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117B1 - 메시지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117B1
KR101171117B1 KR1020050009088A KR20050009088A KR101171117B1 KR 101171117 B1 KR101171117 B1 KR 101171117B1 KR 1020050009088 A KR1020050009088 A KR 1020050009088A KR 20050009088 A KR20050009088 A KR 20050009088A KR 101171117 B1 KR101171117 B1 KR 101171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torage
period
storage period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256A (ko
Inventor
신혜영
정소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1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8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 F24D11/003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water heating system combined with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7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the system uses solar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2/00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2/02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having more than one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6Solid fuel fired boiler
    • F24D2200/065Wood fired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4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의 여유 공간이 확보될 때 상기 보관 유효기간이 연장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관리방법은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면 상기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버로 상기 메시지의 보관기간 연장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가 요청한 메시지의 보관기간을 연장하고 상기 메시지의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의 저장 공간이 확보되면 상기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MMS(Mutimedia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휴대단말기

Description

메시지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MESSAGE}
도 1은 종래의 MMS 방식에 의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MS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의 메시지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MS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서 많이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종래의 MMS 방식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메 시지를 작성해서 상대방에게 송신을 하면, MMS 서버는 상대방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상대방은 MMS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작성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데 그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MMS 방식에 의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MMS 서버로부터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린다(S100).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크기가 메모리에서 MMS를 위해서 할당된 공간의 여유 공간보다 작은지 확인한다(S110).
확인 결과, 메모리에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이 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MMS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120). 반면에 메모리에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이 부족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은 불가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메모리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정리하라는 요청을 한다(S130).
이와 같이 MMS를 위해서 할당된 공간이 부족하면 사용자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발신도 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정리함으로써 메모리 공간을 확보시킬 수 있다. 그런데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업무상, 개인적으로 중요한 메시지가 있는데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 및 발신하기 위해서 기존의 중요한 메시지들을 삭제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또한, MMS 서버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했는데,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확인하고도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지속적으로 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송신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또한, MMS 서버에 저장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보관 유효기간이 있기 때문에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자가 자신에게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다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유효기간이 경과되면 MMS 서버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삭제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속적인 메모리 저장 공간 부족으로 자신에게 전송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을 하지 못하다가 결국에는 상기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이 경과됨으로써 MMS 서버에서 상기 메시지가 삭제되어 확인을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관리방법은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면 상기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버로 상기 메시지의 보관기간 연장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가 요청한 메시지의 보관기간을 연장하고 상기 메시지의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 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의 저장 공간이 확보되면 상기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MS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도이다.
MMS 서버(200)는 이동통신 단말기들로부터 송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을 송수신부(220)를 통해서 수신해서 MMS 데이터 베이스(data Base, 이하 MMS dB 라함)(21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MMS 서버(200)는 상기 MMS dB(21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들과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메시지를 각각의 목적지 이동통신 단말기들로 상기 송수신부(220)를 통해서 송신한다. 상기 MMS 서버(200)는 상기 MMS dB(21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보관 유효기간을 기본적으로 설정해서 상기 보관 유효기간이 지난 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을 삭제한다.
상기 MMS 서버(200)로부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부(110)를 통해서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부(120)에 MMS를 위한 공간인 MMS부(121)를 할당시켜서 상기 MMS부(121)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MMS부(121)에 새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MMS부(121)에 새로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이 부족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MMS 서버(200)에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과정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보내질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MMS 서버(2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130)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 도착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110)를 통해서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린다(S200).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MMS부(121)의 여유 공간보다 큰지 확인한다(S210). 확인 결과, 상기 MMS부(121)에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30)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110)를 통해서 수신한다(S220).
반면에 상기 MMS부(121)에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할 여유 공간이 부족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저장할 공간이 부족함을 알린다(S230).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MMS 서버(200)에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요청을 할 것인지 사용자로부터 확인한다(S240).
사용자가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요청을 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보관 유효기간 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MMS 서버(200)로 송신한다(S250). 새로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메시지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기반의 포스트(POST) 응답 방식을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요청하는 메시지는 헤더 필드(header field)에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포맷을 따르는 메시지 응용 서비스 식별자 정의 필드 및 사용자 인증 정보 관련 필드가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보관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추가 필드를 상기 요청 메시지에 구현해야 하는데 그 예를 들면, m_reserverdPeriod="yyyymmdd" 와 같다. 또한, 상기 MMS 서버(200)에서는 보관 유효기간이 연장된 메시지를 상기 MMS dB(210)에서 별도의 공간을 할당해 저장하고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보관 유효기간이 연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위치를 참조할 수 있는 위치관련 필드를 상기 요청 메시지에 구현하는데 그 예를 들면, m_currentLocation="server-side-reserved- location"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필드들이 구현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MMS 서버(200)는 상기 보관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추가 필드를 참조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한다. 그리고 상기 MMS 서버(200)는 상기 위치관련 필드를 참조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할 공간을 상기 MMS dB(210)에 별도로 할당한다. 이로써 상기 MMS부(121)의 여유 공간이 없어서 저장을 할 수 없었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은 상기 S250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기간까지 연장된다(S260).
상기 MMS 서버(200)는 상기 S250 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한 후에,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이 정상적으로 연장됐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220)를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상기 확인 메시지는 보관 유효기간이 연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 상기 MMS dB(210)내에 저장된 위치 정보 및 보관 유효기간 연장에 대한 요금 정보가 포함되는데 상기 확인 메시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확인 메시지는 HTTP 기반의 POST 응답방식을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는데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상기 보관 유효기간의 연장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같이 헤더 필드(header field)에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포맷을 따르는 메시지 응용 서비스 식별자 정의 필드 및 사용자 인증 정보 관련 필드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MMS 서버(200)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의 연 장이 완료됐음을 알리는 응답인 "HTTP/1.1 200 OK"를 상기 확인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MMS 서버(200)는 상기 MMS dB(210)의 별도의 할당된 공간에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위치를 알리는 추가 필드를 m_reservedLocation="server-side-reserved-location"과 같이 구현하여 상기 확인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반면에, 상기 MMS 서버(200)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확인 메시지를 통해서 "HTTP/1.1 400 Bad Request"와 같은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이 경우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의 연장이 실패됐으므로 상기 MMS 서버(200)에서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위한 저장 공간을 상기 MMS dB(210)에 할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위치를 알리는 추기 필드는 상기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필드들이 구현된 확인 메시지를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송수신부(110)를 통해서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한다(S270). 상기 S270 단계 이후에 상기 MMS부(121)에 보관 유효기간이 연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면(S280), 사용자는 보관 유효기간이 연장된 메시지의 수신을 요청할 수 있다. 보관 유효기간이 연장된 메시지를 수신하려면 사용자는 상기 S270 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확인 메시지를 조회하여서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을 요청하는 수신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부(110)를 통해서 상기 MMS 서버 (200)로 송신한다(S290).
상기 수신 요청 메시지는 HTTP 기반의 겟(GET) 응답 방식을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는데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 필드(header field)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착신 요청 메시지와 동일한 포맷을 가진다. 다만 GET "Location"에서 location 값은 보관 유효기간이 연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m_reservedLocation 값으로 지정되어 상기 MMS 서버(200)로 송신된다. 이에 따라 상기 MMS 서버(200)는 상기 보관 유효기간이 연장된 메시지를 MMS dB(210)에 별도로 할당된 공간에서 찾아서 상기 송수신부(220)를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S210 단계에서 상기 MMS부(121)의 여유 공간 부족으로 수신 못했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한다(S300).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보관 유효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의 여유 공간이 확보될 때 상기 보관 유효기간이 연장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MMS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장기 보관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종래처럼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보관 유효기간의 만료되어 자동으로 삭제되어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MMS 서버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장기 보관을 제공함으로써, MMS 사업자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메시지 장기 보관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관리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공간이 부족하면 상기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버로 상기 메시지의 보관기간 연장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버에 의해 보관기간이 연장된 상기 메시지의 보관 유효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의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의 저장 공간이 확보되면 상기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보관기간을 입력받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기반의 포스트(POST) 응답 방식을 이용해서 구현된 요청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서버로 메시지의 보관기 간 연장을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 필드(header field)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포맷을 따르는 메시지 응용 서비스 식별자 정의 필드 및 사용자 인증 정보 관련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보관기간을 설정하는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별도로 할당된 공간에서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의 위치를 참조하기 위한 위치관련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는 상기 별도로 할당된 공간에 저장된 위치 정보 및 보관 유효기간 연장에 대한 요금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는 HTTP 기반의 포스트(POST) 응답 방식을 이용해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의 헤더 필드(header field)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포맷을 따르는 메시지 응용 서비스 식별자 정의 필드 및 사용자 인증 정보 관련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에서 요청한 메시지의 보관기간이 연장됐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응답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요청한 메시지의 보관기간이 연장됐으면, 상기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는 상기 별도로 할당된 공간에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의 저장 위치를 알리는 추가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보관기간 연장을 확인시키는 메시지를 조회해서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의 수신을 선택하면, 상기 단말기에서 HTTP 기반의 겟(GET) 응답 방식을 이용해서 구현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의 헤더 필드(header field)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포맷을 따르는 메시지 응용 서비스 식별자 정의 필드 및 사용자 인증 정보 관련 필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별도로 할당된 공간에 상기 보관기간이 연장된 메시지의 저장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09088A 2005-02-01 2005-02-01 메시지 관리 방법 KR101171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088A KR101171117B1 (ko) 2005-02-01 2005-02-01 메시지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088A KR101171117B1 (ko) 2005-02-01 2005-02-01 메시지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256A KR20060088256A (ko) 2006-08-04
KR101171117B1 true KR101171117B1 (ko) 2012-08-03

Family

ID=3717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088A KR101171117B1 (ko) 2005-02-01 2005-02-01 메시지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1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256A (ko) 200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51698B (zh) 事件订阅的方法、装置和系统
US9295104B2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MS messages between terminals and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US10560961B2 (en) Method for processing request through poll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EP2647232B1 (en) Allocating identifiers to communication devices
CA23568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self-provisioning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5512472A5 (ko)
JP2004213653A (ja) 移動端末への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053676A (ja) 優先制御システムおよび優先制御方法
CN100521822C (zh) 传送消息的电信系统和方法、消息源设备
WO2020244435A1 (zh) 用于发送终端策略的方法、装置和系统
JP4368885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再送システム、ショートメッセージ再送方法
KR20060041095A (ko)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에서 중복된 도달 통지 메시지에대한 관리 방법
KR101171117B1 (ko) 메시지 관리 방법
EP0971509A1 (en) Bandwidth reservation
CN106535112B (zh) 一种实现终端接入的方法、装置和系统
US11343664B2 (en) Bluetooth mesh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having control authority sharing mechanism
JP4092696B2 (ja) Ipマルチキャスト配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63026A (ko) 무선단말기에 의해 송수신 되는 문자 메시지를 인터넷을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RU2600542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оптимизации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коротких сообщений
US8850061B2 (en) MMS message transfer method and system
KR20080006225A (ko) 즉시 전송 프리미엄 sms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4260468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メッセージ蓄積装置及びメッセージ蓄積方法
KR100954284B1 (ko) 외부 연동 장비별로 독립된 재전송 규칙을 적용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4027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063637B1 (ko)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스케줄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