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997B1 - Bumpe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Bumper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8997B1 KR101168997B1 KR20100106433A KR20100106433A KR101168997B1 KR 101168997 B1 KR101168997 B1 KR 101168997B1 KR 20100106433 A KR20100106433 A KR 20100106433A KR 20100106433 A KR20100106433 A KR 20100106433A KR 101168997 B1 KR101168997 B1 KR 1011689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mper
- vehicle
- stay
- bumper rail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범퍼 커버가 설치되는 범퍼 레일과, 범퍼 레일의 단부를 구속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스테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um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umper that can absorb shocks generated during a vehicle crash and reduce deformation and breakage of parts caused by the vehicle cras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mper for a vehicle including a bumper rail on which a bumper cover is installed, and a stay having a locking portion for restraining an end portion of the bumper rail.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범퍼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um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bumper that can absorb shocks generated during a vehicle crash and reduce deformation and breakage of parts caused by the vehicle crash.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범퍼는 차량의 주행 중의 자동차 또는 외부 물체와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가 받는 충격량을 감소시키고 차량 및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된다.In general, a bumper for a vehicle is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to absorb the impact when the collision with the vehicle or an external object while driving the vehicle to reduce the amount of impact received by the vehicle body and to protect the vehicle and the driver.
자동차용 범퍼는 범퍼 커버와, 범퍼 레일을 포함한다.An automobile bumper includes a bumper cover and a bumper rail.
범퍼 커버는 차량의 가장 전방 및 후방에 장착되어 외장을 이루는 부분으로 충돌 시 충격을 최초로 흡수하며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umper cover is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which forms the exterior and absorbs the impact for the first time in a crash. It is usually made of polypropylene plastic.
범퍼 커버와 범퍼 레일 사이에는 저속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가 설치된다.Between the bumper cover and the bumper rail, a shock absorbing material for absorbing the shock generated at the time of low speed collision is provided.
범퍼 레일은 중공 형상을 가지고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범퍼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여 범퍼 커버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The bumper rail has a hollow shape and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nd is located inside the bumper cover to absorb shocks transmitted from the bumper cover.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범퍼 레일은 캐리어에 장착되는데, 캐리어 양측 단부 측에 한 쌍의 스테이가 설치되고, 스테이에 범퍼 레일이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The bumper rail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carrier, and a pair of stay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arrier, and the bumper rails are coupled to the stay by fastening members.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technical structure described above is a background technique for assis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는 범퍼 레일의 평면 형상이 차량의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 충돌 시에 범퍼 레일의 중앙부가 차량 내측으로 오목하게 변형되면서 캐리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장치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bumper for a vehicle has a problem in that the bumper rail is formed in a convex curve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thus the center portion of the bumper rail is concavely deformed into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collides, thus damaging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the carrier. .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부품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mper for a vehicle that can absorb shock generated during a vehicle crash and reduce breakage of par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범퍼 커버가 설치되는 범퍼 레일과, 상기 범퍼 레일의 단부를 구속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스테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mper for a vehicle comprising a bumper rail on which a bumper cover is installed, and a stay having a locking portion for restricting an end of the bumper rail.
또한, 상기 스테이는 차량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 레일이 연결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y is bent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se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bumper rail is connected.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범퍼 레일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안착부가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formed by the seating portion protrudes in front of the vehicle so that the end of the bumper rail is in close contact.
또한, 상기 스테이에는 차체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y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vehicl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to form a boundary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tay.
또한, 상기 스테이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일측면이 밀폐되고, 상기 스테이의 타측면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y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is sealed, the other side of the sta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또한, 상기 스테이의 타측면은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스테이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중첩되도록 절곡되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tay is bent and covered so as to overlap the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stay.
또한,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모서리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incision is formed at a corn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또한, 상기 범퍼 레일은 중앙부가 차량의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범퍼 레일의 배면에는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mper rail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mper rail.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범퍼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양측 단부에 상기 범퍼 레일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mper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bumper rail at both ends.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범퍼 레일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상기 범퍼 레일의 후방 측 단부 방향으로 8~40%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at 8 to 40% point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side end portion of the bumper rail from the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bumper rail.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차량 충돌 시에 범퍼 레일이 양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범퍼 레일의 중앙부가 차량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범퍼 레일 후방에 설치되는 부품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bump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bumper rail from being deformed in both directions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reby suppressing bending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bumper rail into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damage to components installed behind the bumper rail.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스테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저속 충돌 시에 스테이가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ay of the vehicle bu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formed therei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y is deformed inward during a low-speed collision, thereby absorbing the shoc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범퍼 레일에는 보강부재가 설치되므로 차량 충돌 시에 범퍼 레일의 중앙부가 차량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bumper rail of the vehicle bu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bumper rail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nding in the vehicle inward direction during a vehicle collis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가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스테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C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해석자료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보강부재가 위치에 따른 강도변화가 도시된 비교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변형량이 도시된 그래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y of a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3.
6 is a front view showing a bump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6.
8 is an analysis data of a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mparison table showing the change in strengt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illustrating a deformation amount of a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vehicle bu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가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스테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는 범퍼 커버가 설치되는 범퍼 레일(10)과, 범퍼 레일(10)의 단부를 구속하는 걸림부(32)를 구비하는 스테이(30)를 포함한다.1 to 5, a bump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차체에 설치된 한 쌍의 스테이(30)에 범퍼 레일(10)의 양측 단부를 결합하면 걸림부(32)가 범퍼 레일(10)의 단부에 밀착되게 배치된다.When both ends of the
차량 충돌 시에 범퍼 레일(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범퍼 레일(10)의 양측 단부가 차량의 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걸림부(32)에 의해 범퍼 레일(10)의 단부가 차량의 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Due to the impact applied to the
범퍼 레일(10)의 양측 단부가 차량의 측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걸림부(32)에 의해 지지되면 범퍼 레일(10)의 중앙부가 차량의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When both end portions of the
따라서 차량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범퍼 레일(10) 내측에 설치되는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ponents installed inside the
스테이(30)는 차량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부(33)가 형성되고 범퍼 레일(10)이 연결되는 안착부(31)가 구비된다.The
스테이(30)는 패널 모양의 부재가 'ㄷ'모양으로 절곡되어 중앙부가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내부에 공간부(33)가 형성되고,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정면이 안착부(31)를 이루게 된다.The
걸림부(32)는 범퍼 레일(10)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안착부(31)가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부(32a)를 포함한다.The
돌출부(32a)는 안착부(31)의 외측 단부 일부분이 전방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므로 안착부(31)에 범퍼 레일(10)의 단부가 결합되면 범퍼 레일(10)의 단부가 돌출부(32a)의 측면에 밀착되어 범퍼 레일(10)의 단부가 안착부(31)의 측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Since the
따라서 차량 충돌 시에 범퍼 레일(10)의 중앙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범퍼 레일(10)의 양단부가 차량의 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both ends of the
스테이(30)에는 차체에 결합되는 연결부(35)가 형성되고, 연결부(35)와 안착부(31) 사이에는 단차(36)가 형성된다.The
스테이(30)의 내측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고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홀부가 형성되어 연결부(35)를 이룬다.The inner end of the
스테이(30)의 전방 측 단부에 구비되는 안착부(31)와 스테이(30)의 후방 측 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35) 사이에는 단차(36)가 형성되므로 차량 충돌 시에 범퍼 레일(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안착부(31)에 전달되면 단차(36)가 공간부(33) 내측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Since the
스테이(30)는 단차(36)를 중심으로 전방부(36a)의 단면적이 후방부(36b)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작게 형성되도록 단차(36)가 형성되므로 안착부(31)에 충격이 가해지면 단차(36)가 변형되면서 스테이(30)의 전방부(36a)가 후방부(36b) 내측으로 함몰된다.Since the
스테이(30)의 후방부(36b)에는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34)가 형성되므로 차량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스테이(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ince the reinforcing
따라서 안착부(31)에 충격이 가해지면 단차(36)가 변형되면서 단차(36)로부터 전방부(36a)에 배치되는 안착부(31)는 후방부(36b) 내측으로 함몰되고, 스테이(30)의 후방부(36b)는 보강리브(34)에 의해 강성이 유지되므로 변형이 방지된다.Therefor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또한, 스테이(30)는 돌출부(32a)가 형성되는 일측면이 밀폐되어 스테이(30)의 후방부(36b) 강성이 향상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스테이(30)의 타측면은 개구되고, 안착부(31)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38)와 스테이(30)의 후방부(36b)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부(39)가 중첩되도록 절곡되어 제1연장부(38)와 제2연장부(39)는 용접공정에 의해 접합된다.The other side of the
제1연장부(38)와 제2연장부(39) 사이에 배치되는 모서리에는 절개부(37)가 형성되므로 차량 충돌 시에 단차(36)가 공간부(33) 내측으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Since a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C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해석자료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보강부재가 위치에 따른 강도변화가 도시된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변형량이 도시된 그래프이다.6 is a front view showing a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n analysis data of the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strengt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graph showing the deformation amount of the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범퍼 레일(10)은 중앙부가 차량의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범퍼 레일(10)의 배면에는 보강부재(50)가 설치된다.6 to 10, the
차량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가장 쉽게 파손되는 부분이 전방 측 단부에 배치되는 곡선구간인데, 상기한 바와 같이 범퍼 레일(10)의 배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직선형의 보강부재(50)가 설치되므로 범퍼 레일(10)의 전방 측 단부(1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most easily broken part is a curved section disposed at the front side end portion, the
보강부재(50)는 범퍼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양측 단부에 범퍼 레일(10)에 결합되는 고정부(52)가 형성되므로 범퍼 레일(10)의 배면 상단 및 하단에 고정부(52)를 용접공정에 의해 접합시킬 수 있다.The reinforcing
또한, 보강부재(50)는 범퍼 레일(10)의 전방 측 단부(12)로부터 범퍼 레일(10)의 후방 측 단부(14) 방향으로 8~40%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범퍼 레일(10)의 전방 측 단부(12)를 0%로 가정하고 범퍼 레일(10)의 후방 측 단부(14)를 100%로 가정할 때에 범퍼 레일(10)의 전방 측 단부(12)로부터 범퍼 레일(10)의 후방 측 단부(14)까지 보강부재(50)의 위치를 가변시키면서 강도시험을 행하여 도 9에 기재한 바와 같은 시험결과가 나타난다.From the
따라서 보강부재(50)는 범퍼 레일(10)의 전방 측 단부(12)로부터 범퍼 레일(10)의 후방 측 단부 방향으로 8~40% 지점에 설치될 때에 범퍼 레일(10)의 강성이 최적임을 알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einforcing
여기서, 미설명 부호 31a는 안착부(31)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절개홀부(31a)이다.
He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u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이 주행 중에 충돌 사고가 발생되면 범퍼에 충격이 가해지는데, 범퍼 커버 및 완충부재가 변형되면서 1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진다.1 to 10,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a shock is applied to the bumper, and the first shock absorption is performed while the bumper cover and the cushioning member are deformed.
이후에, 범퍼 레일(10)에 충격이 전달되면 스테이(30)의 단차(36)가 변형되면서 스테이(30)의 전방부(36a)가 후방부(36b) 내측으로 함몰되면서 2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이때, 범퍼 레일(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범퍼 레일(10)의 단부는 차량의 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돌출부(32a)에 의해 범퍼 레일(10)의 양단부가 구속되므로 범퍼 레일(10)의 양단부가 차량의 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이렇게 범퍼 레일(10)의 양단부가 차량의 측 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게 되면 범퍼 레일(10)의 전방 측 단부(12)가 차량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범퍼 레일(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both ends of the
또한, 스테이(30)의 전방부(36a)가 후방부(36b) 내측으로 함몰된 후에는 스테이(30)의 후방부(36b)에 의해 스테이(30)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범퍼 레일(10)이 차량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fter the
범퍼 레일(10)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50)는 범퍼 레일(10)의 전방 측 단부(12)를 중앙 측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행하므로 범퍼 레일(10)의 전방 측 단부(12)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Since the reinforcing
이로써, 차량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부품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범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bumper that can absorb shocks generated at the time of a vehicle crash and reduce breakage of component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또한, 차량용 범퍼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범퍼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vehicle bump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e bump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other products than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범퍼 레일 12 : 전방 측 단부
14 : 후방 측 단부 30 : 스테이
31 : 안착부 31a : 절개홀부
32 : 걸림부 32a : 돌출부
33 : 공간부 34 : 보강리브
35 : 연결부 36 : 단차
36a : 전방부 36b : 후방부
37 : 절개부 38 : 제1연장부
39 : 제2연장부 50 : 보강부재
52 : 고정부10
14: rear side end 30: stay
31: seating
32: engaging
33: space part 34: reinforcement rib
35
36a:
37: incision 38: the first extension
39: second extension 50: reinforcing member
52: fixed part
Claims (10)
상기 범퍼 레일의 단부를 구속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스테이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는 차량의 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범퍼 레일이 연결되는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범퍼 레일의 단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안착부가 차량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 레일은 중앙부가 차량의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범퍼 레일의 배면에는 보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범퍼 레일의 전방 측 단부로부터 상기 범퍼 레일의 후방 측 단부 방향으로 8~40%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범퍼 레일의 단부가 상기 안착부의 측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범퍼 레일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A bumper rail on which a bumper cover is installed; And
A stay having a catch portion for restraining an end of the bumper rail;
The stay is bent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has a seating portion to which the bumper rail is connected;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such that an end portion of the bumper rail is in close contact;
The bumper rail is formed in a curved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is convex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bumper rail;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at a point of 8 to 40% from the front side end portion of the bumper rail toward the rear side end portion of the bumper rail;
The end of the bumper rai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end of the bumper rail does not flow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상기 스테이에는 차체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y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vehicle body,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is a vehicle bumper, which forms a boundary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stay.
상기 스테이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일측면이 밀폐되고, 상기 스테이의 타측면은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ay is a bump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is sealed, the other side of the stay is opened.
상기 스테이의 타측면은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스테이의 후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중첩되도록 절곡되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The method of claim 5,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stay bump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stay is bent and overlapped.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모서리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The method of claim 6,
A bump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cutout is formed at an edg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범퍼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양측 단부에 상기 범퍼 레일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범퍼.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mper rail and a bump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bumper rail at both en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106433A KR101168997B1 (en) | 2010-10-29 | 2010-10-29 | Bumper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106433A KR101168997B1 (en) | 2010-10-29 | 2010-10-29 | Bumper for vehicl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5105A KR20120045105A (en) | 2012-05-09 |
KR101168997B1 true KR101168997B1 (en) | 2012-07-26 |
Family
ID=4626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106433A KR101168997B1 (en) | 2010-10-29 | 2010-10-29 | Bumper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899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2020B1 (en) * | 2012-08-20 | 2014-05-30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473B1 (en) | 2007-09-19 | 2009-04-01 | 성준엽 | Bumper reinforcement structrue for vehicle |
WO2010002309A1 (en) | 2008-07-01 | 2010-01-07 | Gestamp Hardtech Ab | Crash box for a vehicle |
-
2010
- 2010-10-29 KR KR20100106433A patent/KR10116899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473B1 (en) | 2007-09-19 | 2009-04-01 | 성준엽 | Bumper reinforcement structrue for vehicle |
WO2010002309A1 (en) | 2008-07-01 | 2010-01-07 | Gestamp Hardtech Ab | Crash box for a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5105A (en) | 2012-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7841B1 (en) | front body structure for vehicle | |
JP6459839B2 (en) | Vehicle skeleton structure | |
CN109204531B (en) |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 |
KR100974748B1 (en) | Back beam structure of automobile bumper | |
JP2005212510A (en) | Hood structure for vehicle | |
US10266208B2 (en) |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 |
KR102009795B1 (en) | Front bumper integrated stiffner | |
KR101168997B1 (en) | Bumper for vehicles | |
KR20200117277A (en) | Front pillar structure for vehicle | |
WO2015119106A1 (en) | Vehicle-body front structure | |
CN108349547B (en) | Front body structure of automobile | |
KR101666985B1 (en) | Hybrid bumper beam | |
KR101689874B1 (en) | Shock absorber for vehicles | |
JP4449523B2 (en) | Resin vehicle parts | |
KR101318110B1 (en) | Bumper for vehicles | |
KR101220005B1 (en) | Engine room structure | |
KR101855755B1 (en) | Side sill for vehicle | |
JP6252354B2 (en) | Vehicle side structure | |
US10618559B2 (en) | Front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 |
KR102002309B1 (en) | Rear bumper beam for vehicles | |
KR101566696B1 (en) | Bumper beam for car | |
KR20080093630A (en) | Impact absorption device for car | |
JP6558929B2 (en) | Car front bumper | |
JP7040082B2 (en) | Vampari Information | |
JP2009286322A (en) | Cowl lou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