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234B1 -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234B1
KR101172234B1 KR1020110058784A KR20110058784A KR101172234B1 KR 101172234 B1 KR101172234 B1 KR 101172234B1 KR 1020110058784 A KR1020110058784 A KR 1020110058784A KR 20110058784 A KR20110058784 A KR 20110058784A KR 101172234 B1 KR101172234 B1 KR 10117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key
ratio
passwor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학
Original Assignee
김승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학 filed Critical 김승학
Priority to KR102011005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02Details
    • H03M11/04Coding of multifunction keys
    • H03M11/06Coding of multifunction keys by operating the multifunction key itself in different ways
    • H03M11/10Coding of multifunction keys by operating the multifunction key itself in different ways by methods based on duration or pressure detection of keystrok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입력한 키 값과 키 입력 순서와 각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 정보를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키 값 및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 정보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키 값의 조합으로만 이루어진 비밀번호에 비해 더욱 향상된 보안성을 제공하며 또한 기존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ersonal Identification Codes based on the Time Ratio between Key Inputs}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입력한 키 값과 키 입력 순서와 각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 정보를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의 ATM 기계, 디지털 도어록 등 키패드를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 방법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는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각 키 값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는 방식으로 관리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0-0016729는 키입력부, 카운터부, 엔코더부(암호화), 디코더부(복호화), 마이컴부로 구성하여, 암호키를 기억하기 쉽고, 높은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잠금수단에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는 장입력/단입력을 이용한 번호키의 암호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선행기술은 키 입력을 장입력과 단입력으로만 구분하며, 각 키 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의 비율을 고려하지 않는다. 시간 간격을 고려할 경우 동일한 키를 동일한 순서로 입력하는 비밀번호에 대해서도 각 키 입력간의 시간 간격 비율에 따라 여러 비밀번호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키패드를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경우 각 키 입력 간에 존재하는 시간을 비율로 계산한 후 입력한 키 값과 키 입력 순서와 함께 조합하여 비밀번호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입력한 키 값과 키 입력 순서와 각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 정보를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 비율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 수단,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 및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 비율을 감지하는 단계, ii)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iii)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기본적은 목적은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 비율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 수단,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 및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수단은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의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을 감지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이 발생 할 경우 입력한 키의 값과 키 입력의 순서와 각 키 입력 간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리 수단은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등록하고 한 개 이상의 비밀번호를 목록으로 저장하여 보관하거나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가 이미 상기 생성 수단이 저장하고 있는 목록에 포함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전기 신호 혹은 전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 비율을 감지하는 단계, ii)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iii)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의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을 감지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에서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이 발생 할 경우 입력한 키의 값과 키 입력의 순서와 각 키 입력 간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ii) 단계에서 생성한 비밀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등록하고 한 개 이상의 비밀번호를 목록으로 저장하여 보관하거나 상기 ii) 단계에서 생성한 비밀번호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전기 신호 혹은 전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계속해서 사용하면서 키 입력 간의 시간 간격 사이에 존재하는 비율을 비밀번호를 관리하는데 적용하여 기존의 키 값의 조합으로만 이루어진 비밀번호에 비해 더욱 향상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101: 입력 감지부
102: 생성부
103: 관리부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계산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키 입력 값과 키 입력 순서와 키 입력 간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키 입력 및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에 따라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예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라 키 입력 및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에 따라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신호로 출력하는 예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의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과 생성부(102)가 생성한 비밀번호의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도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을 특정하여 설명하고자 한 것을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거나 제한 해석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도로 입력 감지부(101), 생성부(102), 관리부(103)로 구성된다.
입력 감지부(101)는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의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을 감지한다.
생성부(102)는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이 발생 할 경우 입력한 키의 값과 키 입력의 순서와 각 키 입력 간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관리부(103)는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등록하고 한 개 이상의 비밀번호를 목록으로 저장하여 보관하거나, 상기 생성부(102)가 생성한 비밀번호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전기 신호 혹은 전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계산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첫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과 두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 즉 첫 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은 기준시간으로 결정된다.
두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과 세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은 "기준시간 X 비율 1"로 결정된다.
마지막 N번째 키 입력과 직전의 (N-1)번째 키 입력 사이의 시간, 즉 N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은 "기준 시간 X 비율 (N-2)"로 결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키 입력 값과 키 입력 순서와 키 입력 간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35680이라는 숫자를 3→5→6→8→0의 순서로 누르고, 각 입력 사이에 "1 : 0.5 : 0.5: 1: 0.5"의 시간 비율이 존재할 경우 "35680 (1 : 0.5 : 0.5 : 1 : 0.5)" 형식으로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키 입력 및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에 따라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예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 401은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의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을 감지하는 과정이다.
단계 402는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이 발생 할 경우 입력한 키의 값과 키 입력의 순서와 각 키 입력 간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단계 403은 생성한 비밀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등록하는 과정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라 키 입력 및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에 따라 비밀번호를 등록하는 예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 501은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의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을 감지하는 과정이다.
단계 502는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이 발생 할 경우 입력한 키의 값과 키 입력의 순서와 각 키 입력 간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단계 503은 생성한 비밀번호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전기 신호 혹은 전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과정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의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과 생성부(102)가 생성한 비밀번호의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에서 n번째 입력부터 (n+1)번째 입력 사이의 시간의 길이, 즉 n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의 기준 시간 X 비율 (n-1)"이고 생성부(102)가 생성한 비밀번호의 n번째 입력부터 (n+1)번째 입력 사이의 시간, 즉 n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의 길이가 "생성부(102)가 생성한 비밀번호의 기준 시간 X 비율(n-1) - α"와 "기준 시간 X 비율(n-1) + β"사이에 존재할 경우,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의 시간 비율과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의 키 입력 시간 비율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는 예이다. 단, α와 β는 각각 "생성부(102)가 생성한 비밀번호의 기준 시간 X 백분율 a" 그리고 "생성부(102)가 생성한 비밀번호의 기준 시간 X 백분율 b"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101: 입력 감지부
102: 생성부
103: 관리부

Claims (14)

  1.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 비율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 수단,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 및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2.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수단은 N번의 키 입력이 있을 경우 첫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과 두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즉 첫 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삼고, 이후 두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과 세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즉 두 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기준 시간 X 비율 1"로, N번의 키 입력이 있을 경우 N-1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과 N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즉 N-1번째 키 입력 시간을 "기준 시간 X 비율(N-2)"로 그리고 마지막 N번째 키 입력시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기준 시간 X 비율 (N-1)"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각 키 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 간의 비율을 "1 : 비율 1 : 비율 2 : . . . : 비율 (N-1)" 방식으로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3.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입력 감지 수단이 감지한 키의 값과 키 입력의 순서와 각 키 입력 간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4.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리 수단은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등록하고 한 개 이상의 비밀번호를 목록으로 저장하여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5.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리 수단은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가 이미 상기 생성 수단이 저장하고 있는 목록에 포함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전기 신호 혹은 전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6. 제 1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리 수단은 이미 상기 생성 수단이 저장하고 있는 목록에 포함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비밀번호와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의 입력 키 값과 키 입력 순서가 동일한지 확인하고,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의 동일성을 확인 할 때 기준 시간은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의 첫 번째 키 입력과 두 번째 키 입력 사이의 시간, 즉 첫 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이고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값 중 n번째 키 입력 시간의 길이가 "기준 시간 X 비율(n-1) - α"와 "기준 시간 X 비율(n-1) + β" 값의 사이에 있을 경우,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의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이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의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7. 상기 6항의 장치에 있어서, 기준 시간은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의 첫 번째 키 입력과 두 번째 키 입력 사이의 시간, 즉 첫 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이고 α와 β는 각각 "기준 시간 X 백분율 a" 그리고 "기준 시간 X 백분율 b"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8. i)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시 입력한 키 값과 키를 입력하는 순서와 각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 비율을 감지하는 단계;
    ii) 키 입력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iii)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방법.
  9. 제 8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에서 N번의 키 입력이 있을 경우 첫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과 두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즉 첫 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삼고, 이후 두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과 세 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즉 두 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기준 시간 X 비율 1"로, (N-1)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과 N번째 키 입력 시작 시점 사이의 시간, 즉 (N-1)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기준 시간 X 비율(N-2)"로 그리고 마지막 N번째 키 입력시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기준 시간 X 비율 (N-1)"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각 키 입력 사이의 시간 간격 간의 비율을 "1 : 비율 1 : 비율 2 : . . . : 비율 (N-1)" 방식으로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방법.
  10. 제 8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에서 한 개 이상의 키 입력이 발생 할 경우 입력한 키의 값과 키 입력의 순서와 각 키 입력 간에 존재하는 시간의 비율을 조합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방법.
  11. 제 8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ii) 단계에서 생성한 비밀번호를 새로운 비밀번호로 등록하고 한 개 이상의 비밀번호를 목록으로 저장하여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방법.
  12. 제 8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ii) 단계에서 생성한 비밀번호가 이미 상기 생성 수단이 저장하고 있는 목록에 포함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전기 신호 혹은 전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방법.
  13. 제 8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ii) 단계에서 생성한 비밀번호와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비밀번호의 입력 키 값과 키 입력 순서가 동일한지 확인하고,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의 동일성을 확인 할 때 기준 시간은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의 첫 번째 키 입력과 두 번째 키 입력 사이의 시간, 즉 첫 번째 키를 누르고 있는 시간이고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값 중 n번째 키 입력 시간의 길이가 "기준 시간 X 비율(n-1) - α"와 "기준 시간 X 비율(n-1) + β" 값의 사이에 있을 경우 이미 등록된 비밀번호의 키 입력 시간 비율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방법.
  14. 제 13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iii) 단계에서 기준 시간은 상기 생성 수단이 생성한 비밀번호의 첫 번째 키 입력과 두 번째 키 입력 사이의 시간이고 α와 β는 각각 "기준 시간 X 백분율 a" 그리고 "기준 시간 X 백분율 b"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방법.
KR1020110058784A 2011-06-17 2011-06-17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7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784A KR101172234B1 (ko) 2011-06-17 2011-06-17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784A KR101172234B1 (ko) 2011-06-17 2011-06-17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234B1 true KR101172234B1 (ko) 2012-08-07

Family

ID=4688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784A KR101172234B1 (ko) 2011-06-17 2011-06-17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2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692B1 (ko) * 2016-01-06 2016-05-09 주식회사 센스톤 보안성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방법
KR101746102B1 (ko) 2016-04-28 2017-06-13 주식회사 센스톤 무결성 및 보안성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4976A (ja) 2005-10-19 2007-05-1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認証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4976A (ja) 2005-10-19 2007-05-1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認証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692B1 (ko) * 2016-01-06 2016-05-09 주식회사 센스톤 보안성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방법
WO2017119548A1 (ko) * 2016-01-06 2017-07-13 주식회사 센스톤 보안성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방법
US9756040B2 (en) 2016-01-06 2017-09-05 SSenSton Inc. User authentication method with enhanced security
KR101746102B1 (ko) 2016-04-28 2017-06-13 주식회사 센스톤 무결성 및 보안성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방법
WO2017188497A1 (ko) * 2016-04-28 2017-11-02 주식회사 센스톤 무결성 및 보안성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37300B (zh) 安全密码设置及验证方式
CN102158488B (zh) 动态口令生成方法及装置、认证方法及系统
JP4086503B2 (ja) 暗号演算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467387A (zh) 基于时间和事件的一次性密码
US86615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assword
KR20070027124A (ko)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CN110517389B (zh) 设备密码的生成、验证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2799833A (zh) 基于按键节奏或按键力度变换的数字加解密方法
KR101172234B1 (ko) 키 입력 간의 시간 비율을 이용한 비밀번호 관리 장치 및 방법
US8756666B1 (en) Generating authentication codes
CN112532374A (zh) 一种检测silc认证加密算法抵御差分故障攻击的方法
CN101610154A (zh) 新型密码加密方法
KR20150096161A (ko)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US20170180345A1 (en) Multi-fact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user credentials and entry timing
US10223519B2 (en) Beat assisted temporal pressure password
CN113672886A (zh) 提示方法和装置
CN108876970A (zh) 一种电子锁设备、用户终端设备以及开锁方法
US10579889B2 (en) Verification with error tolerance for secure product identifiers
KR101289969B1 (ko) 인증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0953716B1 (ko) Crt-rsa 기반의 비트 연산을 이용한 디지털 서명방법, 그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evenaar et al. A reference framework for the privacy assessment of keyless biometric template protection systems
CN108038395A (zh) 一种加密软件的数据输入设备
CN107092817A (zh) 输入信息解析方法及设备、信息输入方法及设备
KR101629495B1 (ko) 원타임 키패드를 이용한 보안 키 입력 시스템 및 방법
JPH0480854A (ja) パスワード管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