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564B1 -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564B1
KR101168564B1 KR1020120050791A KR20120050791A KR101168564B1 KR 101168564 B1 KR101168564 B1 KR 101168564B1 KR 1020120050791 A KR1020120050791 A KR 1020120050791A KR 20120050791 A KR20120050791 A KR 20120050791A KR 101168564 B1 KR101168564 B1 KR 10116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rrel
housing
see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우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영남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남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01B11/3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 G02B23/2461Illu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G02B23/2484Arrangements in relation to a camera or imag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망경의 원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배관의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에 결합되어 배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장착구가 구비되고 하부단이 상기 배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상,하부측에 제1투시부 및 제2투시부를 갖추어 상기 장착구에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는 경통; 상기 경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시부를 통해 획득된 상을 상기 제1투시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 및 상기 경통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시부의 전방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통은 상기 배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칩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일단에 자석이 구비된 강선와이어가 통과하는 'L'자 형상의 와이어배치홈이 벽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Inspection Apparatus for checking innerness of pipeline}
본 발명은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망경의 원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배관의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산업 기반 시설의 구조물 중 하나인 배관(pipeline)은 가스, 석유 등과 같은 각종 에너지 자원을 이송하여 적재적소에 이송 분배하기 위한 대표적인 설비이다.
이와 같은 각종 배관들은 각종 도시기반 시설 및 공장 시설로 석유, 가스 등과 같은 에너지 자원을 끊임없이 공급하여 주는 핵심 기반 시설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석유화학공장과 같은 대규모 플랜트에 설치된 배관들은 각종 화학 물질을 정제 및 처리할 수 있도록 이송시켜 주는 주요 설비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각종 시설물들에 배관 설비를 설치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 및 각종 화학 물질에 의한 부식, 외부 환경에 의한 작용 등으로 인해 배관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배관의 파손에 의해 내부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석유 및 화학 물질의 누출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가스 누출은 대형 가스 폭발 사고 등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경과한 배관은 주기적인 검사 및 교체를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정 기간이 경과한 배관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다 간편하고 쉬운 방법으로 배관에 접근 가능하며 배관 요소가 갖고 있는 입체적 형상에 적합한 주행을 통해 배관 내부를 이동하여 검사할 수 있는 로봇 등의 검사 장비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는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상당한 실정이다.
또한, 배관의 내부에 배관의 천공시 발생되는 칩과 같은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천공된 직하부는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나 천공부위에서 떨어진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존재유무의 파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제거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330200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측에 제2투시부가 구비된 경통을 배관의 내부로 삽입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어두운 배관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경통의 벽체에 와이어배치홈을 형성하여 자석이 달린 강선와이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칩과 같은 금속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에 결합되어 배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장착구가 구비되고 하부단이 상기 배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상,하부측에 제1투시부 및 제2투시부를 갖추어 상기 장착구에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는 경통; 상기 경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시부를 통해 획득된 상을 상기 제1투시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 및 상기 경통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시부의 전방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통은 상기 배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칩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일단에 자석이 구비된 강선와이어가 통과하는 'L'자 형상의 와이어배치홈이 벽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의 내부에는 장착링이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착링의 내부면과 경통의 외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돌기부 및 홈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측에 제2투시부가 구비된 경통을 배관의 내부로 삽입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어두운 배관 내부의 부식여부와 같은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통의 벽체에 와이어배치홈을 형성하여 자석이 달린 강선와이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칩과 같은 금속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100)는 잠망경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외부에서 확인이 어려운 배관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경통(120)이 배관(10)의 일측에 고정된 하우징(110)에 대해서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관의 직경에 상관없이 모든 방향에서 배관 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100)는 하우징(110), 경통(120), 반사면(123) 및 발광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구비되어 내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배관(10)(일례로, 도시가스의 메인관)에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하부측에 플랜지(미도시)나 나사부(114)가 구비되어 상기 배관(10)에 연결된 분기티(미도시)나 단조소켓(12) 등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관(10)의 천공된 부분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하우징(110)의 내부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100)는 하부측이 배관(10)과 연결되는 하우징(110)이 마련됨으로써 배관의 내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배관(10)에 기설치된 분기티나 단조소켓 등에 하우징(110)을 연결시켜 배관(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밀폐된 상부면에는 중앙영역에 일정면적을 갖는 장착구(112)가 마련되어 상기 경통(1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통(120)은 상기 장착구(112)에 결합되어 확인하고자 하는 배관(10)의 내부상태를 외부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측에 제1투시부(121) 가 구비되고 하부측에 제2투시부(122)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2투시부(122)로부터 입사된 상을 제1투시부(121)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12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투시부(121) 및 제2투시부(122)는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투시부(122)를 통해 획득된 상이 반사면(123)을 통해 제1투시부(121) 측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투시부(121)가 경통(120)의 상부단에 형성되고 제2투시부(122)가 경통의 하부 측부에 형성되어 서로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지만, 제1투시부(121) 및 제2투시부(122)가 각각 경통의 반대편 측부에 형성되어 180도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제1투시부(121) 및 제2투시부(122)가 경통(120)의 상부단과 하부단에 형성되어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한 다양한 각도를 갖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이 배관(10)에 연결된 상태에서 경통(120)의 하부에 형성된 제2투시부(122)는 배관(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대물구의 역할을 수행하며 경통(120)의 상부에 형성된 제1투시부(121)는 배관(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접안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투시부(121) 및 제2투시부(122)에는 경통(120)의 내부를 통하여 배관(10)내에서 유동되는 유체, 특히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소재의 막음판(12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통(120)은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서 회전 및 상,하부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구(112)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경통(120)은 하우징(110)에 대해서 회전 및 상,하부 수직이동이 용이하도록 베어링(150)을 매개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150)은 내륜(153), 외륜(151) 및 내륜(153)과 외륜(151)의 사이에 볼(152)이 배치되는 볼 베어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150)의 내부에는 환형의 장착링(154)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경통(120)의 외부면이 상기 장착링(154)의 내부면에 면접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링(154)의 내부면과 경통(12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돌기부(155) 및 홈부(125)가 구비되어 상기 돌기부(155) 및 홈부(125)를 통해 밀착결합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경통(120)을 잡고 경통(120)을 회전시키게 되면 돌기부(155) 및 홈부(125)가 서로 맞물려 상기 장착링(154)에 의해 내륜(153)이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의 수직이동시에도 경통(120)에 형성된 홈부(125)가 장착링의 돌기부(155)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부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확인하고자 하는 배관(10)에 하우징(110)을 고정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경통(120)을 하부로 수직이동시킴으로써 배관(10)의 크기에 상관없이 배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경통(120)의 회전을 통해 배관내부의 전,후,좌,우 모든 방향에서 배관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통(120)의 외부면에 홈부(125)가 구비되고 장착링(154)의 내부면에 돌기부(155)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역으로 경통의 외부면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장착링의 내부면에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경통(120)의 하부측,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제2투시부(122)의 상부측에는 제2투시부(122)의 전방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140)는 저전력, 고휘도의 엘이디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투시부(122)의 전방측 뿐만 아니라 경통(120) 주위를 모두 밝힐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경통(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부(140)는 경통(120)의 상부측에 마련된 전원부(142)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부에 내장된 충전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원부에 마련된 스위치(143)의 조작을 통하여 온/오프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배관(10)의 내부가 어두워 상태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발광부(140)를 작동시켜 제2투시부(122)의 전방측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제2투시부(122) 측으로 배관내부의 영상이 전달된다. 이후, 제2투시부(122) 측으로 입사된 배관내부의 영상은 경통(120)의 내부에 마련된 반사면(123)을 통해 제1투시부(121)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작업자는 배관의 외부에서 배관내부의 상태(부식상태, 용접상태 등)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면(123)은 제2투시부(122)를 통해 입사된 상이 상기 제1투시부(121) 측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거울(130)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확인 및 검사 장치(100)는 상기 경통(120)의 벽체에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와이어배치홈(12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배치홈(126)은 상기 벽체의 내부에 관통형성되어 일정굵기를 갖는 강선와이어(160)가 통과된다. 상기 강선와이어(160)의 단부에는 자석(162)이 구비되어 배관 내에 존재하는 금속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내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배관이 도시가스가 수송되는 가스관인 경우를 일예로써 설명하면, 상기 가스관은 분기작업을 위하여 주배관을 천공한 후 천공된 부분에 분기티를 설치함으로써 분기티를 통하여 주배관으로부터 각 사용처로 도시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주배관의 천공 과정에서 칩이 발생되어 주배관의 내부에 쌓이게 된다. 이후, 천공 후 주배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칩을 제거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천공부위의 직하부나 그 주위에 존재하는 칩의 제거는 비교적 잘 이루어지지만 천공부위에서 떨어진 부분에 잔존하는 칩은 제거가 안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에 따라, 주배관의 가스공급을 차단하기 위하여 주배관 내로 가스백을 설치하는 경우 가스백이 주배관 내에 잔존하는 칩에 의해 파손되어 다량의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위험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단부에 자석(162)이 구비된 강선와이어(160)가 경통(120)의 와이어배치홈(126)에 구비됨으로써 제2투시부(122), 반사면(123) 및 제1투시부(121)를 통하여 배관의 내부를 확인한 후 배관 내에 칩과 같은 금속성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칩이 상기 자석(162)에 들러붙게 함으로써 천공부위에서 떨어진 이물질의 확인 및 제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측에 제2투시부가 구비된 경통을 배관의 내부로 삽입하여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어두운 배관 내부의 부식여부와 같은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통의 벽체에 와이어배치홈을 형성하여 자석이 달린 강선와이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칩과 같은 금속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설계변형 또는 수정을 통한 등가물, 변형물 및 교체물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0 : 배관 12 : 단조소켓
100 :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장치 110 : 하우징
112 : 장착구 114 : 나사부
120 : 경통 121 : 제1투시부
122 : 제2투시부 123 : 반사면
124 : 막음판 125 : 홈부
126 : 와이어배치홈 130 : 반사거울
140 : 발광부 142 : 전원부
143 : 스위치 150 : 베어링
151 : 외륜 152 : 볼
153 : 내륜 154 : 장착링
155 : 돌기부 160 : 강선와이어
162 : 자석

Claims (3)

  1. 유체가 유동되는 배관에 결합되어 배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장착구가 구비되고 하부단이 상기 배관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상,하부측에 제1투시부 및 제2투시부를 갖추어 상기 장착구에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는 경통;
    상기 경통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시부를 통해 획득된 상을 상기 제1투시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면; 및
    상기 경통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시부의 전방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통은 상기 배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칩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일단에 자석이 구비된 강선와이어가 통과하는 'L'자 형상의 와이어배치홈이 벽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의 내부에는 장착링이 추가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착링의 내부면과 경통의 외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돌기부 및 홈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
  3. 삭제
KR1020120050791A 2012-05-14 2012-05-14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 KR10116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91A KR101168564B1 (ko) 2012-05-14 2012-05-14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91A KR101168564B1 (ko) 2012-05-14 2012-05-14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564B1 true KR101168564B1 (ko) 2012-07-24

Family

ID=4671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791A KR101168564B1 (ko) 2012-05-14 2012-05-14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41A (ko) * 2020-12-24 2022-07-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녹 검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406Y1 (ko) * 2000-06-23 2000-11-15 주식회사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지하 하수구 조사경
JP2001201695A (ja) 2000-01-20 2001-07-27 Maezawa Kasei Ind Co Ltd 点検鏡
JP2004160626A (ja) 2002-11-15 2004-06-10 Osaka Gas Co Ltd 活管継手における切粉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695A (ja) 2000-01-20 2001-07-27 Maezawa Kasei Ind Co Ltd 点検鏡
KR200203406Y1 (ko) * 2000-06-23 2000-11-15 주식회사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지하 하수구 조사경
JP2004160626A (ja) 2002-11-15 2004-06-10 Osaka Gas Co Ltd 活管継手における切粉除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041A (ko) * 2020-12-24 2022-07-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녹 검사 장치
KR102556177B1 (ko) 2020-12-24 2023-07-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녹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26751U (zh) 一种管道检测微型机器人
JP2019015394A (ja) 配管検査補修装置
CN102383989A (zh) 用于内燃机的具有局部泄漏检测的燃料系统
CN112077817B (zh) 一种母舰式管廊巡检机器人
US20150085290A1 (en) Fluid analysis
KR20130035431A (ko) 배관탐상로봇
KR101516209B1 (ko) 배관 내부 검사용 로봇
KR101168564B1 (ko) 배관 내부 확인용 검사 장치
EP3056893A2 (en) Flow analyzer for harsh environments
KR101295800B1 (ko) 공기추진식 쌍동선형 관로 조사장치
JP5509177B2 (ja) 配水管等からの給水管分岐穿孔における密着コアの装着状態の確認検査方法及びその確認検査装置
CN104713890A (zh) 一种大管道内窥镜
US9279672B1 (en) Flange bolt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JP2011196471A (ja) バルブ
CN210601079U (zh) 一种可对燃气管泄漏点定位的分布式光纤传感装置
JP2015055569A (ja) 画像外観検査装置
CN109209342B (zh) 一种抽油光杆表面裂纹实时检测装置
KR20180042665A (ko) 맨홀 침수 확인 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침수 확인 장치
CN112987278A (zh) 手持便携式有限空间及黑暗环境照明观察器
KR20220069660A (ko) 견인 모듈을 갖는 배관 검사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배관 검사 방법
KR20110053499A (ko)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RU83336U1 (ru) Прибор визуального выявления скрытых дефектов
KR20170024633A (ko) 해수에 의한 배관 용접부위의 부식 검사장치
KR100981950B1 (ko)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광섬유 방식 센서 구조를 갖는 농도계의 구조
KR100508190B1 (ko) 대형기판 검사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