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645B1 -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645B1
KR101168645B1 KR1020117011364A KR20117011364A KR101168645B1 KR 101168645 B1 KR101168645 B1 KR 101168645B1 KR 1020117011364 A KR1020117011364 A KR 1020117011364A KR 20117011364 A KR20117011364 A KR 20117011364A KR 101168645 B1 KR101168645 B1 KR 10116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temporal envelope
amplitude value
signal
transie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4962A (ko
Inventor
제신 류
롱잉 첸
레이 미아오
첸 후
웨이 샤오
마르셀 타데이 허브
킹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162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686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8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2Blocking, i.e. grouping of samples in time; Choice of analysis windows; Overlap factoring
    • G10L19/025Detection of transients or attacks for time/frequency resolution switch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3Spectral prediction for preventing pre-echo; Temporary noise shaping [TNS], e.g. in MPEG2 or MPEG4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및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은, 입력되는 과도 신호(11)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으로부터,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하는 단계;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13)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difference)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한 시간 포락을 비트스트림(15)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TRANSIENT SIGNAL ENCODING METHOD AND DEVICE, DECODING METHOD, AND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음성 신호(speech signal)를 부호화하기 위한 비트 레이트(bit rate)의 수량의 제한과 인간의 청각적 특징의 영향에 의해, 음성 신호에서의 저주파 대역 정보는 먼저 오디오 부호화 알고리즘으로 부호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협대역의 음성에 비해, 광대역의 음성은 충만하며 더 자연스러운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음향 성분이 향상될 수 있다.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비트 레이트의 수량이 적은 경우, 음성 신호의 대역폭 범위를 확장하고 음성 신호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대역폭 확장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 대역폭 확장 기술이 크게 발전하였으며, 일부 분야에서는, 예를 들어 저음 스피커의 음향 보강과 부호화된 음성 및 가청 주파의 고주파수 보강을 포함하여 상업적인 응용이 있어 왔다.
현재의 대역폭 확장 방법 중에서, 저주파 대역 정보의 부호화 기술은, 기존의 부호화 및 복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고주파 대역 정보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동안에는 고주파 대역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적은 수의 비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고주파 대역 정보는 고주파 대역 및 저주파 대역 사이의 상관성을 사용하여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명자들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과도 신호(transient signal)의 신호 에너지는 순간적인 큰 변화를 가지며, 주파수 영역에서는 과도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평활화되는 점에서, 과도 신호가 비과도 신호(non-transient signal)와 상이한 특징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종래 기술에서는,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time envelope)이 수정되지 않으며, 프레임 단위의 처리, 시간-주파수 변환, 및 주파수 포락과 같은 신호 부호화 프로세스에서의 처리의 영향에 의해, 과도 신호에 프리 에코(pre-echo)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과도 신호의 복원 품질을 향상시키는,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과도 신호(transient signal)를 부호화(encoding)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입력되는 과도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sub-frame)의 시간 포락(time envelope) 중에서 최대 진폭 값(maximal amplitude value)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maximal time envelope)가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reference sub-frame)을 취득하는 단계;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difference)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한 시간 포락을 비트스트림(bitstream)에 기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과도 신호를 복호화(decoding)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미리 취득한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한 시간 포락에 따라, 미리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time-domain signal)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과도 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장치는,
입력되는 과도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하는 참조 서브프레임 취득(reference sub-frame obtaining) 모듈;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제1 진폭 값 조정(amplitude value adjusting) 모듈; 및
조정한 시간 포락을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는 비트스트림 기입(bitstream writing)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과도 신호를 복호화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장치는,
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미리 취득한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하는 참조 서브프레임 취득(reference sub-frame obtaining) 모듈;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제1 진폭 값 조정 모듈; 및
조정한 시간 포락에 따라, 미리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취득하는 시간 영역 신호 수정(time-domain signal modification)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과도 신호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입력되는 과도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으로부터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하고,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 및
수신한 코드 스트림에서 시간 포락에 따라, 미리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취득하는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과도 신호를 처리하는 다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코드 스트림에서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을 기입하는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 및
수신한 코드 스트림에서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으로부터,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하고,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며, 조정한 시간 포락에 따라, 미리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취득하는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과도 신호의 특성에 따라 시간 포락이 수정되고,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 이전의 다른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의 구분이 더 명확하게 되어, 과도 신호의 복원의 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나타내기 위한 첨부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당업자라면 어떠한 창조적 노력을 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유추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을 수정하는 부호화 측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해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을 수정하는 복호화 측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방안에 대하여, 첨부 도면과 이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술적 해결 방안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명확하게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transient signal encoding method)의 플로차트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에서, 입력되는 과도 신호(transient signal)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time envelope)(즉,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을 취득한다. 이 서브프레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참조 서브프레임(reference sub-frame)이다.
입력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비트의 수가 부족한 경우, 고주파 대역(high-frequency band)의 중요한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적은 수의 비트가 사용된다. 고주파 대역 정보를 부호화하는 과정 중에, 이용가능한 비트의 수가 일정한 경우, 고주파 대역 정보를 더 양호하게 복원하기 위하여, 입력 신호를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여러 타입의 신호에 대하여 상이한 부호화 기술을 사용하기 위하여, 입력 신호는 과도 신호(transient signal)와 비과도 신호(non-transient signal)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주요 대상은 과도 신호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 포락을 구하기 위한 방법은, 입력 신호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단계; 각 서브프레임의 에너지 및 각 서브프레임의 에너지의 제곱근 등과 같은 각 서브프레임의 에너지 정보를 구하는 단계; 및 취득한 에너지 정보를 사용해서 입력 시간 영역 신호의 파형 특성(waveform characteristics) 또는 진폭 추세(amplitude trends)를 개략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을 구한 후에, 시간 포락을 과도 신호의 특성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정한 시간 포락에서, 과도 신호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들 사이의 차분(difference)이 더 구분가능하게 되고, 과도 신호의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다른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의 구분이 더 명확하게 된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단계 13에서,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제1 차분(difference)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게 되도록 조정한다. 제1 차분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이다.
제1 임계값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원래의 진폭 값의 1/8 내지 1/2까지 감소시키는 단계와,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조정된 진폭 값과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을, 이 차분을 제1 임계값으로 사용하여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5에서는, 조정 후의 시간 포락을 비트스트림에 기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에 기초하여, 시간 포락의 조정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 진폭 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평균 진폭 값이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게 되는 경우에, 제2 차분이 미리 정한 제2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차분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이다.
미리 정한 기준 값은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의 1/3 내지 3/5가 되도록 선택해도 되고, 제2 임계값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원래의 진폭 값의 1/8 내지 1/2까지 감소시키는 단계와,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조정된 진폭 값과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을, 이 차분을 제2 임계값으로서 사용하여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참조 서브프레임 이외의 다른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이 조정된 후에,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서의 시간 영역 신호의 조정은,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한 제3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임계값은,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와 상당하게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는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보다 0.8배 내지 1.2배가 된다.
복호화 측(decoding end)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은 더 미세하게 부호화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을 미세하게 부호화하는 과정 중에,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은 비과도 신호와 구분되는 과도 신호의 특성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과도 신호에 의해 포함된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들 간의 차분이 더 구분가능하게 됨으로써,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은 과도 신호의 특성에 따라 수정되고, 과도 신호의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들 간의 차분이 확대되며, 수정된 시간 포락 정보가 복호화 측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과도 신호의 위치 정보(position information)가 부호화되며, 부호화된 위치 정보가 임의의 수의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복호화 측으로 전송된다. 즉, 부호화 측에서 취득한 비트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에서, 입력 신호가 저주파 대역 신호와 고주파 대역 신호로 분해된다. 저주파 대역 신호에 대해서는 단계 23에서 수행되며, 고주파 대역 신호에 대해서는 단계 25에서 수행된다.
단계 23에서, 입력 신호 중의 저주파 대역 신호의 파라미터가 비트스트림에 입력되고, 단계 217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저주파 대역 신호(광대역 신호)의 파라미터가 부호화기(encoder)에 의해 비트스트림에 입력된다.
단계 25에서, 입력 신호(고주파수 신호)의 신호 타입이 결정되고, 신호 타입 정보가 비트스트림에 입력된다. 신호 타입 정보는 입력 신호(즉, 현재 부호화되어 있는 신호)가 과도 신호인지 아니면 비과도 신호인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입력 신호의 신호 타입을 더 정확하게 판정하기 위하여, 단계 25는 단계 2501 내지 단계 2509(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501에서, 고주파 대역 신호에서 미리 정한 수의 연속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긴 프레임(long frame)이 형성되고, 이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가 계산된다.
긴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방식에서는, 현재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이전의 2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3개의 연속 프레임을 조합하여, 긴 프레임을 형성한다. 또는, 현재 프레임, 현재 프레임 이전의 프레임, 및 현재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3개의 연속 프레임을 조합하여 긴 프레임을 형성한다. 또는, 여러 개의 다른 연속하는 프레임을 조합하여 긴 프레임을 형성한다.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는 다음의 식 1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01
Figure 112011037321338-pct00002
상기 식 1에서, gain은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이고, x[i]는 시간 영역 신호의 i번째 샘플링 포인트의 신호 값이며, N은 긴 프레임 전체의 샘플링 포인트의 전체 수이다.
단계 2503에서, 긴 프레임은 여러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되고, 각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가 계산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프레임은 5ms의 프레임 길이(frame length)를 가지며, 긴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15ms가 되고, 긴 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480개의 샘플링 포인트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긴 프레임이 12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되면, 각 서브프레임의 프레임 길이는 40개의 샘플링 포인트이다. 각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sub_gain[i]가 계산된다.
단계 2505에서, 제3 차분과 제4 차분을 각각 계산한다. 제3 차분은 각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와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간의 최대 차분이며, 제3 차분은 이하의 식 2에 의해 계산된다. 제4 차분은 2개의 연속하는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사이의 최대 차분이며, 이하의 식 3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03
식 2에서, sub_gain[i]는 각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를 나타내며, gain은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를 나타낸다. max_deviation은 각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와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간의 최대 차분,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3 차분이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04
식 3에서, sub_gain[i]와 sub_gain[i+1]은 2개의 연속하는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를 각각 나타낸다. max_rise는 긴 프레임에서의 2개의 연속하는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간의 최대 차분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4 차분이다.
단계 2507에서,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를 제4 임계값과 비교하고, 제3 차분을 제5 임계값과 비교하며, 제4 차분을 제6 임계값과 비교한다.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가 제4 임계값보다 크고, 제3 임계값이 제5 임계값보다 크며, 제4 차분이 제6 임계값보다 크면(즉, 이하의 식 4를 만족함), 고주파 대역 신호가 과도 신호라고 판정한다. 그외의 경우에는, 고주파 대역 신호가 비과도 신호라고 판정한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05
식 4에서, α1은 제4 임계값을 나타내며, α2는 제5 임계값을 나타내고, α3은 제6 임계값을 나타낸다. α1, α2 및 α3의 값은 입력 과도 신호의 진폭에 관련되고, 과도 신호의 전체 진폭이 큰 경우, α1, α2 및 α3의 값은 큰 값이 되며, 과도 신호의 전체 진폭이 작은 경우에는 α1, α2 및 α3의 값은 작은 값이 된다. 예를 들어,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의 기준 출력 레벨이 -26 dB이면, α1, α2 및 α3의 값은 각각 5<α<10, 2<α2<5, 및 1<α3<3의 범위에 있게 된다.
단계 2509에서는, 취득한 카테고리 정보가 비트스트림에 입력되고, 카테고리 정보는 과도 신호 정보와 비과도 신호 정보를 포함하며, 단계 217이 수행된다. 과도 신호에 대해서는 단계 27이 수행되고, 비과도 신호에 대해서는 비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 및 주파수 영역 포락을, 종래 기술의 방법(다시 설명하지 않음)을 사용하여 취득할 수 있다.
입력 신호를 분류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해 시간 포락의 수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이 수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를 분류하는 방법을 종래 기술의 과도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과도 신호의 식별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호화 측에서 과도 신호의 복원의 효과도 개선된다.
단계 26에서, 입력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이 각각 계산되고, 입력 신호의 신호 타입이 과도 신호이면, 단계 27이 수행되고, 입력 신호의 신호 타입이 비과도 신호이면, 단계 29가 수행된다.
단계 27에서,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이 수정된다.
과도 신호의 특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이 수정되는데, 예를 들어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에 대하여 진폭 값을 증가시키는 수정이 수행되고, 및/또는 다른 시간 포락에 대해서는 진폭 값을 감소시키는 수정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단계 27은 단계 2701 내지 단계 271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시간 포락을 수정하는 부호화 측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에서 수행되는 수정은 단계 2701 내지 단계 2719를 포함한다.
단계 2701에서는,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을 계산해서,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tEnv[i]를 취득할 수 있다.
단계 2703에서, 단계 2701에서 취득한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에서의 검색에 의해,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서브프레임과 이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이 서브프레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참조 서브프레임이며, 예시의 편의를 위해, 참조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이하 "pos"로 나타낸다.
단계 2705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i)를 참조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pos)와 비교해서, 현재 서브프레임이 참조 서브프레임보다 이전이면(즉, i<pos), 단계 2707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2709가 수행된다.
단계 2707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에 대하여 진폭 값을 감소시키는 수정이 행해짐으로써, 제1 수정 포락이 취득되고, 단계 2719가 수행된다. 진폭 값이 감소되는 비율은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참조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그 차분이 크면, 진폭 값이 감소되는 비율이 작은 값으로 선택될 수 있고, 그 차분이 작으면, 진폭 값이 감소되는 비율이 큰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3은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값을 2로 나누는 수정 방식을 나타내며, 현재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1 수정 포락)은 수정 이전의 시간 포락의 1/2이 되도록 감소된다. 즉,
Figure 112011037321338-pct00006
tEnv[i]'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을 나타내며, tEnv[i]는 수정 이전의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을 나타낸다.
단계 2709에서,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값
Figure 112011037321338-pct00007
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08
단계 2711에서는,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값
Figure 112011037321338-pct00009
를, 미리 정한 기준 값과 비교한다. 본 실시예의 미리 정한 기준 값은 참조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의 1/2이다. 즉,
Figure 112011037321338-pct00010
이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11
이면, 단계 2713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이 수정되지 않고, 단계 2719가 수행된다.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값과 미리 정한 기준 값 간의 차분이 크면, 원래 신호의 최대 시간 포락에 대응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이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급격하게 변화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복원된 신호가 원래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브프레임이 수정될 수 있다.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값과 미리 정한 기준값 간의 차분이 작으면, 원래 신호의 최대 시간 포락에 대응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이 이후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서브프레임은 수정되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한 기준 값은 과도 신호의 최대 시간 포락의 1/3 내지 3/5이 된다.
단계 2713에서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참조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와 비교해서, 현재 서브프레임이 참조 서브프레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현재 서브프레임이 참조 서브프레임이면, 단계 2715가 수행되며, 현재 서브프레임이 참조 서브프레임이 아니면, 단계 2717이 수행된다.
단계 2715에서, 참조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에 대하여, 진폭 값을 증가시키는 수정이 수행되어, 제2 수정 포락을 취득하고, 단계 2719를 수행한다.
도 3은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값을
Figure 112011037321338-pct00012
로 승산하는 수정 방식을 나타낸다. 참조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수정 포락)이 수정 이전의 시간 포락에 비해
Figure 112011037321338-pct00013
배가 되도록 증가한다. 즉,
Figure 112011037321338-pct00014
tEnv[pos]'는 참조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을 나타내고, tEnv[pos]는 수정 이전의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을 나타낸다.
단계 2717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에 대하여 진폭 값을 감소시키는 수정이 수행되어, 제3 수정 포락을 구하고, 단계 2719를 수행한다. 진폭 값이 감소되는 비율은,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참조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그 차분이 크면, 진폭 값이 감소되는 비율을 작은 값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진폭 값이 감소되는 비율을 큰 값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값을 2로 나누는 수정 방식을 나타낸다. 현재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3 수정 포락)이 수정 이전의 시간 포락에 비해 1/2이 되도록 감소된다. 즉,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15
tEnv[i]'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을 나타내며, tEnv[i]는 수정 이전의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을 나타낸다.
단계 2719에서는, 단계 2707에서 취득한 제1 수정 포락, 단계 2715에서 취득한 제2 수정 포락, 및 단계 2717에서 취득한 제3 수정 포락을 조합하여, 과도 신호의 수정된 시간 포락을 취득할 수 있다.
단계 2701 내지 단계 2719를 통해,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의 수정이 완료되고, 과도 신호의 수정된 시간 포락을 취득한다.
단계 211에서, 입력 신호에서의 고주파 대역 신호에 대하여 시간-주파수 변환을 수행항, 고주파 대역 신호의 주파수 영역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과도 신호의 주파수 영역 포락을 취득하면,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신호가, 고속 푸리에 변환(FFT)이나 수정된 이산 코사인 변환(MDCT: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등의 변환 방법을 사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되어, 주파수 영역에서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단계 211 및 단계 25의 시간 순서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단계 213에서, 주파수 영역 신호의 각 서브대역의 주파수 영역 포락을 계산하여, 고주파 대역 신호의 주파수 영역 포락을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영역 포락은, 주파수 영역 신호를 하나 이상의 서브대역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서브대역의 에너지 정보를 취득하거나, 각 서브대역의 에너지 정보의 제곱근을 취득하고, 취득한 에너지 정보의 제곱근 또는 취득한 에너지 정보를 사용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의 스펙트럼 파형 특성 또는 진폭 추세를 개략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파수 영역 신호는 하나 이상의 서브대역으로 분할되고, 각 서브대역의 에너지 정보 또는 각 서브대역의 에너지 정보의 제곱근이 취득되며, 주파수 영역 신호의 각 서브대역의 주파수 영역 포락이, 취득한 에너지 정보 또는 취득한 에너지 정보의 제곱근을 사용하여 취득된다.
단계 215에서, 고주파 대역 신호의 취득한 주파수 영역 포락을 정량화한 다음, 비트스트림에 추가하고, 단계 217을 수행한다.
단계 217에서, 저주파 대역 신호의 파라미터가 추가된 비트스트림, 고주파 대역 신호의 신호 타입 정보, 주파수 영역 포락, 및 수정된 시간 포락이 복호화 측으로 전송되며, 신호 타입 정보는 현재 부호화되는 신호가 과도 신호인지 아니면 비과도 신호인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구성되고, 복호화 측은 이러한 신호 타입 정보에 따라 복호화된 현재 신호의 타입을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의 고주파 대역 신호의 신호 타입이 판정된 경우, 고주파 대역 신호에서 여러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의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과도 신호의 식별이 수행된다. 따라서, 과도 신호의 식별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과도 신호가 입력 고주파 대역 신호와 더 정확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분리된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이 수정되고, 과도 신호의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들 간의 차분이 더 구분가능하게 됨으로써,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1에서, 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미리 취득한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즉,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한다. 이 서브프레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참조 서브프레임이다.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의 수정은 부호화 측에서 또는 복호화 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간 포락은 복호화 측에서 과도 신호의 특성에 따라 수정된다. 이에 따라, 수정된 시간 포락에서, 과도 신호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다른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의 구분이 더 명확하게 되어, 과도 신호의 특성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단계 43에서,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은,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된다. 제1 차분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이다.
제1 임계값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원래의 진폭 값의 1/8 내지 1/2까지 감소시키는 단계와,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조정된 진폭 값과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을, 상기 차분을 제1 임계값으로 사용하여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해결방안에 기초하여, 시간 포락의 조정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 진폭 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평균 진폭 값이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제2 차분이 미리 정한 제2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차분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이다.
미리 정한 기준 값은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의 1/3 내지 3/5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2 임계값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원래의 진폭 값의 1/8 내지 1/2까지 감소시키는 단계와,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조정된 진폭 값과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을, 상기 차분을 제2 임계값으로 사용하여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참조 서브프레임 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조정한 후에, 본 기술적 해결방안에서 시간 영역 신호의 조정은,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한 제3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임계값은,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에 상당하도록, 예를 들어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에 비해 0.8배 내지 1.2배가 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단계 45에서, 미리 취득된 시간 영역 신호를 조정된 시간 포락에 따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부호화 측으로부터의 비트스트림이 복호화되어, 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신호의 각 서브대역의 주파수 영역 포락을 취득할 수 있다. 비정규화된 저주파 대역 주파수 영역 신호 또는 랜덤 노이즈로부터 주파수 영역 여기 신호(frequency-domain excitation signal)가 취득되고, 주파수 영역 신호는 주파수 영역 여기 신호와 주파수 영역 포락에 따라 생성되며, 주파수 영역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시간 변환이 수행되어 시간 영역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이어서, 수정된 시간 포락에 따라 시간 영역 신호가 수정되고, 과도 신호가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다.
본 실시예에서,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은 복호화 측에서 수정되는데, 수정된 시간 포락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다른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의 구분이 더 명확하게 됨으로써, 과도 신호의 특성이 강조되고, 이에 따라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1에서, 부호화 측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이 복호화되어, 고주파 대역 신호의 신호 타입 정보와 시간 포락을 취득한다. 신호 타입이 과도 신호이면, 단계 52를 수행한다. 신호 타입이 비과도 신호이면, 단계 518을 수행한다.
단계 52에서, 취득한 신호 타입 정보에 의해 신호 타입이 과도 신호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시간 포락이 수정되어, 수정된 시간 포락을 취득할 수 있고, 단계 518을 수행한다.
과도 신호의 특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현재 신호 타입이 과도 신호인 경우, 시간 포락이 수정된다.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에 대하여 진폭 값을 증가시키는 수정이 수행되거나, 및/또는 다른 시간 포락에 대하여 진폭 값을 감소시키는 수정이 행해진다. 단계 52는 단계 5201 내지 단계 521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을 수정하는 복호화 측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재 신호 타입이 과도 신호이면, 복호화 측에 의해 시간 포락에 대하여 행해지는 수정은 단계 5201 내지 단계 5219를 포함한다.
단계 5201에서, 부호화 측으로부터 비트스트림이 복호화되어, 고주파 대역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과 신호 타입 정보를 취득한다. 신호 타입 정보가, 비트스트림 내의 현재 신호의 타입이 과도 신호라는 것을 나타내면, 단계 5203을 수행하여, 시간 포락을 수정한다. 비트스트림 내의 현재 신호의 타입이 비과도 신호라는 것을 신호 타입 정보가 나타내는 경우, 종래기술의 복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비과도 신호를 복원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복호화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단계 5203에서, 단계 5201에서 취득한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을 검색함으로써,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서브프레임과 이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이 서브프레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참조 서브프레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참조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pos"라고 표현한다.
단계 5205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i)를 참조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pos)와 비교한다. 현재 서브프레임이 참조 서브프레임보다 이전에 있다면(즉, i<pos), 단계 5207을 수행한다. 그렇지 않다면, 단계 5209를 수행한다.
단계 5207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에 대하여 진폭 값을 감소시키는 수정을 수행하여, 제1 수정 포락을 취득하고, 단계 5219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값을 4로 나누는 수정 방식을 사용하면, 현재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즉,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수정 포락)이 수정 이전의 시간 포락의 1/4까지 감소된다. 즉,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16
tEnv[i]'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을 나타내며, tEnv[i]는 수정 이전의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을 나타낸다.
단계 5209에서,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 값
Figure 112011037321338-pct00017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18
단계 5211에서,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 값
Figure 112011037321338-pct00019
를 미리 정한 기준 값과 비교한다. 본 실시예의 미리 정한 기준 값은 참조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의 1/4이다. 즉,
Figure 112011037321338-pct00020
이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21
이면, 단계 5213을 수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이 수정되지 않고, 단계 5219를 수행한다.
단계 5213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참조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과 비교해서, 현재 서브프레임이 참조 서브프레임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현재 서브프레임이 참조 서브프레임이면, 단계 5215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5217을 수행한다.
단계 5215에서, 참조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에 대하여 진폭 값을 증가시키는 수정을 수행하여, 제2 수정 포락을 취득하고, 단계 5219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값을
Figure 112011037321338-pct00022
만큼 승산하는 수정을 수행한다. 참조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즉, 본 실시예에서의 제2 수정 포락)이 수정 이전의 시간 포락에 비해
Figure 112011037321338-pct00023
배가 되도록 증가한다. 즉,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24
tEnv[pos]'는 참조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을 나타내며, tEnv[pos]는 수정 이전의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을 나타낸다.
단계 5217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에 대하여 진폭 값을 감소시키는 수정을 수행하여, 제3 수정 포락을 취득하고, 단계 5219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값을 4로 나누는 수정을 사용함으로써, 현재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본 실시예에서의 제3 수정 포락)이 수정 이전의 시간 포락의 1/4까지 감소된다. 즉,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25
tEnv[i]'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수정된 시간 포락을 나타내며, tEnv[i]는 수정 이전의 현재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을 나타낸다.
단계 5219에서, 단계 5207에서 취득한 제1 수정 포락, 단계 5215에서 취득한 제2 수정 포락, 단계 5217에서 취득한 제3 수정 포락, 및 단계 5211에서의 수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며 시간 영역 수정되지 않는 시간 포락을 조합하여, 과도 신호의 수정 시간 포락을 취득할 수 있다.
단계 5201 내지 단계 5219에 의해,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의 수정이 완료되고, 과도 신호의 수정된 시간 포락을 얻을 수 있다.
단계 53에서, 비트스트림이 부호화 측으로부터 복호화되어, 저주파 대역 신호를 얻을 수 있으며, 단계 519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트스트림 내의 저주파 대역 신호는 복호화기(decoder)에 의해 복호화된다.
단계 51 및 단계 53의 시간 순서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단계 55에서, 고주파 대역 신호의 주파수 영역 여기 신호를 생성한다.
고주파 대역 신호의 주파수 영역 여기 신호를, 정규화된 저주파 대역 주파수 영역 신호 또는 랜덤 노이즈로부터 구한다.
단계 57에서, 부호화 측으로부터의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고주파 대역 신호의 각 서브대역의 주파수 영역 포락을 구한다.
단계 55와 단계 57의 시간 순서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단계 59에서, 주파수 영역 여기 신호는 고주파 대역 신호의 각 서브대역의 주파수 영역 포락을 사용하여 수정된다.
이러한 수정의 목적은 복원된 주파수 스펙트럼의 에너지가 실제의 고주파 대역 스펙트럼의 에너지와 상당하도록 하는 것이다.
단계 511에서, 고주파 대역 주파수 영역 신호가 수정된 주파수 영역 여기 신호에 의해 생성되고, 고주파 대역 주파수 영역 신호는 이하의 식 5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26
식 5에서, exc[i]는 주파수 영역 여기 신호를 나타내며, fEnv[j]는 주파수 영역 포락을 나타내고, spectrum[i]는 고주파 대역 주파수 영역 신호를 나타낸다.
단계 513에서, 생성된 고주파 대역 주파수 영역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시간 변환이 수행된다.
단계 515에서, 시간 영역 신호를 생성한다. 고주파 대역 신호의 타입이 과도 신호이면, 단계 516을 수행하고, 고주파 대역 신호가 비과도 신호이면, 단계 517을 수행한다.
단계 516에서, 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시간 영역 신호를 조정해서, 조정된 시간 영역 신호 signal'[i]를 구한다.
참조 서브프레임에서 미리 정한 수의 샘플링 포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샘플링 포인트 각각의 신호 진폭을, 제5 차분이 제7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한다. 제5 차분은 선택된 샘플링 포인트의 각각의 신호 진폭 값과 참조 서브프레임의 최대 진폭 값 간의 차분이다.
제7 임계값은, 선택된 샘플링 포인트의 진폭을 원래의 진폭의 1/2까지 감소시키는 단계와, 샘플링 포인트의 조정된 진폭과 참조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샘플링 포인트의 진폭 주에서 최대 진폭 사이의 차분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최대 진폭을 갖는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서브프레임 내에 포함된 미리 정한 수의 샘플링 포인트가 선택되고, 샘플링 포인트의 신호 진폭이 감소함으로써, 시간 영역 신호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할 필요가 있는 미리 정한 수의 샘플링 포인트와 시간 영역 신호의 조정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주로 원래의 입력 신호의 특성에 좌우된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 신호의 조정 동안,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이 위치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미리 정한 수의 샘플링 포인트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는데, 예를 들어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이 위치한 참조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신호에 포함되는 제1 1/4 서브프레임 길이 내의 샘플링 포인트가 선택되고, 선택된 샘플링 포인트의 진폭 값을 2로 나눈다. 부호화 측 및 복호화 측에서 플래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다수의 비트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이들 비트 위치는 플래그 정보를 복호화 측으로 전달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 측이 플래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비트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복호화 측에서는 플래그 비트에 따라 미리 정한 수의 샘플링 포인트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측이 플래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비트 위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 복호화 측에서는 수신된 플래그 비트에 따라, 샘플링 포인트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부호화 측이 플래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충분한 비트 위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 복호화 측에서는 수신된 플래그 정보에 따라 각각의 샘플링 포인트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시간 영역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간 포락의 수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이 수정되지 않은 경우에, 시간 영역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은 종래 기술의 과도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과도 신호의 특성이 강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도 신호의 복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517에서는,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 signal'[i]를 정규화한다.
단계 518에서는, 단계 52에서 취득한 수정된 시간 포락을 사용하여, 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정규화된 시간 영역 신호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구할 수 있다. 단계 51에서 취득한 비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시간 포락 신호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시간 영역 신호를 수정함으로써, 복원된 비과도 신호를 구할 수 있다.
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정규화된 시간 영역 신호를 이하의 식 6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1037321338-pct00027
식 6에서, signal'[i]는 수정된 시간 영역 신호를 나타내며, tEnv[j]는 수정된 시간 포락을 나타내며, tEnv[j]'는 수정된 시간 영역 신호(signal'[i])의 시간 포락을 나타내고, sinal[i]는 고주파 대역 신호의 시간 영역 신호를 나타낸다.
단계 519에서, 복원된 저주파 대역 신호 및 고주파 대역 신호를 조합하여, 출력 광대역 주파수 신호를 구할 수 있다. 복원된 고주파 대역 신호는 복원된 과도 신호와 복원된 비과도 신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51, 단계 57, 및 단계 53의 시간 순서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 복호화 측에서의 복호화에 의해 구한 고주파 대역 신호 중의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을 수정함으로써,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들 사이의 차분의 구분이 더 명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시간 포락을 사용하여 시간 영역 신호를 수정하기 전에, 최대 시간 포락을 갖는 서브프레임의 시간 영역 신호 이전의 샘플링 포인트의 진폭이 감소하고, 과도 신호의 특성이 강조된다. 이에 따라, 출력 신호에서의 과도 신호의 출력 효과가 향상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는, 참조 서브프레임 취득 모듈(71), 제1 진폭 값 조정 모듈(72), 및 비트스트림 기입 모듈(73)을 포함한다.
참조 서브프레임 취득 모듈(71)은 입력 과도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즉,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한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한다.
제1 진폭 값 조정 모듈(72)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한다. 제1 차분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이다. 제1 임계값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원래의 진폭 값의 1/8 내지 1/2까지 감소시키는 단계와,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조정된 진폭 값과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을, 이 차분을 제1 임계값으로 사용하여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 기입 모듈(73)은 조정된 시간 포락을 비트스트림에 기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방안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의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는, 평균 진폭 값 계산 모듈(74), 제2 진폭 값 조정 모듈(75), 및 제3 진폭 값 조정 모듈(76)을 포함한다.
평균 진폭 값 계산 모듈(74)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 진폭 값을 계산한다.
제2 진폭 값 조정 모듈(75)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평균 진폭 값이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에, 제2 차분이 미리 정한 제2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한다. 제2 차분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이다. 미리 정한 기준 값은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의 1/3 내지 3/5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2 임계값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원래의 진폭 값의 1/8 내지 1/2까지 감소시키는 단계와,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조정된 진폭 값과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을 취득하는 단계와, 차분을 제2 임계값으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3 진폭 값 조정 모듈(76)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조정한 후에,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한 제3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한다. 제3 임계값은,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에 상당하도록, 예를 들어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보다 0.8배 내지 1.2배가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을 미세하게 부호화하는 처리 과정에서, 제1 진폭 값 조정 모듈은 과도 신호의 특성에 따라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을 수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과도 신호에 의해 포함된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들 사이의 차분의 구분이 더 명확해짐으로써,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의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는 신호 타입 판정 모듈(77)을 더 포함한다.
신호 타입 판정 모듈(77)은 입력 신호의 신호 타입을 판정하고 신호 타입 정보를 부호화 비트스트림에 기입한다. 이 신호 타입은 과도 신호 또는 비과도 신호를 포함한다.
신호 타입 판정 모듈(77)은 긴 프레임 평균 에너지 계산 유닛(771), 서브프레임 평균 에너지 계산 유닛(772), 차분 계산 유닛(773), 및 신호 타입 판정 유닛(774)을 포함할 수 있다.
긴 프레임 평균 에너지 계산 유닛(771)은 입력 신호에 미리 정한 수의 연속하는 프레임을 갖는 긴 프레임을 형성하고,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를 계산한다.
서브프레임 평균 에너지 계산 유닛(772)은 긴 프레임을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분리하고, 각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를 계산한다.
차분 계산 유닛(773)은 제3 차분과 제4 차분을 각각 계산한다. 제3 차분은 각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와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간의 최대 차분이다. 제4 차분은 2개의 연속하는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간의 최대 차분이다.
신호 타입 판정 유닛(774)은,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가 제4 임계값보다 크고, 제3 차분은 제5 차분보다 크며, 제4 차분이 제6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입력 신호가 과도 신호라고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입력 신호가 비과도 신호라고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고주파 대역 신호의 신호 타입이 결정되면, 고주파 대역 신호에서의 여러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의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과도 신호의 식별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과도 신호의 식별의 정확도가 향상되고, 과도 신호는 입력된 고주파 대역 신호로부터 더 정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분리된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은, 과도 신호의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들 사이의 차분의 구분이 더 명확해지도록 수정됨으로써,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는, 참조 서브프레임 취득 모듈(91), 제1 진폭 값 조정 모듈(92), 및 시간 영역 신호 수정 모듈(93)을 포함한다.
참조 서브프레임 취득 모듈(91)은 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미리 취득한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즉,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한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한다.
제1 진폭 값 조정 모듈(92)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한다. 제1 차분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분이다.
시간 영역 신호 수정 모듈(93)은, 조정된 시간 포락에 따라 미리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호화 측에서 시간 포락 수정 모듈에 의해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이 수정된다. 이 수정된 시간 포락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가진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다른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의 구분이 더 명확해짐으로써, 과도 신호의 특성을 강조하여,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는, 평균 진폭 값 계산 모듈(94), 제2 진폭 값 조정 모듈(95), 및 제3 진폭 값 조정 모듈(96)을 더 포함한다.
평균 진폭 값 계산 모듈(94)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 진폭 값을 계산한다.
제2 진폭 값 조정 모듈(95)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평균 진폭 값이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 제2 차분이 미리 정한 제2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한다. 제2 차분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이다.
제3 진폭 값 조정 모듈(96)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이 조정된 후에,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한 제3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의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는 시간 영역 신호 조정 모듈(9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영역 신호 조정 모듈(97)은 참조 서브프레임에서 미리 정한 수의 샘플링 포인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샘플링 포인트의 각각의 신호 진폭을, 제5 차분이 제7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한다. 제5 차분은 선택된 샘플링 포인트의 각각의 신호 진폭 값과 참조 서브프레임의 최대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복호화 측에서의 복호화에 의해 취득한 고주파 대역 신호에서의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시간 포락을, 과도 신호에 대응하는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들 사이의 차분의 구분이 더 명확해지도록 수정됨으로써,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시간 영역 신호가 시간 포락을 사용하여 수정되기 전에, 최대 시간 포락을 가진 서브프레임의 시간 영역 신호 이전의 샘플링 포인트의 진폭이 감소함으로써, 과도 신호의 특성을 강조하게 되고, 이에 의해 출력 신호에서의 과도 신호의 출력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의한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은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111) 및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112)를 포함한다.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의 수정은 부호화 측에서 수행될 수 있다.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111)는 입력 과도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즉,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하고,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며, 조정된 시간 포락을 비트스트림에 기입한다. 제1 차분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이다.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112)는 수신한 비트스트림의 시간 포락에 따라, 미리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은 부호화 측에서 수정되며, 과도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다른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이 확장됨으로써, 과도 신호의 특성이 강조된다. 이에 따라,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의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111)의 구체적으로 설명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의 수정의 구체적인 원리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중복해서 설명하지 않는다.
대안으로서,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의 수정은 복호화 측에서 수행될 수 있다.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111)는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을 비트스트림에 기입한다.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112)는,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수신한 비트스트림 중의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취득하고,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며, 조정한 시간 포락에 따라, 미리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취득한다. 제1 차분은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은 복호화 측에서 수정되고, 과도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다른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분이 확대되어, 과도 신호의 특성이 강조됨으로써, 복호화 측에서 복원된 과도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112)의 구체적인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고, 과도 신호의 시간 포락의 수정의 구체적인 원리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므로, 중복해서 설명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첨부 도면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첨부 도면의 모듈 또는 프로세스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의 모듈은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실시예의 장치에 분산될 수 있으며, 또는 본 실시예와 상이한 하나 이상의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실시예의 모듈은 하나의 모듈에 조합될 수 있거나, 다수의 서브 모듈로 분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실시예 중에서 우선순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의 일부 또는 모두는 프로그램 명령과 관련된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수행된다. 기억 매체는, ROM, RAM, 자기 디스크, 및 광 디스크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매체라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대응하는 기술적 해결방안의 요소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해결방안에 대하여 변경을 행할 수 있거나, 기술적 해결방안에서의 일부 기술적 특성에 대하여 등가의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과도 신호(transient signal)를 부호화(encoding)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과도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sub-frame)의 시간 포락(time envelope) 중에서 최대 진폭 값(maximal amplitude value)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maximal time envelope)가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reference sub-frame)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difference)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한 시간 포락을 비트스트림(bitstream)에 기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 진폭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평균 진폭 값이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2 차분이 미리 정한 제2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조정한 이후에,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average energy)가 미리 정한 제3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입력 신호의 신호 타입을 판정하는 단계; 및
    신호 타입 정보를 부호화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타입에는 과도 신호 또는 비과도 신호(non-transient signal)가 포함되는,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의 신호 타입을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에서 미리 정한 개수의 연속하는 프레임을 가진 긴 프레임(long frame)을 형성하고, 상기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긴 프레임을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평균 에너지를 계산하는 단계;
    각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와 상기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간의 최대 차에 해당하는 제3 차분과, 2개의 연속하는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간의 최대 차에 해당하는 제4 차분을 각각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가 제4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제3 차분이 제5 임계값보다 크며, 상기 제4 차분이 제6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 신호가 과도 신호라고 판정하고, 그외의 경우에는, 상기 입력 신호가 비과도 신호라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6. 과도 신호를 복호화(decoding)하는 방법에 있어서,
    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미리 취득한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간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조정한 시간 포락에 따라, 미리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time-domain signal)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취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 진폭 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평균 진폭 값이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2 차분이 미리 정한 제2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조정한 이후에,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한 제3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를 상기 조정한 시간 포락에 따라 수정하기 전에,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내에서 미리 정한 개수의 샘플링 포인트(sampling point)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샘플링 포인트의 각각의 신호 진폭을, 상기 선택한 샘플링 포인트의 각각의 신호 진폭 값과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의 최대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5 차분이 제7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10. 과도 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과도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하는 참조 서브프레임 취득(reference sub-frame obtaining) 모듈;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제1 진폭 값 조정(amplitude value adjusting) 모듈; 및
    조정한 시간 포락을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는 비트스트림 기입(bitstream writing)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 진폭 값을 계산하는 평균 진폭 값 계산(average amplitude value calculation) 모듈; 및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평균 진폭 값이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2 차분이 미리 정한 제2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제2 진폭 값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외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조정한 이후에, 상기 과도 신호의 각 서브프레임의 조정된 시간 포락의 평균 에너지가 미리 정한 제3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제3 진폭 값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는, 상기 입력 신호의 신호 타입을 판정하고, 신호 타입 정보를 부호화 비트스트림에 기입하는 신호 타입 판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타입에는 과도 신호 또는 비과도 신호(non-transient signal)가 포함되는,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타입 판정 모듈은,
    상기 입력 신호 중에서 미리 정한 개수의 연속하는 프레임을 갖는 긴 프레임(long frame)을 형성하고, 상기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를 계산하는 긴 프레임 평균 에너지 계산(long frame average energy calculation) 유닛;
    상기 긴 프레임을 다수의 서브프레임으로 분리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평균 에너지를 계산하는 서브프레임 평균 에너지 계산(sub-frame aveage energy calculation) 유닛;
    각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와 상기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사이의 최대 차에 해당하는 제3 차분과, 2개의 연속하는 서브프레임의 평균 에너지 사이의 최대 차에 해당하는 제4 차분을 각각 계산하는 차분 계산(difference calculation) 유닛; 및
    상기 긴 프레임의 평균 에너지가 제4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제3 차분이 제5 임계값보다 크며, 상기 제4 차분이 제6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입력 신호가 과도 신호라고 판정하며, 그외의 경우에는 상기 입력 신호가 비과도 신호라고 판정하는 신호 타입 판정(signal type determination) 유닛을 포함하는, 과도 신호 부호화 장치.
  15. 과도 신호를 복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과도 신호의 신호 타입을 갖는 미리 취득한 신호의 모든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 중에서 최대 진폭 값을 갖는 최대 시간 포락이 위치하는 참조 서브프레임을 취득하는 참조 서브프레임 취득(reference sub-frame obtaining) 모듈;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1 차분이 미리 정한 제1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제1 진폭 값 조정 모듈; 및
    조정한 시간 포락에 따라, 미리 취득한 시간 영역 신호를 수정하여, 복원된 과도 신호를 취득하는 시간 영역 신호 수정(time-domain signal modification)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평균 진폭 값을 계산하는 평균 진폭 값 계산 모듈; 및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을, 상기 평균 진폭 값이 미리 정한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상기 참조 서브프레임 이후의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포락의 진폭 값과 상기 최대 시간 포락의 진폭 값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2 차분이 미리 정한 제2 임계값보다 크도록 조정하는 제2 진폭 값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과도 신호 복호화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7011364A 2008-12-29 2009-12-29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 KR101168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2470097A CN101770776B (zh) 2008-12-29 2008-12-29 瞬态信号的编码方法和装置、解码方法和装置及处理系统
CN200810247009.7 2008-12-29
PCT/CN2009/076194 WO2010078816A1 (zh) 2008-12-29 2009-12-29 瞬态信号的编码方法和装置、解码方法和装置及处理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962A KR20110084962A (ko) 2011-07-26
KR101168645B1 true KR101168645B1 (ko) 2012-07-25

Family

ID=4231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364A KR101168645B1 (ko) 2008-12-29 2009-12-29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063809B2 (ko)
EP (4) EP2352145B1 (ko)
JP (2) JP5281169B2 (ko)
KR (1) KR101168645B1 (ko)
CN (1) CN101770776B (ko)
ES (2) ES2540075T3 (ko)
FI (1) FI3910630T3 (ko)
HU (1) HUE062878T2 (ko)
PL (1) PL3910630T3 (ko)
PT (1) PT3910630T (ko)
WO (1) WO20100788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63856B (zh) * 2008-12-23 2011-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分类处理方法、分类处理装置及编码系统
CN101770776B (zh) 2008-12-29 201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瞬态信号的编码方法和装置、解码方法和装置及处理系统
JP5754899B2 (ja) 2009-10-07 2015-07-29 ソニー株式会社 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850216B2 (ja) 2010-04-13 2016-02-03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609737B2 (ja) 2010-04-13 2014-10-22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075743B2 (ja) 2010-08-03 2017-02-08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762158B2 (en) * 2010-08-06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coding method and decoding apparatus therefor
CN102436820B (zh) 2010-09-29 2013-08-28 华为技术有限公司 高频带信号编码方法及装置、高频带信号解码方法及装置
JP5707842B2 (ja) 2010-10-15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466764B (zh) * 2010-11-03 2015-08-19 北京普源精电科技有限公司 一种频谱超限测量模板的生成方法和装置
DE102011011530B4 (de) * 2011-02-17 2013-05-08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Verfahren zur Reduktion von Ultraschalldaten
JP5807453B2 (ja) * 2011-08-30 2015-11-10 富士通株式会社 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プログラム
JP6200034B2 (ja) * 2012-04-27 2017-09-20 株式会社Nttドコモ 音声復号装置
EP2972503A4 (en) * 2013-03-14 2016-10-26 Inova Ltd SOURCE ENCODERS THAT CAN BE CONFIGURED FOR SEISMIC SYSTEMS
US9530422B2 (en) 2013-06-27 2016-12-2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Bitstream syntax for spatial voice coding
WO2015017223A1 (en) * 2013-07-29 2015-02-0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emporal artifacts for transient signals in a decorrelator circuit
US9666202B2 (en) 2013-09-10 2017-05-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daptive bandwidth extens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875746B2 (en) 2013-09-19 2018-01-23 Sony Corporation Encoding device and method, decod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CA3162763A1 (en) 2013-12-27 2015-07-02 Sony Corporation 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CN105096957B (zh) 2014-04-29 2016-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信号的方法及设备
US9697843B2 (en) * 2014-04-30 2017-07-04 Qualcomm Incorporated High band excitation signal generation
WO2016093508A1 (ko) 2014-12-08 201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95269B2 (en) * 2015-01-19 2017-03-14 Qualcomm Incorporated Scaling for gain shape circuitry
RU2679254C1 (ru) 2015-02-26 2019-02-06 Фраунхофер-Гезелльшафт Цур Фердерунг Дер Ангевандтен Форшунг Е.Ф.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бработки аудиосигнал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работанного аудиосигна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целевой огибающей во временной области
CN106126164B (zh) * 2016-06-16 2019-05-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效处理方法及终端设备
US10381020B2 (en) * 2017-06-16 2019-08-13 Apple Inc. Speech model-based neural network-assisted signal enhancement
JP7426772B2 (ja) 2018-07-25 2024-02-02 株式会社プロテリアル 巻磁心の製造方法および巻磁心
CN112629637B (zh) * 2020-11-27 2021-10-26 华南理工大学 一种高频底座力天平信号的时域校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4369B1 (en) 1998-07-02 2001-11-06 Kabushikikaisha Equos Research Communications navigation system, and navigation base apparatus and navigation apparatus both used in the navigation system
WO2008138276A1 (fr) 2007-05-16 2008-11-20 Spreadtrum Communications (Shanghai) Co., Ltd. Dispositif et procédé de codage et de décodage d'audiofréquen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9082A (en) * 1989-09-11 1993-03-30 U.S. Philips Corp. Method of detecting an amplitude transient in a field of elements having a multivalent amplitude distribution, device suitable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video system including the device
US5960390A (en) * 1995-10-05 1999-09-28 Sony Corporation Coding method for using multi channel audio signals
US5659622A (en) 1995-11-13 1997-08-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nois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825320A (en) * 1996-03-19 1998-10-20 Sony Corporation Gain control method for audio encoding device
DE19647399C1 (de) * 1996-11-15 1998-07-02 Fraunhofer Ges Forschung Gehörangepaßte Qualitätsbeurteilung von Audiotestsignalen
US6122610A (en) 1998-09-23 2000-09-19 Verance Corporation Noise suppression for low bitrate speech coder
US6314396B1 (en) * 1998-11-06 2001-1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gain control in a speech recognition system
ATE369600T1 (de) * 2000-03-15 2007-08-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aguerre funktion für audiokodierung
AU2001276588A1 (en) * 2001-01-11 2002-07-24 K. P. P. Kalyan Chakravarthy Adaptive-block-length audio coder
EP1386312B1 (en) * 2001-05-10 2008-02-20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Improving transient performance of low bit rate audio coding systems by reducing pre-noise
CN1165036C (zh) * 2001-11-02 2004-09-01 北京阜国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自适应阀值和典型样本预测的块长选择方法
JP2003216188A (ja) * 2002-01-25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オーディオ信号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3233395A (ja) * 2002-02-07 2003-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オーディオ信号の符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符号化及び復号化システム
JP2003271191A (ja) 2002-03-15 2003-09-25 Toshiba Corp 音声認識用雑音抑圧装置及び方法、音声認識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083449B2 (ja) 2002-03-19 2008-04-30 日鉱金属株式会社 CdTe単結晶の製造方法
SG108862A1 (en) 2002-07-24 2005-02-28 St Microelectronics Asia Method and system for parametric characterization of transient audio signals
JP4101123B2 (ja) * 2003-06-19 200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US7672838B1 (en) * 2003-12-01 2010-03-02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Systems and methods for speech recognition using frequency domain linear prediction polynomials to form temporal and spectral envelopes from frequency domain representations of signals
DE102004009954B4 (de) * 2004-03-01 2005-12-1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arbeiten eines Multikanalsignals
JP2008519991A (ja) 2004-11-09 2008-06-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音声の符号化及び復号化
US7627481B1 (en) * 2005-04-19 2009-12-01 Apple Inc. Adapting masking thresholds for encoding a low frequency transient signal in audio data
KR100803205B1 (ko) * 2005-07-15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비트율 오디오 신호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07079306A (ja) * 2005-09-15 2007-03-29 Victor Co Of Japan Ltd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音声信号処理方法
US7546237B2 (en) 2005-12-23 2009-06-09 Qnx Software Systems (Wavemakers), Inc. Bandwidth extension of narrowband speech
WO2008108702A1 (en) * 2007-03-02 2008-09-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n-causal postfilter
ES2898865T3 (es) * 2008-03-20 2022-03-09 Fraunhofer Ges Forschung Aparato y método para sintetizar una representación parametrizada de una señal de audio
CN101770776B (zh) 2008-12-29 201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瞬态信号的编码方法和装置、解码方法和装置及处理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4369B1 (en) 1998-07-02 2001-11-06 Kabushikikaisha Equos Research Communications navigation system, and navigation base apparatus and navigation apparatus both used in the navigation system
WO2008138276A1 (fr) 2007-05-16 2008-11-20 Spreadtrum Communications (Shanghai) Co., Ltd. Dispositif et procédé de codage et de décodage d'audiofréqu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0776B (zh) 2011-06-08
EP3910630B1 (en) 2023-04-19
EP2352145A4 (en) 2012-05-02
PL3910630T3 (pl) 2023-08-21
EP2808867A1 (en) 2014-12-03
WO2010078816A1 (zh) 2010-07-15
KR20110084962A (ko) 2011-07-26
PT3910630T (pt) 2023-07-19
JP2013156667A (ja) 2013-08-15
EP2352145B1 (en) 2015-04-01
US20110251846A1 (en) 2011-10-13
EP2352145A1 (en) 2011-08-03
ES2540075T3 (es) 2015-07-08
JP5281169B2 (ja) 2013-09-04
JP6110212B2 (ja) 2017-04-05
ES2948521T3 (es) 2023-09-13
EP3910630A1 (en) 2021-11-17
JP2012511184A (ja) 2012-05-17
HUE062878T2 (hu) 2023-12-28
EP4191583A1 (en) 2023-06-07
FI3910630T3 (fi) 2023-07-18
US8063809B2 (en) 2011-11-22
CN101770776A (zh)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645B1 (ko) 과도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과도 신호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및 과도 신호 처리 시스템
KR102367538B1 (ko) 다중 채널 신호 인코딩 방법 및 인코더
EP3010018B1 (en) Device and method for bandwidth extension for acoustic signals
RU244938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игнала
JP2016167081A (ja) 高度なスペクトラム拡張を使用して量子化ノイズを低減するための圧縮伸張装置および方法
AU20142115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requency enhancement signal using an energy limitation operation
CN102194458B (zh) 频带复制方法、装置及音频解码方法、系统
KR20150069919A (ko)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03325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audio signal
WO2017193551A1 (zh) 多声道信号的编码方法和编码器
TW201443888A (zh) 用於使用能量限制操作產生頻率增強信號之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