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282B1 -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이용한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 - Google Patents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이용한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282B1
KR101169282B1 KR1020090059818A KR20090059818A KR101169282B1 KR 101169282 B1 KR101169282 B1 KR 101169282B1 KR 1020090059818 A KR1020090059818 A KR 1020090059818A KR 20090059818 A KR20090059818 A KR 20090059818A KR 101169282 B1 KR101169282 B1 KR 101169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plug
external input
data
plug detect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300A (ko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2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5Time-base error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HDMI 리시버의 이퀄라이저를 제어함으로써,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동기를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키는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HDMI,이퀄라이저, 핫플러그 디텍트,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

Description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이용한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METHOD FOR CONTROLLING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ING HOT PLUG DETECT SIGNAL AND DISPLAY UNIT ENABLING OF THE METHOD}
본 발명은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HDMI 리시버의 이퀄라이저를 제어함으로써,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동기를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키는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고품질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기록매체로 DVD(Digital Versatile Disc)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고화질의 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DVD의 디지털 고화질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디스플레이하는 고해상도 디지털 TV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따라서, DVD에 영상을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각종 DVD 장비(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DVD 레코더 등)와 디지털 TV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장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HDMI는 압축되지 않은 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로 전송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서, 오디오/비디오소스, 셋탑 박스 및 DVD 플레이어 등의 소스 장비와, 모니터, 디지털 TV 등과 같은 싱크 장비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HDMI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TV 등의 싱크 장비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장비를 디지털 인터페이스 장비라고도 하며, 디지털 인터페이스 장비에는 각종 DVD 장비뿐만 아니라, 셋탑 박스, VTR 및 게임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장비가 다양해지며, 동시에 고해상도, 고화질의 요구가 높아지며 HDMI 신호의 데이터 레이트는 수 Gbps대로 점점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HDMI 케이블 품질이나 싱크 장비와 소스 장비 간의 매칭성에 의해 노이즈 발생 등 품질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의 디지털 TV는 HDMI 리시버의 이퀄라이저 셋팅을 고정 셋팅하여 사용함으로써, 외부 입력 기기와 연결된 HDMI 케이블의 저항, 캐패시턴스 등의 편차 보상을 할 수 없어, HDMI 케이블의 품질이 좋지 않거나, 소스 장비와 싱크 장비의 매칭성 문제가 발생될 때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외부 입력 기기 연결시 케이블 문제로 인해 싱크 장비에서의 화면 출력시 에러가 발생하거나 소스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할 때,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화면이 꺼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HDMI 리시버의 이퀄라이저를 제어함으로써,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동기를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키는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한, 본 발명은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피드백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이퀄라이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클럭을 조절함으로써, 영상기기와 외부 입력 수단이 연결된 HDMI 케이블의 길이,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또는 캐패시턴스 편차를 자동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기기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과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럭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이퀄라이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과 연결된 DDC(Display Data Channel) 로 전송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HDMI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이퀄라이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퀄라이저의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제어하여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입력 단자; 상기 수신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카운터; 및 상기 판단된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과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럭을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이퀄라이저를 제어하는 마이컴를 포함한다.
이 때,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과 연결된 DDC(Display Data Channel) 로 전송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기기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송신하는 핫플러그 디텍트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제어하여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HDMI 리시버의 이퀄라이저를 제어함으로써,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동기를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피드백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데이터 클럭을 조절함으로써, 영상기기와 외부 입력 수단이 연결된 HDMI 케이블의 길이,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또는 캐패시턴스 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되고 도면에 의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구성과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및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다. 특정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갖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영상기기와 외부 입력 기기가 연결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HDMI 입력이 지원되는 영상기기(101)는 외부 입력 기기(102)와 연결되고, 영상기기(101)는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Hot Plug Detect Signal)을 외부 입력 기기(102)로 송신한다.
이 때, 외부 입력 기기는 비디오/오디오/데이터 신호를 영상기기로 전송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DVD 플레이어, 셋탑 박스, 케이블 수신 장비, 위성 방송 수신 장비, 퍼스널 컴퓨터 등 다양한 영상 신호 출력 장비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기기는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디지털 TV, 모니터, 프로젝터 등 다양한 영상 디스플레이 장비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영상기기(101)와 외부 입력 기기(102)가 연결되면, 영상기기(101)의 마이컴(103)은 핫플러그 디텍트 핀(104)를 제어하여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을 로우(Low) 상태(예를 들어, 0.8V)로 일정 기간(예를 들어, 약 500~1500msec) 유지한 후, 하이 상태(예를 들어, 2.0V)로 승압시킨다. 이러한 기능을 마이컴(103)의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 제어 기능이라 하고, 로우(Low) 상태로 일정 시간 유지되는 시간을 핫 플러그 디텍트 지연(Hot Plug Detect Delay) 시간이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전압이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승압되는데 걸리는 시간(201)이 핫 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다. 외부 입력 기기(102)는 수신한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가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라이징(rising)할 때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를 확인한 후,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고 확인 신호를 영상 입력 기기(101)로 전송한 후 영상기기와 연동한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는 영상기기에서 생성되어 외부 입력 기기로 출력되며, 외부 입력 기기에서 다시 영상기기로 전송된다. 이 때,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는 HDMI 중 CEC로 전송될 수 있으며, 외부 입력 기기에서 전송되는 비디오/오디오/데이터 신호는 DDC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 HDMI 시스템 구성을 상술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DMI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HDMI는 압축되지 않은 풀 디지털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통합하여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서, 기존의 컴포지트, S-비디오, 컴포넌트 비디오 등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대체하는 규격으로 새로이 개발되고 있는 DVD 플레이어, HDTV, 셋톱박스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한편, HDMI 규격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전자제어(CEC) 및 CEC 버스가 정의되어 있는데, 이러한 CEC 에 따르면, HDMI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기기들에 대한 제어를 개별적으로 하지 않고도 하나의 기기에서 간단히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기기들의 연동을제 어할 수 있다.
HDMI 인터페이스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DDC(Display Data Channel) 및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와 같은 3개의 독립적인 통신 채널을 포함하며, 이들을 통해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디바이스 정보 및 제어 명령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입력 기기는 동영상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TMDS 채널을 통해 영상기기로 전송한다. 영상기기는 TMDS 채널을 통해 전송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자신의 규격 정보를 EEPROM에 저장하고 있다. TMDS 채널은 5 Gbps 이하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채널이다.
외부 입력 기기는 DDC 채널을 통해 영상기기의 EEPROM에 저장된 상세 정보를 조회하여 영상기기에 최적화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DC 채널은 국제 표준 기구인 VESA에서 정의한 데이터 통신 규격으로서, 외부 입력 기기의 규격 정보를 참조하여 최적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외부 입력 기기는 영상기기가 DDC 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를 통해 영상기기의 상세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정보를 이용해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환경에 맞게 미디어 데이터를 변환하여 TMDS 채널을 통해 영상기기로 출력한다.
EDID란 영상기기가 지원하는 영상 포맷의 종류와 기타 정보에 관한 것으로, 영상기기의 주파수 정보, 모델 정보, 지원 가능한 해상도 정보 또는 타이밍 정보, 제조 연월 등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외부 입력 기기 및 영상기기는 CEC 채널을 통해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CEC 채널은 HDMI에서 고 레벨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부가적인 프로토콜이다.
영상기기는 HDMI-CEC 기능을 지원하는 다양한 디지털 방송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HDMI-CEC 기능이란 HDMI 인터페이스를 통해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방식 제품들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즉, CEC 방식 제품들의 자동 파워 온, 자동 신호 라우팅 및 단일지점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으로 HDMI 인터페이스의 옵션과 같은 기능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3과 같은 HDMI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4는 도 3의 HDMI 리시버에서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기기는, 단계(S401)에서 외부 입력 기기로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출력한다. 송신되는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S402)에서 영상기기는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피드백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는 단계(S401)에서 전송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로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므로, HDMI 케이블의 저항 또는 캐피시턴스 값에 의한 영향을 받은 신호일 수 있다.
단계(S403)에서 영상기기는, 수신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판단한다.
이 때, 영상기기는 수신한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가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라이징(rising)할 때의 라이징 에지(rising edge) 타임을 디텍트함으로써, 학플러그 디텍트 지연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S404)에서 영상기기는 상기 판단된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과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럭을 비교하여, 데이터 클럭과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을 계산한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럭은 외부 입력 기기과 연결된 DDC(Display Data Channel)를 통해 HDMI리시버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클럭일 수도 있고, HDMI 리시버에서 수신되어 이퀄라이저로 입력된 후, 이퀄라이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클럭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이퀄라이저에서 출력된 후, 위상 고정 루프를 통과한 데이터의 클럭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과 데이터의 클럭을 비교하여 데이터 클럭과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501)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 즉, 라이징 에지 타임(T1)을 디텍트하고,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럭(502)의 라이징 에지 타임(T2)를 디텍트한 후, 두 신호가 동기되는 시간 'T2-T1'을 계산한다.
다음으로, 단계(S405)에서 영상기기는 데이터 클럭과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마진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정확한 동기화를 위해서는 작은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루스한 동기화를 위해서는 비교적 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S405)의 판단 결과, 마진 내에 포함된다면, 기설정된 EQ 레벨을 적용하고, 별도로 EQ 레벨을 변동시키지 않는다.
단계(S405)의 판단 결과, 데이터 클럭과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단계(S406)에서 영상기기는 이퀄라이저의 이퀄라이징 레벨을 조절하여 데이터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영상기기는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제어하여 이퀄라이저의 EQ 레벨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데이터의 클럭을 출력함으로써, 데이터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EQ(Equalizing) 레벨은 이퀄라이저에서의 이퀄라이징 강도를 말하는 것으로, EQ 레벨이 높아질수록 이퀄라이징 강도가 세지는 것으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HDMI 리시버의 이퀄라이저를 제어함으로써,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동기를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피드백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데이터 클럭을 조절함으로써, 영상기기와 외부 입력 수단이 연결된 HDMI 케이블의 길이,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또는 캐패시턴스 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영상기기는 외부 입력 단자(601), 카운터(602), 마이컴(603), 이퀄라이저(604), 핫플러그 디텍트 핀(6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성들은 영상기기 내의 HDMI 리시버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핫플러그 디텍트 핀(605)은 외부 입력 단자(601)를 통해 외부 입력 기기로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송신한다.
외부 입력 단자(601)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피드백하여 수신한다.
카운터(602)는 수신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판단한다.
마이컴(603)은 상기 판단된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과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럭을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이퀄라이저(604)를 제어한다.
이 때,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과 연결된 DDC(Display Data Channel) 로 전송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데이터의 클럭은 이퀄라이저에서 출력하는 데이터의 클럭일 수 있다.
마이컴(603)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제어하여 EQ(Equalizing)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앞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이 도65의 방송 수신기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내용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영상기기와 외부 입력 기기가 연결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핫 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DMI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퀄라이저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과 데이터의 클럭을 비교하여 데이터 클럭과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되는 시간을 계산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1: 외부 입력 단자
602: 카운터
603: 마이컴
604: 이퀄라이저
605: 핫플러그 디텍트 핀

Claims (10)

  1. 영상기기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과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럭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 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이퀄라이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HDMI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와 연결된 DDC(Display Data Channel) 로 전송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HDMI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HDMI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 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이퀄라이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퀄라이저의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제어하여 EQ(Equalizing)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 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HDMI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클럭은 상기 이퀄라이저에서 출력하는 데이터의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HDMI 제어 방법.
  6. 영상기기에 있어서,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입력 단자;
    상기 수신된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의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을 판단하는 카운터; 및
    상기 판단된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과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럭을 비교하고,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 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이퀄라이저를 제어하는 마이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는 상기 외부 입력 기기와 연결된 DDC(Display Data Channel) 로 전송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송신하는 핫플러그 디텍트 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제어하여 EQ(Equalizing)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데이터의 클럭과 상기 핫플러그 디텍트 지연 시간이 동기 되는 시간이 소정의 마진 내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클럭은 상기 이퀄라이저에서 출력하는 데이터의 클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KR1020090059818A 2009-07-01 2009-07-01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이용한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 KR101169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18A KR101169282B1 (ko) 2009-07-01 2009-07-01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이용한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818A KR101169282B1 (ko) 2009-07-01 2009-07-01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이용한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00A KR20110002300A (ko) 2011-01-07
KR101169282B1 true KR101169282B1 (ko) 2012-08-02

Family

ID=4361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818A KR101169282B1 (ko) 2009-07-01 2009-07-01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이용한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28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565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데이터 송수신 프로그램
KR20220038562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38563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38561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장치
KR20220038566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데이터 송수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20038564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데이터 송수신방법
KR20220038559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장치
KR20220038558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38560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광 리피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7698A (ko) * 2012-07-10 2014-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Hdmi 신호 보정 방법, hdmi 신호 수신장치, hdmi 신호 전송장치 및 hdmi 신호 처리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565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데이터 송수신 프로그램
KR20220038562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38563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38561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장치
KR20220038566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데이터 송수신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20038564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데이터 송수신방법
KR20220038559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장치
KR20220038558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사이드채널의 리피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38560A (ko) 2020-09-20 2022-03-29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광 리피터
US11355085B2 (en) 2020-09-20 2022-06-07 Qualitas Semiconductor Co., Ltd. Repeater device for displayport side channe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00A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282B1 (ko) 핫플러그 디텍트 신호를 이용한 hdmi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
KR102545078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20100315553A1 (en) Audio-video data synchronization method, video output device, audio output device, and audio-video output system
JP5573361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及び送受信装置
EP2211545B1 (en) Reproduc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US794570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ing data from audio/video equipment
EP1936990A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synchronization method
US20080046950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JP5444797B2 (ja) 送信装置、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20100275234A1 (en) Display apparatus, data transmitting method in display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receiving method in transmission apparatus
US8174619B2 (en)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output by reception apparatus
US20110043707A1 (en) Content transmitting device
JP4799337B2 (ja) 表示装置、av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表示システム
KR101061130B1 (ko) 최적 해상도를 설정하는 소스 장비, 싱크 장비 및 hdmi제어 방법
JP2013243473A (ja) 送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77606A1 (en) Audio/video transmission apparatus and audio/video transmission method
WO2016013074A1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供給装置
KR20120130954A (ko) 싱크 기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 및 그의 통신 방법
US20080107023A1 (en) Method for detecting a digital interface and a image display device adopting the same
KR20070012042A (ko) 미디어 재생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미디어재생시스템
KR20090132722A (ko) 영상 표시 기기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802894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EP2187382A2 (en) Video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ideo apparatus
KR101411107B1 (ko) 미디어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369390B1 (ko) Av 입력신호 판단기능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