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149B1 - Method for building rig continuously - Google Patents

Method for building rig continuous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149B1
KR101167149B1 KR1020090018312A KR20090018312A KR101167149B1 KR 101167149 B1 KR101167149 B1 KR 101167149B1 KR 1020090018312 A KR1020090018312 A KR 1020090018312A KR 20090018312 A KR20090018312 A KR 20090018312A KR 101167149 B1 KR101167149 B1 KR 10116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
anchor
mooring
seabed
bind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9798A (en
Inventor
정진식
김영길
정이용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149B1/en
Publication of KR20100099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7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5/00Building or assembling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e.g. semi-submersible platforms, SPAR platforms or wind turbin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30Anchors rigid when in use
    • B63B21/32Anchors rigid when in use with one flu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7/00Transporting or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on site using buoyancy forces, e.g. using semi-submersible barges, ballasting the structure or transporting of oil-and-gas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12Docks adapted for special vessels, e.g. submar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Abstract

여기에서는 리그의 연속 건조 방법이 개시되며, 개시된 리그의 연속 건조 방법은, (A) 육상에서 리그의 본체를 건조하는 단계와, (B) 상기 리그의 본체를 육상으로부터 로드 아웃 및 진수 단계와, (C) 상기 로드 아웃 및 진수된 리그 본체를 안벽에 접안하고 안벽 계류를 이용하여 의장을 수행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를 거친 리그를 항내에 계류시켜 추가 의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sclosed herein is a continuous drying method of a rig, the disclosed continuous drying method comprising: (A) drying the body of the rig on land, (B) loading out and launching the body of the rig from the land; (C) docking the loaded out and launched rig body to the quay wall and performing the design using the quay wall mooring; and (D) mooring the rig having undergone the step (C) in the harbor to perform additional design. It includes.

리그, 항내, 계류, 앵커, 해저, 터그보트, 앵커라인, 결속라인 League, harbor, mooring, anchor, seabed, tugboat, anchorline, binding line

Description

리그의 연속 건조 방법{METHOD FOR BUILDING RIG CONTINUOUSLY} Continuous drying method of the league {METHOD FOR BUILDING RIG CONTINUOUSLY}

본 발명은, 해양의 석유, 가스등의 화석원료 시추설비인 리그의 건조량 증대가 가능한 리그 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g drying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drying amount of a rig which is a fossil raw material drilling facility such as marine oil and gas.

리그는 심해로부터 석유, 가스 등을 채취하는데 이용되는 해양 부유식 설비이다. 일반적으로, 리그는 육상에서 본체가 건조된 후 안벽에 계류시켜 후행 의장작업이 이루어진다. 후행 의장작업을 위해, 장기간에 걸쳐 안벽을 사용한다. 조선소 안벽은 양적으로 제한되며, 이는 여러 척의 리그를 안벽에서 후행 의장 작업하여 건조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안벽 계류시에는 계류삭(mooring rope), 체인 스토퍼(chain stopper), 안벽 비트, 리그 볼라드(rig bollard), 임시 스페이싱 바지(spacing barge), 에어 펜더(pneumatic fender) 등과 같은 많은 장비, 설비 또는 장치가 요구된다.The league is a marine floating facility used to extract oil and gas from the deep sea. Typically, the rig is built on land and then moored to the quay to allow for subsequent rigging. For later design work, the quay wall is u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shipyard's quay is limited in quantity, which is a major obstacle to the construction of several rigs by the trailing chairman on the quay. In addition, many mooring ropes, chain stoppers, quay bits, rig bollards, spacing bars, pneumatic fenders, etc. Or apparatus is required.

안벽 계류 외에, 리그를 계류시키는 다른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수심 100m 이상의 심해에서 이루어지는 항외 계류방법이 있다. 리그의 항외 계류방법에는 대형의 전용 앵커 핸들링 보트(BP: 150톤 이상)가 앵커 설치를 위해 이용된다. 전용 앵커 핸들링 보트 외에도, 항외까지 리그를 예인하는 예인선 또는 터그보트가 필요하 다. 또한, 리그의 항외 계류방법은, 항외 계류 지역의 사전 해저면 지질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여, 복잡하고 경비가 많이 소요된다. 또한, 항외 계류 지역과 야드(yard)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 작업성이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다. Besides the mooring of the quay, another common method of mooring the rig is the outboard mooring, which is carried out in deep waters of 100 m or more. In the rig's offshore mooring method, a large dedicated anchor handling boat (BP: 150 tonnes or more) is used for anchor installation. In addition to a dedicated anchor handling boat, a tugboat or tugboat towing the rig to the offshore is required. In addition, the offshore mooring method of the league requires a prior seabed geological survey of the offshore mooring area, which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moored area and the yard (yard) is too far, the workability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선소의 제한된 안벽에도 불구하고, 항내 계류를 이용해, 리그의 건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리그의 연속 건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inuous drying method of a rig which can increase the drying amount of the rig by using mooring in the port despite the limited quay of the shipyar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육상에서 리그의 본체를 건조하는 단계와, (B) 상기 리그의 본체를 육상으로부터 바다로 로드 아웃 및 진수하는 단계와, (C) 로드 아웃 및 진수된 리그 본체를 안벽에 접안하고, 안벽 계류를 이용하여 의장을 수행하는 단계와,(D) 상기 (C) 단계를 거친 리그를 항내에 계류시켜 추가 의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 drying the body of the rig on land, (B) loading and launching the body of the rig from land to sea, (C) loaded out and launched A method of continuous drying of a rig comprising the step of piercing the rig main body to the quay wall, carrying out the design using the wall mooring, and (D) performing the additional design by mooring the rig through the step (C) in the harbor. This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 후, 상기 리그를 시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after the step (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mmissioning the rig.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내 계류를 위해 이동한 리그 본체가 있던 안벽에 다른 리그 본체를 계류시킨다.Preferably, another rig main body is moored to the quay wall where the rig body moved for mooring the harbor.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에서는 의장의 수행과 함께 육상에 장착 안된 리그 본체의 블록이 더 장착된다.Preferably, in the step (C), with the performance of the chairman, a block of the rig body not mounted on the land is further mounted.

바람직하게는,상기 (B) 단계의 진수를 위해 런칭 바지(launching barge)가 이용된다.Preferably, a launching barge is used for launching step (B).

바람직하게는, (C) 단계는, 상기 리그의 항내 계류를 위해, (a) 리그의 앵커라인과 연결된 앵커를 항내 해저로 내리는 단계와, (b) 상기 앵커를 상기 리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앵커를 항내 지정 구역의 해저 지질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c) 상기 리그에서 상기 앵커라인을 잡아당겨, 상기 앵커 첨단의 스파이크부가 상기 해저 지질에 박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step (C) comprises the steps of: (a) lowering the anchor connected to the anchor line of the rig to the sea floor for the mooring of the rig, and (b) moving the anchor away from the rig. And positioning the anchor on the seabed lipid of the harbor designated zone, and (c) pulling the anchorline in the rig to allow the spike portion of the anchor tip to be embedded in the seabed lipid to be fixed. .

이때, 상기 (b) 단계는 상기 리그와 인접한 터그보트가 상기 앵커의 스파이크부 반대측에 연결된 결속라인을 끌고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터그보트는 상기 앵커의 스파이크부 반대측에 연결된 결속라인을 감김 및 풀림 가능하게 지지하는 윈치를 구비하는 것이되, 상기 (b) 단계는,(b-1) 상기 앵커가 상기 해저 지질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터그보트를 상기 리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전하는 단계와, (b-2) 상기 윈치로 상기 결속라인을 풀어, 상기 앵커를 상기 해저 지질 상에 내려놓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라인은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앵커의 스파이크부 반대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결속라인의 일단을 상기 앵커의 스파이크부 반대측에 연결한 후, 상기 결속라인의 타단 측을 상기 윈치에 지지시켜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b) includes the step of dragging and moving the binding line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ike portion of the anchor tugboat adjacent to the rig. The tugboat is provided with a winch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binding line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ike portion of the anchor, the step (b), (b-1) the anchor is spaced apart from the seabed lipid In the state, driving the tugboa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ig, and (b-2) by loosening the binding line with the winch, the step of laying the anchor on the seabed geology. The binding line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ike portion of the anchor before step (a). In addition, after one end of the binding line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ike portion of the anchor, the other end side of the binding line can be used by supporting the winch.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상기 앵커라인을 더 잡아당겨 파지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는 상기 리그의 네 코너 각각에 2개씩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step (c), the anchor line may be further pulled to further strengthen the gripping force. Preferably, the anchors may be symmetrically arranged two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rig.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항내(또는, 내항)에 리그를 간단하게 계류하여 의장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주어, 안벽 계류를 이용한 의장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조선소의 안벽은 양적으로나 수적으로 제한되며, 따라서, 안벽 계류를 이용한 리그의 의장 기간을 축소하면, 여러척의 리그를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고, 리그의 건조량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항내 계류를 이용하면, 항외 계류에 필요한 지질 조사나 앵커의 플러크 각도 조절과 같은 복잡하고 번거로운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design the rig by mooring the rig in the harbor (or the inner port), thereby reducing the design period using the mooring of the wall. The quay of the shipyard is limited in quantity and number. Therefore, by reducing the design period of the league by using the mooring of the qua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build several leagues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amount of construction of the league. In addition, the use of in-shore mooring can eliminate complicated and cumbersome processes, such as geological investigations required for extra-sea mooring and adjustment of the anchor angle of the ancho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ensure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l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그(또는, 드릴링 리그)의 항내 계류에 이용되는 요소들 및 그 요소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ments used in the mooring of the rig (or drilling ri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tion of the elements.

도 1은 항내 계류의 대상인 리그(10)의 일부를 보여준다. 또한, 도 1에서는 리그(10)를 항내에 계류시키는 요소들인 앵커(20), 앵커라인(30) 및 결속라인(40) 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리그(10)의 항내 계류를 위해. 리그(10)로부터 내려온 앵커(20)를 항내 지정된 구역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터그보트(50)도 볼 수 있다.1 shows a portion of a rig 10 that is subject to harbor mooring. In addition, in FIG. 1, the anchors 20, the anchor lines 30, and the binding lines 40, which are elements that moor the rig 10, can be seen. In addition, in Figure 1 for the mooring of the league (10). Also shown is a tugboat 50 for moving the anchor 20 descending from the rig 10 to a designated area within the harbor.

앵커라인(30)은 리그(10)에 고정 유지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그(10)는 앵커라인(30)을 고정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윈드라스(windlass; 12)를 이용하여, 상기 앵커라인(30; 이하, '앵커 체인'이라 함)을 감거나 푸는 방식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The anchor line 30 is fixed to the rig 10, in this embodiment consists of a chain. The rig 10 may hold the anchor line 30 fixed, and also, by using a windlas 12, the method of winding or unwinding the anchor line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nchor chain'). Can be raised or lowered.

본 실시예에서, 앵커 체인(30)은, 윈드라스(12)에 감거나 풀려질 수 있게 유지된 채로, 그 일단이 앵커(20)에 연결된다. 상기 앵커(20)는, 상기 앵커 체인(30)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21)와, 해저 지질에 박힐 수 있는 뾰족한 첨단의 스파이크부(2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21)와 스파이크부(22)는, 서로 예각을 이루고 있으며, 해저에 있을 때, 상기 연결부(21)의 단부는 리그(10)를 향해 있고, 스파이크부(22)는 리그(10) 직하 쪽을 향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그보트(50)는 상대적으로 소형인 BP:60톤 급이 이용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embodiment, the anchor chain 30 is connected to the anchor 20 at one end thereof while being held to be wound or unwound on the windlass 12. The anchor 2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21 to which one end of the anchor chain 30 is connected, and a spike portion 22 having a sharp tip that can be embedded in seabed lipids.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pike portion 22 are at an acute angle to each other, when in the seabed,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1 toward the rig 10, the spike portion 22 is a rig ( 10) Facing straight down. In this embodiment, the tugboat 50 is used a relatively small BP: 60 ton class, but this is not a limi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앵커(20)는, 상기 스파이크부(22)의 반대측에서, 터그보트(50)로부터 연장된 결속라인(40)과 연결된다.The anchor 20 is connected to the binding line 40 extending from the tugboat 5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ike portion 22.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라인(40)은, 제1 샤클(61)에 의해 앵커(20)에 직접 연결되는 2개의 짧은 스틸와이어들(41; 하나만이 도시됨)과, 제2 샤클(62)에 의해 짧은 스틸와이어(41)들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터그보트(50)의 윈치(52)에 연결되는 하나의 긴 스틸와이어(42)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결속라인(40)의 구성이나, 그것의 연결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e line 40 includes two short steel wires 41 (only one is shown) and a second shackle 62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anchor 20 by the first shackle 61.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hort steel wires (41)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long steel wire (42) connected to the winch 52 of the tugboat (50).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binding line 40 or the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리그의 계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oring another leag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그 계류방법은, 항내 해저로의 앵커 내림 단계(S1)와, 해저에서의 앵커 이동 단계(S2)와, 앵커를 해저 지질에 고정 설치하는 앵커의 고정 설치 단계(S3)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리그 계류방법은, 앵커 파지력의 강화 단계(S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 이동 단계(S2)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터그보트에 의한 앵커 이동 단계(S2-1)와, 윈치에 의한 앵커 이동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rig mo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choring step (S1) to the seabed in the seabed, anchoring step (S2) in the seabed, and anchoring the anchor to the seabed geology A fixed installation step (S3) of the anchor. Furthermore, the rig mooring method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strengthening the anchor gripping force (S4). In addition, the anchor movement step (S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may include an anchor movement step (S2-1) by the tugboat, and an anchor movement step (S2-2) by the winch.

이제 리그 계류방법의 각 단계들 및 그 단계들 전에 이루어지는 선행 작업에 대하여 보다 더 구체적인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now be given of the steps of the league mooring method and the preceding work before the steps.

도 2를 참조하면, S1 단계 이전에, 도 1에 도시된 결속라인(40)을 리그(10) 상의 앵커(20)에 고정하는 단계 또는 작업이 선행되어 수행된다. 상기 결속라인(40)의 연결 전에, 앵커 체인(30)은 앵커(20)와 이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샤클(61)을 이용해, 약 5m 길이를 갖는 두개의 짧은 스틸 와이어(41)들을 앵커(20)에 직접 연결하고, 제2 샤클(62)을 이용해, 약 35m 길이를 갖는 긴 스틸 와이어(42)와 짧은 스틸 와이어(41)를 연결한다. 긴 스틸 와이어(42)는 리그(10)와 인접해 있는 터그보트(50)로 넘겨져서, 그 터그보트(50)의 윈치(52)에 연결된다. 상기 스틸 와이어들(41, 42)의 연결 의해, 터그보트(50)와 앵커(20)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결속라인(40)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2, before the step S1, a step or operation of fixing the binding line 40 shown in FIG. 1 to the anchor 20 on the rig 10 is performed. Before connection of the tie line 40, the anchor chain 30 may already be connected to the anchor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wo short steel wires 41 having a length of about 5 m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anchor 20 using the first shackle 61 and about 35 m long using the second shackle 62. Connect the long steel wire 42 and the short steel wire 41 having a. The long steel wire 42 is passed to the tugboat 50 adjacent the rig 10 and connected to the winch 52 of the tugboat 50. By connecting the steel wires 41 and 42, one binding line 40 is formed to connect the tugboat 50 and the anchor 20.

S1 단계는, 리그(10) 본선에 설치되어 있는 윈드라스(12)를 이용하여, 그 윈드라스(12)에 유지된 앵커 체인(30)을 천천히 풀어 내리며, 이에 의해, 앵커 체인(30)과 연결된 앵커(20)는 리그(10)로부터 하강하여 해저로 내려진다. 이때 상기 앵커(20)는, 다음 단계에서의 원활한 앵커 이동을 위해, 해저 지질과 이격되는 높이까지만 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tep S1, the anchor chain 30 held in the windlass 12 is slowly released using the windlass 12 installed on the main line of the rig 10, whereby the anchor chain 30 and The connected anchor 20 descends from the rig 10 and descends to the seabed. At this time, the anchor 20 is preferably lowered only to a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seabed geology for smooth anchor movement in the next step.

S2 단계는 앵커(20)를 상기 리그(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앵커(20)를 항내 지정 구역의 해저 지질 상에 위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S2 단계는 S2-1 단계와 S2-2 단계가 연속하여 수행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S2-1 단계에서는, 해저 지질로부터 앵커(20)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터그보트(50)가 결속라인(40)을 끌고 상기 리그(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전하여, 상기 앵커(20)는 리그(10)로부터 충분히 멀게(약 200~400m 거리로) 이동된다. 상기 터그보트(50)의 운전에 의한 앵커(20)의 이동은 앵커 체인(30)이 느슨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S2-2 단계에서는, 터그보트(50) 상의 윈치(52)로 상기 결속라인(40)을 풀어, 상기 앵커(20)를 해저 지질 상에 내려놓는다.Step S2 moves the anchor 2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ig 10 to place the anchor 20 on the seabed lipid in the harbor designated area. In the present embodiment, step S2 may be performed by performing step S2-1 and step S2-2 in succession. In the step S2-1, in the state in which the anchor 20 is separated from the seabed geology, the tugboat 50 is drive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ig 10 by pulling the binding line 40, the anchor 20 Is moved far enough away from the rig 10 (about 200-400 m away). The anchor 20 is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tugboat 50 until the anchor chain 30 is loose. In step S2-2, the binding line 40 is released with the winch 52 on the tugboat 50, and the anchor 20 is lowered on the seabed lipid.

도 3은 S2-1 단계와 S2-2 단계에 의한 앵커(20)의 이동 과정을 잘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S2-1 단계의 터그보트 이동에 의해, 앵커(20)는 리그와 멀어지는 도면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S2-2 단계의 윈치 작동에 의해, 앵커(20)는 해저 지질 상에 내려놓아진다. 이때, 앵커(20)의 스파이크부(22)는, 해저 지질을 향해 있고, 앵커 체인(30)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므로, 앵커 체인(30)이 리그를 향 하여, 즉, 우상방으로 잡아당겨질 때, 앵커(20) 첨단의 스파이크부(22)는 해저 지질을 향해 진행하게 된다.3 shows the movement of the anchor 20 by the steps S2-1 and S2-2. Referring to FIG. 3, by the tugboat movement of step S2-1, the anchor 20 moves to the left in the drawing away from the rig, and by the winch operation of step S2-2, the anchor 20 is subsea It is laid down on the lipid. At this time, the spike portion 22 of the anchor 20 is toward the seabed lipid and forms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anchor chain 30, so that the anchor chain 30 is pulled toward the rig, that is, to the upper right. At this time, the spike portion 22 at the tip of the anchor 20 will proceed towards the seabed lipids.

S3 단계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리그(10)에서 윈드라스(12)를 이용해 앵커 체인(30)을 소정 길이만큼 잡아당긴다. 도 4는 S3 단계에 의한 앵커(20)의 거동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리그로부터 상기 앵커 체인(30)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앵커(20) 첨단의 스파이크부(22)가 해저 지질에 박히며, 이에 의해, 앵커(20)는 해저 지질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음, 앵커(20)의 파지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파지력값을 초기 목표했던 파지력값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파지력이 초기 목표했던 파지력값 미만인 경우, 파지력을 더 강화시키기 위한 S4 단계가 추가되어 수행된다. 이때 유의할 점은, S3 단계 초기에 앵커 체인(30)이 해저 지질면에 직선으로 놓여 있지 않고 흩틀어져 있기 때문에, 윈드라스에서 감지되는 장력이 처음에는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윈드라스를 이용해 어느 정도 앵커 체인(30)을 감아올리다 보면 장력이 일정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장력이 증가하다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으면 이때의 근사값이 앵커의 최대 파지력이 된다. In step S3, the anchor chain 30 is pulled by a predetermined length using the windlass 12 in the rig 10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behavior of the anchor 20 by the step S3, referring to this, by pulling the anchor chain 30 from the rig, the spike portion 22 of the tip of the anchor 20 is subsea lipid In this way, the anchor 20 can be fixedly installed in the seabed geology. Next, the gripping force of the anchor 20 is measured, and the measured gripping force value is compared with the initial target gripping force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gripping force is less than the initial target gripping force value, step S4 is further performed to further strengthen the gripping force. Note that, since the anchor chain 30 is scattered instead of being placed in a straight line on the seabed geological surface at the beginning of the step S3, the tension sensed by the windlas may not initially increase. Winding the anchor chain 30 to some extent using the windlass can be seen that the tension is constantly increased. When the tension is increased and no longer increased, the approximation is the maximum gripping force of the anchor.

추가적인 S4 단계는, 상기 앵커(20) 파지력을 더 강화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S3 단계의 수행 후, 약 3~4일 후에, 도 1에 도시된 윈드라스(12)를 이용하여, 앵커 체인(30)을 소정 길이(예컨대, 약 10M) 정도 더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앵커(20)의 스파이크부(22)가 해저 지질에 더 강하게 박히며, 따라서, 앵커(20)의 해저 지질에 대한 파지력은 더 강화될 수 있다. 그 후, 앵커(20) 의 파지력을 다시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측정 후에도, 목표한 파지력값 미만인 경우, 전술한 S4 단계와 동일한 방식의 파지력 강화 작업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An additional step S4 is to further strengthen the gripping force of the anchor 20. After performing the step S3, after about 3 to 4 days, the anchor chain 30 using the windlass 12 shown in FIG. ) Is pulled fur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eg, about 10M). Thereby, the spike portion 22 of the anchor 20 is more strongly lodged in the seabed lipid, so that the gripping force on the seabed lipid of the anchor 20 can be further enhanced. Thereafter, the gripping force of the anchor 20 can be measured again, and even after the measurement, if it is less than the target gripping force value, the gripping force strengthening operatio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step S4 can be performed again.

상기 앵커(20)는, 상기 리그(10)의 네 코너 각각에 2개씩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리그를 계류시키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미리 산출된 적정 앵커 파지력에 준하여, 터그보트(50)를 이용해, 리그(10)의 4 코너로부터 약 200m~400m 지점의 해저 지질에 앵커(20)를 2개씩 대칭적으로 짝을 이루어 배치한다. 이렇게 배치한 상태에서, 리그(10)의 윈드라스를 이용하여 앵커 체인을 감아올리면, 리그(10)는 항내의 지정된 구역에서 안정되게 계류된다. Preferably, two anchors 20 are symmetrically disposed at each of four corners of the rig 10. FIG.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ooring a rig. Referring to FIG. 5, about 200 m to 400 m from four corners of the rig 10 using the tugboat 50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anchor gripping force calculated in advance. Two anchors 20 are symmetrically paired and disposed on the seabed lipid at the point. In this arrangement, when the anchor chain is wound up using the windlass of the rig 10, the rig 10 is stably moored in the designated area of the harbor.

전술한 리그의 계류방법은 리그의 건조량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위의 계류방법이 채용된 본 발명의 특징적인 리그 건조방법에 대해 도 6과 도 7a 내지 도 7c를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mooring method of the league described above can greatly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drying amount of the league. A characteristic rig dry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mploying the above moo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A to 7C.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채용된 리그 건조방법은, 육상에서의 리그 본체 건조 단계(S11), 건조된 리그 본체의 로드 아웃 및 진수 단계(S12), 안벽 계류를 이용한 의장 단계(S13), 항내 계류를 이용한 의장 단계(S14), 그리고, 시운전 단계(S1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6, the rig drying method employ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 main body drying step (S11) in the land, the load out and launching step (S12) of the dried rig main body, the design step (S13) using the mooring wall It includes, design step (S14) using the harbor mooring, and a trial run step (S15).

S11 단계에서는, 바다로 로드 아웃될 리그의 본체가 건조된다. 다음, S12 단계에서는, 건조된 리그의 본체가 안벽 주변의 바다로 로드 아웃 및 진수된다. 로드 아웃 및 진수된 리그의 본체는 안벽 접안 과정을 거친 후 안벽에 계류된다. In step S11, the body of the rig to be loaded out into the sea is dried. Next, in step S12, the main body of the dried rig is loaded out and launched into the sea around the quay wall. The body of the loaded out and launched rig is moored to the quay after undergoing a quay berth.

S13 단계에서는 리그 본체가 안벽에 계류된 상태로 의장이 이루어진다. 이 때, 육상에서 탑재 못한 탑사이드 또는 다른 블록들이 리그 본체에 탑재 또는 장착될 수 있다. In the step S13, the chair is made with the rig main body mooring on the inner wall. At this time, the topside or other blocks that are not mounted on the land can be mounted or mounted on the rig body.

종래에는 안벽을 이용하여 모든 후행 의장이 이루어져 왔는데, 그 기간은 약 6개월 정도이다. 그러나, 조선소의 안벽은 제한적이며, 따라서, 안벽을 이용한 의장 기간이 최소화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은 S13 단계 후에 항내 계류를 이용한 의장 작업을 S14 단계에서 수행된다. S13 단계에서는 적어도 항내 계류에 필요한 요소들인 윈드라스, 앵커 체인 및 앵커 설치의 의장 작업이 수행된다. S14 단계에서는, S13 단계를 거친 리그가 약 14m~30m의 얕은 수심인 내항으로 견인되며, 다음, 도 1 내지 도3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 방법에 의해 항내의 지정된 구역에 계류된다. 항내에 계류된 리그에 대하여 나머지 후행 의장 작업이 수행되어, 리그 건조 작업이 모두 완료된다. 다음, S15 단계에서는, 위의 건조 작업이 모두 완료된 리그가 예를 들면 외항으로 이동되어 시운전이 수행된다.Conventionally, all trailing chairs have been made using the quay wall, which is about 6 months. However, the quay of the shipyard is limit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design using the qua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step S14 the design work using the mooring mooring after step S13. In the step S13, at least the design work of the windlas, anchor chain and anchor installation, which are necessary for mooring in the harbor, is performed. In step S14, the rig through step S13 is towed to a shallow water depth of about 14m to 30m and then moored to the designated area within the port by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rest of the post-chairman's work is carried out on the rigs moored in the port, completing all the rig building operations. Next, in step S15, the rig in which all of the above drying operations are completed is moved to, for example, the outer port, and a trial run is performed.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리그 본체를 육상에서 건조한 다음, 그 리그 본체가 다음 단계들을 위해 이동되는 과정이 잘 보여준다.Referring to FIGS. 7A-7D, the process of drying the rig body on land and then moving the rig body for the next steps is illustrated.

도 7a는 육상에서 건조된 리그 본체 1호기(10a)가 로드 아웃 및 진수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그 본체 1호기(10a)는 육상으로부터 바다까지 레일(101)에 의해 로드 아웃된다. 로드 아웃되는 리그 본체 1호기(10a)를 런칭 바지(102)가 받으며, 그 런칭 바지(102)에 의해, 상기 리그 본체 1호기(10a)는 육상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임의의 위치까지 진수된다. 상기 런칭 바지(102)는 리그 본체 1호기(10a)의 진수에 이용된 후 리그 본체 1호기(10a)로부터 빠져 나온다.Figure 7a shows well the process of loading out and launching the rig main body 10a built on land. As shown, the rig body 1 unit 10a is loaded out by rails 101 from land to sea. The launching body 102 receives the loaded rig main body 10a, which is loaded out, and the rig main body 10a is launched to an arbitrary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land. The launching pants 102 are used for launching the rig body 1 unit 10a and then exit from the rig body 1 unit 10a.

다음, 상기 리그 본체 1호기(10a)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벽(111)에 접안되어, 그 제1 안벽(111)에 계류된다. 다음, 상기 리그 본체 1호기(10a)는 제1 안벽(111)에 계류된 상태로 의장작업이 수행된다. Next, as shown in FIG. 7B, the rig main body 1 unit 10a is moored to the first inner wall 111 and moored to the first inner wall 111. Next, the rig main unit 1 (10a) is carried out the design work is mooring to the first inner wall (111).

의장작업 완료 후 또는 육상 건조시에 장착되지 못한 블록이 장착된 후, 리그 본체 1호기(10a)는, 도 7c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항내 계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된다. After completion of the design work or after the block which is not mounted at the time of land construction is mounted, the rig main unit 1 10a is moved to any position where harbor mooring can be made, as indicated by arrows in FIG. 7C.

도 7c를 참조하면, 리그 본체 1호기(10a)가 제1 안벽(111)에 계류된 상태에서 리그 본체 2호기(10b)가 제2 안벽(112)에 계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리그 본체 2호기(10b)도, 리그 본체 1호기(10a)와 마찬가지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로드 아웃, 진수, 안벽 접안되는 과정을 거쳐 제2 안벽(112)에 계류되고, 그 위치에서 의장 작업 등이 수행된다. 또한, 리그 본체 3호기(10c)는 육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C, it can be seen that the rig main unit 2 10b is moored to the second inner wall 112 in a state where the rig main unit 1 10a is moored on the first inner wall 111. Similar to the rig main body 1 unit 10a, the rig main body unit 2 10b also undergoes a process of being loaded out, launched, and docked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S. 7A and 7B. In which the chairman's work and the like are perform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ig main body 3 (10c) is located on the land.

도 7d를 참조하면, 항내에 계류되어 있는 리그 본체 1호기(10a)를 볼 수 있다. 항내에 계류된 리그 본체 1호기(10a)에 대하여, 시운전 작업 및/또는 안벽 계류시 수행되지 못했던 나머지 의장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리그 본체 1호기(10a)가 있던 제1 안벽(111)에 리그 본체 3호기(10c)가 계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리그 본체 3호기(10c)도 전술한 리그 본체 1호기(10a) 및 리그 본체 2호기(10b)와 같은 방식, 같은 경로로 이동된다. 이때, 리그 본체 4호기(10d)는 육상에서 로드아웃 대기 중임을 알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FIG. 7D, the rig main body 1 unit 10a which is moored in the harbor can be seen. For the rig main body 1 unit 10a moored in the harbor, the commissioning work and / or the rest of the design work that could not be performed at the mooring of the quay wall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rig main body 3 (10c) is moored to the first inner wall 111 where the rig main unit 1 (10a) was. The rig main body unit 3 10c is also moved in the same manner and in the same manner as the rig main body unit 1 10a and the rig main body unit 2 10b.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rig main body 4 (10d) is waiting to load out on the la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그의 항내 계류에 이용되는 요소들 및 그 요소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ements used in the harbor mooring of a r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그의 계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Figure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mooring a ri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앵커가 항내 지정 구역 내로 이동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anchor is moved into the designated port area.

도 4는 앵커가 항내 지정 구역의 해저 지질에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4 shows that anchors are anchored to seabed lipids in a harbor designated area.

도 5는 리그의 네 코너 측에서 앵커들을 이용해 리그를 계류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mooring a rig using anchors at four corner sides of the rig;

도 6은 리그의 항내 계류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리그 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Figure 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rig dr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harbor mooring of the rig.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리그의 연속 건조 방법을 리그의 위치 또는 이송 경로 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7a to 7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inuous drying method of the r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osition or transfer path of the rig.

Claims (13)

(A) 육상에서 리그의 본체를 건조하는 단계;(A) drying the body of the rig on land; (B) 상기 리그의 본체를 육상으로부터 바다로 로드 아웃 및 진수하는 단계;(B) loading out and launching the body of the rig from land to sea; (C) 로드 아웃 및 진수된 리그 본체를 안벽에 접안하고, 안벽 계류를 이용하여 의장을 수행하는 단계; 및(C) docking the loaded out and launched rig body to the quay wall and performing the design using the quay mooring; And (D) 상기 (C) 단계를 거친 리그를 항내에 계류시켜 추가 의장을 수행하는 단계; 및(D) mooring the rig through step (C) in the harbor to perform further designing; And 상기 항내 계류를 위해 이동한 리그 본체가 있던 안벽에 다른 리그 본체를 계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A method of continuous drying of a rig,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rig main body is moored on the quay wall where the rig body moved for mooring the 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 상기 리그를 시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mmissioning the rig after the step (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의장의 수행과 함께 육상에 장착 안된 리그 본체의 블록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C), with the performance of the chairman, a block of the rig body not mounted on the land is further moun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진수를 위해 런칭 바지(launching barge)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aunching barge (launching barge) is used for the launching of the step (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리그의 항내 계류를 위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C) is for mooring in the rig of the rig, (a) 리그의 앵커라인과 연결된 앵커를 항내 해저로 내리는 단계;(a) lowering the anchor connected to the anchor line of the rig to the sea floor; (b) 상기 앵커를 상기 리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앵커를 항내 지정 구역의 해저 지질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b) moving said anchor in a direction away from said rig to position said anchor on subsea lipids in a designated port of the harbor; And (c) 상기 리그에서 상기 앵커라인을 잡아당겨, 상기 앵커 첨단의 스파이크부가 상기 해저 지질에 박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 and (c) pulling the anchor line from the rig so that the spike portion of the anchor tip is embedded in the seabed lipid and fix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리그와 인접한 터그보트가 상기 앵커의 스파이크부 반대측에 연결된 결속라인을 끌고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b) comprises a step of dragging and moving a binding line adjacent to the spigot portion of the anchor by a tugboat adjacent to the rig.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터그보트는 상기 앵커의 스파이크부 반대측에 연결된 결속라인을 감김 및 풀림 가능하게 지지하는 윈치를 구비하는 것이되,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ugboat is provided with a winch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binding line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ike portion of the anchor, the step (b), (b-1) 상기 앵커가 상기 해저 지질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터그보트를 상기 리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전하는 단계와,(b-1) driving the tugboa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ig with the anchor spaced apart from the seabed geology; (b-2) 상기 윈치로 상기 결속라인을 풀어, 상기 앵커를 상기 해저 지질 상에 내려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b-2) releasing the binding line with the winch and laying the anchor on the seabed lipid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속라인은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앵커의 스파이크부 반대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inding line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ike portion of the anchor before step (a).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속라인의 일단을 상기 앵커의 스파이크부 반대측에 연결한 후, 상기 결속라인의 타단 측을 상기 윈치에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fter connecting one end of the binding line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pike portion of the anchor, the other end side of the binding line is supported by the winch.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상기 앵커라인을 더 잡아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pulling the anchor line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step (c).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리그의 네 코너 각각에 2개씩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그의 연속 건조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nchors are symmetrically disposed two at each of four corners of the rig. 삭제delete
KR1020090018312A 2009-03-04 2009-03-04 Method for building rig continuously KR101167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312A KR101167149B1 (en) 2009-03-04 2009-03-04 Method for building rig continuous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312A KR101167149B1 (en) 2009-03-04 2009-03-04 Method for building rig continuous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798A KR20100099798A (en) 2010-09-15
KR101167149B1 true KR101167149B1 (en) 2012-07-24

Family

ID=4300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312A KR101167149B1 (en) 2009-03-04 2009-03-04 Method for building rig continuous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14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798A (en)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261B2 (en) Anchor line tensioning method
US5159891A (en) Adjustable boat mooring system for a flexibly-supported tension leg platform
US20080282955A1 (en) Pull In - Pay Out Mooring System
CN111152886B (en) Double-module floating platform offshore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EP1305206B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a floating structure with rope anchor lines to the seabed
AU2011273141B2 (en) A method of installing a buoy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buoy to an anchoring location
US200800897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A Riser To A Target Structure
AU2001291717A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a floating structure with rope anchor lines to the seabed
JP6820698B2 (en) How to add mooring lines, how to moor floating structures and how to construct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s
WO2011099869A2 (en) A method of installing a flexible, elongate element
NO201213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a tanker and a floating loading or unloading terminal
KR101148033B1 (en) Method for mooring rig in harbor
KR101167149B1 (en) Method for building rig continuously
US20070022934A1 (en) Shallow water mooring system using synthetic mooring lines
AU2011101650A4 (en) Self installing tension leg platform and subsea storage tank
RU2676927C1 (en) Installation method of a drilling ship with a turret on an anchor-mooring system in ice conditions
JP2008037143A (en) Holding force testing method and device
CN110877675A (en) Method for launching by using temporary anchor during ship construction
RU2508220C2 (en) Installation method of drilling ship with mooring turret onto anchor retention system under ice conditions
US20230182868A1 (en) Pulling Structures into Water
CN112319700B (en) Anchoring method of mother ship without anchor machine
US7117811B1 (en) Anchor line pretensioning method
Wilkinson et al. Installation of Mooring and Riser Systems for Floating Production Vessels
CN117177908A (en) Disconnect mooring system and method for a vessel
BRUNNING et al. A Simple Method for Simultaneously Tensioning Multiple Mooring Legs for Floating Production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