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502B1 -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502B1
KR101172502B1 KR1020100112960A KR20100112960A KR101172502B1 KR 101172502 B1 KR101172502 B1 KR 101172502B1 KR 1020100112960 A KR1020100112960 A KR 1020100112960A KR 20100112960 A KR20100112960 A KR 20100112960A KR 101172502 B1 KR101172502 B1 KR 10117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ens holder
lens
hous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492A (ko
Inventor
유타카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502B1/ko
Priority to US13/198,509 priority patent/US8482869B2/en
Priority to JP2011173820A priority patent/JP5323899B2/ja
Priority to DE102011081209A priority patent/DE102011081209A1/de
Publication of KR2012005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이 개시된다.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된 마그네트, 렌즈를 지지하고 있으며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렌즈홀더,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하우징에 지지되어 렌즈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마그네트에 대향되도록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리드선이 렌즈홀더와 스프링 사이에 개재된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액추에이터는, 충격 및 습도에 강한 코일과 스프링의 전기접속 구조를 형성하여 전기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과 코일의 접속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렌즈 액추에이터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Lens actuator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모듈에는 오토포커스 기능 등을 위하여 렌즈를 이동시키는 렌즈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렌즈 액추에이터의 타입 중에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렌즈를 구동시키는 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렌즈 액추에이터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전기접속의 매개체로 이용하기도 한다.
이 때, 코일과 스프링은 납땜 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되는데, 접합의 신뢰성이 떨어지거나 열화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기접속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과 코일의 전기접속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과 코일의 접속구조를 간단히 하는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마그네트, 렌즈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렌즈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되도록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리드선이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스프링 사이에 개재된 코일을 포함하는 렌즈 액추에이터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코일의 리드선을 가압하는 탄성변형 상태로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에는 관통된 조립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홀더에는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스프링의 조립홀에 삽입되는 몸체부,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조립홀보다 큰 장반경을 가지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홀 및 조립돌기는 복수 개이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은 복수의 조립돌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을 구동하는 전기를 공급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된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로 빛을 모으는 렌즈, 렌즈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렌즈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되도록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리드선이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스프링 사이에 개재된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코일의 리드선을 가압하는 탄성변형 상태로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에는 관통된 조립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홀더에는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스프링의 조립홀에 삽입되는 몸체부,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조립홀보다 큰 장반경을 가지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홀 및 조립돌기는 복수 개이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은 복수의 조립돌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을 구동하는 전기를 공급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 및 습도에 강한 코일과 스프링의 전기접속 구조를 형성하여 전기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과 코일의 접속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렌즈 액추에이터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서 스프링 및 코일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이미지센서(10), 렌즈(5) 및 렌즈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렌즈 액추에이터는 하우징(20), 마그네트(60), 렌즈홀더(30), 스프링(40) 및 코일(50)을 포함한다.
이미지센서(10)는 렌즈(5)를 통해 입사된 빛이 결상되는 촬상소자로서, 빛의 이동경로인 렌즈(5)의 광축 상에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는 기판(12)에 실장된 이미지센서(10)가 하우징(20) 내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미지센서(10)의 배치구조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우징(20) 내부에 직접 장착되거나 기판(12)의 관통홀 뒤에 배치되는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의 하우징(20) 내부에는 이미지센서(10)가 배치되며 후술할 마그네트(60) 및 스프링(40) 등이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에 장착된 부품을 커버하는 케이스(70)가 하우징(2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홀더(30)는 렌즈(5)가 이미지센서(10)로 빛을 모으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렌즈(5)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렌즈(5)와 이미지센서(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하우징(20)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렌즈홀더(30)의 승강을 조절하여, 카메라모듈은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렌즈홀더(30)에는 내부에 렌즈(5)를 수용하고 있는 렌즈배럴(6)이 결합된다. 그리고, 렌즈홀더(30)는 하우징(2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술한 스프링(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마그네트(60) 및 코일(50)은 렌즈홀더(30)를 이동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렌즈홀더(30)를 하우징(20)에 대하여 승강시키기 위하여, 자석인 마그네트(60)는 하우징(20)에 설치되고 코일(50)은 마그네트(60)에 대향되도록 렌즈홀더(3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코일(50)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50)과 마그네트(60)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코일(50)이 이동되고, 코일(50)과 결합된 렌즈홀더(30)를 이동시킨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코일(50)은 렌즈홀더(30)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결합되고 마그네트(60)는 코일(50)이 감긴 렌즈홀더(30)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스프링(40)은 렌즈홀더(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렌즈홀더(30)를 초기에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키는 부분으로, 렌즈홀더(30)에 결합되며 하우징(20)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렌즈홀더(30)에는 상하로 스프링(40)이 결합되어 렌즈홀더(30)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프링(40)은 코일(50)에 전기를 공급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스프링(40)은 전류가 통하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코일(50)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코일(50)에서 인출된 리드선(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코일(50)의 리드선(52)은 스프링(40)과 렌즈홀더(30) 사이에 개재되어 스프링(40)과 연결된다. 다시 말해, 별도의 납땜 또는 접착 없이도 리드선(52)은 스프링(40)의 가압력에 의해 스프링(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40)과 코일(50)의 접속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렌즈 액추에이터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40)과 렌즈홀더(30) 사이에서 리드선(52)이 가압되어 고정된 구조는 습도의 외부환경에 접속의 신뢰성이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낙하 등의 충격에 강한 특성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서 스프링(40) 및 코일(5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때,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의 스프링(40)이 코일(50)의 리드선(52)을 가압하도록 탄성변형된 상태로 렌즈홀더(30)에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40)에는 관통된 조립홀(42)이 형성되어 있고, 렌즈홀더(30)에는 조립홀(4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립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조립돌기(32)는 스프링(40)의 조립홀(42)에 삽입되는 몸체부(32a)와 스프링(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조립홀(42)보다 큰 장반경을 가지는 헤드부(32b)로 이루어짐으로써, 렌즈홀더(30)와 스프링(40) 사이에 개재된 코일(50)의 리드선(52)을 스프링(40)이 가압하도록 스프링(4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선(52)이 조립돌기(32) 사이에 배치되어서 리드선(52)에 균일한 스프링(40)의 가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프링(40)에는 외부에서 코일(50)을 구동하는 전기를 공급하는 커넥터(46)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프링(40)에는 한 쌍의 커넥터홀(44)이 형성되고 한 쌍의 커넥터홀(44)에는 커넥터(46)의 한쌍의 전극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5: 렌즈
6: 렌즈배럴
10: 이미지센서
20: 하우징
30: 렌즈홀더
32: 조립돌기
40: 스프링
42: 조립홀
46: 커넥터
50: 코일
52: 리드선
60: 마그네트

Claims (1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마그네트;
    렌즈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렌즈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되도록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리드선이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스프링 사이에 개재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코일의 리드선을 가압하는 탄성변형 상태로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액추에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에는 관통된 조립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홀더에는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액추에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스프링의 조립홀에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조립홀보다 큰 장반경을 가지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액추에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홀 및 조립돌기는 복수 개이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은 복수의 조립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액추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을 구동하는 전기를 공급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렌즈 액추에이터.
  7.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된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로 빛을 모으는 렌즈;
    렌즈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렌즈홀더;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렌즈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되도록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리드선이 상기 렌즈홀더와 상기 스프링 사이에 개재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코일의 리드선을 가압하는 탄성변형 상태로 상기 렌즈홀더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에는 관통된 조립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홀더에는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조립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스프링의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립홀보다 큰 장반경을 가지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홀 및 조립돌기는 복수 개이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은 복수의 조립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을 구동하는 전기를 공급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1020100112960A 2010-11-12 2010-11-12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KR10117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960A KR101172502B1 (ko) 2010-11-12 2010-11-12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US13/198,509 US8482869B2 (en) 2010-11-12 2011-08-04 Lens actuator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JP2011173820A JP5323899B2 (ja) 2010-11-12 2011-08-09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モジュール
DE102011081209A DE102011081209A1 (de) 2010-11-12 2011-08-18 Linsenantrieb und kameramodul, welches selbigen besitz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960A KR101172502B1 (ko) 2010-11-12 2010-11-12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492A KR20120051492A (ko) 2012-05-22
KR101172502B1 true KR101172502B1 (ko) 2012-08-10

Family

ID=4599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960A KR101172502B1 (ko) 2010-11-12 2010-11-12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82869B2 (ko)
JP (1) JP5323899B2 (ko)
KR (1) KR101172502B1 (ko)
DE (1) DE102011081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70678A1 (en) * 2012-12-17 2014-06-19 Leukodx Ltd. Kit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biological condition
KR102128502B1 (ko) 2013-07-04 2020-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256722B1 (ko) * 2013-12-03 2021-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KR102116861B1 (ko) * 2013-12-03 2020-06-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CN105217117A (zh) * 2015-09-29 2016-01-06 苏州斯尔特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贴膜机上的安装底盘
EP3885829A1 (en) * 2016-10-05 2021-09-29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340275B1 (ko) * 2017-03-29 2021-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417941B1 (ko) * 2017-08-30 2022-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479002B1 (ko) * 2017-08-01 2022-12-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5308971A (zh) 2017-08-01 2022-11-08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装置及包括透镜移动装置的摄像头模块和光学装置
USD902980S1 (en) * 2018-01-12 2020-11-24 Tdk Taiwan Corp. Driving unit for a camera lens
CN111075929B (zh) * 2019-11-27 2021-1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伸缩组件和电子设备
KR102507394B1 (ko) * 2020-05-25 2023-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CN115242955A (zh) * 2022-08-20 2022-10-25 高瞻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芯动式自动对焦相机模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7928B2 (ja) * 2002-04-17 2005-03-09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
JP2008122470A (ja) * 2006-11-08 2008-05-29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99567A (ko) * 2007-05-10 2008-11-13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카메라장치
JP2009086548A (ja) 2007-10-02 2009-04-23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KR100904181B1 (ko) 2007-11-05 2009-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JP5269455B2 (ja) 2008-03-26 2013-08-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00062569A (ko) 2008-12-02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2011085682A (ja) * 2009-10-14 2011-04-28 Micro Uintekku Kk レンズ駆動装置
CN102231006B (zh) * 2010-09-23 2013-03-20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03676A (ja) 2012-05-31
US8482869B2 (en) 2013-07-09
KR20120051492A (ko) 2012-05-22
US20120120506A1 (en) 2012-05-17
DE102011081209A1 (de) 2012-05-16
JP5323899B2 (ja)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502B1 (ko) 렌즈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모듈
US10908382B2 (en) Lens dri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US11988893B2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761339B2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1044668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카메라 모듈
CN102906638B (zh) 具有mems执行器的相机模块
KR101845089B1 (ko) 카메라 모듈
KR101190253B1 (ko) 멤스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4765223B (zh) 摄像头模块
JP5083557B2 (ja) レンズ駆動装置
CN109451225B (zh) 摄像头模组及终端
KR101952853B1 (ko) 카메라 모듈
US20140118854A1 (en) Lens holder driving device capable of ensuring linearity of wide range in driving response
JP2014206590A (ja) レンズ保持装置
JP2013073094A (ja) レンズ駆動装置
JP6177630B2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30022195A (ko) 카메라 모듈
KR20120045846A (ko) 보이스 코일 모듈
KR20110078492A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70036347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57305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9169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70036346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3204089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以及光学设备
KR101416298B1 (ko) 스프링 내구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