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540B1 - 노즐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540B1
KR101171540B1 KR1020100071517A KR20100071517A KR101171540B1 KR 101171540 B1 KR101171540 B1 KR 101171540B1 KR 1020100071517 A KR1020100071517 A KR 1020100071517A KR 20100071517 A KR20100071517 A KR 20100071517A KR 101171540 B1 KR101171540 B1 KR 101171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ealing block
cylinder
uni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025A (ko
Inventor
김태우
조명호
김장환
채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7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5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5/00Testing fuel-injection apparatus, e.g. testing injection timing ; Cleaning of fuel-injection apparatus
    • F02M65/007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 또는 노즐의 세척을 할 수 있는 노즐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는 노즐(N)의 적어도 일부가 밀봉되도록 제공되는 밀봉부(200); 및 상기 노즐(N)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N)의 파손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검사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 또는 노즐의 세척을 할 수 있으며, 노즐의 재생 또는 수리비용을 줄일 수 있고, 노즐이 사용되는 연소실에서의 노즐의 파손에 의해서 발생되는 연소 불균형과, 이에 따른 다른 부품의 조기 마모와 파손 및 이에 이어지는 대형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노즐의 파손에 의해서 발생되는 노즐이 사용되는 가스터빈 발전기 등의 정지를 방지하며 이에 따라 가스터빈 발전기 등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노즐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NOZZLE}
본 발명은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 또는 노즐의 세척을 할 수 있는 노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즐은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노즐은 예컨대, 가스터빈 발전기의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유체의 분사가 필요한 곳이라면 노즐은 어떠한 곳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터빈 발전기의 연소실에 연료를 분사하기 위해서 노즐이 사용되는 경우에, 노즐이 파손되면 연소실에의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연소 불균형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소 불균형에 의해서 가스터빈 발전기의 다른 부품이 조기 마모 또는 파손되거나 이에 의해서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가스터빈 발전기 등이 정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파손된 노즐을 수리하기 위해서 노즐마다 별도로 수작업에 의해서 노즐의 파손 여부를 검사하였다. 따라서, 노즐의 파손 여부의 검사를 위해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즐의 파손 여부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노즐이 파손되지는 않았어도 노즐 내부에 스케일 또는 산화물 등의 이물질이 축적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와는 별도로 노즐의 세척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노즐의 세척은 다른 전문업체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노즐의 재생 또는 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 또는 노즐의 세척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 또는 노즐의 세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노즐의 재생 또는 수리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노즐이 사용되는 연소실에서의 노즐의 파손에 의해서 발생되는 연소 불균형과, 이에 따른 다른 부품의 조기 마모와 파손 및 이에 이어지는 대형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노즐의 파손에 의해서 발생되는 노즐이 사용되는 가스터빈 발전기 등의 정지를 방지하며 이에 따라 가스터빈 발전기 등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노즐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노즐의 세척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는 노즐의 적어도 일부가 밀봉되도록 제공되는 밀봉부; 및 노즐에 연결되고 노즐의 파손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검사부; 를 포함하되, 상기 밀봉부는 베이스; 베이스에 구비되며 노즐이 안착되는 제1노즐안착홈과 이에 대응되는 제2노즐안착홈이 각각 형성된 제1,2밀봉블럭; 및 제1밀봉블럭 또는 제2밀봉블럭에 구비되며 제1밀봉블럭과 제2밀봉블럭이 서로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에 연결되며 노즐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압착수단은 제1밀봉블럭에 구비되며 일측이 제1밀봉블럭에 형성된 제1구멍으로 연장가능한 제1실린더; 및 제2밀봉블럭에 구비되며 일측이 제1구멍에 연결되도록 제2밀봉블럭와 제1밀봉블럭에 형성된 제2구멍으로 연장가능하고 제1실린더와 연계하여 제2밀봉블럭을 제1밀봉블럭에 밀착시키는 제2실린더;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는 베이스에 구비되며 일측은 노즐에 연결되고 타측은 검사부 또는 노즐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척부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베이스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일측은 노즐에 연결되며 타측은 검사부 또는 세척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베이스에 구비되며 연결부재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에 구비되며 일측이 제2고정부재에 형성된 연결구멍을 통해 제1고정부재에 연결되며 연결부재가 노즐(N)에 밀착되도록 하는 연결실린더;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는 제2밀봉블럭이 제1밀봉블럭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베이스와 제1밀봉블럭 및 제2밀봉블럭과 연계되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베이스에 구비되며 랙기어가 형성된 레일부재; 제2밀봉블럭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제2밀봉블럭과 제1밀봉블럭에 형성된 제3구멍으로 연장가능하고 제2밀봉블럭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제3실린더; 제2밀봉블럭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레일부재와 연계되는 제4실린더; 및 연장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며 랙기어에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 기어가 연결된 구동모터;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은 노즐의 중앙부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1분사부와 제1분사부의 주위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며, 제1,2노즐안착홈은 각각 제1분사부에 대응되는 제1안착부와 제2분사부에 대응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고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는 서로 밀폐되며, 검사부는 노즐의 파손 여부를 알기 위해서 노즐에 검사유체를 공급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은 제1분사부에 형성된 유로와 제2분사부에 형성된 유로의 연결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부는 제1안착부에 연결되도록 제1밀봉블럭 또는 제2밀봉블럭에 구비되는 센서; 및 노즐에 연결되며 검사유체를 공급하는 검사유체공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는 노즐의 타측에 연결되며 세척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유체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 또는 노즐의 세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의 재생 또는 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이 사용되는 연소실에서의 노즐의 파손에 의해서 발생되는 연소 불균형과, 이에 따른 다른 부품의 조기 마모와 파손 및 이에 이어지는 대형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의 파손에 의해서 발생되는 노즐이 사용되는 가스터빈 발전기 등의 정지를 방지하며 이에 따라 가스터빈 발전기 등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밀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밀봉부의 압착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밀봉부의 연결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5a와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밀봉부의 회전수단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밀봉부에 노즐의 검사 또는 세척을 위해서 노즐을 밀봉되게 배치하거나 검사 또는 세척한 노즐을 밀봉부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제2밀봉블럭를 회전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과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7은 노즐 검사시를 나타내고 도8은 노즐 세척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노즐 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노즐의 세척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1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밀봉부(200)와, 검사부(300) 및, 세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밀봉부(200)에는 파손 여부가 검사되고 세척될 노즐(N)의 적어도 일부가 밀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밀봉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210)와, 제1밀봉블럭(220), 제2밀봉블럭(230) 및, 압착수단(2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밀봉부(200)의 제1밀봉블럭(220)이나 후술할 연결수단(250) 또는 회전수단(260)에 포함되는 레일부재(26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2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1밀봉블럭(220)이나 연결수단(250) 또는 레일부재(261)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밀봉블럭(220)은 베이스(2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밀봉블럭(220)의 일측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밀봉블럭(22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노즐(N)의 일측이 안착되는 제1노즐안착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밀봉블럭(230)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밀봉블럭(220)의 제1노즐안착홈(221)에 대응되는 제2노즐안착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밀봉블럭(23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밀봉블럭(220)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N)의 적어도 일부가 밀봉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노즐안착홈(221)과 제2노즐안착홈(231) 사이에는 밀봉부재(P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N)의 일측의 밀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압착수단(240)은 제1밀봉블럭(220) 또는 제2밀봉블럭(23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압착수단(240)에 의해서 제1밀봉블럭(220)과 제2밀봉블럭(230)이 서로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 및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압착수단(240)은 제1실린더(241)와, 제2실린더(2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실린더(241)는 제1밀봉블럭(22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린더(241)의 일측, 즉 제1실린더(241)의 로드(R)는 제1밀봉블럭(220)에 형성된 제1구멍(222)으로 연장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1과 도2 및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실린더(242)는 제2밀봉블럭(23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린더(242)의 일측, 즉 제2실린더(242)의 로드(R)는 제1구멍(222)에 연결되도록 제2밀봉블럭(230)과 제1밀봉블럭(220)에 형성된 제2구멍(232)으로 연장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린더(242)는 제1실린더(241)와 연계하여 제2밀봉블럭(230)을 제1밀봉블럭(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즉,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실린더(241)의 로드(R)의 단부에는 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실린더(242)의 로드(R)의 단부에는 제1실린더(241)의 로드(R)의 단부에 구비된 연결구가 끼워지는 연결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241)의 로드(R)와 제2실린더(242)의 로드(R)가 각각 제1구멍(222)과 제2구멍(232)에서 길어지도록 하면, 제1실린더(241)의 로드(R)의 단부에 구비된 연결구와 제2실린더(242)의 로드(R)의 단부에 구비된 연결홈이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린더(241)의 로드(R)의 단부와 제2실린더(242)의 로드(R)의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실린더(242)의 로드(R)가 줄어들도록 하면, 제2실린더(242)가 제2밀봉블럭(230)에 힘을 가하여 제2밀봉블럭(230)을 제1밀봉블럭(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N)의 일측의 밀봉이 더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수단(25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2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수단(250)의 일측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노즐(N)의 타측에 밀봉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수단(250)의 타측은 검사부(300) 또는 세척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수단(250)은 제1고정부재(251)와, 연결부재(252), 제2고정부재(253) 및, 연결실린더(2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고정부재(251)는 베이스(2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252)의 일측은 노즐(N)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252)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급관(323,413)에 의해서 검사부(300) 또는 세척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253)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2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고정부재(253)에는 연결부재(252)의 타측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고정부재(253)는 2개의 부재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제2고정부재(253)의 2개의 부재 사이에 전술한 연결부재(252)의 타측이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 등에 의해서 분리된 제2고정부재(253)의 2개의 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252)의 타측이 제2고정부재(253)에 고정될 수 있다.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실린더(254)는 제2고정부재(253)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실린더(254)의 일측, 즉 연결실린더(254)의 로드(R)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고정부재(253)에 형성된 연결구멍(253a)을 통해 제1고정부재(25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고정부재(253)의 연결구멍(253a)을 통과하여 연장된 연결실린더(254)의 로드(R)는 볼트 등에 의해서 제1고정부재(25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실린더(254)의 로드(R)가 줄어들도록 하면, 연결부재(252)의 일측이 노즐(N)의 타측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수단(250)의 일측이 노즐(N)의 타측에 밀봉연결될 수 있다.
밀봉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수단(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수단(260)은 베이스(210)와 제1밀봉블럭(220) 및 제2밀봉블럭(230)과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수단(260)에 의해서 제2밀봉블럭(230)이 제1밀봉블럭(22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수단(260)은 레일부재(261)와, 제3실린더(262), 제4실린더(263) 및, 구동모터(2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일부재(261)는 베이스(2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부재(261)에는 도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랙기어(G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부재(261)에 의해서 제2밀봉블럭(230)의 회전이 가이드될 수 있다.
제3실린더(262)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밀봉블럭(23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3실린더(262)의 일측, 즉 제3실린더(262)의 로드(R)는 제2밀봉블럭(230)과 제1밀봉블럭(220)에 형성된 제3구멍(233)으로 연장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실린더(262)는 제2밀봉블럭(230)의 회전중심을 이룰 수 있다. 즉, 도5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3실린더(262)의 로드(R)의 단부에는 볼(B)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밀봉블럭(230)이 회전되면, 제3실린더(262)의 로드(R)도 제3구멍(233)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실린더(262)가 제2밀봉블럭(230)의 회전중심을 이룰 수 있다.
도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4실린더(263)는 제2밀봉블럭(230)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재(234)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장부재(234)의 일측에는 제1지지구멍(234a)이 형성되고, 제4실린더(263)는 제1지지구멍(234a)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4실린더(263)의 일측, 즉 제4실린더(263)의로드(R)는 레일부재(261)와 연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4실린더(263)의 로드(R)의 단부에도 볼(B)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4실린더(263)의 로드(R)가 길어지도록 하면, 제4실린더(263)의 로드(R)의 단부에 구비된 볼(B)이 레일부재(261)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밀봉블럭(230)이 레일부재(261)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동모터(264)는 도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장부재(234)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장부재(234)의 타측에는 제2지지구멍(234b)이 형성되고, 구동모터(264)는 제2지지구멍(234b)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264)에는 도5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일부재(261)의 랙기어(G1)에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 기어(G2)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34)의 구동에 의해서 피니언 기어(G2)가 회전되고, 제2밀봉블럭(23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4실린더(263)에 의해서 레일부재(261)를 따라 제3실린더(262)를 중심으로 제1밀봉블럭(22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밀봉블럭(230)이 레일부재(261)를 따라 제1밀봉블럭(220)에 대하여 회전되려면, 제2밀봉블럭(230)이 제1밀봉블럭(220)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되어야 한다.
즉, 도5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린더(262)의 로드(R)가 길어지도록 하면, 제3실린더(262)의 로드(R)의 단부에 구비된 볼(B)에 의해서 제3실린더(262)의 로드(R)가 제1밀봉블럭(220)의 제3구멍(233)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밀봉블럭(230)의 일측이 제1밀봉블럭(220)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5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린더(263)의 로드(R)가 길어지도록 하면, 제4실린더(263)의 로드(R)의 단부에 구비된 볼(B)이 레일부재(261)에 접촉되어 레일부재(261)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밀봉블럭(230)의 타측이 제1밀봉블럭(220)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264)를 구동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261)의 랙기어(G1)에 맞물린 피니언 기어(G2)의 회전에 의해서, 제2밀봉블럭(230)이 제4실린더(263)에 의해서 레일부재(261)를 따라 제3실린더(262)를 중심으로 제1밀봉블럭(22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밀봉부(200)에 밀봉되게 배치되는 노즐(N)의 일측은 노즐(N)의 중앙부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1분사부(S1)와, 제1분사부(S2)의 주위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2분사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노즐안착홈(221)과 제2노즐안착홈(231)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각각 제1분사부(S1)에 대응되는 제1안착부(221a,231a)와 제2분사부(S2)에 대응되는 제2안착부(221b,23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안착부(221a,231a)와 제2안착부(221b,231b)는 서로 밀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안착부(221a,231a)에는 밀봉부재(P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검사부(300)는 노즐(N)의 파손 여부를 알기 위해서 노즐(N)의 타측에 검사유체(T)를 공급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은 제1분사부(S1)에 형성된 유로(S1a)와 제2분사부(S2)에 형성된 유로(S2a)의 연결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노즐(N)의 타측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공급부(S3)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연결공급부(S3)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분사부(S1)의 유로(S1a)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2a)에 각각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노즐(N)이 파손되면, 서로 연결되지 않은 제1분사부(S1)의 유로(S1a)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2a)가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노즐(N)의 일측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되도록 하고, 검사유체(T)를 노즐(N)의 제1분사부(S1)의 유로(S1a)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2a)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한 후, 다른 하나에서도 검사유체(T)가 존재함이 감지되면, 제1분사부(S1)의 유로(S1a)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2a)가 서로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노즐(N)이 파손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노즐의 파손 여부의 검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검사부(3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센서(310)와, 검사유체공급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3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안착부(221a,231a)에 연결되도록 제2밀봉블럭(230) 또는 제1밀봉블럭(2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N)의 제2분사부(S2)의 유로(S2a)에 검사유체(T)를 공급하였을 때, 노즐(N)의 제1분사부(S1)의 유로(S1a)에 검사유체(T)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310)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센서(310)는 압력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검사유체(T)가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검사유체공급부(320)는 노즐(N)의 타측,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N)의 연결공급부(S3)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즐(N)의 타측, 즉 연결공급부(S3)에 검사유체공급부(320)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250)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수단(250)의 연결부재(252)에는 전술한 연결공급부(S3)를 통해 제1분사부(S1)의 유로(S1a)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멍(252a)과, 연결공급부(S3)를 통해 제2분사부(S2)의 유로(S2a)에 연결되는 제2연결구멍(25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구멍(252a)과 제2연결구멍(252b)은 후술할 바와 같이 검사유체공급부(320)의 공급관(32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검사유체공급부(32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검사유체(T)가 저장된 유체탱크(321)와, 유체탱크(321)에 연결되며 유체탱크(321)에 저장된 검사유체(T)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펌프(322), 일측은 공급펌프(322)에 연결되고 타측은 노즐(N)의 타측에 연결된,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즐(N)의 타측에 연결된 연결수단(250)에 연결되는 공급관(323) 및, 공급관(323)에 구비된 밸브(3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검사유체공급부(32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검사유체(T)를 노즐(N)의 타측에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검사유체(T)로는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검사유체(T)는 공기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N)의 파손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유체라면 어떠한 유체라도 가능하다.
세척부(400)도 노즐(N)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N)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검사부(300)와 이러한 세척부(400)에 의해서, 노즐(N)의 파손 여부의 검사와 노즐(N)의 세척을 함께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N)의 재생 또는 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세척부(400)는 세척유체공급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유체공급부(410)는 노즐(N)의 타측, 즉 노즐(N)의 연결공급부(S3)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즐(N)의 타측, 즉 연결공급부(S3)에 세척유체공급부(410)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250)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연결수단(250)의 연결부재(252)의 제1연결구멍(252a)과 제2연결구멍(252b) 각각에 후술할 공급관(413)이 연결될 수 있다.
세척유체공급부(41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세척유체(C)가 저장된 유체탱크(411)와, 유체탱크(411)에 연결되며 유체탱크(411)에 저장된 세척유체(C)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펌프(412), 일측은 공급펌프(412)에 연결되고 타측은 노즐(N)의 타측에 연결된,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즐(N)의 타측에 연결된 연결수단(250)에 연결되는 공급관(413) 및, 공급관(413)에 구비된 밸브(4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세척유체공급부(41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N)을 세척하는 세척유체(C)를 노즐(N)의 타측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세척유체(C)로는 세척약품이나 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세척유체(C)는 세척약품이나 물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N)을 세척할 수 있는 유체라면 어떠한 유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밀봉블럭(220)에는 드레인관(D)이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관(D)의 일측은 제1안착부(221a) 또는 제2안착부(221b)에 연결되고 타측은 유체탱크(321,4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관(D)에 의해서 후술할 바와 같이 노즐(N)을 세척한 세척유체(C)가 유체탱크(321,411)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실린더(241)와, 제2실린더(242), 제3실린더(262), 제4실린더(263) 및, 연결실린더(254)는 이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는 유압공급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린더 들은 복동 실린더일 수 있다.
이하, 도6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200)의 회전수단(260)에 의해서 제2밀봉블럭(230)을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서, 도5a의 (b)와 도5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260)의 제3실린더(262)와 제4실린더(263)의 로드(R)가 길어지도록 하여 제2밀봉블럭(230)을 제1밀봉블럭(220)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수단(260)의 구동모터(264)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64)에 연결되며 레일부재(261)의 랙기어(G1)에 맞물린 피니언 기어(G2)가 회전되고, 제2밀봉블럭(230)이 제3실린더(262)을 중심으로 제4실린더(263)에 의해서 레일부재(261)를 따라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즐(N)의 일측,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노즐(N)의 제1분사부(S1)와 제2분사부(S2)를 제1밀봉블럭(220)의 제1노즐안착홈(221)의 제1안착부(221a)와 제2안착부(221b)에 각각 안착시킨다. 그리고, 구동모터(264)를 구동시키고 피니언 기어(G2)가 회전되도록 하여, 제2밀봉블럭(230)이 전술한 바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후, 회전수단(260)의 제3실린더(262)와 제4실린더(263)의 로드(R)가 줄어들도록 하면, 제2밀봉블럭(230)이 제1밀봉블럭(220)에 포개어지게 된다.
그리고, 압착수단(240)의 제1실린더(241)와 제2실린더(242)의 로드(R)가 각각 길어지도록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단부들이 서로 연결되게 한다. 이후, 제2실린더(242)의 로드(R)가 줄어들도록 하면, 제2밀봉블럭(230)이 제1밀봉블럭(220)에 압착된다. 이에 따라, 노즐(N)의 적어도 일부분이 밀봉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연결실린더(254)의 로드(R)가 줄어들도록 하면, 노즐(N)의 타측, 즉 노즐(N)의 연결공급부(S3)가 연결수단(250)의 연결부재(252)의 일측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연결수단(250)이 노즐(N)의 타측에 밀봉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N)의 파손 여부의 검사를 위해서 검사유체공급부(320)를 통해 제2분사부(S2)의 유로(S2a)에 연결된 연결부재(252)의 제2연결구멍(252b)에 검사유체(T), 예컨대 공기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검사유체(T)가 노즐(N)의 제2분사부(S2)의 유로(S2a)에 유입된다.
한편, 노즐(N)의 제2분사부(S2)의 유로(S2a)와 제1분사부(S1)의 유로(S1a)는 서로 연결되지 않았다. 따라서, 만약 노즐(N)이 파손되지 않았다면, 노즐(N)의 제2분사부(S2)의 유로(S2a)에 유입된 검사유체(T)는 제1분사부(S1)의 유로(S1a)로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즐(N)의 제1분사부(S1)가 안착된 제1노즐안착홈(221)과 제2노즐안착홈(231)의 제1안착부(221a,231a)에 연결된 센서(310)에도 아무런 변화가 없게 된다.
그러나, 노즐(N)이 파손되었다면, 노즐(N)의 제1분사부(S1)의 유로(S1a)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2a)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2분사부(S2)의 유로(S2a)에 공급된 검사유체(T)는 제1분사부(S1)의 유로(S1a)로도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센서(310)에 의해서 감지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노즐(N)의 파손 여부를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N)의 파손 여부의 검사가 끝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세척유체(C)로 세척약품을 세척부(400)의 세척유체공급부(410)를 통해 연결수단(250)의 연결부재(252)의 제1연결구멍(252a)와 제2연결구멍(252b) 모두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세척약품은 노즐(N)의 연결공급부(S3)를 통해 제1분사부(S1)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1a,S2a)에 각각 공급된다. 이 경우, 드레인관(D)에 세척유체(C)인 세척약품이 공급되지 않도록 드레인관(D)은 밸브에 의해서 폐쇄되도록 한다. 또한, 파손된 노즐(N)에 세척유체(C)가 공급되지 않도록 파손된 노즐(N)과 연결된 공급관(413)에 구비된 밸브(414)에 의해서 공급관(413)이 폐쇄되도록 한다. 그리고, 노즐(N)의 제1분사부(S1)와 제2분사부(S2)에 일정시간 동안 세척유체(C)인 세척약품이 존재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분사부(S1) 또는 제2분사부(S2)의 유로(S1a,S2a)에 구비된 스케일 또는 산화물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분사부(S1) 또는 제2분사부(S2)의 유로(S1a,S2a)에 구비된 스케일 또는 산화물을 제거시킨 세척약품인 세척유체(C)는 드레인관(D)을 열어서 세척유체공급부(410)의 세척약품이 저장된 유체탱크(411)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후, 세척유체(C)로 물을 세척부(400)의 세척유체공급부(410)를 통해 연결수단(250)의 연결부재(252)의 제1연결구멍(252a)과 제2연결구멍(252b) 모두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물이 노즐(N)의 연결공급부(S3)를 통해 제1분사부(S1)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1a,S2a)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제1분사부(S1)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1a,S2a)가 세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노즐(N)의 제1분사부(S1)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1a,S2a)를 세척한 물은 드레인관(D)을 열어서 세척유체공급부(410)의 물이 저장된 유체탱크(411)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N)의 제1분사부(S1)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1a,S2a)를 세척한 후 이를 건조시키기 위해서 검사유체공급부(320)를 통해 노즐(N)의 제1분사부(S1)와 제2분사부(S2)에 검사유체인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검사유체공급부(320)를 통해 노즐(N)의 제1분사부(S1)의 유로(S1a)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2a)에 각각 연결된 연결부재(252)의 제1연결구멍(252a)과 제2연결구멍(252b)에 검사유체(T)인 공기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검사유체(T)가 노즐(N)의 제1분사부(S1)의 유로(S1a)와 제2분사부(S2)의 유로(S2a)에 유입되어 유로(S1a,S2a)를 건조시킨다. 그리고, 이후 검사유체인 공기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드레인관(D)에 별도로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검사 또는 세척을 마친 노즐(N)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수단(260)을 사용하여 제2밀봉블럭(230)을 회전시킨 후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즐 처리장치를 사용하면,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노즐의 파손 여부 검사 또는 노즐의 세척을 할 수 있으며, 노즐의 재생 또는 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노즐이 사용되는 연소실에서의 노즐의 파손에 의해서 발생되는 연소 불균형과, 이에 따른 다른 부품의 조기 마모와 파손 및 이에 이어지는 대형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노즐의 파손에 의해서 발생되는 노즐이 사용되는 가스터빈 발전기 등의 정지를 방지하며 이에 따라 가스터빈 발전기 등의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노즐 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노즐 처리장치 200 : 밀봉부
210 : 베이스 220 : 제1밀봉블럭
221 : 제1노즐안착홈 221a,231a : 제1안착부
222 : 제1구멍 221b,231b : 제2안착부
230 : 제2밀봉블럭 231 : 제2노즐안착홈
232 : 제2구멍 233 : 제3구멍
234 : 연장부재 234a : 제1지지구멍
234b : 제2지지구멍 240 : 압착수단
241 : 제1실린더 242 : 제2실린더
250 : 연결수단 251 : 제1고정부재
252 : 연결부재 252a : 제1연결구멍
252b : 제2연결구멍 253 : 제2고정부재
253a : 연결구멍 254 : 연결실린더
260 : 회전수단 261 : 레일부재
262 : 제3실린더 263 : 제4실린더
264 : 구동모터 300 : 검사부
310 : 센서 320 : 검사유체공급부
321,411 : 유체탱크 322,412 : 공급펌프
323,413 : 공급관 324,414 : 밸브
400 : 세척부 410 : 세척유체공급부
N : 노즐 S1 : 제1분사부
S1a, S2a : 유로 S2 : 제2분사부
S3 : 연결공급부 T : 검사유체
C : 세척유체 G1 : 랙기어
G2 : 피니언 기어 D : 드레인관
R : 로드 B : 볼
P1,P2 : 밀봉부재

Claims (11)

  1. 노즐(N)의 적어도 일부가 밀봉되도록 제공되는 밀봉부(200); 및
    상기 노즐(N)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N)의 파손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검사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밀봉부(200)는
    베이스(210);
    상기 베이스(210)에 구비되며 상기 노즐(N)이 안착되는 제1노즐안착홈(221)과 이에 대응되는 제2노즐안착홈(221)이 각각 형성된 제1,2밀봉블럭(220,230); 및
    상기 제1밀봉블럭(220) 또는 제2밀봉블럭(230)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밀봉블럭(220)과 상기 제2밀봉블럭(230)이 서로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수단(2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N)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N)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척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240)은
    상기 제1밀봉블럭(220)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제1밀봉블럭(220)에 형성된 제1구멍(222)으로 연장가능한 제1실린더(241); 및
    상기 제2밀봉블럭(230)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제1구멍(222)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밀봉블럭(230)과 상기 제1밀봉블럭(220)에 형성된 제2구멍(232)으로 연장가능하고 상기 제1실린더(241)와 연계하여 상기 제2밀봉블럭(230)을 상기 제1밀봉블럭(220)에 밀착시키는 제2실린더(2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200)는 상기 베이스(210)에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노즐(N)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검사부(300) 또는 상기 노즐(N)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척부(400)에 연결되는 연결수단(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50)은
    상기 베이스(21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251);
    일측은 상기 노즐(N)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검사부(300) 또는 세척부(40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252);
    상기 베이스(210)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252)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253); 및
    상기 제2고정부재(253)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253)에 형성된 연결구멍(253a)을 통해 상기 제1고정부재(251)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252)가 상기 노즐(N)에 밀착되도록 하는 연결실린더(25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200)는
    상기 제2밀봉블럭(230)이 상기 제1밀봉블럭(220)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210)와 상기 제1밀봉블럭(220) 및 상기 제2밀봉블럭(230)과 연계되는 회전수단(2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260)은
    상기 베이스(210)에 구비되며 랙기어(G1)가 형성된 레일부재(261);
    상기 제2밀봉블럭(2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제2밀봉블럭(230)과 상기 제1밀봉블럭(220)에 형성된 제3구멍(233)으로 연장가능하고 상기 제2밀봉블럭(230)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제3실린더(262);
    상기 제2밀봉블럭(230)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재(234)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재(261)와 연계되는 제4실린더(263); 및
    상기 연장부재(234)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랙기어(G1)에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 기어(G2)가 연결된 구동모터(26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N)은 상기 노즐(N)의 중앙부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1분사부(S1)와 상기 제1분사부(S1)의 주위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제2분사부(S2)를 포함하며,
    상기 제1,2노즐안착홈(221,231)은 각각 상기 제1분사부(S1)에 대응되는 제1안착부(221a,231a)와 상기 제2분사부(S2)에 대응되는 제2안착부(221b,231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착부(221a,231a)와 제2안착부(221b,231b)는 서로 밀폐되며,
    상기 검사부(300)는 상기 노즐(N)의 파손 여부를 알기 위해서 상기 노즐(N)에 검사유체(T)를 공급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분사부(S1)에 형성된 유로(S1a)와 상기 제2분사부(S2)에 형성된 유로(S2a)의 연결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300)는
    상기 제1안착부(221a,231a)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밀봉블럭(220) 또는 제2밀봉블럭(230)에 구비되는 센서(310); 및
    상기 노즐(N)에 연결되며 검사유체(T)를 공급하는 검사유체공급부(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처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400)는
    상기 노즐(N)의 타측에 연결되며 세척유체(C)를 공급하는 세척유체공급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처리장치.
KR1020100071517A 2010-07-23 2010-07-23 노즐 처리장치 KR101171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517A KR101171540B1 (ko) 2010-07-23 2010-07-23 노즐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517A KR101171540B1 (ko) 2010-07-23 2010-07-23 노즐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025A KR20120010025A (ko) 2012-02-02
KR101171540B1 true KR101171540B1 (ko) 2012-08-07

Family

ID=4583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517A KR101171540B1 (ko) 2010-07-23 2010-07-23 노즐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72B1 (ko) * 2013-12-10 2015-01-20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압연공정의 노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6929A (ja) 2006-12-01 2008-06-19 Mitsubishi Heavy Ind Ltd ノズル洗浄装置
KR100904622B1 (ko) 2005-06-10 2009-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먼레일 연료 인젝터 테스트 장치
KR100915861B1 (ko) 2007-11-02 2009-09-07 김영하 커먼레일엔진의 인젝터 및 고압펌프 시험장치
KR200448437Y1 (ko) 2007-12-24 2010-04-09 한국동서발전(주) 가스터빈 연료 노즐 분사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22B1 (ko) 2005-06-10 2009-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먼레일 연료 인젝터 테스트 장치
JP2008136929A (ja) 2006-12-01 2008-06-19 Mitsubishi Heavy Ind Ltd ノズル洗浄装置
KR100915861B1 (ko) 2007-11-02 2009-09-07 김영하 커먼레일엔진의 인젝터 및 고압펌프 시험장치
KR200448437Y1 (ko) 2007-12-24 2010-04-09 한국동서발전(주) 가스터빈 연료 노즐 분사 시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72B1 (ko) * 2013-12-10 2015-01-20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압연공정의 노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025A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5468B2 (ja) 自動機における三動弁と溶剤弁とスプレーガンの洗浄・検出システム
CN104107816B (zh) 一种液压管路清洗泵站
CN104646361B (zh) 船舶管路清洗方法
AU2013214751A1 (en) Filt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JP2011231924A (ja) 油圧回路、それに用いられる止弁、および油圧回路の保守方法
KR20140081063A (ko) 밸브 내구 시험기
KR20110068089A (ko) 피스톤―실린더 방식의 가스터빈엔진 시험용 모래 및 먼지 주입장치
KR101171540B1 (ko) 노즐 처리장치
US90972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filling and checking the leak-tightness of a fuel injector
CN102989711B (zh) 喷油器杂质收集装置
KR101552679B1 (ko) 질소 및 수소를 이용한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배관 세척 장치
KR101628473B1 (ko) 자동차 연료, 오일공급용 파이프 유닛의 기밀검사 및 세척기
CN113134456A (zh) 双组份点胶阀和具有其的注胶机及注胶机的使用方法
JP7035855B2 (ja) 洗車機
CN104033298B (zh) 供油泵总成杂质收集装置
JP2013146664A (ja) 貫通孔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CN215997307U (zh) 双组份点胶阀和具有其的注胶机
KR200406018Y1 (ko) 소방호스 연결밸브와 공기변을 부설한 관 세척 및 점검구
CN104826844A (zh) 一种高压三维水射流清洗油箱装置
KR100903997B1 (ko) 고압기체차단밸브
CN105890846B (zh) 微控储风缸风水压试验台
RU2773893C1 (ru) Испытательный стенд для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испытаний устройств удаления песчаных или проппантных пробок
CN110361188A (zh) 一种旁通阀开启压力及泄露量检验试验台
CN104359624A (zh) 一种旋塞阀试压机
KR101923422B1 (ko) 엔진블럭 크랙검사용 초고압수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