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581B1 - 상이한 프로토콜들에 따르는 네트워크들 사이의 끊김 없는 전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상이한 프로토콜들에 따르는 네트워크들 사이의 끊김 없는 전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581B1
KR101169581B1 KR1020107027082A KR20107027082A KR101169581B1 KR 101169581 B1 KR101169581 B1 KR 101169581B1 KR 1020107027082 A KR1020107027082 A KR 1020107027082A KR 20107027082 A KR20107027082 A KR 20107027082A KR 101169581 B1 KR101169581 B1 KR 101169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device
data packets
rnc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377A (ko
Inventor
페터르 보스
프랭크 알. 파비치아
Original Assignee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1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04L69/085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specially adapted for interworking of IP-based networks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네트워크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환을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제 2 네트워크는 제 1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데이터 패킷들의 전달을 종료하는 단계; 제 1 네트워크에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들을 재구축하는 단계; 및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네트워크로 재구축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 2 네트워크에서 헤더 압축 상태를 재설정하는 단계; 제 2 네트워크에서 제 1 네트워크로부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은 제 1 네트워크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아직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인, 상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 수신 단계; 및 제 2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이한 프로토콜들에 따르는 네트워크들 사이의 끊김 없는 전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TRANSITION BETWEEN NETWORKS FOLLOWING DIFFERENT PROTOCOL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들, 및 상이한 프로토콜들의 무선 네트워크들 사이의 전환(transitioning)에 관한 것이다.
CDMA2000 EVDO 및 3GPP LTE는 무선 네트워크들에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및 이로부터 IP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2개의 상이한 프로토콜들이다. CDMA2000 네트워크를 배치하고 CDMA2000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LTE 네트워크에 및 그 반대로도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CDMA2000 네트워크를 구성하고자 하는 오퍼레이터(operator)에 다수의 상호운영성 문제들을 제기한다.
유선 인터넷과 무선 네트워크들 사이의 데이터 송신 속도들의 차이들에 기인하여,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target mobile device)가 CDMA2000 네트워크 상에서 활성일 때,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용으로 CDMA2000 네트워크에서 수신된 IP 패킷들은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들을 수신할 준비가 될 때까지 버퍼링(buffering)된다.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들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되기 전에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가 CDMA2000 네트워크로부터 LTE 네트워크로 전환한다면, 버퍼링되어 있지만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이 유실될 것이다.
유사하게,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가 LTE 네트워크 상에서 활성일 때,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용으로 LTE 네트워크에서 수신된 IP 패킷들은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들을 수신할 준비가 될 때까지 버퍼링된다.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들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달되기 전에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가 LTE 네트워크로부터 CDMA2000 네트워크로 전환한다면, 버퍼링되어 있지만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이 유실될 것이다.
CDMA2000 또는 LTE 네트워크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TCP 세션에 연루될 수도 있다. TCP 프로토콜은 일단 혼잡이 검출되면 데이터가 전송되는 레이트를 제한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상에서 혼잡을 억제하는 혼잡 제어 알고리즘들을 이용한다.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가 CDMA2000 네트워크로부터 LTE 네트워크로 또는 LTE 네트워크로부터 CDMA2000 네트워크로 전환할 때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가 또 다른 디바이스와의 TCP 세션에 연루된 경우, 하나 이상의 패킷들의 유실은 TCP 알고리즘들에 의해서 네트워크 혼잡의 표시자로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버퍼링되어 있지만 전달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의 유실은 데이터 패킷들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속도의 현저한 감소를 유발하여 상당한 지연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네트워크들, 및 상이한 프로토콜들의 무선 네트워크들 사이의 전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네트워크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네트워크들은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른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네트워크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패킷들의 전달이 종료된다. 제 1 네트워크에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의 패킷 헤더들이 재구축되고, 재구축된 데이터 패킷들이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네트워크로 전송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네트워크에서 헤더 압축 상태가 재설정된다. 제 2 네트워크는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은 제 1 네트워크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아직 전달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이다.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은 제 2 네트워크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예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전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패킷 유실을 최소화하고/최소화하거나 이중의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하기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들에서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현되고, 이들 도면들은 예시할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CDMA2000 네트워크 및 LTE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CDMA2000 네트워크로부터 LTE 네트워크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RNC에서 데이터 패킷 헤더들을 재구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LTE 네트워크로부터 CDMA2000 네트워크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이 이제 도시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더욱 완전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층들 및 영역들의 두께들은 명확히 하기 위하여 과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사항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이 발명은 많은 대안적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로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이 가능할 수 있고, 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에서 예로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시된 특정 형태들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지만, 반대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수정들, 등가들 및 대안들을 커버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동일한 번호들은 도면들의 기술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다양한 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용어들 제 1, 제 2, 등이 본 명세서에서 이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을 알 것이다. 이들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 1 요소는 제 2 요소라고 칭해질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요소는 제 1 요소라고 칭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and/or)"은 하나 이상의 연관되는 나열된 항목들 중 임의 및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된(connected)" 또는 "결합된(coupled)" 것이라고 언급될 때,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거나 개재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반대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또는 "직접 결합된(directly coupled)" 것이라고 언급될 때, 개재 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는데 이용되는 다른 용어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예를 들면, "사이에(between)" 대 "사이에 직접적으로(directly between)", "인접한(adjacent)" 대 "직접적으로 인접한(directly adjacent)" 등).
본 명세서에 이용된 전문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이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a", "an" 및 "the")은 문맥이 달리 명확하게 표시하지 않는 한, 마찬가지로 복수의 형태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들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다(includes) 및/또는 "포함하는(including)"이 본 명세서에서 이용될 때, 규정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그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음도 알 것이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동작들이 도면들에서 언급된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할 수 있음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연속으로 도시된 2개의 도면들에서는 사실상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때때로, 연루된 기능/동작들에 따라 역의 순서로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모바일(mobile)"는 이하 모바일 유닛, 이동국, 모바일 이용자, 이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가입자, 이용자, 원격 스테이션, 액세스 단말, 수신기, 등으로 언급될 때도 있을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리소스들의 원격 이용자를 기술할 수도 있다. 용어 "기지국"은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노드B, 확장 노드 B, 펨토 셀(femto cell), 액세스 포인트, 등과 동의어로 간주될 수 있고 이들로 언급될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와 하나 이상의 이용자들 사이의 데이터 및/또는 음성 접속성을 위해 무선 기저대 기능들을 제공하는 장비를 기술할 수도 있다.
아키텍처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CDMA2000 프로토콜(110)에 따르는 네트워크 및 LTE 프로토콜(120)에 따르는 네트워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DMA2000 네트워크(110)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PDSN)(111),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112), 복수의 기지국들 또는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들(BTS)(114 내지 116), 및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17 내지 119, (102)을 포함한다. 그러나, CDMA2000 네트워크(110)는 복수의 RNC들 및 PDSN들을 구비할 수 있으나, 명확성을 위해 단지 각각의 하나만이 도시되었다. PDSN(111)는 프록시 이동 IP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PDN)(101)에 연결된다. RNC(112)는 PDSN(111)에 연결되고, BTS들(114 내지 116)은 RNC(112)에 연결되고, 모바일 디바이스들(117 내지 119, 102)은 각각 BTS(114 내지 116)과 무선 통신한다. RNC(112)는 버퍼(113)를 포함한다. 또한, PDSN(111)를 HRPD SGW 또는 HSGW(고 레이트 패킷 데이터 서비스 게이트웨이)이라고도 할 수 있다. 네트워크(110)가 CDMA2000 네트워크로서 도시되었을지라도, 네트워크(110)는 CDMA2000 프로토콜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LTE 네트워크(120)는 액세스 게이트웨이(121), 복수의 기지국들 또는 인핸스드-노드 B들(enhanced-node Bs; eNBs)(122 및 123), 및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26 및 127, 103)을 포함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121)는 GTP 및/또는 이동 IP 프로토콜을 통해 PDN(101)에 연결된다. LTE 네트워크(120)는 복수의 액세스 게이트웨이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명확성을 위해서 단지 하나만이 도시되었다. eNB들(122 및 123)은 액세스 게이트웨이(121)에 연결된다.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26 및 127, 103)은 eNB들(122 및 123)과 무선 통신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121)는 명확성을 위해서 도 1에서 생략된 관리 이동성 종점(MME) 및 서빙 게이트웨이(SGW)를 포함할 수 있다. eNB들은 버퍼들(124 및 125)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C(112)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121)는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서로 사이의 직접 연결된다.
CDMA2000 네트워크 동작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CDMA2000 네트워크의 전형적인 동작에서, PDN(101)는, 예를 들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어드레스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CDMA2000 네트워크(110)와 통신하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17 내지 119, 102) 중 하나이다. PDN(101)는 데이터 패킷을 PDSN(111)에 전송한다. PDSN(111)는 데이터 패킷을 RNC(112)에 전송한다. RNC(112)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준비가 될 때까지 버퍼(113)에 데이터 패킷을 저장할 수 있다. 일단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준비가 되면, RNC(112)는 데이터 패킷을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연관된 BTS인 BTS(116)에 전송한다. 데이터 패킷은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일 수 있으며 헤더를 갖고 있을 수 있다.
CDMA2000 네트워크(110)는 로버스트 헤더 압축(RoHC) 또는 이외 어떤 다른 공지된 헤더 압축 헤더 압축과 같은 헤더 압축을 전환할 수 있다. 헤더 압축을 이용하여, CDMA2000 네트워크(110)는 패킷 헤더들의 일부만을 전송함으로써 PDSN(111)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들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CDMA2000 네트워크(110)에서 PDSN(111)에서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로 전송되는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을 이용하기 위해서, PDSN(111)는 압축 딕셔너리(compression dictionary)를 확립하고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압축해제 딕셔너리를 확립한다. 압축 및 압축해제 딕셔너리들은 송신 및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들의 정적 부분들을 저장한다. 압축 및 압축해제 딕셔너리들을 확립하기 위해서 PDSN(111)로부터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10)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완전한 패킷들을 취할 수도 있다.
일단 압축 및 압축해제 딕셔너리들이 확립되면, PDSN(111)는 패킷 헤더들을 압축하기 위해(즉, 패킷 헤더들의 정적 부분들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 딕셔너리를 이용하며 압축된 헤더들과 함께 데이터 패킷들을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전송한다.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처리를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압축된 헤더들을 압축해제하기 위해(즉, 패킷 헤더들의 정적 부분들을 재삽입하기 위해) 압축해제 딕셔너리를 이용한다.
PDSN(111)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이의 압축해제 딕셔너리를 재설정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 및 PDSN(111)이 각각 압축해제 및 압축 딕셔너리들을 확립하였을 때, PDSN(111)는 비압축된 헤더와 함께 데이터 패킷을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전송할 수 있다.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비압축된 데이터 패킷을 자신의 압축해제 딕셔너리를 재설정하라는 지시로서 해석할 수도 있다.
LTE 네트워크 동작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LTE 네트워크의 전형적 동작에서, PDN(101)는 예를 들면,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어드레스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는 LTE 네트워크(120)와 통신하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 하나이다. PDN(101)는 데이터 패킷을 액세스 게이트웨이(121)에 전송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121)는 데이터 패킷을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관된 eNB로서 eNB(123)에 전송한다. eNB(123)은 데이터 패킷을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전송한다. LTE 동작을 위한 헤더 압축은 eNB에서 실행된다.
CDMA2000 에서 LTE 로의 전환의 핸들링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네트워크로의 모바일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을 도 1로부터 CDMA2000 네트워크(110)에서 LTE 네트워크(120)로 전환하는 타겟 모바일(10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서 모바일(102) 또는 도 1의 아키텍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DMA2000 네트워크(110) 상에 BTS(116)과 통신하였던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LTE 네트워크(120)로 전환하여 eNB(122)와 통신을 시작한다. 당업자들은 CDMA2000 네트워크(110)로부터 LTE 네트워크(120)로의 모바일(102)의 전환은 CDMA2000 네트워크(110) 및 LTE 네트워크(120)의 적어도 한 네트워크 요소와 모바일 사이의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의 기술에 따라 개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라 CDMA2000 프로토콜에 따르는 네트워크로부터 LTE 프로토콜에 따르는 네트워크로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205)에서, 예를 들면, 전형적으로 PDSN(111) 및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저장되는 압축 및 압축해제 딕셔너리들 외에,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압축해제 정보(예를 들면, 압축 해제 딕셔너리)가 CDMA2000 네트워크 내 RNC(112)에 저장된다. 즉, RNC(112)는 PDSN(111)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들에 관계된 압축해제 정보를 저장하게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PDSN(111)로부터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전송되었던 각각의 데이터 패킷이 먼저 RNC(112)를 거친다. RNC(112)은 예를 들면, PDSN(111)로부터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로 전송되었던 데이터 패킷들을 이용하여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동일한 방식으로 압축해제 딕셔너리를 컴파일하게 구성된다.
일단 CDMA2000 네트워크(110)로부터 LTE 네트워크(120)로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전환하면, RNC(112)는 PDSN(111)로부터 전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전송되었던 데이터 패킷들로부터 수집된 압축해제 정보를 이용하여, RNC(112)에서의 버퍼(113)에 저장되고 전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어드레스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의 패킷 헤더들을 재구축할 수 있다.
도 3은 RNC에서 압축해제 딕셔너리를 구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DSN(111)는 데이터 패킷들(P1, P2, P3)을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전송한다. PDSN(111)는 데이터 패킷들(P1, P2, P3)에 기초하여 압축 딕셔너리(311)를 확립한다. 타겟 모바일(102)는 데이터 패킷들(P1, P2, P3)에 기초하여 압축해제 딕셔너리(313)를 확립한다. RNC(112)는 PDSN(111)로부터 타겟 모바일(102)로 전송된 각각의 패킷을 수신한다. RNC(112)는 압축해제 딕셔너리(313)와 동일할 수 있는 압축해제 딕셔너리(312)를 확립한다. RNC(112)는 이제 PDSN(111)에 의해 타겟 모바일(102)에 전송된 데이터 패킷들을 압축해제하는 능력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210)에서, 버퍼링된 패킷들의 모바일 디바이스(102)로의 전달은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LTE 네트워크(120)로 전환하는 결과로서 종료된다. 일단 타겟 모바일(102)이 eNB(122)와 무선 통신을 시작하면, BTS(116)과의 무선 통신들은 중단된다. 버퍼링된 패킷들은 BTS(116)과 타겟 모바일(102) 사이의 무선 채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BTS(116)을 통해 타겟 모바일(102)에 더 이상 전달될 수 없다.
단계(S215)에서, 비전송된 버퍼링된 패킷들의 헤더들은 RNC(112)에 의해 재구축된다. 아직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전달되지 않은 CDMA2000 네트워크(110)에서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들은 RNC(112)의 버퍼(113)에 저장된다. 이들 데이터 패킷들은 압축된 헤더들을 가질 수도 있다.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어드레스된 버퍼링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압축해제를 실행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RNC(112)에 의해 압축해제된다. 즉, 버퍼링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은 단계(S205)에서 RNC(112)에 저장된 압축해제 정보를 이용하여 RNC(112)에서 압축해제된다.
CDMA2000 네트워크(110)가 패킷 헤더 압축을 이용하며 LTE 네트워크는 압축된 데이터 패킷 헤더들을 압축해제하는데 필요한 압축해제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 패킷들을 LTE 네트워크를 보내기에 앞서 데이터 패킷 헤더들을 압축해제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된 패킷 헤더들을 압축해제함이 없이 CDMA2000 네트워크(110)로부터 LTE 네트워크(120)로 비전송된 패킷들이 전송된다면, LTE 네트워크는 비전달된 패킷들의 압축된 헤더들을 해석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LTE 네트워크(120)는 패킷들을 전환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전달할 수 없을 것이며 데이터 패킷들은 유실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220)에서, 비전송되었고 재구축된 데이터 패킷들은 RNC(112)로부터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LTE 네트워크(120)의 액세스 게이트웨이(121)에 직접 전송된다.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의 패킷 헤더들이 재구축되기 때문에, 재구축된 데이터 패킷들은 완전한 IP 패킷들로서 직접 LTE 네트워크(120)에 전송되고, LTE 네트워크(120)는 LTE 네트워크(120)가 PDN(101)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처리할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 패킷들을 처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225)에서, LTE 네트워크(120)는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전송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액세스 게이트웨이(112)는 데이터 패킷들을 eNB(122)에 전송하고 이는 이어서 데이터 패킷들을 타겟 모바일(102)에 전송한다.
LTE 로부터 CDMA2000 으로의 전환의 핸들링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네트워크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은 LTE 네트워크(120)로부터 CDMA2000 네트워크(110)로 전환하는 타겟 모바일(103)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LTE 프로토콜에 따르는 네트워크로부터 CDMA2000 프로토콜에 따르는 네트워크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CDMA2000 네트워크(110)의 BTS(116)로 전환하는, LTE 네트워크(120)의 eNB(123)와 통신하고 있었던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바일(103) 또는 도 1의 아키텍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 것이다.
또한, 당업자들은 LTE 네트워크(120)로부터 CDMA2000 네트워크(110)로의 모바일(103)의 전환은 CDMA2000 네트워크(110) 및 LTE 네트워크(120)의 적어도 한 네트워크 요소와 모바일 사이의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의 기술에 따라 개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505)에서 LTE 네트워크(120)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아직 전달되지 않은 패킷들이 CDMA2000 네트워크(110)에 전송된다. 전환하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아직 전달되지 않은 LTE 네트워크(120)에서 저장된 데이터 패킷들은 eNB(123)의 버퍼(125)에 저장된다.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가 LTE 네트워크(120)로부터 CDMA2000 네트워크(110)로 전환한 후에, eNB(123)는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액세스 게이트웨이(121)에 전송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121)는 RNC(112)와 액세스 게이트웨이(121) 사이의 인터페이스(160)를 통해서 CDMA2000(110) 네트워크에서 RNC(112)로 직접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510)에서 CDMA2000 네트워크(110)에서의 헤더 압축 상태가 재설정된다.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이 LTE 네트워크(120)로부터 도착하였을 때, PDSN(111) 및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는 각각 압축 및 압축해제 딕셔너리들을 이미 확립해 두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환하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는 CDMA2000 네트워크(110)에 진입한 즉시 CDMA2000 네트워크(110)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것을 시작하였을 수도 있다. PDSN(111) 및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는 이들 데이터 패킷들에 기초하여 압축 및 압축해제 딕셔너리들을 확립하였을 수도 있다. 또한,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는 이전에 CDMA2000 네트워크(110)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PDSN(111) 및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는 CDMA2000 네트워크(110)에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의 이전 연결 동안 압축 및 압축해제 딕셔너리들을 확립해 두었을 수도 있다.
RNC(112)에서 LTE 네트워크(110)로부터 수신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전달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3)는 모바일 디바이스(103)가 수신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에 기초하여 압축해제 딕셔너리를 업데이트한다. 그러나, PDSN(111)는 RNC(112)로부터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전송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알 수 없다. 따라서, PDSN(111)에서의 압축 딕셔너리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에서 압축해제 딕셔너리와 동기가 어긋나게 될 수 있다.
PDSN(111)에서의 압축 딕셔너리 및 타겟 모바일(103)에서의 압축해제 딕셔너리가 동기가 어긋한 상태에 있게 되면, 후속하여 PDSN(111)로부터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전송된 데이터 패킷들은 비동기 딕셔너리에 기초하여 압축될 것이다.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는 이들 후속하여 전송된 데이터 패킷들을 적합히 압축해제하기 위해, 업데이트된 압축 딕셔너리를 이용할 수 없을 것이다. 타겟 모바일(103)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오류 체크 절차들은 부적합하게 압축해제된 데이터 패킷들을 변질된(corrupt) 데이터 패킷들로서 해석하여 이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데이터 패킷들이 유실될 것이다. 데이터 패킷들을 유실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03)가 LTE 네트워크(120)로부터 CDMA2000 네트워크(110)로 전환할 때, RNC(112)는 헤더 상태를 재설정하라고 PDSN(111)에 지시하는 포인트-대-포인트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메시지를 PDSN(111)에 전송한다.
RNC(112)가 LTE 네트워크(120)로부터 비전송된 패킷들을 수신한 후에 헤더 압축 상태를 재설정하라고 PDSN(111)에 지시하는 PPP 메시지가 RNC(112)에 의해 PDSN(111)에 전송되는 것으로서 기술되었으나, RNC(112)는 비전송된 패킷을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전송하기 전에 압축 상태 재설정 메시지를 PDSN(111)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RNC(112)는 비전송된 패킷을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전송하는 것과 동시에 압축 상태 재설정 메시지를 PDSN(111)에 전송할 수도 있다. RNC(112)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가 CDMA2000 네트워크(110)에 진입하자마자 즉시 압축 상태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RNC(112)는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가 CDMA2000 네트워크(110)로 복귀할 것을 예상하고 일단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가 CDMA2000 네트워크(110)를 일탈하면 압축 상태 재설정 메시지를 PDSN(111)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515)에서, 비전송된 패킷들이 CDMA2000 네트워크 (110)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03)로 전송된다. 도 1을 참조하면, RNC(112)는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BTS(116)에 전달하고 이는 이어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타겟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전송한다.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은 완전한 비압축된 IP 패킷들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제 1 네트워크로부터 제 2 네트워크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들은 오리지널 네트워크에서 버퍼링되어 있고 전환 시점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아직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의 유실을 최소화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CDMA2000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사이를 오고 가게 전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환은 CDMA2000 및 LTE 네트워크들 양쪽 모두에 전송될 이중의 데이터 패킷들을 요구함이 없이 달성된다.
본 발명이 이와 같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많은 방식들로 다양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일탈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모든 이러한 수정들은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102, 103, 117, 118, 119, 126, 127: 모바일 디바이스
110: CDMA2000 네트워크 11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112: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114, 115, 116: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120: LTE 네트워크
121: 액세스 게이트웨이 122, 123: eNB
125: 버퍼 160: 인터페이스

Claims (10)

  1. 제 1 네트워크(11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2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전환(transition)을 핸들링(handling)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110)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2)로의 데이터 패킷들의 전달을 종료하는 단계;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의 압축된 헤더들을 압축해제하기 위해 상기 제 1 네트워크(110)에 저장된 압축해제 딕셔너리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110)에서 상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들을 재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110)로부터 상기 제 2 네트워크(120)로 상기 재구축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네트워크(120)는 상기 제 1 네트워크(110)와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재구축된 데이터 패킷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네트워크(11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2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110)는 CDMA2000 프로토콜에 따르는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120)는 LTE 프로토콜에 따르는 네트워크인, 제 1 네트워크(11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2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110)의 제어기(112)에서의 버퍼(113)에 상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헤더들을 재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의 압축된 헤더들을 압축해제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112)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네트워크(11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2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110)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112)에서 압축해제 딕셔너리(decompression dictionary)(312)를 구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120)에 상기 재구축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RNC(112)로부터 상기 재구축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네트워크(11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2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축된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은 상기 제 2 네트워크의 액세스 게이트웨이(121)와 RNC(112) 사이의 채널(160)을 통하는 것인, 제 1 네트워크(11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2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
  6. 제 1 네트워크(12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1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3)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110)에서의 압축 딕셔너리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압축해제 딕셔너리와 재동기화되도록 상기 제 2 네트워크(110)에서 헤더 압축 상태를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네트워크(110)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120)로부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네트워크(110)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120)와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은 상기 제 1 네트워크(120)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3)에 아직 전달하지 않은 데이터 패킷들인, 상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 수신 단계;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110)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3)로 상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네트워크(12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1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3)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120)는 LTE 프로토콜에 따르는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 2 네트워크(110)는 CDMA2000 프로토콜에 따르는 네트워크인, 제 1 네트워크(12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1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3)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110)에서 상기 헤더 압축 상태의 재설정은 포인트-대-포인트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PPP)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되는, 제 1 네트워크(12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1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3)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110)에서 상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네트워크(110)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112)에서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네트워크(12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1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3)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NC(112)에서의 상기 비전달된 데이터 패킷들의 수신은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액세스 게이트웨이(121)와 상기 RNC(112) 사이의 채널(160)을 통하는 것인, 제 1 네트워크(120)로부터 제 2 네트워크(110)로의 모바일 디바이스(103)의 전환을 핸들링하는 방법.
KR1020107027082A 2008-06-05 2009-05-18 상이한 프로토콜들에 따르는 네트워크들 사이의 끊김 없는 전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1169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55,501 2008-06-05
US12/155,501 US8488553B2 (en) 2008-06-05 2008-06-05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transition between networks following different protocols
PCT/US2009/003078 WO2009148500A2 (en) 2008-06-05 2009-05-18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transition between networks following different protoco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377A KR20110017377A (ko) 2011-02-21
KR101169581B1 true KR101169581B1 (ko) 2012-08-03

Family

ID=4105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082A KR101169581B1 (ko) 2008-06-05 2009-05-18 상이한 프로토콜들에 따르는 네트워크들 사이의 끊김 없는 전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488553B2 (ko)
EP (2) EP2574139B1 (ko)
JP (2) JP5073099B2 (ko)
KR (1) KR101169581B1 (ko)
CN (2) CN102057747B (ko)
AU (1) AU2009255752B2 (ko)
BR (1) BRPI0913387A2 (ko)
IL (1) IL209345A (ko)
MX (1) MX2010012889A (ko)
RU (2) RU2493678C1 (ko)
TW (1) TWI399957B (ko)
WO (1) WO200914850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886B1 (ko) * 2009-01-23 2015-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티피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2411923A4 (en) * 2009-03-25 2013-10-30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DETECTING AN APPLICATION STATUS
ES2363905B1 (es) * 2009-09-18 2012-06-22 Vodafone España, S.A.U. Diversidad de transmisión multiportadora en utran para hsdpa.
JP5147898B2 (ja) * 2010-06-10 2013-02-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8909230B2 (en) 2011-12-06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handover of user equipment between different radio access networks
WO2014209385A1 (en) * 2013-06-28 2014-12-31 Intel Corporation Seamless connectivity across devices with heterogeneous transports
CN104735734B (zh) * 2013-12-19 2019-07-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的方法、网络控制器及转发设备
US9906973B2 (en) 2014-11-28 2018-02-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volved NodeB and traffic dispatch method thereof
US10021222B2 (en) * 2015-11-04 2018-07-10 Cisco Technology, Inc. Bit-aligned header compression for CCN messages using dictionary
US10362522B2 (en) * 2016-06-29 2019-07-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Optimized packet replication in predictive routing in LISP for cellular handover
CN108012290B (zh) * 2017-12-08 2021-05-18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局域网下大数据的处理方法及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8010A1 (en) * 1999-11-09 2002-02-14 Khiem Le Efficient handoff procedure for header co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6587B1 (en) * 1999-02-26 2003-04-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date of header compression state in packet communications
US7155173B2 (en) * 2001-03-14 2006-12-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ntext for message compression
US20020196743A1 (en) * 2001-06-20 2002-12-26 Sebastian Thalanany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performance in a packet data system
KR100595583B1 (ko) * 2001-07-09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에 따른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US8089888B2 (en) * 2001-12-10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traffic and auxiliary channels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CA2432594C (en) * 2002-06-12 2011-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internet protocol (ip) headers compression performance by reporting cause of missing packets
KR100884956B1 (ko) * 2002-08-14 2009-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대칭 양방향 패킷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FR2857538B1 (fr) * 2003-07-08 2006-10-06 At & T Corp Systeme et methode de compression d'en-tete de paquets bases sur la creation dynamique d'un gabarit
US7348904B2 (en) * 2004-02-19 2008-03-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ive updating of compression dictionary
US8724582B2 (en) * 2004-06-28 2014-05-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context transfer for inter-PDSN handoff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61683B2 (en) * 2004-09-30 2011-06-14 Alcatel-Lucent Usa Inc. Active session mobility solution for point-to-point protocol
US8085808B2 (en) * 2005-05-12 2011-12-27 Verizon Services Corp. Automatic configuration of network devices for network services
US9031071B2 (en) * 2005-08-26 2015-05-12 Alcatel Lucent Header elimination for real time internet applications
EP1929712B1 (en) * 2005-09-02 2019-11-06 BlackBerry Limited Sip header reduction
EP1773004A1 (en) * 2005-10-10 2007-04-11 Nec Technologies (UK) Limited Header compression optimisation method during and after handover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20070165574A1 (en) * 2006-01-13 2007-07-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packet loss during active data hard handoff
CN101390435B (zh) * 2006-02-28 2012-06-27 诺基亚公司 通信网络中的切换
KR101259514B1 (ko) 2006-03-23 2013-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기종 이동통신 시스템 간의 무손실 핸드오버 방법 및장치
US20070258418A1 (en) * 2006-05-03 2007-11-08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treaming of media to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07336490A (ja) 2006-06-19 2007-12-27 Ntt Docomo Inc 移動局装置およびハンドオーバ方法
GB0616682D0 (en) * 2006-08-22 2006-10-04 Nec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EP1901496B1 (en) * 2006-09-12 2010-09-01 Panasonic Corporation Link adaptation dependent on control signaling
US8331314B2 (en) * 2007-04-20 2012-12-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ormant session management associated with handover
GB2449629A (en) * 2007-05-01 2008-12-03 Nec Corp Buffering numbered unsegmented PDCP SDUs in 3GPP system to assist efficient hard handover
US8284734B2 (en) * 2007-09-28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for intra base station handover optimizations
JP4882959B2 (ja) * 2007-10-26 2012-02-22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方法並びに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無線端末及びパケット通信装置
US8059651B2 (en) * 2007-12-17 2011-11-15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recovering lost header
US20090175163A1 (en) * 2008-01-04 2009-07-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e-establishment
US7974228B2 (en) * 2008-01-07 2011-07-05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signaling-free idle mode mobility for an integrated 3GPP and 3GPP2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8010A1 (en) * 1999-11-09 2002-02-14 Khiem Le Efficient handoff procedure for header com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913387A2 (pt) 2015-11-24
JP5363629B2 (ja) 2013-12-11
US20090303963A1 (en) 2009-12-10
IL209345A0 (en) 2011-01-31
KR20110017377A (ko) 2011-02-21
AU2009255752B2 (en) 2013-02-28
WO2009148500A2 (en) 2009-12-10
US8737358B2 (en) 2014-05-27
CN102057747B (zh) 2014-11-05
EP2289284B1 (en) 2013-03-27
WO2009148500A3 (en) 2010-02-18
CN104284382A (zh) 2015-01-14
IL209345A (en) 2015-02-26
RU2010154512A (ru) 2012-07-20
US8488553B2 (en) 2013-07-16
TWI399957B (zh) 2013-06-21
US20130156006A1 (en) 2013-06-20
JP2011523295A (ja) 2011-08-04
JP5073099B2 (ja) 2012-11-14
RU2463733C2 (ru) 2012-10-10
EP2574139A1 (en) 2013-03-27
RU2012123696A (ru) 2013-09-10
WO2009148500A8 (en) 2011-01-06
MX2010012889A (es) 2011-03-29
JP2012217222A (ja) 2012-11-08
CN102057747A (zh) 2011-05-11
RU2493678C1 (ru) 2013-09-20
AU2009255752A1 (en) 2009-12-10
TW201004245A (en) 2010-01-16
EP2574139B1 (en) 2014-12-17
EP2289284A2 (en)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581B1 (ko) 상이한 프로토콜들에 따르는 네트워크들 사이의 끊김 없는 전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EP1356655B1 (en) Relocating context information in header compression
KR101476813B1 (ko) 패킷 중계 노드의 패킷 재조립 시스템 및 방법
EP2096804A1 (en) Inter-network-nodes flow control
US20100195617A1 (en) method for handling correctly received but header compression failed packets
KR100742868B1 (ko) 이동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동안의 헤더 압축문맥 제어 방법
CN107566330B (zh) 适于维持接收数据质量的装置和用于接收数据的方法
CN102780712B (zh) 会话的切换方法及装置
KR2013013207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잡 제어 방법 및 장치
GB2525891A (en) Bearer reconfiguration
JP2005217626A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を介するパケットデータ交換ノード、端末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12868213A (zh) 以太网报头压缩和鲁棒报头压缩的联合使用
US20230140866A1 (en) Wireless data link lay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CN109219079B (zh) 一种ir报文传输方法及通信设备
KR101020318B1 (ko) 비대칭 양방향 패킷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981823B1 (ko) 비대칭 양방향 패킷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CN112333047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