전달받도록 이루어지는 웨이브퍼머장치를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발성형부재와 모발덮개부재는 상호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절첩연결부나, 모발성형부재의 결합편에 있는 결합공에 모발덮개부재의 걸림편이 결합되는 결속연결부 중에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모발성형부재 상부에 모발덮개부재가 포개져서 결속되게 하는 결속수단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첩연결부는 모발성형부재의 성형돌륜부 일측과 모발덮개부재의 성형요홈부 일측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첩연결부 내부를 통해 모발성형부재 및 모발덮개부재의 필름히터가 통전되게 하고, 상기 모발성형부재의 일측에 필름히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잭홀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수단은, 모발성형부재의 외측단부에 있는 걸림훅크와 모발덮개부재 외측단부에 있는 걸림공을 가진 플렉시블결속단부이거나, 모발성형부재 및 모발덮개부재의 플렉시블결속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자석부재이거나, 모발성형부재 및 모발덮개부재의 플렉시블결속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결속되는 결속홈부와 결속보올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낱개의 모발덮개부재의 라운딩부와, 상호 근접되는 다른 낱개의 모발덮개부재의 라운딩부들이 상호 일체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발성형부재 및 모발덮개부재는 각각 전기잭홀을 구비하여 각각의 필름히터에 전기에너지를 각각 공급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발성형부재에는 양측에 구비되는 걸이공을 가진 공중걸이편이나, 하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받침부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발이 겹쳐지지 않게 수평방향으로 펴진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받기 때문에 펴진모발퍼머수단에서 열전달을 받게 되는 모든 모발들이 거의 균일한 열에너지를 전달받게 되기 때문에 열처리 되는 모발들이 과열되지 않게 시술되므로 예전과 같이 과열에 따른 모발손상이 초래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고, 모든 모발들이 적정한 퍼머온도에 의해서 균일하게 열처리 되므로 양호한 퍼머 시술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에너지를 모발에 신속하게 전달시키기 때문에 퍼머 시간을 크게 단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물결형태의 웨이브 퍼머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의 웨이브 퍼머를 연출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퍼머 시술을 설명하기 위한 모발 조직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브퍼머 단계를 나타낸 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의 정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에 필름히터가 채용된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펴진모발퍼머수단의 모발 열처리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의 구성 상태의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펴진모발퍼머수단의 일 사용상태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의 퍼머시술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펴진모발열처리과정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의 일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에 필름히터가 채용된 상태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의 퍼머시술 상태를 보인 일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을 설명하는 정면구성도,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펴진모발퍼머수단의 전원공급상태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단계로 모발연화단계(T1)가 시술된다.
상기 모발연화단계(T1)는 퍼머약도포과정(S1)을 가지게 되며, 이 과정은 퍼머약을 모발(H)에 골고루 도포하게 되는 것으로서 주로 치오글리콜산염을 주원료로 한 퍼머약이 사용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아르기닌(알카리아미노산),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중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퍼머약도포과정(S1)에서는 퍼머약을 도포한 후 약 20-30분간 방치하게 되면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H)의 모표피(Ha)의 결합 된 조직을 끊어 주게 됨으로써 갈라지는 상태로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를 모발 연화라고 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큐티클을 열어준다라고도 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이미 공지된 과정이므로 모피표(Ha)의 결합을 끊어주는 물리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퍼머약도포과정(S1)이 완료되면 모발(H)에 묻어 있는 퍼머약을 용수에 의해 세척하여 제거하는 퍼머약제거과정(S2)이 실시되고, 다음에 타올에 의해서 모발(H)의 물기를 제거하게 됨으로써 모발연화단계(T1) 시술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 모발연화단계(T1)를 갖게 되면 모표피(Ha)의 조직이 끊어지는 상태로 갈라지게 연화됨으로써 모피질(Hb)이 외부의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제2단계로 모발열처리성형단계(T2)가 실시되는 것이다.
상기 제2단계의 모발열처리성형단계(T2)에서는 먼저 펴진모발열처리과정(S3)이 실시된다. 상기 펴진모발열처리과정(S3)은 모발(H)이 수평방향으로 펴지게 펼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부여받도록 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성형부재(11)와 모발덮개부재(12)를 갖는 펴진모발퍼머수단(10)을 구비하여 펴진모발열처리과정(S3)이 실시된다.
상기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는 각각 반구형이나 곡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모발성형부재(11)는 성형돌륜부(111)를 형성하고, 모발덮개부재(12)는 상기 성형돌륜부(111)가 삽입될 수 있는 덮개요홈부(121)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성형돌륜부(111) 및 덮개요홈부(121)는 돌륜부 및 요홈부로 명칭하여 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성형돌륜부(111) 및 덮개요홈부(121)로 명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필름히터(13)가 각각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퍼머를 하기 위한 열처리온도(퍼머온도)에 변형되거나 녹아내리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름히터(13)는 휘어질 수 있게 유연성이 있는 것이 내장되는 되도록 한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발열선을 갖는 선히터 또는 코일히터와 같은 다른 종류의 히터가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일측에 봉히터(미도시됨)를 내장하고 상기 봉히터 일측으로 열전도가 가능한 판부재가 내장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에너지에 의해서 발열 되는 히터가 채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채용되는 바람직한 전기 히터로서 필름히터(13)를 채용되게 한 것으로서, 상기 필름히터(13)는 이미 알려진 공지된 부품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상대적으로 마주하는 단부가 절첩연결부(14)에 의해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 경우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에 내장된 필름히터(13)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첩연결부(14)를 통해 상호 통전 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 중에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전기잭홀(15)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필름히터(13)에 공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131는 전기저항발열체를 나타낸다.
그러나 전기잭홀(15)은 모발성형부재(11)에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잭홀(15)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잭홀(15)에 전기선(16)과 연결된 전기잭(17)이 끼워지게 되면 전기에너지가 모발성형부재(11)에 내장된 필름히터(13) 및 모발덮개부재(12)에 내장된 필름히터(13)에 공급되어 열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이 포개지게 결합 될 때 상호 밀착되게 하는 결속수단(18)을 구비한다.
상기 결속수단(18)은, 도 3 및 도 5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의 외측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걸림훅크(181)와 상기 걸림훅크(181)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공(182)을 가진 플렉시블결속단부(18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결속수단(18)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성형부재(11)의 외측면부에 구비되는 자석부재(184)에 모발덮개부재(12)의 외측단부에 구비되는 플렉시블결속단부(183)에 구비된 자석부재(185)가 상호 탈착되게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성형부재(11)의 외측면부에 구비되는 결속홈부(186)에 모발덮개부재(12)의 외측단부에 구비되는 플렉시블결속단부(183)에 구비된 결속보올(187)이 끼워지도록 하여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결속수단(18)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가 상호 포개지도록 결합 될 때 상호 밀착되게 하는 다른 형태의 결속수단들이 채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펴진모발퍼머수단(10)에 한쌍의 공중걸이편(19)을 구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공중걸이편(19)은 걸이공(19a)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공중걸이편(19)은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모발성형부재(11) 양측에 각각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공중걸이편(19)을 모발덮개부재(12) 양측에 각각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모발성형부재(11) 외측단부에 한쌍의 공중걸이편(19) 중에 어느 하나의 공중걸이편(19)을 구비하게 하고 다른 하나의 공중걸이편(19)은 모발덮개부재(12)에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발성형부재(11) 하단부 양측에 받침부(11a)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1a)는 가령 가정에서 퍼머 시술시에 두피(미도시됨) 위에 펴진모발퍼머수단(10)이 얹혀지는 상태가 될 때 열을 발산하는 모발성형부재(11)가 두피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연에 화상 방지가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펴진모발퍼머수단(10)은 가정에서 단독으로 사용하여 퍼머를 할 수 있는 것이고, 미용실과 같은 업소에서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및 행거수단(50)을 이용하여 공중에 펴진모발퍼머수단(10)이 공중에서 매달리도록 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발성형부재(11) 하단부에 있는 받침부(11a)는 가정에서 펴진모발퍼머수단(10)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퍼머를 할 때 열을 가진 모발성형부재(11)가 두피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이격 되게 하여 미연에 화상 방지가 도모되게 하는 것이고, 한쌍의 공중걸이편(19)은 미용실과 같은 업소에서 퍼머 시술을 할 때 전원공급 및 행거수단(50)에 있는 당김줄(52)의 고리(53)가 걸리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H)을 수평방향으로 일자상으로 펴지게 한 상태에서 그 모발(H) 하측에 모발성형부재(11)가 놓여지도록 한 다음 도 5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모발덮개부재(12)를 제 낀 다음 결속수단(18)에 의해 모발성형부재(11)와 모발덮개부재(12)가 상호 밀착되게 결속되게 한다.
이때, 절첩연결부(14)는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가 내열성 수지일 경우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휘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가령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가 금속재일 경우에는 절첩연결부(14)만을 내열성 수지재질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절첩 될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필름히터(13)가 내장된 모발성형부재(11)의 성형돌륜부(111)와, 필름히터(13)가 내장된 모발덮개부재(12)의 덮개요홈부(121) 사이에 모발이 수평방향으로 일자상으로 펴지도록 개재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는 도 8의 (a)와 같이 성형돌륜부(111) 및 덮개요홈부(121) 만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고, 도 8의 (b)와 같이 성형돌륜부(111) 및 덮개요홈부(121) 양측에 각각 라운딩부(113,122)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바람직하게는 성형돌륜부(111) 및 덮개요홈부(121) 양측에 각각 라운딩부(113,122)를 갖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다수개의 펴진모발퍼머수단(10)의 모발성형부재(11)와 모발덮개부재(12) 사이에 모발(H)이 개재되도록 시술한 다음, 도 10의 예시와 같이 전원공급 및 행거수단(50)의 당김줄드럼(51)으로부터 당김줄(52)를 잡아당겨서 그 끝단에 있는 고리(53)를 펴진모발퍼머수단(10)의 공중걸이편(19)의 걸이공(19a)에 끼우게 되면 펴진모발퍼머수단(10)이 공중에 매달려 있게 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전원공급 및 행거수단(50)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 펴진모발퍼머수단(10)에 있는 전기잭홀(15)에 전기선(16)과 연결된 전기잭(17)이 끼워지도록 접속하고 전원스위치(미도시됨)을 온(on) 시키게 되면 전원이 펴진모발퍼머수단(10)으로 공급됨으로써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가 가열되어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모발(H)이 가열되어 열처리가 되는 것이다.
이때, 모발성형부재(11) 및 모발덮개부재(12) 사이에 개재된 모발(H)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일자상으로 펴지도록 개재된 상태에서 도 12의 도시와 같이 모발덮개부재(12)에 의해 모발(H)이 가압되면서 열에너지를 양쪽에서 동시적으로 전달받게 되어 모발(H) 열처리가 되는 것이다.
도 13 내지 도 도 18은 상기와 같이 모발(H) 열처리를 위한 다른 실시예의 펴진모발퍼머수단(100)을 보여 준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펴진모발퍼머수단(100)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필름히터(130)가 내장되고 성형돌륜부(111)와 성형요홈부(112)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교대로 구비되게 연장되는 모발성형부재(1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성형돌륜부(111)가 삽입되는 덮개요홈부(121) 양측에 성형요홈부(112)에 삽입되는 라운딩부(122)가 일체로 구비되고 필름히터(13)가 내장된 낱개의 모발덮개부재(120)를 다수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요홈부(121) 양측에 성형요홈부(112)에 삽입되는 라운딩부(122)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요홈부(112) 일측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성형요홈부(112) 양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발성형부재(110)와 낱개상의 모발덮개부재(120)는 절첩연결부(14)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첩연결부(14)는 이미 일실시예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발성형부재(110)의 성형돌륜부(111) 일측과 모발덮개부재(120)의 성형요홈부(112) 일측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모발성형부재(110) 내부에는 1장의 필름히터(130)가 내장되고, 다수의 모발덮개부재(120)에는 상기 필름히터(130)와 연결되는 필름히터(13)가 각각 내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절첩연결부(14) 내부를 통해 모발성형부재(110) 및 모발덮개부재(120)의 필름히터(130,13)가 상호 통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모발성형부재(110)의 일측에 필름히터(13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잭홀(15)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모발성형부재(110)와 모발덮개부재(120)를 각각 연결하는 절첩연결부(14) 및 모발성형부재(110)와 모발덮개부재(120)를 결속하는 결속수단(18)을 갖도록 하고, 그리고 모발성형부재(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걸이공(19a)을 가진 공중걸이편(19)이나, 또는 하단부 양측에 받침부(11a)를 갖도록 하는 것은 이미 설명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퍼머 시술시에 수평방향으로 모발(H)을 펴지게 한 상태에서 그 하측으로 모발성형부재(110)을 위치하게 한 다음에 일측의 낱개상의 모발덮개부재(120)를 하나씩 차례대로 모발성형부재(110) 쪽으로 제겨지게 한 다음 결속수단(18)에 의해서 상호 결속되게 하면 도 16과 같이 하나의 길다란 길이를 갖는 모발성형부재(110) 상에 다수의 모발덮개부재(120)가 포개지도록 결속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모발성형부재(110)와 모발덮개부재(120) 사이에는 모발(H)이 개재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긴 모발의 경우에는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펴진모발퍼머수단(100)의 모발성형부재(110) 일단부에 다른 하나의 펴진모발퍼머수단(100)의 모발성형부재(110)의 일단부가 안쪽으로 포개지게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다음, 모발성형부재(110)와 모발덮개부재(120) 사이에 모발(H)이 개재된 상태의 퍼머모발퍼머수단(100)은 이미 일실시예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0의 예시와 같이 전원공급 및 행거수단(50)의 당김걸이줄(51)에 의해 공중에 매달리도록 한 후에 전기잭(17)을 전기잭홀(16)에 끼워서 접속되게 하고 전기스위치(미도시됨)을 온(on) 시켜서 전기에너지가 퍼머모발퍼머수단(100)으로 공급되어 열퍼머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의 퍼머모발퍼머수단(100)에 있어서, 낱개의 모발덮개부재(120)의 라운딩부(122)와, 상호 근접되는 다른 낱개의 모발덮개부재(120)의 라운딩부(122)들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일체로 연장되도록 된 하나의 모발덮개부재(120) 상태로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9의 도시와 같이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의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가 각각의 전기잭홀(15)을 구비하여 각각의 필름히터(13,130)에 전기에너지를 각각 공급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모발성형부재(11,110)의 결합편(141)에 있는 결합공(142)에 모발덮개부재(12,120)의 걸림편(143)이 결합되는 결속연결부(140)를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모발성형부재(11,110)와 모발덮개부재(12,120)가 결속연결부(140)에 의해 연결되게 한 후 이들 사이에 모발(H)이 개재되게 하여 결속수단(18)으로 결속되게 한 다음에 도 10에 나타낸 전원공급 및 행거수단(50)의 당김걸이줄(51)에 의해 공중에 매달리도록 한 후에 전기잭(17)을 각각의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에 있는 전기잭홀(16)에 각각 끼워서 접속되게 하고 전기스위치(미도시됨)을 온(on) 시켜서 전기에너지가 각각의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에 내장된 필름히터(13,13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열퍼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에 각각 구비하는 전기잭홀(15)에 별도로 구비되는 전원공급장치(60)의 전기잭(17)이 끼워지도록 하여 전원 공급이 되도록 함으로써 먼저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이 가열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가 상호 연결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 구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퍼머가 가능한 적정온도로 충분히 가열된 각각의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를 전원공급장치(6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에 모발성형부재(11,110)와 모발덮개부재(12,120) 사이에 모발(H)이 개재되도록 하면서 도 19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모발성형부재(11,110)와 모발덮개부재(12,120)가 상호 포개지도록 결속시켜서 열퍼머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모발성형부재(11,110)와 모발덮개부재(12,120)가 상호 포개지도록 결속시킨 상태에서 도 10에 나타낸 전원공급 및 행거수단(50)의 당김걸이줄(51)에 의해 공중에 매달리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모발성형부재(11,110)와 모발덮개부재(12,120)가 상호 포개지도록 결속시키는데 있어 결속수단(18)을 이용하지 않고 고무줄이나 밴드와 같은 것으로 묶여 지도록 하여 결속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에 의해서 펴진모발열처리과정(S3)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모발(H)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필름히터(13)가 내장된 모발성형부재(11,110)의 성형돌륜부(111)와, 필름히터(13,130)가 내장된 모발덮개부재(12,120)의 덮개요홈부(121) 사이에 모발(H)이 수평방향으로 일자상으로 펴지도록 개재되게 하여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가열되어 열처리가 되는 것이고, 이때 모발(H)이 80-120℃에서 5-20분간 가열되어 열처리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발(H)이 수평방향으로 일자상으로 펴지도록 개재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H)이 상,하부에서 모발성형부재(11,110)와 모발덮개부재(12,120)가 직접적으로 열에너지를 모발(H)에 전달시키기 때문에 매우 신속하게 전달되는 상태가 되므로 퍼머 시간을 예전에 비해 크게 단축시 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H)이 겹쳐지지 않게 수평방향으로 펴진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받기 때문에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에서 열전달을 받게 되는 모든 모발(H)들이 거의 균일한 열에너지를 전달받게 된다.
그러므로 열처리 되는 모발(H)들이 과열되지 않게 시술되기 때문에 예전의 퍼머롯드에 의한 열처리시에서와 같이 과열에 따른 모발(H) 손상이 초래되지 않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모든 모발(H)들이 적정한 퍼머온도에 의해서 균일하게 열처리 되므로 양호한 열퍼머 시술이 도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전에는 퍼머롯드에 접촉되어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모발(H)들이 각각 높은 퍼머온도와 낮은 퍼머온도로 퍼머가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높은 온도를 받게 되는 모발(H)의 모표질(Hb)에서는 많은 량의 수분이 유출되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모발(H)의 모표질(Hb)에서는 적은 량의 수분이 유출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웨이브 컬력이 균일하지 못하거나 또는 퍼머 시간이 길 경우 모발(H) 손상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균일한 퍼머온도로 퍼머시술이 되므로 균일한 웨이브 컬력을 갖도록 퍼머가 되게 하고 퍼머온도 차이에 따른 모발이 손상되게 퍼머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양질의 웨이브 퍼머가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비숙련자도 양질의 퍼머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은 펴진모발냉각과정(S4)이 실시된다. 이 과정은 열에너지를 받은 모발(H)을 냉각시켜 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에 모발(H)이 그대로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10-15분간 방치하여 5-30℃로 서냉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가령 고온의 열에너지를 가진 모발(H)를 갑자기 급냉시키게 되면 단백질로 이루어진 모발(H) 조직이 갑자기 딱딱하게 굳어 버리게 되어 유연성이 상실되는 경직상태가 됨으로써 모발(H)이 부서지거나 쉽게 끊어져 버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에 모발(H)이 그대로 개재된 상태에서 필름히터(13,130)가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서서히 냉각되는 것과 동일하게 서서히 자연 냉각되기 때문에 모발(H) 조직이 안정화되면서 냉각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냉각이 완료되었을 때 모발(H) 조직은 원래의 경질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모발(H) 경직현상이 미연에 방지된다.
다음, 본 발명은 세팅해체과정(S5)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과정은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을 해체하여 모발(H)을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과정이다.
이때, 본 발명은 결속수단(18)를 해지한 후에 모발덮개부재(12)를 외측방향으로 제끼기만 하면 모발(H)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매우 수월하게 해체할 수 있는 것이고 그로 인해 보다 퍼머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 본 발명은 제3단계로 중화처리단계(T3)가 시술된다. 상기 중화처리단계(T3)는 펴진모발퍼머수단(10,100)에서 풀림된 모발(H)을 최종적으로 중화제에 의해서 모표피(Ha)를 도 1의 (a)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시술단계이다.
따라서, 먼저 모발(H)에 중화제를 도포하고 7-10분간 방치하여 중화되게 하는 중화제도포과정(S6)이 실시되고, 다음에 중화제를 세정수로 세척시키는 중화제제거과정(S7)이 실시되는 것이다.
상기한 중화처리단계(T3)는 이미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시술방법과 동일하게 시술되는 것이며, 상기 중화제는 이미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성분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중화처리단계(T3)가 완료되면 도 1의 (b)와 같이 갈라져 있던 모피표(Ha)가 중화제에 의해서 도 1의 (a)와 같이 닫혀 지게 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에 웨이브 컬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웨이브 퍼머 시술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발성형부재(11,110) 및 이와 상대적으로 포개지게 결합되는 모발덮개부재(12,120)의 성형돌륜부(111) 및 덮개요홈부(121)의 곡면크기나 형태를 변화되게 함으로써 여러 가지 형태의 물결모양의 웨이브 퍼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앞쪽에 위치하는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의 성형돌륜부(111) 및 덮개요홈부(121)의 곡면크기를 크게 하고, 그로부터 뒷쪽으로 갈수록 성형돌륜부(111) 및 덮개요홈부(121)의 곡면크기를 점차 작게 할 경우, 또는 그 반대로 할 경우에 크고 작은 형태의 물결모양의 웨이브 퍼머가 되는 것이다.
또한, 성형돌륜부(111) 및 덮개요홈부(121)의 모양을 곡면 형태가 아닌 타원형태의 곡면상태, 또는 뾰족 형태로 구성할 경우 그에 해당되는 모양의 웨이브 퍼머가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결모양의 웨이브 퍼머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의 웨이브 퍼머가 연출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실시예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100:펴진모발퍼머수단 11,110:모발성형부재
111:성형돌륜부 112:성형요홈부
113:라운딩부 12,120:모발덮개부
121:덮개요홈부 122:라운딩부
13,130:필름히터 14:절첩연결부
15:전기잭홀 16:전기선
17:전기잭 18:결속수단
181:걸림훅크 182:걸림공
183:플렉시블결속단부 184,185:자석부재
186:결속홈부 187:결속보올
19:공중걸이편 140:결속연결부
141:결합편 142:결합공
143:걸림편 50:전원공급 및 행거수단
60:전원공급장치 H:모발
T1:모발연화단계 T2:모발열처리성형단계
T3:중화처리단계 S1:퍼머약도포과정
S2:퍼머약제거과정 S3:펴진모발열처리과정
S4:펴진모발냉각과정 S5:세팅해체과정
S6:중화제도포과정 S7:중화제제거과정

Claims (10)

  1. 삭제
  2.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필름히터(13)가 내장되고 성형돌륜부(111)를 가진 낱개의 모발성형부재(11)와;
    상기 성형돌륜부(111)가 삽입되는 덮개요홈부(121)가 있고 필름히터(13)가 내장된 낱개의 모발덮개부재(12)를 갖는 펴진모발퍼머수단(10)을 구비하고;
    상기 모발성형부재(11)와 모발덮개부재(12)가 상호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절첩연결부(14)나, 모발성형부재(11)의 결합편(141)에 있는 결합공(142)에 모발덮개부재(12)의 걸림편(143)이 결합되는 결속연결부(140) 중에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게 하되, 상기 절첩연결부(14)는 모발성형부재(11)의 성형돌륜부(111) 일측과 모발덮개부재(12)의 덮개요홈부(121) 일측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모발성형부재(11) 상부에 모발덮개부재(12)가 포개져서 결속되게 하는 결속수단(18)을 구비되게 하여;
    상기 모발성형부재(11)와, 그 상부에 포개지도록 결속되는 모발덮개부재(12) 사이에 모발(H)이 개재되게 하여 열에너지를 전달받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퍼머장치.
  3.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필름히터(130)가 내장되고 성형돌륜부(111)와 성형요홈부(112)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교대로 구비되게 연장되는 모발성형부재(110)와;
    상기 성형돌륜부(111)가 삽입되는 덮개요홈부(121) 양측에 성형요홈부(112)에 삽입되는 라운딩부(122)가 일체로 구비되고 필름히터(13)가 내장된 낱개의 모발덮개부재(120)를 다수 갖는 펴진모발퍼머수단(100)을 구비하고;
    상기 모발성형부재(110)와 모발덮개부재(120)가 상호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절첩연결부(14)나, 모발성형부재(110)의 결합편(141)에 있는 결합공(142)에 모발덮개부재(120)의 걸림편(143)이 결합되는 결속연결부(140) 중에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게 하되, 상기 절첩연결부(14)는 모발성형부재(110)의 성형돌륜부(111) 일측과 모발덮개부재(120)의 덮개요홈부(121) 일측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모발성형부재(110) 상부에 모발덮개부재(120)가 포개져서 결속되게 하는 결속수단(18)을 구비되게 하여;
    상기 모발성형부재(110)와, 그 상부에 포개지도록 결속되는 모발덮개부재(120) 사이에 모발(H)이 개재되게 하여 열에너지를 전달받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퍼머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2항과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연결부(14) 내부를 통해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의 필름히터(13,130)가 통전되게 하고, 상기 모발성형부재(11,110)의 일측에 필름히터(13,13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잭홀(15)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퍼머장치.
  7. 제2항과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18)은, 모발성형부재(11,110)의 외측단부에 있는 걸림훅크(181)와 모발덮개부재(12,120) 외측단부에 있는 걸림공(182)을 가진 플렉시블결속단부(183)이거나,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의 플렉시블결속단부(183)에 각각 구비되는 자석부재(184,185)이거나,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의 플렉시블결속단부(183)에 각각 구비되어 결속되는 결속홈부(186)와 결속보올(187)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퍼머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낱개의 모발덮개부재(120)의 라운딩부(122)와, 상호 근접되는 다른 낱개의 모발덮개부재(120)의 라운딩부(122)들이 상호 일체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퍼머장치.
  9. 제2항과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성형부재(11,110) 및 모발덮개부재(12,120)는 각각 전기잭홀(15)을 구비하여 각각의 필름히터(13,130)에 전기에너지를 각각 공급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퍼머장치.
  10. 제2항과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성형부재(11,110)에는 양측에 구비되는 걸이공(19a)을 가진 공중걸이편(19)이나, 하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받침부(11a)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퍼머장치.
KR1020120042510A 2012-04-24 2012-04-24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 KR10117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510A KR101172531B1 (ko) 2012-04-24 2012-04-24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510A KR101172531B1 (ko) 2012-04-24 2012-04-24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531B1 true KR101172531B1 (ko) 2012-08-14

Family

ID=4688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510A KR101172531B1 (ko) 2012-04-24 2012-04-24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5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605B1 (ko) 2017-07-17 2018-06-20 우상호 점도개선제를 이용한 퍼머방법
KR20220045302A (ko) 2020-10-05 2022-04-12 김현자 물결모양 웨이브퍼머 성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002U (ko) * 1985-11-28 1987-06-09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002U (ko) * 1985-11-28 1987-06-0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605B1 (ko) 2017-07-17 2018-06-20 우상호 점도개선제를 이용한 퍼머방법
KR20220045302A (ko) 2020-10-05 2022-04-12 김현자 물결모양 웨이브퍼머 성형기
KR102403146B1 (ko) * 2020-10-05 2022-05-26 김현자 물결모양 웨이브퍼머 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4081B2 (en) Hair wrap devices and methods
US20190133288A1 (en) Hair Styling Device Imparting an Updo Hairstyle When Worn and a Different Curled or Straightened Hairstyle When Removed
US20190183224A1 (en) Apparatus for Curling Hair
KR101592548B1 (ko) 고데기를 이용한 퍼머시술방법
KR101172531B1 (ko) 웨이브퍼머방법 및 그 장치
KR102437823B1 (ko) 가요성 가열 장치
JP6516417B2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を用いて毛髪のカールまたはウェーブを成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US20150305467A1 (en) Hair curling apparatus with a flattened curling section
JP2006212214A (ja) パーマネント処理方法
JP3962422B1 (ja) 装飾具兼用髪カーラ
KR200270330Y1 (ko) 퍼머용 아이롱
WO20100175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ping hair
KR102093039B1 (ko) 다단 히팅 컬 로드
JP3152859U (ja) ヘアカーラの構造
US20150040937A1 (en) Cosmetic hair treatment cap capable of drying and cosmetically treating hair, and cosmetic hai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same
ITUB20155258A1 (it) Bigodino
US20170224078A1 (en) Hair curling apparatus with a flattened curling section
JP4426985B2 (ja) パーマネントウエーブの方法
JP2005296351A (ja) パーマネントウエーブの施術方法
KR200496709Y1 (ko) 헤어롯드
KR100951512B1 (ko) 롯드장착용 퍼머용구
WO2016079334A1 (en) Hair roller
KR102200985B1 (ko) 열펌용 파마지 및 그 파마지를 이용한 열펌방법
KR20090033942A (ko) 머리카락의 퍼머 성형 방법과 그 기구
KR200443208Y1 (ko) 웨이브용 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