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959B1 -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959B1
KR101170959B1 KR1020110142234A KR20110142234A KR101170959B1 KR 101170959 B1 KR101170959 B1 KR 101170959B1 KR 1020110142234 A KR1020110142234 A KR 1020110142234A KR 20110142234 A KR20110142234 A KR 20110142234A KR 101170959 B1 KR101170959 B1 KR 10117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mesh
wood
ba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송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송
Priority to KR1020110142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 강도가 높으면서 다양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에 따르면, 우드스톤(A)의 망태(10)의 내부공간은 후측의 석재저장부(11)와 전방의 토사저장부(12)로 나뉘어지며, 상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은 하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의 토사저장부(12)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각 우드스톤(A)의 망태(10)의 내부공간 전방에 채워진 토사(2)의 상면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토사(2)에 의해 다양한 식물(3)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 매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망태(10)의 내부공간이 석재저장부(11)와 토사저장부(12)로 나뉘어지므로, 망태(10)에 석재(1)만을 채운 우드스톤(A)에 비해 무게가 가벼우며, 흙만을 채운 우드스톤(A)에 비해 강도가 높을 뿐 아니라, 석재저장부(11)에 저장된 석재(1)에 의해 우드스톤(A)의 형태가 정확히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자중에 의해 우드스톤(A)의 구조물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 및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ECO-FRIENDLY WOOD STONE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구조적 강도가 높으면서 다양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개지나 옹벽 또는 하천 양측의 제방 등에 설치되는 소위 돌망태는 금속재의 와이어를 주머니형태로 엮어 구성된 망태의 내부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석재를 채워 구성된 것으로, 절개지나 옹벽 또는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돌망태는 절개지나 옹벽 또는 제방 등의 면에 계단식으로 적층되도록 시공된다. 그런데, 이러한 돌망태는 망태기의 내부에 돌을 채워 구성되므로, 매우 무거워서 자중에 의해 돌망태의 구조물이 붕괴될 수 있을 분 아니라,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등록특허 20-0481090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망태기에 흙을 채우고 망태의 전면에 식생매트를 고정하는 돌망태가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이 구성된 돌망태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없을 뿐 아니라, 빗물이나 강물에 의해 흙이 쓸려나가게 되어, 시간이 흐르면 돌망태의 형태가 무너져 빈번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이러한 돌망태는 시간이 지나면 내부에 채워진 돌이나 흙의 무게에 의해 망태가 변형되게 되는데 망태의 변형정도를 육안으로 대충 확인할 수밖에 없으므로, 정확한 유지 보수의 타이밍을 놓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적 강도가 높으면서 다양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개지나 옹벽 또는 하천 양측의 제방 등에 우드스톤(A)을 계단 형태로 적층하여 구성된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우드스톤(A)은 금속와이어를 주머니형태로 엮어서 제작되며 내부에 석재(1) 및 토사(2)가 채워지는 망태(10)와, 상기 망태(10)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고정와이어(21)에 의해 망태(10)의 전면에 고정되는 나무재질의 전면패널(20)을 포함하며, 상기 석재(1)는 망태(10)의 내부공간 후측의 석재저장부(11)에 채워지고 상기 토사(2)는 망태(10)의 내부공간 전방의 토사저장부(12)에 채워지며, 상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은 하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의 토사저장부(12)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각 우드스톤(A)의 망태(10)의 내부공간 전방에 채워진 토사(2)의 상면이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망태(10)의 내부에는 금속와이어를 엮어 구성되며 둘레면이 상기 망태(10)에 고정되어 망태(10)의 내부공간을 상기 석재저장부(11)와 토사저장부(12)를 나누는 구획망체(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망태(10)의 전면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재(22)가 구비되며, 상기 전면패널(20)을 고정하는 고정와이어(21)는 중간부가 상기 전면패널(20)의 전면에 고정되고 후단이 상기 지지부재(2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탄성이 있는 철근으로 구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석재저장부(11)에 채워진 석재(1)중의 하나를 관통하도록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전면패널(20)을 관통하도록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바(30)와, 상기 고정바(30)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고정바(30)를 지지하는 지지바(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30)의 중간부에는 고정바(30)를 상기 지지바(40)의 지름에 비해 내경이 큰 원형을 이루도록 벤딩하여 구성된 탄성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40)는 상기 탄성부(31)의 중간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석재저장부(11)의 내부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망태(10)의 정면 상단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바(51)와, 상기 연장바(5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표시블록(50)과, 상기 표시블록(50)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조여 표시블록(5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나사(53)로 구성된 인디케이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에 따르면, 우드스톤(A)의 망태(10)의 내부공간은 후측의 석재저장부(11)와 전방의 토사저장부(12)로 나뉘어지며, 상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은 하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의 토사저장부(12)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각 우드스톤(A)의 망태(10)의 내부공간 전방에 채워진 토사(2)의 상면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토사(2)에 의해 다양한 식물(3)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 매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망태(10)의 내부공간이 석재저장부(11)와 토사저장부(12)로 나뉘어지므로, 망태(10)에 석재(1)만을 채운 우드스톤(A)에 비해 무게가 가벼우며, 흙만을 채운 우드스톤(A)에 비해 강도가 높을 뿐 아니라, 석재저장부(11)에 저장된 석재(1)에 의해 우드스톤(A)의 형태가 정확히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자중에 의해 우드스톤(A)의 구조물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 및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에 따른 우드스톤을 도시한 측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에 따른 우드스톤을 도시한 평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드스톤을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드스톤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절개지나 옹벽 또는 하천 양측의 제방 등에 우드스톤(A)을 계단 형태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우드스톤(A)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와이어를 주머니형태로 엮어서 제작되며 내부에 석재(1) 및 토사(2)가 채워지는 망태(10)와, 상기 망태(10)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고정와이어(21)에 의해 망태(10)의 전면에 고정되는 나무재질의 전면패널(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망태(10)의 내부에는 망태(10)의 내부공간을 전방의 후방의 석재저장부(11)와 전방의 토사저장부(12)로 구획되어, 상기 후측의 석재저장부(11)에는 상기 석재(1)가 채워지고, 전방의 토사저장부(12)에는 토사(2)가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석재저장부(11)와 토사저장부(12)는 상기 망태(10)의 내부에 구비된 구획망체(13)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구획망체(13)는 상기 망태(10)와 같이 금속와이어를 넓은 시트형상으로 엮어 구성된 것으로, 둘레면이 상기 망태(1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망태(10)의 내부공간을 구획한다.
상기 전면패널(20)은 통나무를 지름방향으로 절단하여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망태(10)의 전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20)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망태(10)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조금 길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와이어(21)는 중간부가 상기 전면패널(20)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고정된 것으로, 양단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망태(10)에 고정된 지지부재(22)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바(40)는 길이가 긴 봉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망태(10)의 전면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와이어(21)의 양단을 상기 지지부재(22)에 묶어 전면패널(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우드스톤(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이 하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의 토사저장부(12)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각 우드스톤(A)의 망태(10)의 토사저장부(12)에 채워진 토사(2)의 상면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시공된다.
이와 같은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에 따르면, 각 우드스톤(A)의 망태(10)의 내부공간은 후측의 석재저장부(11)와 전방의 토사저장부(12)로 나뉘어지며, 상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은 하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의 토사저장부(12)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각 우드스톤(A)의 망태(10)의 내부공간 전방에 채워진 토사(2)의 상면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토사(2)에 의해 다양한 식물(3)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 매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망태(10)의 내부공간이 석재저장부(11)와 토사저장부(12)로 나뉘어지므로, 망태(10)에 석재(1)만을 채운 우드스톤(A)에 비해 무게가 가벼우며, 흙만을 채운 우드스톤(A)에 비해 강도가 높을 뿐 아니라, 석재저장부(11)에 저장된 석재(1)에 의해 우드스톤(A)의 형태가 정확히 유지될 수 있으므로, 자중에 의해 우드스톤(A)의 구조물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 및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망태(10)의 전면에는 목재의 전면패널(20)이 고정되므로, 우드스톤(A)을 시공하면, 각 우드스톤(A)에 구비된 전면패널(20)의 측면이 상호 연결되어, 측방향으로 긴 벽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토사저장부(12)의 전면이 상기 전면패널(20)에 의해 막혀 빗물이나 강물에 의해 쓸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망태(10)의 내부에는 망태(10)의 내부공간을 석재저장부(11)와 토사저장부(12)로 나누는 구획부재(13)가 구비되므로, 석재저장부(11)와 토사저장부(12)에 석재(1)와 토사(2)를 효과적으로 나누어 채워 넣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면패널(20)은 복수개의 고정바(30)에 의해 상기 석재저장부(11)에 저장된 석재(1)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바(30)에는 지지바(4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바(30)는 탄성이 있는 철근으로 구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석재저장부(11)에 채워진 석재(1)중의 하나를 관통하도록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전면패널(20)을 관통하도록 고정된 것으로,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바(30)의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석재(1)와 전면패널(20)에 형성된 관통공(1a,23)에 끼워진 상태로 너트(32)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30)의 중간부에는 고정바(30)를 상기 지지바(40)의 지름에 비해 내경이 큰 원형을 이루도록 벤딩하여 구성된 탄성부(31)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31)는 상기 고정바(30)의 후단부에 근접되도록 형성되어 탄성부(31)가 상기 석재저장부(1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40)는 강도가 높은 금속바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탄성부(31)의 중간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석재저장부(11)의 내부에 매입되어, 석재저장부(11)의 내부에 담겨진 석재(1)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망태(10)에는 망태(10)의 변형량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50)가 구비된다. 상기 인디케이터(50)는 상기 망태(10)의 정면 상단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바(51)와, 상기 연장바(5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표시블록(50)과, 상기 표시블록(50)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조여 표시블록(5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나사(5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바(51)는 상기 망태(10)의 정면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바(51)가 망태(10)에 채워진 석재(1)와 토사(2)의 상면에 놓여지도록 하고, 각 우드스톤(A)의 토사저장부(12)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다수개의 우드스톤(A)을 시공한 후, 하측에 배치된 우드스톤(A)에 구비된 인디케이터(50)의 표시블록(50)이 상부에 배치된 우드스톤(A)의 하단 전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53)를 조여 표시블록(5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므로써, 인디케이터(50)의 세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전면패널(20)이 고정바(30)에 의해 상기 석재저장부(11)에 저장된 석재(1)에 고정되므로, 전면패널(20)의 고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면패널(20)이 우드스톤(A)의 전면을 지지하여, 시공된 우드스톤(A)의 망태(10) 전면이 전방으로 밀려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30)의 중간부에는 고정바(30)를 상기 지지바(40)의 지름에 비해 내경이 큰 원형을 이루도록 벤딩하여 구성된 탄성부(31)가 구비되므로, 고정바(3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도 7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31)재가 변형되어 하중을 흡수함으로써, 고정바(30)가 전단되거나, 고정바(30)와 전면패널(20)의 고정부가 손상되어 고정바(30)가 빠지게 되거나, 고정바(30)에 고정된 석재(1)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석재저장부(11)에 저장된 석재(1)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고정바(30)의 탄성부(31)를 관통하도록 지지바(40)가 결합되어, 우드스톤(A)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고정바(30)가 과도하게 당겨질 경우, 고정바(30)의 탄성부(31)가 지지바(40)에 걸려 추가적으로 지지되므로, 전면패널(2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우드스톤(A)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탄성부(31)는 상기 지지바(40)의 지름에 의해 내경이 큰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므로, 지지패널(20)에 상기 고정바(30)의 선단부가 당겨질 경우, 초기에는 상기 탄성부(31)가 변형되면서 하중을 흡수하다가, 지지패널(2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질 경우, 탄성부(31)가 지지바(40)의 둘레부를 조이면서 지지바(40)에 걸리게 되므로, 지지패널(20)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여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망태(10)의 상면 상단 중앙부에는 인디케이터(50)가 구비되어, 우드스톤(A)의 하중에 의해 하측에 배치된 우드스톤(A)의 망태(10)가 변형될 경우, 도 7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바(51)와 함께 표시블록(50)이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상측에 배치된 망태(10)의 하단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망태(10)가 전방으로 늘어난 양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우드스톤(A)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각 우드스톤(A)의 망태(10)의 변형정도를 확인하여, 우드스톤(A)을 효과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의 사시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은 중간분리망인 구획망체(13)에 의해서 석재저장부(11)와 토사저장부(12)로 구획되어지는데, 상기 석재저장부(11)에는 사석이 채워지는 것이 선호되며 상기 토사저장부(12)에는 토사 및 유용토로 채워지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전면패널(20)에는 목재가 부착되어지는데, 이때 철선으로 상기 목재를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토사저장부에는 토사유출 방지 및 식생활착을 위하여 필터매트 및 야자섬유 등을 철망에 감싼 이후에 토사를 채우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친환경 우드스톤의 기초 저면속에는 직경 15cm 내지 20cm의 큰돌이 설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토사저장부(12)에는 식생매트(야자섬유) 또는 토목섬유등으로 토사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재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10 : 망태 20 : 전면패널
30 : 고정바 40 : 지지바
50 : 인디케이터

Claims (5)

  1. 절개지나 옹벽 또는 하천 양측의 제방 등에 우드스톤(A)을 계단 형태로 적층하여 구성된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우드스톤(A)은 금속와이어를 주머니형태로 엮어서 제작되며 내부에 석재(1) 및 토사(2)가 채워지는 망태(10)와, 상기 망태(10)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고정와이어(21)에 의해 망태(10)의 전면에 고정되는 나무재질의 전면패널(20)을 포함하며, 상기 석재(1)는 망태(10)의 내부공간 후측의 석재저장부(11)에 채워지고 상기 토사(2)는 망태(10)의 내부공간 전방의 토사저장부(12)에 채워지며, 상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은 하측에 적층되는 우드스톤(A)의 토사저장부(12)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각 우드스톤(A)의 망태(10)의 내부공간 전방에 채워진 토사(2)의 상면이 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우드스톤(A)은, 탄성이 있는 철근으로 구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석재저장부(11)에 채워진 석재(1)중의 하나를 관통하도록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전면패널(20)을 관통하도록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바(30)와, 상기 고정바(30)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고정바(30)를 지지하는 지지바(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30)의 중간부에는 고정바(30)를 상기 지지바(40)의 지름에 비해 내경이 큰 원형을 이루도록 벤딩하여 구성된 탄성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40)는 상기 탄성부(31)의 중간부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석재저장부(11)의 내부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태(10)의 내부에는 금속와이어를 엮어 구성되며 둘레면이 상기 망태(10)에 고정되어 망태(10)의 내부공간을 상기 석재저장부(11)와 토사저장부(12)를 나누는 구획망체(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태(10)의 전면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재(22)가 구비되며, 상기 전면패널(20)을 고정하는 고정와이어(21)는 중간부가 상기 전면패널(20)의 전면에 고정되고 후단이 상기 지지부재(2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태(10)의 정면 상단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바(51)와, 상기 연장바(5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표시블록(50)과, 상기 표시블록(50)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조여 표시블록(5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나사(53)로 구성된 인디케이터(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5. 삭제
KR1020110142234A 2011-12-26 2011-12-26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KR101170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234A KR101170959B1 (ko) 2011-12-26 2011-12-26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234A KR101170959B1 (ko) 2011-12-26 2011-12-26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959B1 true KR101170959B1 (ko) 2012-08-03

Family

ID=4688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234A KR101170959B1 (ko) 2011-12-26 2011-12-26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9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794B1 (ko) * 2015-04-20 2015-11-06 주식회사 본이앤씨 세로 라운드형 개비온 박스 구조체, 개비온 박스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10117966A (zh) * 2019-05-16 2019-08-13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土工袋堆叠固定的挡土墙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794B1 (ko) * 2015-04-20 2015-11-06 주식회사 본이앤씨 세로 라운드형 개비온 박스 구조체, 개비온 박스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N110117966A (zh) * 2019-05-16 2019-08-13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土工袋堆叠固定的挡土墙结构
CN110117966B (zh) * 2019-05-16 2024-05-07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土工袋堆叠固定的挡土墙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8250B2 (ja) 擁壁の連結構造
CN201080611Y (zh) 用于岩质边坡的立体绿化构架
KR101591812B1 (ko) 그리드 보강재와 강봉이 설치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KR101170959B1 (ko) 친환경 우드스톤 및 그 시공구조
RU188394U1 (ru) Усил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габионов
KR101525404B1 (ko)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
KR20100047485A (ko)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KR100889257B1 (ko)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JP2016020577A (ja) 蛇篭用連結装置
KR100765494B1 (ko) 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ES2254070T3 (es) Procedimiento para formar una capa exterior para plantar vegetacion en un talud de tierra.
KR101352858B1 (ko) 옹벽블록용 저항체
JP2011137370A (ja) 擁壁盛土構造体
JP6668051B2 (ja) 竹製土留構造体
JP5065346B2 (ja) 補強土盛土の構造と構築方法
RU188706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габионов
EP3577280A1 (en) Retaining wall with reinforced soil
KR101209659B1 (ko) 에코 식생 옹벽
RU1855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маломассивной подпорной стенки на основе габионов
KR20090112448A (ko) 식생용 목재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틀
CN221029946U (zh) 一种消落区格构锚支护结构
CN211571739U (zh) 一种玄武岩纤维编织物梯田田埂
KR101028616B1 (ko) 법면 보호망
GB2419368A (en) Retaining wall
RU98427U1 (ru) Габио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