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485B1 - 개폐모듈 및 개폐모듈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개폐모듈 및 개폐모듈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485B1
KR101172485B1 KR1020110102272A KR20110102272A KR101172485B1 KR 101172485 B1 KR101172485 B1 KR 101172485B1 KR 1020110102272 A KR1020110102272 A KR 1020110102272A KR 20110102272 A KR20110102272 A KR 20110102272A KR 101172485 B1 KR101172485 B1 KR 101172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rotating
rotation axi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696A (ko
Inventor
김덕준
지상훈
손웅희
이상무
남경태
이광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0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4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모듈, 개폐모듈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리프트부, 그리고 개폐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개폐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리프트부, 그리고 개폐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개폐모듈을 제어하는 개폐모듈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리프트부가 상기 개폐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분리된 개폐부를 상기 회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고, 두께나 폭이 보다 슬림(slim)해져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촬영대상에 보다 많은 공간이 할애될 수 있으며, 회전체 및 지지체의 측면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어 개방된 측면 공간을 통해 촬영대상의 세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모듈 및 개폐모듈 제어 방법{Opening and closing modul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징 장치에 적용되는 개폐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영문자 오 형상(O-shaped)의 갠트리(gantry) 링, 그리고 갠트리 링 내부에서 갠트리 링과는 독립적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영문자 씨 형상(C-shaped)의 회전체(rotor)를 포함하는 이미징 장치가 종래에 소개된 바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이미징 장치는 촬영대상(보통 환자)이 갠트리 링의 중심부로 다양한 상황에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갠트리 링의 일부분(segment)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갠트리 링의 일부분이 분리되고 나면, 영문자 오(O) 형상의 갠트리 링은 영문자 씨(C) 형상이 된다. 이때, 회전체는 갠트리 링과 영문자 씨(C) 형상의 부분이 서로 대응되도록(개방된 부분이 일치되도록) 배치되므로, 이 부분을 통해 촬영대상이 쉽게 갠트리 링의 중심으로 이송될 수 있다.
촬영대상의 세팅이 끝난 후에 갠트리 링의 분리된 일부분은 다시 갠트리 링에 결합되어 갠트리 링은 영문자 오(O) 형상이 되고, 이러한 갠트리 링의 내부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영문자 씨(C) 형상의 로터가 회전함으로써 이차원 또는 삼차원의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다만, 회전체가 비대칭인 영문자 씨(C) 형상으로 구성됨으로 인해 회전 시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갠트리 링 내부에 회전체를 배치하고 갠트리 링과는 별개로 로터만 회전시키는 구조로 인해 이미징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을 완화하면서도 촬영대상의 세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미징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개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촬영대상에 보다 많은 공간이 할애될 수 있는 이미징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개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모듈은 개폐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리프트부, 그리고 개폐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가이드, 그리고 상기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로드, 그리고 일단이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이동부재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개폐기어에 맞물려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모듈 제어방법은 개폐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리프트부, 그리고 개폐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개폐모듈을 제어하는 개폐모듈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리프트부가 상기 개폐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분리된 개폐부를 상기 회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가이드, 그리고 상기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로드, 그리고 일단이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이동부재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개폐기어에 맞물려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에어실린더를 통해 상기 개폐부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개폐부를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개폐기어에 맞물린 상기 개폐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상기 가이드로드 및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 이동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체를 대칭인 통공된 원판 형상(영문자 오(O)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고, 두께나 폭이 보다 슬림(slim)해져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촬영대상에 보다 많은 공간이 할애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개폐부 및 지지체개폐부를 포함함으로써, 회전체 및 지지체의 측면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어 개방된 측면 공간을 통해 촬영대상의 세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모듈이 적용된 이미징 장치를 정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폐 모듈이 적용된 이미징 장치를 배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폐 모듈이 적용된 이미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개폐 모듈이 적용된 이미징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회전체가 회동하는 구동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회전체개폐부 및 지지체개폐부가 개폐모듈의 리프트부에 의해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된 상태를 정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를 배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8은 회전체개폐부 및 지지체개폐부가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모듈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회전을 통해 이차원 또는 삼차원의 영상을 촬영하는 이미징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개폐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을 통한 영상 촬영에 있어서 진동의 발생이 완화되도록 대칭인 회전체를 구비하는 이미징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개폐 모듈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 모듈이 적용된 이미징 장치를 정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개략적인 입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폐 모듈이 적용된 이미징 장치를 배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개폐 모듈이 적용된 이미징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개폐 모듈이 적용된 이미징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장치(100)는 회전체(1), 그리고 지지체(2)를 포함한다.
우선, 회전체(1)의 구성을 살핀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체(1)는 통공된 원판 형상이고 통공된 원판 형상의 중심을 회전축(10)으로 회전 이동된다. 예시적으로, 통공된 원판 형상이라 함은 중앙부가 원형으로 관통된 원판 형상, 영문자 오 형상(O-shape), 도넛 형상, 또는 링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는 지지체(2)에 의해 회전체(1)의 다른 방향으로의 직선 또는 회전 이동에 대한 자유도는 구속된 상태에서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지지체(2)의 구성을 살피면서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회전체(1)는 일부가 후술할 지지체개폐부(21)와 일체적으로 거동되는 회전체개폐부(11)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회전체(1)의 일부에 해당되는 회전체개폐부(11)는 회전체(1)에서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에 해당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회전체개폐부(11)인 회전체(1)의 일부는 통공된 원판 형상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의 영역에 해당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체개폐부(11)는 통공된 원판 형상에 있어서 원주 방향으로 대략 90도만큼의 범위에 해당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각도는 주변 여건 등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회전체개폐부(11) 및 지지체개폐부(21)를 일체적으로 이동시켜 본 이미징 장치(100)의 측면을 개방(회전체(1) 및 지지체(2)를 영문자 오 형상(O-shape)에서 영문자 씨 형상(C-shape)으로 변환)함으로써, 촬영대상(보통 환자)의 이동 및 세팅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고려하여 각도를 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를테면, 도 3을 기준으로 상향을 0도로 보았을 때, 환자가 이송된 후 지지체개폐부(21) 및 회전체개폐부(11)가 일체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된 본 이미징 장치(100)의 일 측면을 통과하여 중앙에 세팅되기 위해서는, 회전체개폐부(11) 및 지지체개폐부(21)가 형성되는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는 45도에서 135도 또는 225도에서 315도 정도의 범위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체(1)는 회전체개폐부(11)가 회전축(10) 방향으로 분리되기 전 회전체개폐부(11)와 함께 통공된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회전체고정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체개폐부(11)와 회전체고정부(12)를 합치면 하나의 통공된 원판 형상이 완성될 수 있다. 회전체고정부(12)는 회전체개폐부(11)가 본 이미징 장치(100)의 일 측면이 개방되도록 분리 이동될 때에도 회전체개폐부(11)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다만 회전체고정부(12)는 지지체(2)에 대해서도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즉 회전체개폐부(11)와 회전체고정부(12) 모두 지지체(2)에 대해서는 회전 이동이 이루어짐에 유의한다.
도 5는 회전체가 회동하는 구동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체(1)는 광을 영사하는 소스부(161), 그리고 광을 영사 받는 디텍터부(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스부(161)와 디텍터부(162)는 회전축(10)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3을 주로 참조하면, 회전체(1)의 타면의 일측(도 1 및 도 3에서 보았을 때 상측)에 소스부(161)가 배치되고, 회전체(1)의 타면의 타측(도 1 및 도 3에서 보았을 때 하측)에 디텍터부(16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1)의 통공된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소스부(161)와 디텍터부(162)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회전체(1)의 통공된 중심부에 촬영대상이 세팅된 후 촬영대상을 통과하도록 광의 영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회전체(1)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됨으로써, 이차원 뿐 아니라 삼차원의 영상 촬영도 가능해진다.
이때, 소스부(161)에서 영사되는 광은 이를테면 엑스레이 파장을 가지는 광일 수 있다. 즉 소스부(161)는 엑스레이 빔을 영사하고, 디텍터부(162)는 엑스레이 빔을 영사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엑스레이 빔을 이용함으로써 이차원 또는 삼차원의 컴퓨터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 등에 본 이미징 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체(1)는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동기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기어(14)는 후술할 지지체(2)의 회동모터(26)와 맞물리며, 회동모터(26)가 구동되면 회전체(1)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회동기어(14)로는 스퍼&피니언 기어(Spur&pinion gear)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회전체개폐부 및 지지체개폐부가 개폐모듈의 리프트부에 의해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된 상태를 정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개략적인 입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를 배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그리고 도 1, 도 2, 도 6, 그리고 도 7을 참고하면, 회전체(1)가 지지체(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되기 위하여, 회전체(1)와 지지체(2) 사이에는 회전 방향으로 구름 장치(rolling device)가 갖추어질 수 있다. 이를테면 회전체(1)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롤러(13)를 구비하고, 지지체(2)는 가이드롤러(13)가 원주 방향을 따라 구름 동작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해주는 회동가이드(23)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지지체(2)는 도 6에 일부분 나타난 바와 같이, 회전체(1)가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타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동가이드(2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회전체(1)는 일면에 회동가이드(23)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롤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회전체(1)에 회동가이드(23)가 구비되고 지지체(1)에 가이드롤러(13)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실제로 회전하는 회전체(1)에 구름 장치인 가이드롤러(13)가 구비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이러한 회동가이드(23)는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의 형상일 수 있고, 가이드롤러(13)는 이러한 레일과 맞물리는 형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체(2)의 구성을 살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체(2)는 통공된 원판 형상이고 회전체(1)의 이동이 회전 이동만으로 제한되도록 회전체(1)의 일면에 타면이 연결된다. 통공된 원판 형상이라 함은 이를테면 중앙부가 원형으로 관통된 원판 형상, 영문자 오 형상(O-shape)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체(2)의 통공된 원판 형상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경은 회전체(1)와 유사하고, 외경은 회전체(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체(1)에 대한 지지체(2)의 상대적인 크기는 지지체(2)가 회전체(1)의 자중, 회전으로 인한 진동, 예상치 못한 충격, 머니퓰레이터를 통한 지지체(2)의 조작에 있어서의 작용하중 등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회전체개폐부 및 지지체개폐부가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지지체(2)는 일부가 회전축(10) 방향으로 분리된 후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되는 지지체개폐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각도라 함은 본 이미징 장치(100)의 측면이 촬영대상이 용이하게 이송되어 세팅될 수 있을 만큼 개방될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체(2)의 일부에 해당되는 지지체개폐부(21)는 지지체(2)에서 회전체개폐부(11)에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지지체개폐부(21)는 회전체개폐부(11)와 회전축(10) 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되는 지지체(2)의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개폐부(21)와 회전체개폐부(11)가 동일한 위치에 겹쳐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개폐모듈(24)에 의해 양 변환부(11, 21)가 일체적으로 본 이미징 장치(100)의 측면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예시적으로, 도 8 및 도 9의 (a)를 참조하면, 지지체개폐부(21)는 회전체개폐부(11)와 대략 90도의 범위에 오버랩 되어 회전체개폐부(11)와 일체적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의 (c)를 참조하면, 지지체개폐부(21) 및 회전체개폐부(11)의 회전 이동되는 각도 또한 90도 정도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개폐부(21)가 회전 이동되는 미리 정해진 각도는 약 90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이미징 장치(100)가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는 지지체개폐부(21)가 회전축(10) 방향으로 분리되기 전 지지체개폐부(21)와 함께 통공된 원판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체고정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체개폐부(21)와 지지체고정부(22)를 합치면 하나의 통공된 원판 형상이 완성될 수 있다. 지지체고정부(22)는 지지체개폐부(21)가 본 이미징 장치(100)의 일 측면이 개방되도록 분리 이동될 때에도 지지체개폐부(11)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2)는 상술한 회동기어(14)에 맞물려 회전체(1)를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회동모터(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모터(26)의 형상이 도면에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회동모터(26)는 회동기어(14)와 이를테면 암수결합 등으로 맞물릴 수 있는 구동파트가 구비되어야 한다. 회동모터(26)의 구동을 통해 회동기어(14)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회전체(1)는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동모터(26)는 반드시 지지체(2) 상에 장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다른 고정될 수 있는 부분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체(2)는 공간상의 직선 또는 회전 이동을 제어하는 머니퓰레이터와 연결되는 머니퓰레이터연결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머니퓰레이터(또는 매니퓰레이터, manipulator)는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방사성 장치를 안전한 장소에서 원격 조작하기 위한 장치로 이해된다. 전기,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서 다양한 자유도로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머니퓰레이터를 통해 지지체(2)가 조작될 수 있도록 머니퓰레이터연결부(25)가 지지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체(2)의 일측(도 1에서 좌측, 도 2에서 우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후 회전축(10) 방향으로 구부러져 더욱 연장되는 형상으로 머니퓰레이터연결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촬영대상의 이송 및 세팅 등을 고려하였을 때,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머니퓰레이터연결부(25)는 지지체개폐부(21)가 형성된 부분의 맞은편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머니퓰레이터연결부(25)는 본 이미징 장치(100)가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도 4, 도 7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지지체(2)는 지지체개폐부(21)를 분리하여 회전 이동시키는 개폐모듈(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지지체개폐부(21)는 지지체고정부(22)로부터 회전축(10) 방향으로 분리된 후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개폐부(21)의 분리 및 회전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개폐모듈(2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폐모듈(24)은 지지체개폐부(21)를 회전축(10)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리프트부(241), 그리고 지지체개폐부(21)를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키는 회동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리프트부(241)를 통해 지지체개폐부(21) 및 이와 일체로 구동되는 회전체개폐부(11)가 회전축(10) 방향으로 일단 들려 올라가게(lift) 된다. 다음으로, 회동부(242)를 통해 이렇게 들려 올라간 지지체개폐부(21) 및 회전체개폐부(11)가 회전 이동되면서 본 이미징 장치(100)의 측면이 일정 각도만큼 개방된다.
도 2, 도 4, 도 7 그리고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회동부(242)는 지지체고정부(22)의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가이드(2421), 그리고 개폐가이드(2421)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2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부(241)는 이동부재(2422)로부터 회전축(10)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로드(2411), 그리고 일단이 지지체개폐부(21)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로드(2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연결부재(24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부재(2422)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로드(2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부재(2412)가 이동됨으로써, 이러한 연결부재(2412)의 일단에 일면이 연결되어 있는 지지체개폐부(21) 및 회전체개폐부(11)가 도 2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 일체로 들려 올라가게 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리프트부(241)는 연결부재(2412)를 가이드로드(24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실린더를 통해 리프트부(41)의 들어 올리는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2422)가 개폐가이드(2421)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이러한 이동부재(2422)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로드(2411)에 관통되어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2412)도 따라서 이동되고, 연결부재(2412)의 일단에 일면이 연결되어 있는 지지체개폐부(21) 및 회전체개폐부(11)도 도 9의 (a)의 상태에서 (b)의 상태를 거쳐 (c)의 상태로 일체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부재(2422)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회동부(242)는 개폐기어에 맞물려 이동부재(2422)를 개폐가이드(2421)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개폐기어는 회전체(1)가 지지체(2)에 대하여 돌아가는 원리와 비슷하게 스퍼&피니언 기어로 구성되어 개폐모터에 의해 돌아감으로써, 이동부재(2422)를 개폐가이드(2421)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개폐모터에 원주 방향으로 이동부재(2422)에 형성된 개폐기어가 맞물려 이동부재(2422)를 보다 먼 거리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부재(2422)의 원주 방향 길이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이동부재(2422)에는 회전체(1)의 가이드롤러(13)와 비슷하게 롤러가 부착되어 있어 이를 통해 개폐가이드(2421)를 타면서 돌아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살핀 본 발명의 각 구성의 내용을 바탕으로, 회전체(1)가 지지체(2)에 대해 회전 이동되는 구동 및 회전체개폐부(11)와 지지체개폐부(21)가 개폐모듈(24)에 의해 일체적으로 변환되는 구동에 대해 간략히 살핀다.
우선, 회전체(1)가 지지체(2)에 대해 회전 이동되는 구동을 살피면, 구동 동력에 있어서는, 회전체(1)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동기어(14)가 지지체(2)의 회동모터(26)에 맞물려 돌아감으로써 회전체(1)의 회전 이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동 경로에 있어서는, 지지체(2)에 구비된 회동가이드(23)의 경로를 따라 회전체(1)에 구비된 가이드롤러(13)가 이동됨으로써 회전체(1)의 회전 이동이 이루어진다.
참고로, 지지체(2)는 이러한 회동가이드(23)의 경로를 따른 회전 이동 이외에, 다른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이나 회전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회전체(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체(2)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를테면 회동가이드(23)를 따라 홈을 형성하고 가이드롤러(13)에 이러한 홈에 결합되는 돌기를 형성시켜, 회전체(1)의 회전축(10) 방향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체개폐부(11)와 지지체개폐부(21)가 개폐모듈(24)에 의해 일체적으로 변환되는 구동을 살피면, 구동 동력에 있어서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부재(2412)에 형성된 개폐기어가 개폐모터에 맞물려 돌아감으로써 회전체개폐부(11)와 지지체개폐부(21)의 일체적인 개폐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경로에 있어서는, 지지체(2)에 구비된 개폐가이드(24)의 경로를 따라 연결부재(2412)에 구비된 롤러가 이동됨으로써 회전체개폐부(11)와 지지체개폐부(21)의 일체적인 개폐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체(1)를 대칭인 통공된 원판 형상(영문자 오(O)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회전 시 발생되는 진동을 완화할 수 있고, 두께나 폭이 보다 슬림(slim)해져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촬영대상에 보다 많은 공간이 할애될 수 있다.
또한, 회전체개폐부(11) 및 지지체개폐부(21)를 포함함으로써, 회전체(1) 및 지지체(2)의 측면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어 개방된 측면 공간을 통해 촬영대상의 세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앞서 살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장치(100)에 포함되는 개폐모듈(24) 자체를 본 이미징 장치(100)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발명으로서 살펴본다. 다만 본 이미징 장치(100)에 포함되는 개폐모듈(24)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개폐모듈(24)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장치(100)에 적용되는 실시예로 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모듈(24)은 개폐부(21)를 회전축(10)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리프트부(241), 그리고 개폐부(21)를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키는 회동부(242)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폐부(21)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장치(100)의 지지체개폐부(21)에 해당되는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회동부(242)는 고정부(22)의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가이드(2421), 그리고 개폐가이드(2421)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2422)를 포함하고, 리프트부(241)는 이동부재(2422)로부터 회전축(10)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로드(2411), 그리고 일단이 개폐부(21)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로드(2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연결부재(2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징 장치(100)의 지지체고정부(22)에 해당되는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이동부재(2422)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242)는 개폐기어에 맞물려 이동부재(2422)를 개폐가이드(2421)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부(241)는 연결부재(2412)를 가이드로드(24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앞서 살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모듈(24)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모듈 제어방법(S100)에 관하여 살핀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폐모듈(24)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모듈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모듈 제어방법(S100)은 개폐부(21)를 회전축(10)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리프트부(241), 그리고 개폐부(21)를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회동부(242)를 포함하는 개폐모듈(24)을 제어하는 개폐모듈 제어방법으로서, 리프트부(241)가 개폐부(21)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단계(S1), 그리고 분리된 개폐부(21)를 회동부(242)를 통해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S2)를 포함한다.
여기서 회동부(242)는 고정부(22)의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가이드(2421), 그리고 개폐가이드(2421)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2422)를 포함하고, 리프트부(241)는 이동부재(2422)로부터 회전축(10)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로드(2411), 그리고 일단이 개폐부(21)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로드(2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연결부재(2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2422)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기어를 포함하고, 회동부(242)는 개폐기어에 맞물려 이동부재(2422)를 개폐가이드(2421)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모터를 더 포함하며, 리프트부(241)는 연결부재(2412)를 가이드로드(24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시키는 단계(S1)는 에어실린더를 통해 개폐부(21)와 연결된 연결부재(2412)를 가이드로드(2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개폐부(21)를 회전축(10)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S2)는 개폐기어에 맞물린 개폐모터가 구동되어 이동부재(2422)가 개폐가이드(2421)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개폐부(21)가 가이드로드(2411) 및 연결부재(2412)와 함께 회전 이동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모듈 제어방법(S100)은 리프트부(241)가 개폐부(21)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단계(S1), 그리고 분리된 개폐부(21)를 회동부(242)를 통해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S2)와는 반대가 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개폐모듈 제어방법(S100)은 개폐부(21)를 개폐부(21)가 분리되었던 위치로 회전 이동시켜 되돌리는 단계와 개폐부(21)를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부(22)에 다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개폐모듈 제어방법(S100)을 통해 본 이미징 장치(100)의 지지체(2) 및 회전체(1)가 측면이 닫힌 영문자 오 형상(O-shape)과 측면이 열린 영문자 씨 형상(C-shape)으로 자유롭게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환을 통해 이를테면 환자가 측면이 개방된 부분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환자가 본 이미징 장치(100)의 중심으로 이동되고 나면 측면을 닫은 후 검사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이미징 장치
1. 회전체 11. 회전체개폐부
12. 회전체고정부 13. 가이드롤러
14. 회동기어 161. 소스부
162. 디텍터부 2. 지지체
21. 지지체개폐부 22. 지지체고정부
23. 회동가이드 24. 개폐모듈
241. 리프트부 2411. 가이드로드
2412. 연결부재 242. 회동부
2421. 개폐가이드 2422. 이동부재
25. 머니퓰레이터연결부 26. 회동모터
10. 회전축

Claims (9)

  1. 개폐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리프트부, 그리고
    개폐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가이드, 그리고
    상기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로드, 그리고
    일단이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개폐모듈.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기어를 포함하는 개폐모듈.
  4. 제3항에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개폐기어에 맞물려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모터를 더 포함하는 개폐모듈.
  5. 제1항에서,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개폐모듈.
  6. 개폐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리프트부, 그리고 개폐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개폐모듈을 제어하는 개폐모듈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리프트부가 상기 개폐부를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분리된 개폐부를 상기 회동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고정부의 일면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가이드, 그리고
    상기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이동부재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로드, 그리고
    일단이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개폐모듈 제어방법.
  7. 삭제
  8. 제6항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개폐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개폐기어에 맞물려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는 개폐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개폐모듈 제어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에어실린더를 통해 상기 개폐부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가이드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개폐부를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회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개폐기어에 맞물린 상기 개폐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개폐가이드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상기 가이드로드 및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 이동되는 단계인 개폐모듈 제어방법.
KR1020110102272A 2011-10-07 2011-10-07 개폐모듈 및 개폐모듈 제어 방법 KR101172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272A KR101172485B1 (ko) 2011-10-07 2011-10-07 개폐모듈 및 개폐모듈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272A KR101172485B1 (ko) 2011-10-07 2011-10-07 개폐모듈 및 개폐모듈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278A Division KR101095518B1 (ko) 2010-06-29 2010-06-29 개폐모듈, 개폐모듈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96A KR20120001696A (ko) 2012-01-04
KR101172485B1 true KR101172485B1 (ko) 2012-08-10

Family

ID=4560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272A KR101172485B1 (ko) 2011-10-07 2011-10-07 개폐모듈 및 개폐모듈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0708B2 (en) * 2015-03-30 2017-11-21 Medtronic Navig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chanically providing power to a generator on a continuous rotatable rotor of an X-ray scan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2350A1 (en) * 2002-02-15 2004-02-05 Breakaway Imaging, Llc Breakable gantry apparatus for multidimensional x-ray based imaging
US20070025522A1 (en) 2005-07-26 2007-02-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footprint imaging system
US20080013691A1 (en) 2002-03-13 2008-01-17 Gregerson Eugene A Systems and methods for quasi-simultaneous multi-planar x-ray imag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2350A1 (en) * 2002-02-15 2004-02-05 Breakaway Imaging, Llc Breakable gantry apparatus for multidimensional x-ray based imaging
US20080013691A1 (en) 2002-03-13 2008-01-17 Gregerson Eugene A Systems and methods for quasi-simultaneous multi-planar x-ray imaging
US20070025522A1 (en) 2005-07-26 2007-02-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footprint ima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96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518B1 (ko) 개폐모듈, 개폐모듈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징 장치
US10034641B2 (en) Extremity imaging apparatus for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JP5965382B2 (ja) X線ct撮影装置
JP2010035984A (ja) X線撮影装置
US10172571B2 (en) X-ray imaging apparatus
CN102579065A (zh) 用于配置抗散射格栅的过程和装置
JP5984256B2 (ja) X線撮像装置
JP2018031656A (ja) 画像診断用撮影装置
JP2007229447A (ja) 乳房用x線撮影装置
EP3989833B1 (en) Shielding device for use in medical imaging
JP2016209724A (ja) 医療用x線撮影装置及びx線撮影方法
KR101927079B1 (ko) X-선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지그 장치
KR101172485B1 (ko) 개폐모듈 및 개폐모듈 제어 방법
CN110320730A (zh) 一种双目摄像机
JP6019489B2 (ja) X線撮影装置
KR20130058633A (ko) 의료용 3d 디지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튜브 지지대, 메인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촬영 포지션 조정 방법
JP5114145B2 (ja) X線撮影装置
CN111358481A (zh) 一种x射线机
CN108125688B (zh) X光成像装置
EP3592237B1 (en) Bearing system for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KR20150024706A (ko) Ct 촬영 장치
JP2010035779A (ja) X線撮影装置
JP2013140121A (ja) 放射線検出装置および放射線断層撮影装置
CN204351849U (zh) 医用x射线限束器多层防护叶片驱动机械装置
CN206080554U (zh) 一种x射线拍片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