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690B1 - 변압기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690B1
KR101167690B1 KR1020110034345A KR20110034345A KR101167690B1 KR 101167690 B1 KR101167690 B1 KR 101167690B1 KR 1020110034345 A KR1020110034345 A KR 1020110034345A KR 20110034345 A KR20110034345 A KR 20110034345A KR 101167690 B1 KR101167690 B1 KR 101167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ormer
cooling device
pipe
insulat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월표
권순창
신태선
박윤석
전희준
양호철
순 동 강
Original Assignee
동미전기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미전기공업(주) filed Critical 동미전기공업(주)
Priority to KR102011003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1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using a fluid for insulating purposes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former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유가 고온이 되었을 때 외부의 온도를 이용하여 절연유를 냉각시킴으로서 열교환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냉각성능이 향상된 변압기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절연유와 트랜스가 내장되는 변압기케이스의 상부 뚜껑체에 방열핀을 통해 절연유의 방열작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방열핀이 일체로 형성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이 부착되며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와 연결되는 통로를 구비하며 하부면에는 절연유에 끝단부가 침강되는 전열관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전열관의 끝단부에 충입된 열매체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서 응축된 열매체가 전열관의 끝단부로 복귀하도록 몸체의 양측에 설치된 리턴파이프와; 리턴파이프와 전열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된 오리피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변압기용 냉각장치{Cooling System for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유가 고온이 되었을 때 외부의 온도를 이용하여 절연유를 냉각시킴으로서 열교환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냉각성능이 향상된 변압기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송배전선로에 접속되는 전력용 변압기와 전자회로에 사용되는 결합용 변압기까지 많은 종류가 있으며, 전력용 변압기는 변압기로 교류회로에 가하여지는 어떤 전압을 그보다 높이거나 또는 낮은 전압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전력은 변하지 않는 것이며, 전원에 연결하는 1차권선과 부하에 연결하는 2차권선은 같은 철심(鐵心)위에 감겨져 있는 구조(이하, 이를 트랜스라 칭함.)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변압기는 수십 kva 정도까지의 용량이지만 고압 송전선로에는 수십만 kva가 되는 대용량의 것도 있다. 변압기의 실제 구조는 용량이나 전압에 따라서 다르나, 주요한 부분은 권선과 철심이며 이것을 케이스 안에 넣고 절연유(絶緣油)를 가득 채운다.
절연유를 사용하는 이유는 권선의 절연물에 습기나 먼지가 들어가서 절연내력(絶緣耐力)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런 현상을 방지하고, 철심이나 권선에서 발생하는 열을 기름의 대류나 복사(輻射)에 의해 방열시키기 위해서이다.
대용량의 변압기에서는 방열이 잘 되게 하기 위하여 탱크의 외부에 기름을 순환시키는 파이프나 방열기를 설치하며, 더욱 대용량의 변압기에서는 방열기에 선풍기를 설치하고 이것으로 바람을 보내서 방열효과를 좋게 하는 것도 있다.
이때, 변압기를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서는 방열기를 설치하는 대신에 변압기 내에서 뜨거워진 기름을 파이프를 통해서 밖으로 끌어내고, 냉각수로 냉각시키는 방법과, 또는 수랭관을 변압기 속으로 통과시켜 펌프로 물을 순환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중 ?대용량의 변압기에 3상식(三相式)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도 1은 종래의 변압기 케이스의 일부 분해 사시도인데,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연유 및 트랜스가 내장되는 변압기 케이스는본체(1)에 방열기(2)가 설치되는 구성을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열기(1)는 여러개의 방열판(2a)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방열판(2a)에는 절연유가 흐를 수 있도록 상,하부에 절연유구멍(2b)이 형성되어 있고, 방열판(2a) 각각은 연결파이프(2c)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이후, 결합된 방열판은 절연유통로(3)가 형성된 본체(1)에 연결파이프(2d)에 의해 용접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열기를 갖는 종래 변압기는 방열기 자체를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방열판에 절연유가 흐를 수 있는 절연유구멍을 형성하고, 방열판 내부에 절연유가 순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해야하며, 각각의 방열판을 연결파이프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작업등 다단계의 공정을 요구하게 되므로 구조 또한 복잡함에 따라 근본적으로 변압기의 생산단가를 높고 생산성 또한 저하시키게 되며, 측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방열기가 설치됨에 따라 변압기의 설치시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공개 2001-107124호로 출원된 변압기 케이스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러한 선출원고안의 방열기는 절연유공간과 절곡날개를 갖는 판형상의 방열기 본체를 절연유 통공에 결합시킨 구조를 갖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선출원고안은 기존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일부 해소할 수 있으나, 여전히 변압기의 결합방식으로 용접 접합 등을 적용하는 것이며, 기존과 같이 과열된 절연유가 변압기 케이스의 측벽에 돌출되는 방열기를 통해 자연대류 현상으로 방열하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함은 물론 특히 여름철에는 기온의 상승으로 방열기 자체가 외부기온에 의해 가열되어 방열기능을 제대로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74840호를 등록받은 바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74840호인 변압기의 냉각장치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유와 트랜스가 내장되는 변압기케이스의 상부 뚜껑체에 삽입나사공을 형성하고, 연결수단에 의해 방열핀(3a)을 갖는 방열부(32)와 입열부(31)로 구성되는 히트파이프(3)를 상기 삽입나사공(21)을 통해 설치하여, 이 히트파이프(3)를 통해 절연유의 방열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히트파이프를 이용하는 변압기의 냉각장치는 입열부에 충입되어 있던 액체형의 열매체가 고온의 절연유에 의해 열이 전달되어 기화됨으로 상부 즉 방열부로 이동되고 상부로 이동된 증기(기체) 형태의 열매체는 응축되어 하부로 떨어질 때 상부의 방열부로 기화되는 열매체와 응축되어 하부의 입열부로 떨어지는 열매체간 충돌이 일어나 충돌되는 부분에 병목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기화된 열매체가 최상부까지 가지 못하고 일부가 응축된 열매체에 열을 전달하여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유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와 방열핀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열매체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응축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열교환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이로 인해 변압기 내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변압기 폭발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 등의 이점이 있는 변압기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유와 트랜스가 내장되는 변압기케이스의 상부 뚜껑체에 방열핀을 통해 절연유의 방열작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방열핀이 일체로 형성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이 부착되며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와 연결되는 통로를 구비하며 하부면에는 절연유에 끝단부가 침강되는 전열관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전열관의 끝단부에 충입된 열매체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서 응축된 열매체가 전열관의 끝단부로 복귀하도록 몸체의 양측에 설치된 리턴파이프와; 리턴파이프와 전열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된 오리피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몸체의 저면은 전열관이 형성된 중앙 쪽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에 의하여 달성되며, 상기 리턴파이프의 지름이 전열관의 지름보다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열매체가 리턴파이프와 전열관이 연결되는 부위보다 하단까지 충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방열판의 하부면에는 기화된 열매체를 리턴파이프 쪽으로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절연유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와 방열핀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열매체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응축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열교환의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서 변압기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억제하여 변압기 폭발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사고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변압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변압기용 냉각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변압기용 냉각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변압기용 냉각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변압기용 냉각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변압기용 냉각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변압기용 냉각장치를 사용했을 때 각 부위별 온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변압기용 냉각장치를 다수개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변압기용 냉각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변압기용 냉각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절연유(S)와 트랜스(T)가 내장되는 변압기케이스(C)의 상부 뚜껑체에 방열핀(2a)을 구비한 냉각장치(1)를 통해 절연유(S)의 방열작용을 유도하여 변압기의 내부 온도를 냉각시킨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냉각장치는 첨부도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핀(2a)이 일체로 형성된 방열판(2)에는 뚜껑체에서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날개판(2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판(2b)은 뚜껑체에서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지만 방열핀(2a)과 같이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도성이 있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전체로는 소성 가공이 용이한 금속 및 탄화규소(Si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판(2)은 상기 방열판(2)이 부착는 상부는 개방되며 내측에 공간부(3a)를 형성하고 공간부(3a)와 연결되는 통로(4a)를 구비하며 하부면에는 절연유(S)에 끝단부가 침강되는 전열관(4)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3)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몸체(3)의 저면은 전열관(4)이 형성된 중앙 쪽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된 구조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기화된 열매체의 이동 및 대기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전열관(4)의 끝단부에는 열매체가 충입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의 공간부(3a)에서 응축된 열매체(7)가 전열관(4)의 끝단부로 복귀하도록 몸체(3)의 양측에 설치된 리턴파이프(5)가 설치된다.
상기 열매체(7)가 리턴파이프(5)와 전열관(4)이 연결되는 부위보다 하단까지 충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열매체(7)가 리턴파이프(5)와 전열관(4)이 연결되는 부위보다 상단부까지 충입되면 리턴파이프(5)를 열매체(7)가 폐쇄하게 되므로 응축된 열매체가 배출되지 못하게 됨으로 순환하는 열매체(7)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어 냉각 효율을 저감시키기 때문이다.
한편 리턴파이프(5)와 전열관(4)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된 오리피스부재(6)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부재(6)는 기화되고 응축되는 기체의 흐름을 서서히 흐르도록 함과 압력을 생성시켜 열매체(7)가 기화 후 응축되었을 때 전열관(4)의 하단부분으로 응축된 열매체를 압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변압기 사용으로 절연유(S)가 고온이 되면 절연유(S)의 수면 부위에 전열관(4) 끝단부가 잠겨있어 전열관(4) 끝단이 가열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전열관(4) 끝단이 가열되면 첨부도면 도 4b에 도시된 빨간색 화살표와 같이 열매체(7)가 기화되어 몸체(3)의 공간부(3a)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몸체(3) 공간부(3a)로 기화되어 기체로 변한 열매체 증기는 몸체(3)의 양측으로 넓게 퍼지면서 이동하게 되면서 방열판(2)과 충돌하여 방열판(2)을 가열하게 열교환(노란색 화살표 참조)이 이루어져 응축된다(파란색 화살표 참조).
이때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의 하부면에는 기화된 열매체를 리턴파이프 쪽으로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더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리턴파이프(5)의 지름이 전열관(4)의 지름보다 1/2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리턴파이프(5)이 전열관(4)의 지름보다 크게 되면 몸체(3)의 공간부(3a)로 이동된 기화되어 기체로 변한 열매체 증기가 열교환되어 응축수가 되기 전에 리턴파이프(5)를 통해 이동하게 됨으로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유(S)가 50℃ 내외(빨간색 그래프선 참조)일 때 기화된 열매체 증기의 온도는 35 ~ 38℃를 나타냄(노란색 그래프선 참조)을 알 수 있으며, 오리피스부재(6)가 설치된 리턴파이프(5) 내의 응축된 열매체의 온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냉각(파란색 그래프선 참조)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냉각장치(1)를 사용할 경우 절연유(S)에 의해 기화된 열매체(7)와 방열핀(2a)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된 열매체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응축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열교환의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서 변압기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억제하여 변압기 폭발을 방지함으로서 안전사고 예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냉각장치(1)를 변압기 뚜껑체에 다수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인 냉각장치(1)를 다수개 설치하면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케이스(C)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트랜스(T)에 열전달수단(9)을 더 설치하여 상기한 트랜스(T)에서 발생된 열을 절연유(S)로 보다 빠르게 열교환시켜 절연유(S)를 고온으로 만들고 다시 본 발명인 냉각장치(1)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냉각시킴으로서 냉각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한다.
1 : 냉각장치 2 : 방열판
3 : 몸체 4 : 전열관
5 : 리턴파이프 7 : 열매체

Claims (6)

  1. 절연유와 트랜스가 내장되는 변압기케이스의 상부 뚜껑체에 방열핀을 통해 절연유의 방열작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냉각장치에 있어서,
    방열핀이 일체로 형성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이 부착되며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와 연결되는 통로를 구비하며 하부면에는 절연유에 끝단부가 침강되는 전열관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전열관의 끝단부에 충입된 열매체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서 응축된 열매체가 전열관의 끝단부로 복귀하도록 몸체의 양측에 설치된 리턴파이프와;
    리턴파이프와 전열관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된 오리피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은 전열관이 형성된 중앙 쪽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파이프의 지름이 전열관의 지름보다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가 리턴파이프와 전열관이 연결되는 부위보다 하단까지 충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하부면에는 기화된 열매체를 리턴파이프 쪽으로 흐름을 유도하는 흐름유도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트랜스에 열전달수단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냉각장치.
KR1020110034345A 2011-04-13 2011-04-13 변압기용 냉각장치 KR101167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345A KR101167690B1 (ko) 2011-04-13 2011-04-13 변압기용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345A KR101167690B1 (ko) 2011-04-13 2011-04-13 변압기용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690B1 true KR101167690B1 (ko) 2012-07-24

Family

ID=4671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345A KR101167690B1 (ko) 2011-04-13 2011-04-13 변압기용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6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1650A (ja) 1998-06-26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却装置
JP2000068127A (ja) 1998-08-21 2000-03-03 Toshiba Fa Syst Eng Corp 油入電気機器
JP2006269695A (ja) 2005-03-23 2006-10-05 Nissin Electric Co Ltd 電力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1650A (ja) 1998-06-26 2000-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却装置
JP2000068127A (ja) 1998-08-21 2000-03-03 Toshiba Fa Syst Eng Corp 油入電気機器
JP2006269695A (ja) 2005-03-23 2006-10-05 Nissin Electric Co Ltd 電力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97612B (zh) 一种半导体冰箱的高效散热组件
KR101089594B1 (ko) 스마트 유입 변압기
CN102648504B (zh) 用于干式变压器的热交换器系统
KR101167689B1 (ko) 변압기용 냉각장치
CN206322558U (zh) 变压器散热装置
CN211019734U (zh) 一种新型散热电气柜
KR101167690B1 (ko) 변압기용 냉각장치
KR100957804B1 (ko) 변압기
KR101089366B1 (ko) 변압기의 방열장치
CN206379245U (zh) 一种新型油浸式电力变压器的冷却结构
KR100990535B1 (ko) 변압기용 이중관 히트파이프 방열기
KR100829820B1 (ko) 변압기용 히트파이프
CN211651311U (zh) 一种新型风冷装置
CN214043349U (zh) 一种油浸式电力变压器的排热散热装置
KR100769739B1 (ko) 변압기
US20190086157A1 (en) Cooling system, cooler, and cooling method
KR20180073180A (ko) 변압기용 방열기
CN103440942A (zh) 具有双回路冷却系统的功率电阻器
CN106783043A (zh) 一种新型油浸式电力变压器的冷却结构
KR20030062519A (ko) 변압기의 냉각장치
CN107748609B (zh) 计算机主机用油冷式散热器
CN106653297A (zh) 变压器自动冷却系统
JP2017112189A (ja) サーモサイフォン冷却装置
KR101233786B1 (ko) 시설물 과열 및 동결 방지장치
KR200274840Y1 (ko) 변압기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