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767B1 -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 Google Patents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767B1
KR101170767B1 KR1020120036358A KR20120036358A KR101170767B1 KR 101170767 B1 KR101170767 B1 KR 101170767B1 KR 1020120036358 A KR1020120036358 A KR 1020120036358A KR 20120036358 A KR20120036358 A KR 20120036358A KR 101170767 B1 KR101170767 B1 KR 10117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base block
reservoir
flow rat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세
정병락
Original Assignee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2003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유량에 따라 물을 담수함과 동시에 담수를 통해 하천의 유속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바닥에 시공되는 베이스 블록(111)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안치홀(133)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110); 상기 안치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에서 기립되어 하천의 물을 저수하며, 저수되는 물이 통과하도록 물 배출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저수판 부재(121, 123, 125)와, 상기 복수의 저수판 부재가 연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저수판 부재의 축면에 연결되는 연결링크 부재(127)를 구비하는 유속 저감부(120); 및 상기 베이스 블록에 결합되는 지지틀 부재(131)와, 연결와이어(133)를 통해 상기 지지틀 부재와 상기 저수판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저수판 부재(125)를 연결하도록 상기 저수판 부재에 결합되는 연결축 부재(135)와, 상기 연결와이어를 권취하도록 상기 지지틀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권취축 부재(137)를 구비하는 저수판 작동부(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Equipment for Flow Velocity Decrease of River}
본 발명은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유량에 따라 물을 담수함과 동시에 담수를 통해 하천의 유속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전세계적으로 물 부족이 가시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수자원 관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안정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토의 70% 이상이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강이 좁고 짧으며 경사가 심하여 강과 하천의 유속이 빠른 지역이 많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기후는 1년 가우량 중 대부분이 여름철에 집중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여름철에는 수량이 풍부하지만 봄, 가을, 겨울철에는 심각한 물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따른 치수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치수방법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효과적인 치수관리를 위하여 여울, 소, 늪 등 다양한 형태의 치수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국토의 지형에 따라 유속이 빠른 하천이 많아 이에 대한 관리도 함께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유속이 빠른 하천에는 유속을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 및 시설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유속저감용 시설물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6403호의 "하천바닥 중앙에 설치되어 유속저감이 되는 어류보호구조물"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유속저감용 시설물은 하천의 유량에 따라 물을 전혀 저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이 물 밖으로 노출되어 어류의 피난처와 산란처를 전혀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하천의 유량에 따라 물을 담수함과 동시에 담수를 통해 하천의 유속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의 바닥에 시공되는 베이스 블록(111)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안치홀(133)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110); 상기 안치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에서 기립되어 하천의 물을 저수하며, 저수되는 물이 통과하도록 물 배출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저수판 부재(121, 123, 125)와, 상기 복수의 저수판 부재가 연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저수판 부재의 축면에 연결되는 연결링크 부재(127)를 구비하는 유속 저감부(120); 및 상기 베이스 블록에 결합되는 지지틀 부재(131)와, 연결와이어(133)를 통해 상기 지지틀 부재와 상기 저수판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저수판 부재(125)를 연결하도록 상기 저수판 부재에 결합되는 연결축 부재(135)와, 상기 연결와이어를 권취하도록 상기 지지틀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권취축 부재(137)를 구비하는 저수판 작동부(130)를 포함하는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블록에 상기 연결링크 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안치홀의 양측에 링크 삽입홀(117)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판 부재가 고정핀을 통해 상기 베이스 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수판 부재의 상단부에 연결핀 부재가 결합되어 연결링크 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에 의하면,하천의 유량에 따라 물을 담수하여 하천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있을 뿐만 아니라, 담수를 통해 하천의 유속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100)은 하천 바닥에 시공되는 베이스 부재(110), 이 베이스 부재(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속 저감부(120) 및 이 유속 저감부(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저수판 작동부(13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10)는 하천의 바닥에 시공되는 베이스 블록(111)과, 이 베이스 블록(111)의 상면에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안치홀(133)을 구비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110)는 유속 저감부(120)가 안치홀(133)의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되어 유속 저감부(120)가 베이스 블록(111)에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폭우시 유속 저감부(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110)는 유속 저감부(120)의 연결링크 부재(127)가 삽입되도록 안치홀(133)의 양측에 링크 삽입홀(117)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110)는 강우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베이스 블록(111)이 하천의 바닥에 콘크리트의 타설을 통해 형성된다.
그리고 안치홀(133)에는 고정핀(115)을 통해 유속 저감부(1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핀 삽입홀(113a)이 형성된다.
유속 저감부(120)는 베이스 블록(111)의 각각의 안치홀(13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저수판 부재(121, 123, 125)와, 이 복수의 저수판 부재(121, 123, 125)가 연동하도록 저수판 부재(121, 123, 125)를 연결하는 연결링크 부재(127)를 포함한다.
저수판 부재(121, 123, 125)는 베이스 블록(111)에서 회전되며, 기립을 통해 하천의 물을 저수한다. 이러한, 저수판 부재(121, 123, 125)는 저수되는 물이 통과하도록 물 배출홀(121a, 123a, 125a)이 각각 형성되며, 물 배출홀(121a, 123a, 125a)이 상호 벗어 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저수되는 물의 흐름을 저하시키기 위함이다. 더하여 물 배출홀(121a, 123a, 125a)은 저수판 부재(121, 123, 125)가 물에 완전하게 침수되었을 때 어류의 이동 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저수판 부재(121, 123, 125)는 하단부에 고정핀(115)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홀(121b, 123b, 125b)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부에 연결링크 부재(127)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핀 부재(121c, 123c, 125c)가 각각 결합된다.
연결링크 부재(127)는 저수판 부재(121, 123, 125)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일단이 어느 하나의 저수판 부재(121, 123, 125)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저수판 부재(121, 123, 125)에 연결된다.
한편, 저수판 부재(121, 123, 125) 중 가장 후단부에 위치하는 저수판 부재(125)는 저수판 작동부(130)를 연결하도록 상단부 중앙부에 함몰부(125d)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유속 저감부(120)는 저수판 작동부(130)와 연결되는 최 후단의 저수판 부재(125)가 기립 또는 베이스 블록(111)측으로 회전하면 연결링크 부재(127)를 통해 이웃하는 다른 저수판 부재(121, 123)가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의 저수판 부재(121, 123, 125)는 베이스 블록(111)에서의 기립을 통해 하천의 유속을 저감시킴은 물론 하천을 흐르는 물을 저수하게 된다.
저수판 작동부(130)는 베이스 블록(111)에 결합되는 지지틀 부재(131)와 연결와이어(133)를 통해 지지틀 부재(131)와 저수판 부재(125)를 연결하도록 저수판 부재(125)에 결합되는 연결축 부재(135)와 연결와이어(133)를 권취하도록 지지틀 부재(1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권취축 부재(137)를 구비한다.
지지틀 부재(131)는 콘크리트의 타설을 통해 베이스 블록(111)의 상면에 결합되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틀 부재(131)의 수평부재 중앙부에는 와이어 권취축 부재(13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139)이 마련된다.
연결축 부재(135)는 저수판 부재(125)의 함몰부(125d)에 결합되며, 연결와이어(133)의 일단부가 결속 또는 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와이어 권취축 부재(137)는 연결와이어(133)의 타단이 결속 또는 용접을 통해 결합되며, 일단에 작동손잡이(137a)가 결합된다. 이러한, 와이어 권취축 부재(137)는 브래킷(139)에 설치되는 래치(도시생략)를 통해 일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이러한, 저수판 작동부(130)는 상기 래치의 구속을 통해 저수판 부재(121, 123, 125)의 기립되는 정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저수판 작동부(130)는 상기 래치의 구속이 해지되면 저수판 부재(121, 123, 125)의 무게로 인하여 연결 와이어(133)가 풀리면서 저수판 부재(121, 123, 125)를 베이스 블록(111)측으로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유속 저감시설 110 : 베이스 부재
111 : 베이스 블록 113 : 안치홀
120 : 유속 저감부 121, 123, 125 : 저수판 부재
127 : 연결링크 부재 130 : 저수판 작동부
131 : 지지틀 부재 133 : 연결와이어
137 : 권취축 부재

Claims (2)

  1. 하천의 바닥에 시공되는 베이스 블록(111)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안치홀(133)을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110);
    상기 안치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에서 기립되어 하천의 물을 저수하며, 저수되는 물이 통과하도록 물 배출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저수판 부재(121, 123, 125)와, 상기 복수의 저수판 부재가 연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저수판 부재의 축면에 연결되는 연결링크 부재(127)를 구비하는 유속 저감부(120); 및
    상기 베이스 블록에 결합되는 지지틀 부재(131)와, 연결와이어(133)를 통해 상기 지지틀 부재와 상기 저수판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저수판 부재(125)를 연결하도록 상기 저수판 부재에 결합되는 연결축 부재(135)와, 상기 연결와이어를 권취하도록 상기 지지틀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권취축 부재(137)를 구비하는 저수판 작동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은 상기 연결링크 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안치홀의 양측에 링크 삽입홀(117)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판 부재는 고정핀을 통해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 블록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에 연결링크 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핀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KR1020120036358A 2012-04-06 2012-04-06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KR101170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358A KR101170767B1 (ko) 2012-04-06 2012-04-06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358A KR101170767B1 (ko) 2012-04-06 2012-04-06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767B1 true KR101170767B1 (ko) 2012-08-02

Family

ID=4688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358A KR101170767B1 (ko) 2012-04-06 2012-04-06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128B1 (ko) 2013-06-28 2013-12-18 주식회사 옥토기술단 생태 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719B1 (ko) 2006-05-25 2006-08-17 주식회사 동호 곡류하천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침식방지 구조물
KR100659300B1 (ko) 2006-05-27 2006-12-20 주식회사 동호 하천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속저감 생태블럭
KR101119972B1 (ko) 2009-06-10 2012-02-22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친환경 어도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719B1 (ko) 2006-05-25 2006-08-17 주식회사 동호 곡류하천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침식방지 구조물
KR100659300B1 (ko) 2006-05-27 2006-12-20 주식회사 동호 하천 바닥면에 설치되는 유속저감 생태블럭
KR101119972B1 (ko) 2009-06-10 2012-02-22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친환경 어도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128B1 (ko) 2013-06-28 2013-12-18 주식회사 옥토기술단 생태 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59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인공 여울 시공방법
KR101170767B1 (ko) 생태하천의 유속 저감시설
US10280578B2 (en) Fiber block system
KR101187736B1 (ko) 식생용 블록의 결속구조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00064452A (ko) 다수개 연결형 인공어초
JP5816420B2 (ja) 擁壁構築用貯水ブロック
KR20050097291A (ko) 옹벽 블록 시공 방법
CN211816313U (zh) 一种高填方永久路基边坡防护结构
CN209353367U (zh) 上跨现役公路门洞支架立柱基础
KR20120003971U (ko) 조립식 옹벽블록
KR200378431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671032B1 (ko) 식생형 호안블록과 호안구조물
CN113026460B (zh) 一种高含水率泥炭土地基装配式加固装置
CN209052957U (zh) 一种具有防下沉功能的路面结构
KR200339465Y1 (ko) 식생용 시스템 축조 블록
KR101262630B1 (ko) 다중 고정식 앵커블록
KR200405581Y1 (ko) 호안 블록 및 호안 블록 조립체
CN210529626U (zh) 生态砌块以及生态挡土墙
KR100663257B1 (ko) 옹벽용 블록
KR20130060389A (ko) 마이크로 개비온 사방댐
CN206888001U (zh) 一种组合式挡土墙
KR101318884B1 (ko) 호안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호안 보호공법
CN206752651U (zh) 一种雨水收集箱及雨水收集系统
CN214530705U (zh) 一种钢管桩锚与放坡协同支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