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344B1 -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344B1
KR101166344B1 KR1020120042864A KR20120042864A KR101166344B1 KR 101166344 B1 KR101166344 B1 KR 101166344B1 KR 1020120042864 A KR1020120042864 A KR 1020120042864A KR 20120042864 A KR20120042864 A KR 20120042864A KR 101166344 B1 KR101166344 B1 KR 10116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inspection
boiler
tub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지훈
고성규
Original Assignee
진도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도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진도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12004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연관 보일러의 가동중에도 복수개의 연관에 쌓이게 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연관 보일러의 분진 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며, 연관 보일러의 가동을 멈추지 않고도 분진제거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관 보일러의 연관 내의 분진제거작업을 상기 연관 보일러의 가동을 멈추지 않고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연관 보일러의 열효율을 떨어뜨리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연관 보일러의 재가동에 따른 별도 연료를 소모할 필요가 없어 운영비용도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dust remove apparatus and method of tube boiler}
본 발명은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연관식 보일러의 가동중에도 복수개의 연관에 쌓이게 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연관식 보일러의 분진 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관 보일러는, 보일러의 동체 안에 복수개의 연관을 배관하고, 상기 연관 속으로 연소가스를 통하게 하여 동체 안의 물을 가열하도록 한 보일러다.
상기 연관 보일러는 용량이 크고 열효율이 높기 때문에, 대형 빌딩, 중앙 난방식 아파트, 대중 목욕탕 등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연관 보일러는 소각시설의 연소장치 후단에 배치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소각시설에 사용되는 연관 보일러는 상기 소각시설의 연소장치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연료로 하여 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각시설에서 사용되는 연관 보일러의 연관에는 폐기물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이 쌓이게 된다.
상기 분진은, 연관 내에서 연소가스의 불완전 연소를 유발하고 또한 연소가스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연관식 보일러의 열효율을 저하시키고 심각하게는 연관식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연관 내에 쌓이게 되는 분진을 수시로 제거하는 분진제거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작업자가 상기 분진제거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연관 보일러의 가동을 멈춘 상태에서 상기 연관의 온도가 낮아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왜냐하면, 보일러의 가동에 의해 복수개의 연관이 높은 온도로 가열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일러의 가동이 멈춰진 상태라 할지라도 상기 연관의 온도는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연관의 온도가 작업자에게 화상피해를 주지 않을 만큼 낮아지면 작업자는 브러시와 같은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연관 내부에 쌓인 분진제거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분진제거작업은, 연관 보일러의 가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보일러가 지속적으로 가동될 수 없어서 열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을 제공하고 또한, 보일러의 재가동에 따른 연료를 추가로 소모시켜 연료비용도 낭비된다는 문제점을 제공하며, 연관 보일러의 연소장치가 재가동됨에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일산화탄소 등)의 발생량도 늘어난다는 문제점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5-0020283'에는 보일러의 가동을 멈추지 않고도 연관의 내부에 쌓인 분진을 청소할 수 있는 연관 보일러의 연관 청소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연관 보일러의 연관 청소 구조는, 연관 보일러의 격판(2)에 복수개의 연관(52) 일단과 각각 대응되는 삽입공(1)을 복수개 형성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삽입공(1)을 통하여 브러시와 같은 청소도구로 상기 복수개의 연관을 청소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연관 보일러의 연관 청소 구조는, 작업자가 상기 복수개의 삽입공(1)에 각각 내접된 소켓(5)에서 뚜껑(3)을 일일이 체결해제한 뒤 브러시와 같은 청소도구로 상기 복수개의 삽입공(1)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복수개의 연관(52)을 청소해야 하기 때문에, 연관(52)의 분진제거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작업자가 보일러의 가동 상태에서도 연관 내의 쌓인 분진제거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에 있어서, 연관 보일러의 몸체 일측에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 일단을 외부로부터 차단해주는 개폐문; 상기 개폐문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연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삽입공; 상기 삽입공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고 타단은 상기 연관 보일러의 몸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점검관; 상기 점검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점검관의 구멍을 차단 및 개방시켜주는 점검문; 상기 점검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점검관의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연관 보일러의 몸체 일측에 배치된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몸체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 일단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관; 및 상기 연관 보일러의 몸체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분사관에 의해 청소되는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관 보일러의 개폐문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타단은 외측으로 돌출된 점검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점검관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하는 점검문을 상기 점검관에서 분리시켜 상기 점검관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방시키는 점검관 개방단계; 상기 점검관 개방단계에서 개방된 점검관의 구멍을 통하여 작업자가 연관 보일러의 몸체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 내부에 분진이 막혀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는 분진확인단계; 상기 분진확인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연관 내부에 분진이 쌓여 있는 것이 확인되면, 공기 압축기와 연결된 공기 분사관의 선단부를 상기 점검관의 구멍으로 삽입시켜 상기 선단부가 상기 연관 보일러 몸체 내부로 돌출되게 하는 공기 분사관 삽입단계; 상기 공기 분사관과 연결된 공기 압축기를 작동시켜 상기 연관 보일러의 몸체 내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 일단을 향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진제거단계; 상기 분진제거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연관 내부에 쌓인 분진들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점검관의 구멍으로 삽입되었던 공기 분사관을 상기 구멍에서 빼낸 뒤, 작업자가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관 내부를 육안으로 바라보는 분진 제거상태 확인단계; 및 상기 분진 제거상태 확인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연관 내부에 쌓인 분진들이 제거되었는지 확인이 되면, 상기 점검관 개방단계에 분리되었던 점검문을 상기 점검관에 체결시켜 상기 점검관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하는 점검관 폐쇄단계를 포함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관 보일러의 분진 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은, 연관 보일러의 연관 내의 분진제거작업을 상기 연관 보일러의 가동을 멈추지 않고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연관 보일러의 열효율을 떨어뜨리지 않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연관 보일러의 재가동에 따른 별도 연료를 소모할 필요가 없어 운영비용도 절감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방법의 순서도.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일측에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11)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을 외부로부터 차단해주는 개폐문(110); 상기 개폐문(110)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연관(12)보다 큰 직경을 갖는 삽입공(120); 상기 삽입공(12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고 타단은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반대방향으로 돌출되 점검관(130); 상기 점검관(130)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차단 및 개방시켜주는 점검문(140); 상기 점검문(14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에 삽입되며,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일측에 배치된 공기 압축기(155)로부터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몸체(11)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관(150); 및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분사관(150)에 의해 청소되는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 배출구(160);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문(110)의 내측면에는 세라믹 울(115)이 구비된다.
상기 세라믹 울(115)은 상기 삽입공(120)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개폐문(110) 내측면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문(110)과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사이에서 단열층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세라막 울(115)은 기존의 내화벽돌보다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개폐문(1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상기 삽입공(120)은, 작업자가 상기 삽입공(120)을 통하여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내부를 보았을 때,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이 보일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에서는, 네 개의 삽입공(120)이 상기 개폐문(11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크기에 따라 네 개 이상으로 상기 개폐문(11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점검문(140)은, 상기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점검관(130)의 타단과 결합되며, 작업자는 분진제거작업시에 상기 볼트를 체결해제하여 상기 점검문(140)을 상기 점검관(13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검문(140)의 일단이 상기 점검관(130)의 타단에서 회동가능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점검문(140)의 일단과 상기 점검관(130)의 타단을 힌지(H)에 의해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점검문(140)의 타단만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상기 점검관(130)와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가 분진제거작업시에나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에 분진이 쌓여 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점검문(140)을 상기 점검관(130)에서 분리시킬 때, 작업장의 바닥이나 작업선반에 상기 점검문(140)을 내려놓을 필요가 없어서, 분진제거작업 후에 작업장의 바닥이나 작업선반에서 상기 점검문(140)을 찾을 필요가 없다.
상기 공기 분사관(150)은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강관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선단에는 노즐(15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분사관(150)의 선단부가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을 향했을 때, 상기 공기 분사관(150)의 선단부가 상하좌우로 일정각도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구멍(131) 내에서 유동가능한 직경을 상기 공기 분사관(150)은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작업자가 상기 공기 분사관(150)의 기단부를 상화좌우로 유동시키면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과하여 상기 연관 보일러(10) 몸체(11) 내부로 삽입된 상기 공기 분사관(150)의 선단부도 상화좌우로 유동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에 골고루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 분사관(150)은 공압호스(156)를 매개로 하여 상기 공기 압축기(150)와 연결된다.
상기 분진 배출구(160)는, 상기 몸체(11)의 타측 바닥에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복수개의 연관(12) 내에 쌓인 분진들이 공기 분사관(150)에 의해 상기 몸체(11) 외부로 배출될 때, 중력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11)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 방법이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 방법은, 점검관 개방단계(S10), 분진확인단계(S20), 공기 분사관 삽입단계(S30); 분진제거단계(S40); 분진 제거상태 확인단계(S50) 및 점검관 폐쇄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점검관 개방단계(S10)는, 연관 보일러(10)의 개폐문(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12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타단은 외측으로 돌출된 점검관(1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점검관(13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하는 점검문(140)을 상기 점검관(130)에서 분리시켜 상기 점검관(13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방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점검관 개방단계(S10)는, 볼트(B)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점검관(130)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점검관(13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하고 있는 점검문(140)을 상기 점검관(130)에서 분리시켜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개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분진확인단계(S20)는, 상기 점검관 개방단계(S10)에서 개방된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하여 작업자가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내부를 육안으로 바라보는 단계이다.
즉, 상기 분진확인단계(S20)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하여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분진이 막혀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분진확인단계(S20)에서,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하여 복수개의 연관(12) 내부를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연관 보일러(10) 몸체(11) 내부의 강한 열기가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안전사고를 유발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공기 분사관 삽입단계(S30)는, 상기 분진확인단계(S20)에서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분진이 쌓여 있는 것이 확인되면, 공기 압축기(155)와 연결된 공기 분사관(150)의 선단부를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으로 삽입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공기 분사관 삽입단계(S30)에서는, 작업자가 공기 분사관(140)의 기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 분사관(150)의 선단부를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으로 삽입시켜 상기 선단부가 상기 연관 보일러(10) 몸체(11) 내부로 돌출되게 한다.
상기 분진제거단계(S40)는, 상기 공기 분사관(150)과 연결된 공기 압축기(155)를 작동시켜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내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을 향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분진제거단계(S40)에서는,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내부로 선단부가 돌출된 공기 분사관(150)에서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내부로 압축공기가 분사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쌓인 분진들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분진제거단계(S40)에서,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상기 공기 분사관(150)을 이용하여 분진제거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내부의 강한 열기가 상기 공기 분사관(150)에서 방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하여 역류되어 작업자에게 안전사고를 유발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분진 제거상태 확인단계(S50)는,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으로 삽입되었던 공기 분사관(150)을 상기 구멍(131)에서 빼낸 뒤, 작업자가 상기 구멍(131)을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쌓인 분진이 제거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분진 제거상태 확인단계(S50)에서는, 상기 분진제거단계(S40)에서 공기 분사관(150)으로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쌓인 분진들이 깨끗하게 제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분진 제거상태 확인단계(S20)에서,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하여 복수개의 연관(12) 내부를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연관 보일러(10) 몸체(11) 내부의 강한 열기가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안전사고를 유발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점검관 폐쇄단계(S60)는, 상기 분진 제거상태 확인단계(S50)에서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쌓인 분진들이 제거되었는지 확인이 되면,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점검관 개방단계(S10)에 분리되었던 점검문(140)을 상기 점검관(130)에 체결시켜 상기 점검관(13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전술한 단계(S10~S60)를 반복하여, 또 다른 점검관(130)의 구멍(131)으로 공기 분사관(150)을 삽입하여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쌓인 분진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는, 수관 보일러에 적용되어 수관 보일러의 몸체 내에 배관된 복수개의 관과 관 사이에 쌓이는 분진들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연관 보일러 11 : 몸체
12 : 연관 110 : 개폐문
120 : 삽입공 130 : 점검관
140 : 점검문 150 : 공기 분사관
160 : 배출구

Claims (6)

  1.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에 있어서,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일측에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11)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을 외부로부터 차단해주는 개폐문(110);
    상기 개폐문(110)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연관(12)보다 큰 직경을 갖는 삽입공(120);
    상기 삽입공(12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고 타단은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점검관(130);
    상기 점검관(130)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차단 및 개방시켜주는 점검문(140);
    상기 점검문(14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에 삽입되며,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일측에 배치된 공기 압축기(155)로부터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몸체(11)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관(150); 및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 분사관(150)에 의해 청소되는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 배출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110)의 내측면에는 세라믹 울(1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문(140)은 힌지(H)에 의해 상기 점검관(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관(150)은, 상기 공기 분사관(150)의 선단부가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과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을 향했을 때, 상기 공기 분사관(150)의 선단부가 상하좌우로 일정각도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 내에서 유동가능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110), 상기 삽입공(120), 상기 점검관(130), 상기 점검문(140), 상기 공기 분사관(150) 및 상기 분진 배출구(160)는 수관 보일러에 적용되어 상기 수관 보일러의 관과 관 사이의 틈에 쌓인 분진들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6.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방법에 있어서,
    연관 보일러(10)의 개폐문(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공(120)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타단은 외측으로 돌출된 점검관(1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점검관(13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하는 점검문(140)을 상기 점검관(130)에서 분리시켜 상기 점검관(13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방시키는 점검관 개방단계(S10);
    상기 점검관 개방단계(S10)에서 개방된 점검관(130)의 구멍(131)을 통하여 작업자가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분진이 막혀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는 분진확인단계(S20);
    상기 분진확인단계(S20)에서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분진이 쌓여 있는 것이 확인되면, 공기 압축기(155)와 연결된 공기 분사관(150)의 선단부를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으로 삽입시켜 상기 선단부가 상기 연관 보일러(10) 몸체(11) 내부로 돌출되게 하는 공기 분사관 삽입단계(S30);
    상기 공기 분사관(150)과 연결된 공기 압축기(155)를 작동시켜 상기 연관 보일러(10)의 몸체(11) 내에 배관된 복수개의 연관(12) 일단을 향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진제거단계(S40);
    상기 분진제거단계(S40)에서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쌓인 분진들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으로 삽입되었던 공기 분사관(150)을 상기 점검관(130)의 구멍(131)에서 빼낸 뒤, 작업자가 상기 구멍(131)을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내부를 육안으로 바라보는 분진 제거상태 확인단계(S50); 및
    상기 분진 제거상태 확인단계(S50)에서 상기 복수개의 연관(12) 내부에 쌓인 분진들이 제거되었는지 확인이 되면, 상기 점검관 개방단계(S10)에 분리되었던 점검문(140)을 상기 점검관(130)에 체결시켜 상기 점검관(130)의 타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단하는 점검관 폐쇄단계(S60)를 포함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방법.
KR1020120042864A 2012-04-24 2012-04-24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KR10116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64A KR101166344B1 (ko) 2012-04-24 2012-04-24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864A KR101166344B1 (ko) 2012-04-24 2012-04-24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344B1 true KR101166344B1 (ko) 2012-07-18

Family

ID=4671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864A KR101166344B1 (ko) 2012-04-24 2012-04-24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3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07B1 (ko) * 2016-12-29 2017-08-30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한 고체 연료 열풍기
KR20210000794U (ko) * 2019-10-02 2021-04-12 김성석 그을음 청소용 지그 및 그를 갖는 연통장치
WO2022226607A1 (pt) * 2021-04-30 2022-11-03 Vlasak Tomas Michal Sistema de limpeza de tubos de fogo de caldeiras com as unidades em funcionament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824A (ja) 2000-06-13 2001-12-26 Nkk Corp ダスト・灰除去装置付きごみ焼却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5824A (ja) 2000-06-13 2001-12-26 Nkk Corp ダスト・灰除去装置付きごみ焼却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07B1 (ko) * 2016-12-29 2017-08-30 (주)규원테크 고체 연료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한 고체 연료 열풍기
KR20210000794U (ko) * 2019-10-02 2021-04-12 김성석 그을음 청소용 지그 및 그를 갖는 연통장치
KR200494328Y1 (ko) * 2019-10-02 2021-09-14 김성석 그을음 청소용 지그 및 그를 갖는 연통장치
WO2022226607A1 (pt) * 2021-04-30 2022-11-03 Vlasak Tomas Michal Sistema de limpeza de tubos de fogo de caldeiras com as unidades em funcionamen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344B1 (ko) 연관 보일러의 분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CN201149257Y (zh) 高温分解式热清洁系统
CN205925249U (zh) 一种布袋除尘器在线监控系统
KR101091172B1 (ko) 필터 자동 세척장치
KR101140995B1 (ko) 축열식 버너 및 열처리로
KR101219530B1 (ko) 합성가스 냉각 세정 장치
CN106583950B (zh) 一种激光切割机移动式排烟装置
KR101745875B1 (ko) 무독성 고온 열분해 소각장치
KR101522097B1 (ko)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시스템
JP5320052B2 (ja) スートブロワ及びその運転方法
CN205119926U (zh) 一种空气预热器在线高压水冲洗装置
KR101697095B1 (ko) 더스트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배가스 청정 라인의 실탱크
CN107283784A (zh) 一种卧式真空清理炉
JP5539470B2 (ja) 石炭灰サンプリング方法
JP6063185B2 (ja) コークス炉の燃焼室清掃装置及びコークス炉の燃焼室清掃方法
JP2001003061A (ja) コークス炉装炭孔掃除装置
CN109915809A (zh) 一种带沉降室的喷淋清理锅炉
JP2007327689A (ja) 圧力検出管の清掃装置
CN208764930U (zh) 一种焚烧窑
CN220284120U (zh) 高炉窥视装置
CN204153796U (zh) 一种可移动式烟道清灰装置
KR100925631B1 (ko) 코크스 오븐 탄화실의 노벽 보수용 단열도어장치
CN203893735U (zh) 一种新型热交换节能机
CN207899256U (zh) 一种保护降温喷枪的装置
KR101433530B1 (ko) 부압을 이용한 코크스 오븐 축열실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