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106B1 -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106B1
KR101171106B1 KR1020100074284A KR20100074284A KR101171106B1 KR 101171106 B1 KR101171106 B1 KR 101171106B1 KR 1020100074284 A KR1020100074284 A KR 1020100074284A KR 20100074284 A KR20100074284 A KR 20100074284A KR 101171106 B1 KR101171106 B1 KR 101171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coupled
slide
bloc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245A (ko
Inventor
강명수
윤완노
김준성
박상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7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1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2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electronic orientation or focusing, e.g. with phased 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5Supports, positioning or alignment in moving sit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9Various geometry objects
    • G01N2291/2693Rotor or turbin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은, 프로브의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브 위치제어모듈로서, 본체링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링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링의 반경반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브를 홀딩하는 홀더(holder)를 포함함으로써, 검사위치가 협소하여 프로브를 이동시키는데 따른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사람 손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POSITION CONTROL MODULE FOR PROBE AND ULTRASONIC TES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터빈은 압축기, 연소기, 터빈 등으로 구성되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가 연소기 내에서 연료와 혼합되어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을 하게 된다.
가스터빈은 빈번한 기동정지(起動停止) 및 가혹한 운전으로 인하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압축기로터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는, 가스터빈 설비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며,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예방정비 시 체결볼트의 결함 존재 여부를 초음파검사로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초음파검사 시 위치제어모듈 없이 손으로 이동시키면서 검사를 수행하여 왔는데, 이러한 검사방법은 검사위치가 협소한 경우 탐촉자를 이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정확한 신호 취득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음파검사 시 탐촉자를 지지하는 위치제어모듈을 부착하여 일정한 방향과 간격으로 이동하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초음파 검사장치의 개발 및 적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검사위치가 협소한 경우에도 프로브를 이동시키며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한 신호 취득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로브의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브 위치제어모듈로서, 본체링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링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링의 반경반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브를 홀딩하는 홀더(holder)를 포함하는 위치제어모듈이 제공된다.
위치제어모듈은, 회전링의 외주면을 따라 래크(rack)가 형성되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pinion) 기어; 및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제어모듈은, 회전링과 본체링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는, 일단부가 회전링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하부패널; 및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하부패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상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는, 슬라이딩된 상부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슬라이드에 결합되는 제1 블락; 및 제1 블락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프로브를 홀딩하는 제2 블락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제1 블락과 제2 블락 사이에 개재되는 볼 슬라이드; 및 양단이 제1 블락과 제2 블락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제어모듈은, 본체에 결합되는 다리부; 및 다리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는, 다리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 및 관통홀을 통하여 본체에 다리부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링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링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링의 반경반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상기 슬라이드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브를 홀딩하는 홀더; 및 상기 초음파 프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초음파 검사장치는, 회전링의 외주면을 따라 래크(rack)가 형성되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pinion) 기어; 및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검사장치는, 회전링과 본체링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는, 일단부가 회전링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하부패널; 및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하부패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상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는, 슬라이딩된 상부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슬라이드에 결합되는 제1 블락; 및 제1 블락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초음파 프로브를 홀딩하는 제2 블락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는, 제1 블락과 제2 블락 사이에 개재되는 볼 슬라이드; 및 양단이 제1 블락와 제2 블락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검사장치는, 본체에 결합되는 다리부; 및 다리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는, 다리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 및 관통홀을 통하여 본체에 다리부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를 손으로 이동시키는 대신 프로브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모듈을 구현함으로써, 검사위치가 협소하여 프로브를 이동시키는데 따른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사람 손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은 압축기로터 체결볼트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프로브가 검사대상체인 체결볼트의 헤드부(머리 부분)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의 슬라이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검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에 관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압축기로터 체결볼트의 형상 및 체결 상태에 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압축기로터 체결볼트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프로브가 검사대상체인 체결볼트의 헤드부(머리 부분)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가스터빈은 압축기, 연소기, 터빈 등으로 구성되는데, 압축기와 터빈은 1개의 축에 같이 설치된다. 가스터빈의 압축기로터 체결볼트(1)는 압축기 2단과 3단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12개가 설치되는데, 볼트(1) 전체의 길이는 약 3,200mm이고, 볼트(1)의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체결볼트(1)는 응력 등에 의한 결함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체결볼트(1)의 결함 존재 여부를 초음파검사로 탐측하게 된다.
참고로, 초음파검사는 주파수 0.2 ㎒ 이상의 초음파를 피검사체에 입사시켜 반사되어 돌아온 신호의 위치와 음압 세기를 평가하여 건전성을 평가하는 비파괴검사법이다. 이때, 시험하려는 물체에 초음파를 보내어 그 통로에 결함이 있으면 반사가 일어난다. 이 반사하여 오는 초음파가 프로브로 되돌아오는 시간은 결함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강도 역시 결함의 크기 및 혼입된 물질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 반사하여 오는 초음파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조사함으로써 결함의 유무 및 위치와 크기를 알 수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1)의 손상은 체결응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숄더부(3)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7°, 30°, 45° 등의 경사각을 가진 프로브를 사용하여 초음파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바닥면이 평평한 플랫형 프로브에 원하는 경사각을 가진 쐐기(wedge)를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숄더부의 미소결함에 대하여 결함 검출이 가능하다.
이에 더불어, 체결볼트(1) 몸체의 균열 발생 여부를 검사할 경우, 경사각 쐐기를 제거한 플랫형 프로브를 사용하여 초음파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압축기로터 체결볼트(1)에 대한 초음파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초음파 프로브를 체결볼트(1)의 머리 부분에 위치시키고,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괘적을 유지하여 초음파 프로브를 회전시켜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의 슬라이드의 일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10)은, 프로브(50)의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브 위치제어모듈로서, 본체링(14)을 포함하는 본체(12); 상기 본체링(1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16); 상기 회전링(16)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링(14)의 반경반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18); 및 상기 슬라이드(18)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브(50)를 홀딩하는 홀더(holder, 20)를 포함한다.
본체(12)는, 가운데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본체링(14)이 본체(12)의 상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12)는 정사각형 형태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그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체(12)는 본체링(14)에 상응하여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회전링(16)은, 본체링(1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링(16)의 내측으로 본체링(14)이 삽입되며, 본체링(14)에 대해 회전링(16)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링(16)에는 후술할 슬라이드(18)가 결합되어 회전링(16)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18)에 결합된 프로브(50)를 원형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22)은, 회전링(16)과 본체링(14) 사이에 개재되며, 회전링(1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본체링(14)에 대해 회전링(16)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22)은 볼베어링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그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베어링(22)으로는 롤러베어링 등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회전링(16)의 회전을 위해 회전링(16)의 외주면을 따라 래크(rack, 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10)은, 상기 래크(70)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 72); 및 상기 피니언 기어(7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74)는, 회전링(16)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74)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8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한편, 검사하고자 하는 검사대상체의 주위 공간이 협소한 경우, 위치제어모듈(10)에서 구동부(74)를 탈착한 후, 검사를 실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슬라이드(18)는, 회전링(16)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본체링(14)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18)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링(16)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는 하부패널(24);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패널(24)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상부패널(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패널(24)에 대해 상부패널(26)을 본체링(14)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프로브(50)를 본체링(14)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링(16)과 슬라이드(18)를 이용하여 프로브(50)를 회전시키거나 반경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킴으로써, 피측정대상물을 다양한 위치에서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18)는,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부패널(26)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수단(28)으로서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프로브(50)가 결합된 상부패널(26)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위치가 고정되도록 고정수단(28)을 이용하여 상부패널(26)을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18)가 도브테일 슬라이드(dovetail slide) 형태를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볼스크류(ball screw), 리니어 테이블 슬라이드(linear table slid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홀더(20)는, 슬라이드(18)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프로브(50)를 홀딩하는 역할을 한다. 홀더(20)는, 상기 슬라이드(18)에 결합되는 제1 블락(40); 및 상기 제1 블락(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로브(50)를 홀딩하는 제2 블락(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블락(40)은, 상부패널(26)의 단부에 결합되며, 제1 블락(40)에 대해 제2 블락(42)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블락(40)은, 직사각형의 패널 형상을 가지며, 후술할 볼 슬라이드(44)가 결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락(4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슬릿(slit)이 제1 블락(40)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널(26)에 대해 제1 블락(40)의 높이를 맞추고 상기 슬릿을 통하여 볼트로 제1 블락(40)을 상부패널(26)의 단부에 고정한다.
제2 블락(42)은, 프로브(50)을 홀딩할 수 있도록 제2 블락(42)의 하단부가 둘로 갈라진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블락(42)의 하단부에는 둘로 갈라지며 L자형으로 절곡된 한 쌍의 고정부(48)가 형성되며, 한 쌍의 고정부(48) 사이에 프로브(50)가 배치되어 볼트로 프로브(50)를 고정부(48)에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20)는, 상기 제1 블락(40)과 상기 제2 블락(42) 사이에 개재되는 볼 슬라이드(44); 및 상기 제1 블락(40)와 상기 제2 블락(42)에 연결되는 탄성부재(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볼 슬라이드(44)는, 프로브(50) 부착 또는 탈착 시 상기 제2 블락(42)을 피측정대상물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로브(50)의 탈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볼 슬라이드(44)는, 제1 패널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제2 패널과, 원활히 슬라이딩되도록 두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볼로 구성된다. 제1 패널은 제1 블락(40)과 결합되고, 제2 패널은 제2 블락(42)에 결합되어 제1 블락(40)에 대하여 제2 블락(42)이 슬라이딩된다.
탄성부재(46)는, 프로브(50) 탈부착 시 제2 블락(42)을 위로 잡아 당길 때 제2 블락(42)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46)는, 프로브(50)가 피측정대상물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2 블락(42)을 아래로 잡아 당기는 역할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46)로 인장스프링이 사용된 형태를 제시한다.
인장스프링(46)의 일단부는 제1 블락(4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블락(42)의 상부에 결합된다.
한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10)은, 본체(12)에 결합되는 다리부(60); 및 상기 다리부(6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자석(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석(62)이 구비된 다리부(60)는, 압축기로터와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피측적대상물의 표면에 상기 위치제어모듈(10)를 부착할 수 있도록 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자석으로는 전자석, 스위치 자석, 영구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을 사용한 형태를 제시한다.
또한, 다리부(60)는, 상기 다리부(60)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64); 및 상기 관통홀(64)을 통하여 상기 본체(12)에 상기 다리부(60)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6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리부(60)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홀(64)이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에 맞는 관통홀(64)을 통하여 나사(66)를 죄어 다리부(60)를 본체(12)에 고정함으로써 다리부(6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제어모듈(10)은, 프로브(50)를 손으로 이동시키는 대신 이를 홀딩하는 위치제어모듈을 구현함으로써, 검사위치가 협소하여 프로브(50)를 이동시키는데 따른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사람 손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위치제어모듈(1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위치제어모듈(10)을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검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초음파 검사장치(100)는 위치제어모듈(10), 구동부(74) 및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검사장치(100)는, 프로브(50)의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브 위치제어모듈(10)을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로서, 본체링(14)을 포함하는 본체(12), 상기 본체링(1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16), 상기 본체링(14)의 중심에서 반경반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링(16)에 일단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드(18), 및 상기 슬라이드(18)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브(50)를 홀딩하는 홀더(20)를 포함하는 위치제어모듈; 및 상기 프로브(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프로브(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평가하고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위치제어모듈(10)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상응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 제어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80)는, 프로브(50) 및 구동부(74)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입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프로브(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평가하며, 회전링(16)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부(74)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검사장치(100)는, 초음파검사 시 프로브(50)를 손으로 이동시키는 대신 이를 홀딩하는 위치제어모듈(10)을 구현함으로써, 검사위치가 협소하여 프로브(50)를 이동시키는데 따른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사람 손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 : 체결볼트 3 : 숄더부
10 : 위치제어모듈 12 : 본체
14 : 본체링 16 : 회전링
18 : 슬라이드 20 : 홀더
22 : 베어링 24 : 하부 패널
26 : 상부 패널 28 : 고정수단
40 : 제1 블락 42 : 제2 블락
44 : 볼 슬라이드 46 : 탄성부재
48 : 고정부 50 : 프로브
60 : 다리부 62 : 자석
64 : 관통홀 66 : 나사
70 : 래크 72 : 피니언 기어
74 : 구동부 80 : 제어부
100 : 초음파 검사장치

Claims (18)

  1. 프로브의 위치를 제어하는 프로브 위치제어모듈로서,
    본체링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링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링의 반경반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브를 홀딩하는 홀더(holder)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슬라이드에 결합되는 제1 블락;
    상기 제1 블락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로브를 홀딩하는 제2 블락;
    상기 제1 블락과 상기 제2 블락 사이에 개재되는 볼 슬라이드; 및
    양단이 상기 제1 블락과 상기 제2 블락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위치제어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의 외주면을 따라 래크(rack)가 형성되며,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pinion)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제어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과 상기 본체링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회전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위치제어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링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하부패널;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패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슬라이딩된 상기 상부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모듈.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위치제어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다리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다리부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모듈.
  10. 본체링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링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본체링의 반경반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상기 슬라이드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프로브를 홀딩하는 홀더; 및
    상기 프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프로브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슬라이드에 결합되는 제1 블락;
    상기 제1 블락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로브를 홀딩하는 제2 블락;
    상기 제1 블락과 상기 제2 블락 사이에 개재되는 볼 슬라이드; 및
    양단이 상기 제1 블락과 상기 제2 블락에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의 외주면을 따라 래크(rack)가 형성되며,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pinion)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과 상기 본체링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회전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링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하부패널;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패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슬라이딩된 상기 상부패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다리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다리부를 나사 결합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KR1020100074284A 2010-07-30 2010-07-30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KR101171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284A KR101171106B1 (ko) 2010-07-30 2010-07-30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284A KR101171106B1 (ko) 2010-07-30 2010-07-30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245A KR20120012245A (ko) 2012-02-09
KR101171106B1 true KR101171106B1 (ko) 2012-08-03

Family

ID=4583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284A KR101171106B1 (ko) 2010-07-30 2010-07-30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8294B (zh) * 2013-11-05 2015-09-02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用于轮对超声波探伤的探头移动位置控制装置及使用方法
KR101975876B1 (ko) * 2018-12-19 2019-05-07 이기태 위상배열초음파 비파괴검사용 자동 스캐너 장치
CN110243933A (zh) * 2019-04-19 2019-09-17 武汉理工大学 一种用于大型环件的检测装置及环件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9765A (ja) 1985-08-15 1987-02-20 Toshiba Corp 自動超音波深傷装置
JPH1183817A (ja) 1997-09-03 1999-03-26 Toshiba Corp 管溶接部検査装置および超音波探傷方法
KR100805738B1 (ko) 2006-11-17 2008-02-21 (주)온디맨드소프트 초음파 진단장치의 스캔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9765A (ja) 1985-08-15 1987-02-20 Toshiba Corp 自動超音波深傷装置
JPH1183817A (ja) 1997-09-03 1999-03-26 Toshiba Corp 管溶接部検査装置および超音波探傷方法
KR100805738B1 (ko) 2006-11-17 2008-02-21 (주)온디맨드소프트 초음파 진단장치의 스캔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245A (ko)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39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a component
US76541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itu inspection of rotary machine components
CN104535653B (zh) 一种孔类零件内孔缺陷相控阵超声检测装置
KR20160092909A (ko) 터빈 로터 핑거 도브테일의 초음파 검사장치
CN105334237B (zh) 可用同步辐射光源进行原位成像的疲劳试验机及试验方法
CN103760240B (zh) 一种法兰缺陷自动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171106B1 (ko) 프로브 위치제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장치
JP2009186446A (ja) タービンロータ翼溝部の探傷方法及び装置
JP5451980B2 (ja) 自動較正を備えた非破壊検査用の渦電流を用いた方法および装置
KR100901964B1 (ko) 블레이드루트 자동초음파탐상용 웨지세트
CN209542519U (zh) 多功能高精度的超声扫查成像装置
KR101408466B1 (ko) 원자로 스터드 자동 초음파검사 장치 및 방법
KR20070013007A (ko) 다관절 로봇을 이용한 발전소의 증기터빈 자동 초음파검사장치 및 방법
US7093491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ed turbine component inspections
KR101637479B1 (ko) 압력용기 카테고리 디 조인트 용접부 인사이드 전용 위상배열 초음파 검사장치와 그 방법
KR20150055156A (ko) 가스터빈 로터 디스크의 비파괴 검사장치
CN112415094A (zh) 一种压气机动叶片背弧面叶根超声检测专用工装及方法
KR100567662B1 (ko) 발전소의 터빈 블레이드 뿌리 비파괴검사 장치
CN109856240A (zh) 多功能高精度的超声扫查成像装置
KR20120041574A (ko) 터빈로터의 블레이드 테논부 비파괴 초음파 검사장치
KR20160063466A (ko) 휴대용 시험기 고정장치
WO20090946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on of gas turbine discs
CN201548523U (zh) 气阀涡流探伤装置
CN205541971U (zh) 一种反应堆压力容器法兰螺纹孔自动超声检查工具
JP2023077632A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