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451B1 -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수정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수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451B1
KR101172451B1 KR1020040044216A KR20040044216A KR101172451B1 KR 101172451 B1 KR101172451 B1 KR 101172451B1 KR 1020040044216 A KR1020040044216 A KR 1020040044216A KR 20040044216 A KR20040044216 A KR 20040044216A KR 101172451 B1 KR101172451 B1 KR 10117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ursor
call list
phone numb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036A (ko
Inventor
후앙휘이씨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451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수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최근 통화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최근 통화목록에서 수정할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서 틀린 숫자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숫자가 수정된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전화번호를 눌러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다시 토오하연결시에 전화번호를 처음부터 다시 입력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수정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NUMBER CORRECTING METHOD THEREFOF}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수정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3은 도 2의 통화 목록에 기록된 전화번호를 수정하여 발신하는 동작에 의한 화면 전환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목록의 전화번호 수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실수로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눌렀을 때 통화 목록에 기록된 전화번호를 수정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목록의 전화번호 수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키패드의 숫자 버튼을 눌러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눌러 상대방과 통화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는 최근 통화 목록에 기록되고, 이후에 사용자는 최근 통화 목록을 이용하여 기록된 전화번호 중에서 원하는 전화번호 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사용자는 매번 통화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최근 통화 목록에서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해서 사용한다.
사용자가 실수로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누르면 최근 통화 목록에 잘못 입력된 전화번호가 기록된다. 사용자는 다시 전화번호를 올바로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눌러 상대방과 통화해야 한다. 사용자는 최근 통화 목록에서 잘못 입력되어 불필요한 전화번호를 삭제하여 최근 통화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수로 잘못 입력한 전화번호는 최근 통화 목록에 그대로 등록되어 차후 사용자는 상기 전화번호를 수정해서 사용하지 못하므로 처음부터 전화번호를 새로 입력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최근 통화 목록에서 선택된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하고 커서가 위치한 지점의 번호를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목록의 전화번호 수정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수정방법은, 최근 통화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최근 통화목록에서 수정할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서 틀린 숫자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숫자가 수정된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정단계는 제1키(지움키 또는 특정 키)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제2키(방향키)를 이용하여 틀린 숫자의 위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커서가 이동한 위치에서 상기 틀린 숫자를 지우고 새로운 숫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방향 버튼, 지움 버튼, 통화 버튼, 확인 버튼, 숫자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10)와; 통화 목록에서 상하 방향 버튼의 눌림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하고, 전화번호에서 커서가 위치한 지점의 번호를 수정하고, 수정된 전화번호에 대해 통화 연결하는 통화목록 관리부(20)와;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한 통화 목록 화면, 통화 목록에서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수신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한 전화번호 화면, 수정된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발신화면을 표시하는 통화목록 표시부(30)와; 이동 통신망과 연결하여 수정된 전화번호에 대응한 상대방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통화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통화목록 관리부(20)는 통화 목록에서 상하 방향 버튼의 눌림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하고, 전화번호에서 커서가 위치한 지점의 번호를 수정하고, 수정된 전화번호에 대해 통화 연결한다.
상기 통화목록 관리부(20)의 전화번호 선택부(21)는 통화 목록에서 상하 방향 버튼의 눌림에 따라 전화번호 선택바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선택바에 위치한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하고, 좌우 방향 버튼의 눌림에 따라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상기 통화목록 관리부(20)의 전화번호 수정부(22)는 지움 버튼이 눌리면 전화번호에서 커서가 위치한 지점의 번호를 지우고, 숫자 버튼이 눌리면 커서가 위치한 지점에 숫자 버튼에 대응한 숫자를 입력하여 전화번호를 수정한다.
상기 통화목록 관리부(20)의 통화 연결부(23)는 발신 버튼이 눌리면 수정된 전화번호를 무선 통신부(40)에 전달하여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상기 통화목록 표시부(30)는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한 통화 목록 화면, 통화 목록에서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수신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한 전화번호 화면, 수정된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발신 화면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수정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목록 메뉴의 선택됨을 판단하여 선택되면 통화 목록을 표시하고, 상하 방향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선택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통화 목록에서 지움 버튼 또는 임의의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선택바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의 끝에 커서를 표시하고, 좌우 방향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전화번호에 위치한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지움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전화번호에 위치한 커서가 가리키는 번호를 지우고, 숫자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커서가 위치한 지점에 숫자 버튼에 대응한 숫자를 추가하여 수정하는 단계와; 통화 목록에서 확인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선택바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수신 정보를 출력하고, 지움 버튼 또는 임의의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발신/수신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하는 단계와; 통화 목록에서 선택된 전화번호 화면에서 통화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수정된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목록 관리부(20)는 통화 목록 메뉴의 선택됨을 판단하여 선택되면 통화목록 표시부(30)를 제어하여 통화 목록을 표시하고, 상하 방향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선택바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통화목록 관리부(20)는 통화 목록에서 지움 버튼 또는 임의의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전화번호 선택부(21)를 제어하여 선택바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의 끝에 커서를 표시하고, 좌우 방향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전화번호에 위치한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상기 통화목록 관리부(20)의 전화번호 수정부(22)는 지움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전화번호에 위치한 커서가 가리키는 번호를 지우고, 숫자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커서가 위치한 지점에 숫자 버튼에 대응한 숫자를 추가하여 수정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연결부(23)는 통화 목록에서 확인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선택바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수신 정보를 출력하고, 지움 버튼 또는 임의의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발신/수신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좌우 방향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전화번호에 위치한 커서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지움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전화번호에 위치한 커서가 가리키는 번호를 지우고, 숫자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커서가 위치한 지점에 숫자 버튼에 대응한 숫자를 추가하여 수정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통화 목록에서 선택바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 화면, 또는 통화 목록에서 확인 버튼에 의해 선택된 발신/수신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 화면에서 통화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수정된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도 3은 도 2의 통화 목록에 기록된 전화번호를 수정하여 발신하는 동작에 의한 화면 전환을 보인 예시도이다.
최근 통화 목록 화면(51)은 통화가 행해진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표시한다. 최근 통화 목록 화면(52)에서 지움 버튼 또는 임의의 버튼이 눌리면 최근 통화 목록에서 선택바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의 끝에 커서(61)가 표시된다.
전화번호 끝에 표시된 커서(61)는 좌우로 이동하고, 전화번호에서 잘못 입력된 번호는 지워지고 새 번호가 입력되어 수정 표시된다. 수정된 전화번호 화면(52)에서 통화 버튼이 눌리면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하는 발신 화면(53)으로 전환한다.
최근 통화 목록 화면(51)에서 확인 버튼이 눌려 보기가 선택되면 발신 정보 화면(54)으로 전환한다. 발신 정보 화면(54)에서 지움 버튼 또는 임의의 버튼이 눌리면 전화번호의 끝에 커서(62)가 표시된다.
전화번호 끝에 표시된 커서(62)는 좌 방향 버튼의 눌림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고 숫자 버튼이 눌리면 숫자 버튼에 대응한 숫자가 추가된다. 숫자가 추가되어 수정된 전화번호 화면(55)에서 통화 버튼이 눌리면 수정된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하는 발신 화면으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통화 목록에 기록된 전화번호에 커서를 표시하고 커서를 이동시켜 잘못 입력된 번호를 수정함으로써 사용자는 통화 목록에서 실수로 잘못 입력한 전화번호를 손쉽게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잘못 입력한 전화번호를 누르고 통화 연결을 시도한 후 통화를 끊고 전화번호를 처음부터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통화 목록에 기록된 전화번호를 수정해서 사용하므로 통화 연결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대 전화번호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연결을 시도한 전화번호가 잘못된 번호일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최근 통화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최근 통화목록에서 수정할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서 틀린 숫자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숫자가 수정된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재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하는 단계는
    제1키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제2키를 이용하여 틀린 숫자의 위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커서가 이동한 위치에서 상기 틀린 숫자를 지우고 새로운 숫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목록의 전화번호 수정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는 지움키 또는 특정 키를 나타내고, 상기 제2키는 방향키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목록의 전화번호 수정 방법.
  4. 최근 통화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최근 통화목록을 표시하는 통화목록 표시부와;
    상기 통화 연결을 시도한 전화번호가 잘못되어 사용자가 최근 통화목록에서 수정할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해당 전화번호에 커서를 위치시켜 사용자가 커서 이동에 의해 틀린 숫자를 수정하도록 제어하고, 통화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수정된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연결을 재시도하는 통화목록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화목록 관리부는
    지움키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의 맨뒤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방향키가 입력되면 틀린 숫자의 위치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전화번호 선택부와;
    상기 커서가 이동한 위치에서 상기 틀린 숫자를 지우고 새로운 숫자를 입력하는 통화번호 수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삭제
  6. 삭제
KR1020040044216A 2004-06-15 2004-06-15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수정방법 KR10117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216A KR101172451B1 (ko) 2004-06-15 2004-06-15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수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216A KR101172451B1 (ko) 2004-06-15 2004-06-15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수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036A KR20050119036A (ko) 2005-12-20
KR101172451B1 true KR101172451B1 (ko) 2012-08-07

Family

ID=3729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216A KR101172451B1 (ko) 2004-06-15 2004-06-15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수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62B1 (ko) * 2006-08-01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간편 전화번호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036A (ko) 200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085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background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001086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724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수정방법
KR1013715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등록 전화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7999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KR20080075599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기능 수행 방법
KR200701106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217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전화 번호 저장 방법
KR1008683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473909B1 (ko) 휴대전화의 유선전화망 접속시스템
JP201510383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プログラム
KR10108054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
JP2002237912A (ja) 公衆電話システム
KR2006008079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KR1005048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내역 관리 방법
KR100651491B1 (ko)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목록을 관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KR1010721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
KR100865278B1 (ko)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수신자 고유번호 입력방법
KR101272339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250239B1 (ko) 단말기의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987878B1 (ko) 오토다이얼링이 설정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52437Y1 (ko) 유선전화망 자동접속 휴대전화
JP4393925B2 (ja) 固定電話機およびその識別番号付加方法
KR2004002386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입력 시스템
KR2006006824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