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424B1 - 굴삭기의 돌집게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돌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424B1
KR101170424B1 KR1020110093517A KR20110093517A KR101170424B1 KR 101170424 B1 KR101170424 B1 KR 101170424B1 KR 1020110093517 A KR1020110093517 A KR 1020110093517A KR 20110093517 A KR20110093517 A KR 20110093517A KR 101170424 B1 KR101170424 B1 KR 101170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excavator
coupling
pin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수
Original Assignee
윤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길수 filed Critical 윤길수
Priority to KR102011009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with several digging elements or tools mounted on on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의 붐에 장착되어 강토 등을 옮기는 돌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레버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붐대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붐대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부재와, 상기 레버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집게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연결부는 상기 레버링크의 제1회전축부에 구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집게부재의 제2회전축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 또는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어이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돌집게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굴삭기의 돌집게{Stone gripper for the excavator}
본 고안은 굴삭기의 붐에 장착되어 강토 등을 옮기는 돌집게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의 붐에는 필요에 따라 토사를 퍼 올리기 위한 버켓, 지면이나 암석을 파쇄하기 위한 브레이커,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파쇄하기 위한 크라샤 등이 교체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중 암석을 운반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이 돌집게이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80182호(2005.08.11)에 게시된 바와 같이, 돌집게는 고리 형상이며 붐에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몸체부재와, 몸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집게부재로 이루어진다. 집게부재는 몸체부재에 구비된 유압식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돌집게는 무거운 돌을 집어 올리기에 적합한 것이지만, 일반적인 토굴 작업에는 사용 불가능한 것이다. 즉, 토굴 작업시 가끔 발견되는 돌을 집어내기 위하여 버켓에서 돌집게로 어태치먼트를 교환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것이다.
다른 종래의 기술은 버켓과 돌집게의 기능을 접목한 것이다. 버켓의 단면 형상은 원래 돌집게의 몸체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집게부재를 버켓에 더 장착한 것이다. 이러한 하이브리드형 어태치먼트의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6149호(2008.10.3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2635호(2009.03.17) 등이 있다. 버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집게부재는 집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버켓 자체가 붐에 대하여 회전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자유도의 제한이 존재하며, 버켓 자체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돌의 운반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면서 토굴작업이 함께 수행되는 경우에는 그 활용 가치가 높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 집게부재를 버켓이 아닌 붐대에 연결하는 구성이,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787호(2010.08.02), [특허문헌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1412호(2009.11.11)에 게시되어 있다.
위 특허문헌들에서 집게부재는 버켓이 아닌 붐(boom)에 거치됨에 따라 버켓의 하중을 증대시키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버켓만을 활용한 토굴 작업 시에 버켓과 붐 연결부분의 피로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집게 부재에 의한 버켓 작동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 여건이 개선된다.
그러나 특허문헌들에서 제시하는 기술에 따르면 집게부재의 회전이 다른 종래의 기술과 같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루어지지 못하기에 구조적 강도가 낮은 단점이 있게 된다. 돌집게로 들어올리는 돌의 하중은 몇 톤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돌을 수 회 집어 올리는 경우에 기어의 변형이 쉽게 발생되고,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집게부재를 포함한 링크결합구 자체를 완전 분리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787호(2010.08.02) [특허문헌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1412호(2009.11.11)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켓에 의한 토굴작업과 집게에 의한 돌의 운반이 가능케 하면서, 집게부재의 힌지 결합부분의 신속한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케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모나 변형에 의한 일부 구성요소를 작업 현장에서 바로 교체 가능케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레버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붐대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붐대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부재와, 상기 레버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집게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연결부는 상기 레버링크의 제1회전축부에 구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집게부재의 제2회전축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 또는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어이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돌집게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제1기어는 상기 레버링크의 제1회전축부에 구비되며, 원호면을 가지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양측에서 상기 원호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격된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서로 대항되는 위치의 삽입홀들에 양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핀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기어핀의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핀은 원통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집게부재의 제2회전축부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함몰되게 복수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 방향에 따라 일측이 개구된 슬라이딩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들과, 상기 집게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핀들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핀의 삽입부에는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서 단면적이 증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상기 경사부와 지지부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켓에 의한 토굴작업과 집게에 의한 돌의 운반작업이 손쉽게 전환 가능하고, 집게부재의 힌지 결합부분의 신속한 유지 보수 관리가 가능하여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돌집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돌집게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채용된 제1기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기어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제1기어와 제2기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제2기어를 분해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2기어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돌집게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돌집게가 붐(boom)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돌집게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붐대(5)의 끝단에는 버켓(10)이 장착되어 있다. 이 버켓을 대체하여 공지된 다양한 어태치먼트가 장착될 수 있다. 붐대(5)에 대하여 버켓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링크들과 액추에이터(A)가 장착되어 있다. 이하, 붐대의 하단부에 연결된 링크를 레버링크(4)라 한다. 이러한 레버링크(4)를 포함한 링크들 및 액추에이터(A)의 구조는 공지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다.
본 발명은 버켓(10)과 연동하는 레버링크(4)의 회전에 따라 붐대(5)에 힌지 결합된 집게부재(3)를 회전시키는 동력연결부(100)를 포함한다. 즉, 동력연결부(100)는 레버링크(4)의 회전을 집게부재(3)에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연결부(100)는 레버링크(4)의 제1회전축부(41)에 구비되는 제1기어(1)와,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33)에 구비되는 제1기어(1)와 맞물리는 제2기어(2)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1기어(1)와 제2기어(2)가 맞물림에 따라 버켓(10)의 끝단이 굴삭기의 외측으로 들리게 회전되면 집게부재(3)는 버켓(10)과 벌어지게 회전하고, 반대로 버켓(10)의 끝단이 굴삭기를 향하도록 회전되면 집게부재(3)는 버켓(10)에 가깝게 회전된다. 이로써 돌이나 나무 등 대상물을 버켓과 집게부재로 집어낼 수 있게 된다.
동력연결부(100)는 버켓(10)과 집게부재(3)로 돌 등을 견고하게 잡을 때 충격을 받게 된다. 즉, 버켓와 집게부재가 돌을 잡는 과정 중에서 돌 등의 대상물이 버켓과 집게부재가 놓치지 아니하도록 통상 필요치 이상으로 버켓과 집게부재를 조이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제1기어(1)나 제2기어(2)에서 맞물리는 기어이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반복된 돌집게의 사용에 의해 충격이 누적되어 결국 기어이를 상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손상된 기어이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제1기어(1) 또는 상기 제2기어(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어이의 교체가 가능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제1기어(1)와 제2기어(2) 모두에서 기어이의 교체가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1)에서만 기어이를 교체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제2기어에서만 기어이를 교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레버링크(4)와 대응되는 높이에서 붐대(5)에는 힌지부재(51)가 장착되어 있다. 힌지부재(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힌지 결합을 위한 판재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집게부재(3)는 서로 이격된 세로판들(31)과, 세로판들(31)을 잇는 가로판(32)을 포함한다. 또한, 각 세로판(31)의 일단부에는 제2힌지축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핀(52)은 각 세로판(31)에 형성된 제2힌지축부(33)와 힌지부재(51)를 통과하게 결합되고, 그에 따라 집게부재(3)는 붐대(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각 제2힌지축부에서 노출되는 힌지핀을 가리기 위하여 마감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마감부(22)는 집게부재의 제2힌지축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마개로 도시되어 있다. 마감부는 노출된 힌지핀을 가려 먼지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한 것이다.
한편 가로판(32)에는 고정볼트(34)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붐대(5)에는 집게부재(3)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볼트(34)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체결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나사체결부(53)는 붐대(5)에 고정되는 너트일 수 있다.
집게부재(3)가 붐대(5)에 접하도록 회전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34)와 나사체결부(53)가 서로 나사 결합되어 집게부재(3)를 붐대(5)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양 세로판은 붐대의 양측에 대어지고, 가로판은 나사체결부가 형성된 붐대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집게부재(3)가 붐대(5)에 접하는 경우에, 제1기어(1)와 제2기어(2)의 물림 결합이 해제되도록, 제2기어(2)에는 일부 기어이가 생략되어 있다. 즉, 집게부재가 붐대에 접하도록 회전되는 각도에서 제2기어에는 제1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이가 구비되지 아니한 것이다. 이로써, 집게부재를 붐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버켓만으로 토굴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집게부재(3)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버켓(10)이 굴삭기 본체(도시 생략)를 향하도록 붐대를 기울인 상태에서 고정볼트(34)와 나사체결부(53)의 고정을 해제시키고, 붐대(5)를 기울여 자중에 의해 집게부재(3)가 회전되며 제1기어(1)에 제2기어(2)가 맞물리도록 한다. 이로써 제1기어(1)와 제2기어(2)가 체결되며 버켓(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집게부재(3)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4와 도 5는 제1기어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레버링크(4)에 구비되는 제1기어(1)는 연장부(11), 한 쌍의 결합부(12) 및 기어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복수의 기어핀(13)을 포함한다.
연장부(11)는 레버링크(4)의 제1회전축부(41)에 결합되어 있으며, 그 외면은 레버링크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111)으로 형성된다. 이때, 원호면(111)의 단면은, 집게부재(3)의 회전 반경을 고려하여 반원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결합부(12)는 연장부(11)의 양측 각각에서 원호면(111)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결합부(12)의 외주면은 레버링크(4)의 제1회전축부(41)과 동심을 이루는 원호에 따라 형성된다. 각 결합부(12)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원호에 따라 복수의 삽입홀(121)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기어핀(13)은 양 결합부(12)에 대향되게 형성된 각기의 삽입홀(121)에 양단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기어핀(13)과 결합부(12)의 결합은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일례로 이들의 결합은 끼움 결합이나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키홈과 키에 의한 결합 등 홀에 접하는 핀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삽입홀들에 결합된 복수의 기어핀(13)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됨에 따라 제1기어의 기어이가 된다.
나아가, 기어핀(13)은 원통 형상이다. 그에 따라 삽입홀(121)도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기어핀(13)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2기어(2)의 기어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기어핀(13) 전체로 고르게 분산 수용할 수 있게 되어, 기어핀(13)의 파손율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도 기어핀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하여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장부(11)에는 기어핀(13)의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홈(112)이 형성된다. 수용홈(112)은 기어핀(13)의 일부분을 수용함에 따라 기어핀(13)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결합부뿐만 아니라 연장부(11)로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1기어의 구조적 강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수용홈과 기어핀의 접촉에 의하여 기어핀의 이탈 빠짐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은 집게부재에 결합되는 제2기어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제2기어(2)는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33) 둘레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홈(331)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핀(21) 및 결합핀(21)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부(22)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결합핀(21)은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의 둘레에서 일부가 돌출됨에 따라 제2기어(2)의 기어이로 사용된다. 또한, 이들 결합핀(21)은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33)에서 분리 가능한 것이다.
먼저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33)는 힌지핀(도 2의 52 참고)가 수용되는 원통체 형상을 갖는다. 각 슬라이딩홈(331)은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33)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각 슬라이딩홈(331)은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33)의 외주면에서 회전 축을 중심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힌지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슬라이딩홈(331)은 힌지핀의 결합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33) 외주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다가 확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홈(331)에 삽입되는 결합핀(21)의 삽입부(21a)에는,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경사부(211)와, 상기 경사부(211)의 끝단에서 단면적이 증대되는 지지부(212)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경사부(211)는 원추형 단면으로 도시되고, 지지부(212)는 원형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끝단을 향하여 단면적이 작아지다가 증가되는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21a)의 형상에 의하여 슬라이딩홈(331)에 삽입된 결합핀(21)이 힌지축의 방사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마감부(22)는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33)에 결합되며, 각 결합핀(21)이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슬라이딩홈(3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마감부(22)는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33)에서 돌출된 내측에 나사 결합되는 원판이다. 그러나 마감부는 힌지축과 평행한 방향에 따라 개구된 각 슬라이딩홈을 막을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돌집게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재(3)의 제2힌지축부(33)와 힌지부재(51)를 나란히 일치시키고, 힌지핀(52)이 제2힌지축부(33)와 힌지부재(51)를 관통되게 결합함으로써 집게부재(3)를 붐대(5)에 장착하게 된다.
또한, 고정볼트(34)와 나사체결부(53)를 결합하여, 집게부재(3)를 붐대(5)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버켓만으로 토굴작업을 수행하거나, 붐대(5)와 집게부재(3)의 고정을 해제하여 버켓(10)과 집게부재(3)를 집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집게부재의 사용상태 중에 제1기어와 제2기어의 결합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 붐대에 결합된 버켓의 회전 범위는 180도 정도로 반원에 가깝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붐대에 집게부재를 고정시킬 때에 제1기어(1)와 제2기어(2)의 물림 결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하기 위하여 제2기어(2)에서 결합핀들이 배치되는 각도 범위는 130도 내지 160도 정도이다.
즉, 제1기어(1)의 기어핀들(13)은 대략 반원의 원호에 걸쳐 배치되어 있으며, 제2기어(2)의 결합핀들(21)은 대략 150도 전후한 각도의 원호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5)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제2기어(2)의 결합핀들(21) 중 일부는 제1기어(1)의 결합부(12)에 의하여 간섭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집게부재(3)가 붐대(5)에 고정된 상태에서 마감부(22)를 집게부재(3)의 제2회전축부(33)에서 분리하고, 간섭되지 아니하는 결합핀(21)을 개구된 슬라이딩홈(331)에서 빼내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리하고자 하는 결합핀(21)이 결합부(12)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집게부재(3)를 적절히 회전시킴에 따라, 모든 결합핀(21)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기어(1)에는 제2기어(2)의 결합핀(21)와 물려있지 아니한 기어핀(13)을 결합부(12)에서 분리,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게부재를 붐대에서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제1기어의 기어핀들과 제2기어의 결합핀들 중 교체가 요구되는 기어이만을 선택적으로 분리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버켓 100 : 동력연결부 A : 액추에이터
1 : 제1기어
11 : 연장부 111 : 원호면 112 : 수용홈
12 : 결합부 121 : 삽입홀 13 : 기어핀
2 : 제2기어
21 : 결합핀 21a : 삽입부 211 : 경사부
212 : 지지부 22 : 마감부
3 : 집게부재
31 : 세로판 32 : 가로판 33 : 제2회전축부
331 : 슬라이딩홈 34 : 고정볼트
4 : 레버링크
41 : 제1회전축부
5 : 붐대
51 : 힌지부재 52 : 힌지핀 53 : 나사체결부

Claims (7)

  1. 레버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붐대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붐대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부재와,
    상기 레버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집게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연결부는
    상기 레버링크에 구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집게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는
    상기 레버링크에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축부에 구비되며, 원호면을 가지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양측에서 상기 원호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격된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 및
    서로 대항되는 위치의 삽입홀들에 양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핀을 포함하는 굴삭기의 돌집게.
  2. 제1항에서,
    상기 제1기어 또는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어이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돌집게.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기어핀의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굴삭기의 돌집게.
  5. 제1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기어핀은 원통형상인 굴삭기의 돌집게.
  6. 제1항에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집게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2회전축부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함몰되게 복수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 방향에 따라 일측이 개구된 슬라이딩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핀들과,
    상기 집게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핀들이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의 돌집게.
  7. 제6항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핀의 삽입부에는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끝단에서 단면적이 증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홈에는 상기 경사부와 지지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굴삭기의 돌집게.
KR1020110093517A 2011-09-16 2011-09-16 굴삭기의 돌집게 KR101170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517A KR101170424B1 (ko) 2011-09-16 2011-09-16 굴삭기의 돌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517A KR101170424B1 (ko) 2011-09-16 2011-09-16 굴삭기의 돌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424B1 true KR101170424B1 (ko) 2012-08-02

Family

ID=4688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517A KR101170424B1 (ko) 2011-09-16 2011-09-16 굴삭기의 돌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4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12U (ko) * 2018-12-28 2020-07-08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20210000234U (ko) * 2019-07-22 2021-02-01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WO2022139120A1 (ko) * 2020-12-24 2022-06-30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5902U (ko) 1977-04-01 1978-10-27
JP2009019405A (ja) * 2007-07-11 2009-01-29 Saitama Yae Kogyo Kk 油圧ショベルのバケッ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5902U (ko) 1977-04-01 1978-10-27
JP2009019405A (ja) * 2007-07-11 2009-01-29 Saitama Yae Kogyo Kk 油圧ショベルのバケット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512U (ko) * 2018-12-28 2020-07-08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200492231Y1 (ko) * 2018-12-28 2020-09-02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20210000234U (ko) * 2019-07-22 2021-02-01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200493426Y1 (ko) 2019-07-22 2021-03-29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WO2022139120A1 (ko) * 2020-12-24 2022-06-30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20220001571U (ko) * 2020-12-24 2022-07-01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200495997Y1 (ko) 2020-12-24 2022-10-07 강승구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9431B1 (es) Conexiones enclavijadas.
KR100930959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AU2015346440B2 (en) An attachment for making up or breaking out pipe
KR101170424B1 (ko) 굴삭기의 돌집게
KR200469088Y1 (ko) 굴삭기용 집게발
KR20080096149A (ko) 포크레인용 회전버켓
KR20090027364A (ko) 굴삭기용 반자동 회전식 집게장치
KR100615861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120072741A (ko) 피로 균열 발생을 억제하는 암 센터 보스
KR200454161Y1 (ko) 굴삭기용 집게의 유압모터 고정장치
KR100940891B1 (ko) 회전 집게 구동장치
KR100814475B1 (ko) 건설장비용 핀 결합구조
KR200404947Y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
KR101200359B1 (ko) 죠오의 교체가 가능한 어태치먼트
KR20220003413A (ko) 집게 유닛을 구비하는 중장비용 회전 장치
KR101464435B1 (ko) 회전 가능한 버켓이 장착된 굴삭기
KR200398647Y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CN210459340U (zh) 一种挖掘机铲斗快换器顶锁装置
KR20050080182A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JP2015078509A (ja) バケット装置
FI130509B (fi) Itseliikkuva työkone
KR101459242B1 (ko) 굴삭기용 니퍼 겸용 집게 장치
JP4864080B2 (ja) 作業用アタッチメントの着脱装置
KR20220053798A (ko) 굴착기
KR100892921B1 (ko) 중장비용 다용도 어태치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