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697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697A
KR20070110697A KR1020060043491A KR20060043491A KR20070110697A KR 20070110697 A KR20070110697 A KR 20070110697A KR 1020060043491 A KR1020060043491 A KR 1020060043491A KR 20060043491 A KR20060043491 A KR 20060043491A KR 20070110697 A KR20070110697 A KR 2007011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country code
international
phone number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120B1 (ko
Inventor
박찬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120B1/ko
Publication of KR2007011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국가 식별정보와, 그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와, 그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제 연결번호와, 상기 국가번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임의의 전화번호로 발신이 요청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를 비교하여 해당 전화번호가 국제전화 번호 또는 국내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변경된 전화번호로 발신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는 발신 요청된 전화번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국가의 국제전화체계 또는 국내전화체계에 맞도록 자동으로 변경하여 발신 처리해줌으로써, 사용자는 타국에서 전화통화를 발신하면 그 나라에서 통용되는 국가번호 및 국제 연결번호를 알아내어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원하는 전화통화를 국제전화/국내전화로 자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 국제 식별정보, 국제전화, 국내전화, 국제 연결번호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PHONE AND METHOD FOR CALL PROCES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제어부의 구성 블록도.
도 4,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제어부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 통신 단말기 100 : 메모리
200 : 제어부 210 : 국가번호 추출부
220 : 판단 처리부 230 :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
240 : 발신 처리부 300 : 표시부
310, 320 : 선택창 400 : 키입력부
500 : RF부 600TU : 음성 처리부
700 : 스피커 800 : 마이크로폰
본 발명은 발신 요청된 전화번호를 기지국의 국가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국가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 또는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도록 자동으로 변경하여 발신 처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국제전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화번호의 앞자리에 현재 위치한 나라에서 통용되는 국제 연결번호(이를테면, 001, 00700 등)와 해당 전화번호가 속한 나라의 국가번호(이를테면, 한국 82, 미국 2 등)와 그 전화번호가 모두 입력되어야 하고, 국내전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화번호만 입력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통화하기를 원하는 전화번호로 국제 전화를 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위치한 나라에서 사용되는 국제 연결번호 및 그 전화번호의 국가번호를 모두 알고 입력 및 설정해야 한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기에 각 전화번호의 국제 연결번호 및 국가번호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지만, 만약 다른 나라로 이동할 경우 그 설정된 국제 연결번호는 무 용지물이 된다.
예를 들자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통신망이 사용되는 유럽에 있는 사용자가 한국의 임의의 전화번호(이를테면, 02 333 3333)로의 전화하고자 하면, 그 사용자는 GSM 이동통신망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국제 연결번호(+) 또는 그 나라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국제 연결번호(이를테면, 133 등) 중 어느 하나와, 해당 전화번호의 국가번호(82)를 사용하여 그 나라(유럽)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는 번호들(+ 82 02 333 3333)을 입력하여야 국제통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사용자가 동일한 단말기를 가지고 다른 나라(CDMA 이동통신망이 사용되는 미국)으로 이동한 후 동일한 전화번호로 통화를 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기존에 사용했던 국제 연결번호(+ 또는 133)를 사용하지 않고, 미국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국제 연결번호(이를테면, 011 등)와 해당 전화번호의 국가번호(82)를 사용하여 그 나라(미국)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는 번호들(011 82 02 333 3333)을 입력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전화번호라도 각각 다른 나라에서 발신하고자 한다면, 그 때마다 각 나라에서 사용되는 국제 연결번호를 미리 숙지하여 그 나라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는 번호들을 일일이 입력 및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게다가, 그 전화번호(02 333 3333)로의 국제전화를 사용하던 사용자가 해당 전화번호(02 333 3333)가 속한 나라(한국)로 이동하면, 국제전화가 아닌 국내전화 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존에 사용했던 국제 연결번호(+, 33, 010)와 국가번호(82) 따위는 쓰지 않고 오직 전화번호만을 입력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른 나라로 이동하여 전화통화를 발신할 때마다 해당 전화번호가 국제전화인지 국내전화인지를 판단하고, 국내전화인 경우 그 나라에서 사용되는 국제 연결번호를 숙지하여 그 나라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은 번호들을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신 요청된 전화번호를 현재 위치한 나라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 또는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자동으로 변경하여 발신 처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국가 식별정보와, 그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와, 그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제 연결번호와, 상기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임의의 전화번호로 발신이 요청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를 비교하여 해당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 또는 국내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변경된 전화번호로 발신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각 전화번호의 앞 부분에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와, 각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 및/또는 국제 연결번호가 별도의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전화번호로 발신이 요청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추출하는 국가번호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발신 요청된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 또는 국내 전화번호 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처리부와, 상기 판단 처리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해당 국가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국내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는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와, 상기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에 의해 변경된 전화번호로의 발신 처리를 수행하는 발신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더 상세하게, 상기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는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의 변경을 거치지 않는다.
더욱 더 상세하게, 상기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는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 번호로 판단되면, 상기 국가번호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국제 연결번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상기 추출된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한다.
더욱 더 상세하게, 상기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는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상기 국가번호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제 연결번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화면창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창을 통해 임의의 국제 연결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상기 선택된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국가 식별정보와, 그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와, 그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제 연결번호와, 상기 국가번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으로, 임의의 전화번호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기지국으로부터 국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인지 또는 국내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해당 국가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국내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전화번호로 발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화번호에 상기 국가번호와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고,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국가번호와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한다.
상세하게,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제 연결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제 연결번호를 화면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창을 통해 임의의 국제 연결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국제 연결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국가 식별정보와, 그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와, 그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제 연결번호와,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와, 각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으로, 임의의 전화번호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기지국으로부터 국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전화번호인지 또는 국내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전화번호로 판단되면 해당 국가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국내전화번호로 판단되면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는 단 계와, 상기 변경된 전화번호로 발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화번호에 상기 국가번호와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고,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국가번호와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한다.
상세하게,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제 연결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제 연결번호를 화면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창을 통해 임의의 국제 연결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국제 연결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발신 요청된 전화번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따라 현재 위치한 나라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 또는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자동으로 변경하여 발신 처리하는 절차가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하, 발신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00)와, 그 메모리(100)에 저장된 자동 로밍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해당 프로그램에 프로그래밍된 절차를 수행 하는 제어부(200)와, 표시부(300)와, 키입력부(400)와, RF부(500)와, 음성 처리부(600)와, 스피커(700)와, 마이크로폰(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메모리(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이를 테면, 음악 재생 기능, 게임 기능, 파일 송수신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가 프로그래밍된 다수의 기능 프로그램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발신 요청된 전화번호를 현재 위치한 나라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 또는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자동으로 변경하여 발신 처리하는 발신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가 식별정보와, 그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와, 그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제 연결번호와, 임의의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메모리(100)에 저장된 국가 식별정보는 현재 단말기가 위치한 국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MCC(Mobile Country Code; CDMA의 경우 System parameter Msg, GSM의 경우 SI Msg)정보에 의거한 식별값(이를테면, 한국 450, 미국 330)이다.
또한, 메모리(100)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국제 연결번호(이를테면, GSM에서 사용되는 +)와 해당 국가번호(82)가 각 전화번호의 앞 부분에 포함된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전화번호에 국가번호(82)만이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각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82) 및/또는 국제 연결번호(+)가 메모리(100)의 다른 영역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메모리(100)에 저장된 다수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처리 프로그램의 절차에 따라 임의의 전화번호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메모리(100)로부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국가번호와 해당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를 비교하여 해당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 또는 국내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한 후,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변경된 전화번호로의 발신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표시부(30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화면창에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30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국제 연결번호를 표시하는 선택창(310)(도 2에 도시됨)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국제 연결번호를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택창(310)은 사용자에게 국제 연결번호 선택을 알리는 부분(311)과, 다수의 국제 연결번호("001","002","00700")가 표시된 부분(312)과, 선택버튼(313)과, 취소버튼(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입력부(40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20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RF부(500)는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5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처리부(60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800)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50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70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된 제어부(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국가의 국가번호를 추출하는 국가번호 추출부(210)와, 추출된 국가번호를 이용하여 발신 요청된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 또는 국내 전화번호 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처리부(220)와,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의 체계를 변경하는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230)와, 변경된 전화번호로 발신 처리를 수행하는 발신 처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국가번호 추출부(210)는 임의의 전화번호(이를테면, + 82 02 333 3333)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기지국으로부터 국가 식별정보(이를테면, 미국 330)를 수신한다. 그리고, 국가번호 추출부(210)는 해당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미국 330)를 이용하여 메모리(100)로부터 해당 국가 식별정보(미국 330)와 동일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미국 1)를 추출한다.
판단 처리부(220)는 국가번호 추출부(210)에 의해 추출된 국가번호(미국 1) 와 해당 발신이 요청된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한국 82)가 일치하는 지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가 국제 전화번호인지 국내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추출된 국가번호(미국 1)와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의 국가번호(한국 82)가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로 국제전화를 해야 하고, 추출된 국가번호(이를테면, 한국 82)와 해당 전화번호의 국가번호(한국 82)가 일치하면 동일한 국가(한국) 내에서의 전화통화가 되므로 그 전화번호로 국내전화를 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변경 처리부(230)는 판단 처리부(220)의 판단결과, 해당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해당 전화번호를 해당 국가(한국)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고, 해당 전화번호가 국내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해당 전화번호를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국제 전화번호 체계는 현재 위치한 국가에서 통용되는 국제 연결번호와, 해당 전화번호의 국가번호와, 해당 전화번호의 순서로 구성된 형식을 말하고, 국내 전화번호 체계는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전화번호로 구성된 형식을 말한다.
그러므로, 변경 처리부(230)는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를 현재 위치한 국가(미국)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끔 국제 연결번호(이를테면, 011)와 국가번호(82)가 포함되도록 변경(011 82 02 333 3333)하고,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가 국내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그 전화번호(+ 82 02 333 3333)를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끔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82)가 포함되지 않도록 변경(02 333 3333)한다.
이때,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사용된 국제 연결번호는 현재 CDMA 이동통신망이 사용되는 장소에서는 각 나라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다수의 국제 연결번호(이를테면, 001, 002, 00700, 011 등) 중 하나여야 하고, GSM 이동통신망이 사용되는 장소에서는 각 나라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다수의 국제 연결번호뿐 아니라 GSM 전용 국제 연결코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국가번호 추출부(210) 또는 변경 처리부(230)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제 연결번호를 메모리(100)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사용될 국제 연결번호를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국가번호 추출부(210) 또는 변경 처리부(230)는 국제 연결번호를 결정하는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00)로부터 국제 연결번호를 추출하기에 앞서 GSM 이동통신망의 여부에 따라 국제 연결번호(+)의 사용을 먼저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100)는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가 포함된 상태인 다수의 전화번호(이를테면, + 82 02 333 3333)가 저장되거나, 국가번호만이 포함된 전화번호(82 02 333 3333)가 저장되거나, 다수의 전화번호(02 333 3333)와 각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82)가 각각의 영역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00)에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가 포함된 전화번호(이를테면, + 82 02 333 3333, + 1 555 5555)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변경 처리부(230)는 판단 처리부(220)에 의해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됨에 따라 해당 국가(이를테면, 미국)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끔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에 포함된 국제 연결번호(+)를 현재 위치한 국가에서 통용되는 국제 연결번호(이를테면, 011)로 변경하고, 해당 전화번호(+ 1 555 5555)가 국내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끔 해당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1)를 삭제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0)에 국가번호만이 포함된 전화번호(82 02 333 3333)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변경 처리부(230)는 판단 처리부(220)에 의해 해당 전화번호(82 02 333 3333)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됨에 따라 해당 국가(이를테면, 미국)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끔 해당 전화번호(82 02 333 3333)의 앞 부분에 현재 위치한 국가에서 통용되는 국제 연결번호(011)를 추가하고, 해당 전화번호가 국내 전화번호로 판단됨에 따라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끔 해당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82)를 삭제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0)에 전화번호(02 333 3333)와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82)가 각각의 영역으로 저장된 경우, 변경 처리부(230)는 판단 처리부(220)에 의해 해당 전화번호(02 333 3333)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됨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02 333 3333)의 앞 부분에 현재 위치한 국가에서 통용되는 국제 연결번호(011)와 해당 전화번호(02 333 3333)와 상응하는 국가번호(82)를 추가하고, 해당 전화번호(555 5555)가 국내 전화번호로 판단됨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555 5555)의 변경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발신 처리부(240)는 변경 처리부(230)에 의해 해당 국가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 또는 국내 전화번호 체계로 변경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전화번호로의 발신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된 메모리(100)에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82)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82 02 333 3333)가 저장된 경우의 제어부(2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임의의 전화번호의 발신이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
상기 S1 단계의 판단결과, 임의의 전화번호(+ 82 02 333 3333)의 발신이 요청된 경우, 국가번호 추출부(210)는 기지국으로부터 국가 식별정보(이를테면, 미국 310)를 수신한다(S2).
다음, 국가번호 추출부(210)는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미국 310)를 이용하여 메모리(100)로부터 해당 국가 식별정보(미국 310)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미국 1)와국제 연결번호(이를테면 011)를 추출한다(S3).
다음, 판단 처리부(220)는 상기 S3 단계에 의해 추출된 국가번호(미국 1)와 해당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한국 82)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S4).
상기 S4 단계의 판단결과, 추출된 국가번호(미국 1)와 해당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한국 82)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230)는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에 포함된 국제 연결번호(+) 대신 해당 국제 연결번호(011)가 포함되도록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를 변경한 다(S5).
따라서,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는 상기 S5 단계에 의해 해당 국가(미국)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의 형식인 "011 82 02 333 333"로 변경되었다.
한편, 상기 S4 단계의 판단결과, 추출된 국가번호(이를테면, 한국 82)와 해당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한국 82)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230)는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에 포함된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 식별번호(82)를 삭제한다(S6).
따라서, 해당 전화번호(+ 82 02 333 3333)는 상기 S6 단계에 의해 국내 전화번호 체계의 형식인 02 333 333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230)는 상기 S5 또는 S6 단계에 의해 변경된 전화번호로의 발신 동작을 수행한다(S7).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된 메모리(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와 각 전화번호(이를테면, 02 333 3333)에 상응하는 국가번호(82), 국제 연결번호(001)가 별도의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의 제어부(2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임의의 전화번호(02 333 3333)의 발신이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
상기 S11 단계의 판단결과, 임의의 전화번호(02 333 3333)의 발신이 요청된 경우, 국가번호 추출부(210)는 기지국으로부터 국가 식별정보(이를테면, 미국 310)를 수신한다(S12).
다음, 국가번호 추출부(210)는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100)로부터 해당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미국 1)와 국제 연결번호(011)를 추출한다(S13).
다음, 판단 처리부(220)는 상기 S13 단계에 의해 추출된 국가번호(미국 1)와 해당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한국 82)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S14).
상기 S14 단계의 판단결과, 추출된 국가번호(미국 1)와 해당 전화번호(02 333 3333)에 상응하는 국가번호(한국 82)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전화번호(02 333 3333)의 앞 부분에 해당 추출된 국제 연결번호(011)와 해당 전화번호(02 333 3333)에 상응하는 국가번호(82)를 추가한다(S15).
따라서, 해당 전화번호(02 333 3333)는 상기 S15 단계에 의해 해당 국가(미국)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의 형식인 "011 82 02 333 333"로 변경되었다.
한편, 상기 S14 단계의 판단결과, 추출된 국가번호(이를테면 한국 82)와 해당 전화번호(02 333 3333)에 상응하는 국가번호(한국 82)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전화번호(02 333 3333)는 국내 전화번호 체계와 그 형식이 일치하므로 변경하지 않는다.
따라서, 발신 처리부(240)는 상기 S15 단계에 의해 변경된 전화번호(011 82 02 333 333) 또는 변경되지 않은 전화번호(02 333 3333)로의 발신 동작을 수행한다(S16).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300)가 선택 연결창(310)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국제 연결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의 제어부(2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임의의 전화번호의 발신이 요청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
상기 S21 단계의 판단결과, 임의의 전화번호(이를테면, + 1 555 5555)의 발신이 요청된 경우, 국가번호 추출부(210)는 기지국으로부터 국가 식별정보(이를테면, 한국 450)를 수신한다(S22).
다음, 국가번호 추출부(210)는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100)로부터 해당 국가 식별정보(한국 450)에 상응하는 국가번호(한국 82)를 추출한다(S23).
다음, 판단 처리부(220)는 상기 S23 단계에 의해 추출된 국가번호(한국 82)와 해당 전화번호(+ 1 555 5555)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미국 1)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S24).
상기 S24 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추출된 국가번호(한국 82)와 해당 전화번호(+ 1 555 5555)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미국 1)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230)는 해당 추출된 국가번호(한국 82)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제 연결 번호("001", "002", "00700", "00365")를 메모리(100)로부터 추출하여 선택창(310)에 표시한다(S25).
다음,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230)는 선택창(310)을 통해 임의의 국제 연결번호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6).
상기 S26 단계에 의해 임의의 국제 연결번호(이를테면, 00700)가 선택된 것 으로 판단되면,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230)는 해당 전화번호(+ 1 555 5555)의 국제 연결번호(+) 대신 선택창(310)을 통해 선택된 국제 연결번호(00700)가 포함되도록 해당 전화번호(+ 1 555 5555)를 변경한다(S27).
따라서, 해당 전화번호(+ 1 555 5555)는 상기 S27 단계에 의해 해당 국가(한국)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의 형식인 "00700 1 555 5555"로 변경된다.
상기 S24 단계의 판단결과, 추출된 국가번호(이를테면, 미국 1)와 해당 전화번호(+ 1 555 5555)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미국 1)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230)는 해당 전화번호(+ 1 555 5555)에 포함된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1)를 삭제한다(S28).
따라서, 해당 전화번호(+ 1 555 5555)는 상기 S28 단계에 의해 국내 전화번호 체계의 형식인 "555 5555"로 변경된다.
다음, 발신 처리부(240)는 상기 S27 단계 또는 S28 단계에 의해 변경된 전화번호로의 발신 동작을 수행한다(S29).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국제 연결번호를 사용하여 발신 처리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다수의 국제 연결번호를 추출하여 선택창(310)에 표시하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각 국제 연결번호에 대한 다른 정보를 더 알아보고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각 국제 연결번호에 대한 상세 정보(이를테면, 과금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상세 정보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된 메모리(100)에 각 국제 연결번호에 상응하여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특정 서버에 저장되어 필요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전송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230)는 설정창(320)(도 7에 도시됨)에 사용자가 저렴한 요금의 국제 연결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국제 연결번호와 과금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구현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선택창(3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국제 연결번호 선택을 알려주는 부분(321)과, 다수의 국제 연결번호("001", "002", "00700", "00365") 및 과금정보("100", "120", "130", "70")가 표시된 부분(322)과, 선택버튼(323)과, 취소버튼(3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구현되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따라 전화번호에 자동으로 국제 연결번호 및 국가번호가 자동으로 변경됨으로써, 사용자는 생소한 나라에 가서 그 나라에서 사용되는 국제 연결번호를 정확히 알지 못하여도 원하는 전화통화를 별 어려움없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임의의 전화번호로의 국제통화를 수행하다가 해당 전화번호가 속한 나라에 가서도 동일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국내통화를 할 수 있으며, 임 의의 전화번호로의 국내통화를 수행하다가 타국으로 가더라도 동일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국제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동일한 전화번호로의 전화통화를 국내외에 관계없이 손쉽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다수의 국제 연결번호와 각 국제 연결번호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 화면을 통해 과금 정보를 참고하여 저렴한 국제 연결번호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타국의 생소하고 값비싼 국제 전화요금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국가 식별정보와, 그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와, 그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제 연결번호와, 상기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임의의 전화번호로 발신이 요청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를 비교하여 해당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 또는 국내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변경된 전화번호로 발신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각 전화번호의 앞 부분에 국제 연결번호와 국가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와, 각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 및/또는 국제 연결번호가 별도의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전화번호로 발신이 요청되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추출하는 국가번호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발신 요청된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 또는 국내 전화번호 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처리부와,
    상기 판단 처리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해당 국가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국내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는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와,
    상기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에 의해 변경된 전화번호로의 발신 처리를 수행하는 발신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는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의 변경을 거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는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상기 국가번호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국제 연결번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상기 추출된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변경 처리부는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상기 국가번호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제 연결번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화면창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창을 통해 임의의 국제 연결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상기 선택된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적어도 하나의 국가 식별정보와, 그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와, 그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제 연결번호와, 상기 국가번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의 발신 처리 방법으로,
    임의의 전화번호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기지국으로부터 국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인지 또는 국내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해당 국가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국내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전화번호로 발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화번호에 상기 국가번호와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고,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국가번호와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변경 단계는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제 연결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제 연결번호를 화면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창을 통해 임의의 국제 연결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국제 연결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국가 식별정보와, 그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와, 그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제 연결번호와,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와, 각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으로,
    임의의 전화번호로의 발신이 요청되면 기지국으로부터 국가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국가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국가번호를 추출하여 추출된 국가번 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전화번호인지 또는 국내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가 국제전화번호로 판단되면 해당 국가의 국제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국내전화번호로 판단되면 국내 전화번호 체계에 맞게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전화번호로 발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화번호에 상기 국가번호와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고,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된 국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국가번호와 국제 연결번호가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국가번호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제 연결번호를 추출 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제 연결번호를 화면창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창을 통해 임의의 국제 연결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국제 연결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국가번호가 상기 전화번호에 포함되도록 상기 전화번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KR1020060043491A 2006-05-15 2006-05-1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83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491A KR100839120B1 (ko) 2006-05-15 2006-05-1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491A KR100839120B1 (ko) 2006-05-15 2006-05-1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697A true KR20070110697A (ko) 2007-11-20
KR100839120B1 KR100839120B1 (ko) 2008-06-19

Family

ID=3908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491A KR100839120B1 (ko) 2006-05-15 2006-05-1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1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729B1 (ko) * 2007-10-15 2009-12-14 주식회사 케이티 국제 통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983141B1 (ko) * 2008-03-24 2010-09-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65568B1 (ko) * 2009-06-15 2011-09-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국제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080254A1 (ko) * 2016-10-28 2018-05-03 (주) 비미오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가별 전화번호 체계 분석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전화 연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9750A (ja) * 1999-10-15 2001-04-27 Ntt Docomo Inc 携帯電話機における記憶された電話番号の変更方法、携帯電話機の発信方法、及び携帯電話機
KR100374342B1 (ko) * 2000-06-07 2003-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국가간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전화기의다이얼링 제어 방법
KR20060024263A (ko) * 2004-09-13 2006-03-16 김판선 로밍시 전화번호 자동 변환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729B1 (ko) * 2007-10-15 2009-12-14 주식회사 케이티 국제 통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983141B1 (ko) * 2008-03-24 2010-09-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65568B1 (ko) * 2009-06-15 2011-09-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국제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080254A1 (ko) * 2016-10-28 2018-05-03 (주) 비미오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가별 전화번호 체계 분석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전화 연결 방법
US10819845B2 (en) 2016-10-28 2020-10-27 Vimio Co. Ltd Country-specific telephone number system analysis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and telephone connection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120B1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441B1 (ko) 국제전화 자동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745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국제 전화 오토 다이얼링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28295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KR20110015807A (ko) 휴대단말기의 사업자명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8391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1003642B1 (ko) 로밍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단말의 전화번호부 제공방법과이를 위한 전화번호 등록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KR100983141B1 (ko)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07202A (ko) 음성 메일 시스템 억세스 번호로 무선 전화기를 자동으로프로그래밍하는 방법
JP2005184650A (ja) 携帯電話機
KR20060018358A (ko)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지역의 현지시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40044824A (ko) 접두번호 자동설정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3485B1 (ko)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비동기식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065568B1 (ko) 국제 통화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048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내역 관리 방법
KR1006060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전화번호 자동설정방법
KR20100123329A (ko) 이동통신단말의 사용환경 설정 변경 장치 및 방법
KR20050049909A (ko) 로밍 서비스 방법
KR1014778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국제 및 로컬 전화 오토 다이얼링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113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국제전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방법
KR10080456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독출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69076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국제전화 통화연결방법
JP2005159799A (ja) 携帯端末
KR2009010519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번호접속 아이콘을 이용한전화발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8168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수신 표시 방법 및 그이동 통신 단말기
KR19980077859A (ko) 휴대폰에서 자기 지역번호 자동 다이얼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