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238B1 - 예비 확관법을 이용한 형상 캔의 몸체 성형방법, 그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형상 캔 - Google Patents

예비 확관법을 이용한 형상 캔의 몸체 성형방법, 그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형상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238B1
KR101166238B1 KR1020040112382A KR20040112382A KR101166238B1 KR 101166238 B1 KR101166238 B1 KR 101166238B1 KR 1020040112382 A KR1020040112382 A KR 1020040112382A KR 20040112382 A KR20040112382 A KR 20040112382A KR 101166238 B1 KR101166238 B1 KR 101166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forming
expansion
molding
out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245A (ko
Inventor
남재복
정기조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11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238B1/ko
Publication of KR2006007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캔 성형을 위한 별도의 설비 없이 형상캔을 성형할 수 있고, 아울러 축방향 가압에 의한 캔 몸체의 찌그러짐 발생 없이 고속으로 캔의 몸체의 외면을 확관 성형할 수 있는 형상 캔 몸체의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2피스 또는 3피스 캔 몸체의 표면에 형상을 양각하는 형상 캔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캔의 몸체 벽부에 확관기점 돌출부를 성형하는 예비 성형단계;와 상기 예비성형된 캔의 확관기점 돌출부를 확장하여 형상 캔을 성형하는 본 성형단계; 를 포함하는 형상 캔 몸체의 성형방법을 제공한다.
형상캔, 예비 확관, 캔 몸체 찌그러짐, 확관률

Description

예비 확관법을 이용한 형상 캔의 몸체 성형방법, 그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형상 캔{FORMING METHOD OF SHAPED CAN BY PRELIMINARY BODY EXPANDING, AND FORMING DEVICE THEREOF, AND SHAPED CAN MANUFACTURED BY THE FORM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2 피이스 캔의 외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2 피이스 캔의 몸체 찌그러짐 형태를 예시하는 단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비 성형용 금형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 성형공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비 확관 성형결과 얻어진 캔의 외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캔을 성형하기 위한 본 확관 성형공정을 준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캔을 성형하기 위한 본 확관 성형공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최종 성형된 형상 캔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캔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의 몸체에 형상을 부여하는 형상캔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액상 또는 고상의 가공식품 등을 저장하기 위하여 제조되는 캔은, 그 구성 부위의 수에 따라 3피스 캔과 2피스 캔으로 구분된다.
3피스 캔은 뚜껑, 몸통, 바닥의 3부위로 구성되는 반면, 2피스 캔은 몸통과 바닥이 일체로 성형된다.
통상 3피스 캔은 저탄소 강판의 일종인 석도강판(Tinplate)을, 2피스 캔은 알루미늄 합금판이나 석도강판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캔은 각각의 제조공정에 부합되는 세정, 건조 및 기초 도색의 과정을 거친 후 외면에 상업인쇄를 실시하여 최종 캔의 몸체를 완성하게 된다.
현재 제조되고 있는 2피스 또는 3피스 캔은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나 용기제조 회사에 관계없이 그 외형의 형상은 도1에서와 같이 대부분 원통의 실린더 모양인 단순한 형태이다.
그러나 최근 캔 외면 디자인의 다양화 및 캔 몸체강도의 보강 등의 이유로, 캔 몸체의 일부분을 확관하여 굴곡성형을 부가하는 형상 캔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 캔은 통상 하이드로 포밍법 또는 벌지(bulge) 성형법으로도 불리는 유압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일정 형상의 굴곡이 표면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는 외부 금형(컨테이너)내에 성형하고자 하는 캔을 넣고 캔의 내면에 유체압을 가하여 캔의 직경을 확관하여 외부 금형의 음각 형상을 캔 몸체에 양각으로 이전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형상 캔의 성형에 사용되는 통상의 2 피이스 또는 3 피이스 캔은 캔의 벽두께가 얇기 때문에 임의의 형상으로 충분히 확관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소성가공 방법의 일종인 드로잉 및 아이어닝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2 피이스 캔은 연속적인 변형에 의하여 캔 벽부의 소재가 경화되어 있고, 벽두께가 약 70~100 마이크로메타로 아주 얇기 때문에, 원하는 형상으로 확관되지 않고 성형 도중 캔의 벽부가 파단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석도강판으로 제조된 스틸 2 피이스 캔의 경우 확관률(초기 캔의 직경에 대한 확관후의 직경 비)이 1~2%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형상 캔의 한계 확관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어 왔고 이러한 확관률 증가를 위한 발명으로는 유럽특허공보 제0864385호와 미국특허공보5899106호가 있다.
이러한 발명에서의 주요 개념은 통상의 2 피이스 캔 성형 공정이 완료된 캔을 대상으로 385호는 full body necking법을 적용한 것이고, 106호는 accordion folding법을 적용하여 얇은 캔 벽두께를 두껍게 하여, 벽부 소재의 연성(ductility)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들 방법들에 따르면 캔 벽부의 후육화에 따른 연성 증가 효과에 의하여 약간의 확관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으나, full body necking 또는 accordion folding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고가의 새로운 설비가 추가로 필요로하고 공정간 이송에 따른 단위 캔당의 제조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86462호가 있다.
이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장치 구성에 의하여 확관률을 상승시킬 수 있는 개념에 관한 것으로, 변위제어 기능을 지니는 축향 가압기로 캔을 축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유압 확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상적인 캔 몸체의 확관에는 아주 유용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나, 캔 몸체의 벽부에 임의 형태의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는 도 2에서와 같이, 축방향 가압에 의하여 캔 몸체가 찌그러져서 성형된 캔이 불량이 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의 결함은 주로 캔 벽부의 기하학적 결함을 의미하며, 제조공정중에 발생한 덴트(dent) 또는 캔 벽부 원주방향의 과다한 두께편차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형상캔 성형을 위한 별도의 설비 없이 형상캔을 성형할 수 있고, 아울러 축방향 가압에 의한 캔 몸체의 찌그러짐 발생 없이 고속으로 캔의 몸체의 외면을 확관 성형할 수 있는 형상 캔 몸체의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상캔 성형을 위한 별도의 설비 없이 형상캔을 성 형할 수 있고, 아울러 축방향 가압에 의한 캔 몸체의 찌그러짐 발생 없이 고속으로 캔의 몸체의 외면을 확관 성형할 수 있는 형상 캔 몸체의 성형용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피스 또는 3피스 캔 몸체의 표면에 형상을 양각하는 형상 캔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캔의 몸체 벽부에 확관기점 돌출부를 성형하는 예비 성형단계;와 상기 예비성형된 캔의 확관기점 돌출부를 확장하여 형상 캔을 성형하는 본 성형단계; 를 포함하는 형상 캔 몸체의 성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비 성형단계에서 확관기점 돌출부를 확관시키는 정도는 아래 수학식으로 표현되는 확관률 값의 1/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2008612835-pat00013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캔 성형을 위한 소재는 주석도금강판, 알루미늄 합금 박판 또는 폴리머 수지를 피복한 라미네이트 강판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예비 성형단계는
상기 확관기점 돌출부를 성형하기 위한 외향 굴곡부가 음각된 분할 외부금형의 내부에 상기 캔을 장착하고, 상기 캔을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캔의 상부에서 축향 가압기를 이용하여 상기 캔의 축방향으로 상기 캔을 가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압단계와 동시에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유압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캔의 내부에 채우면서 공급된 유압에 의하여 상기 캔 몸체의 벽면에 상기 확관기점 돌출부를 성형하는 단계;
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피스 또는 3피스 캔 몸체의 표면에 형상 캔 성형방법에 의하여 캔의 표면에 형상을 양각하는 성형공구에 있어서, 상기 캔을 가압하는 축향 가압기; 상기 축향 가압기에 의하여 내부에 삽입된 상기 캔의 표면에 확관기점 돌출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형상이 음각된 분할 외부금형; 그리고 상기 외부금형을 지지하고 상기 캔의 내부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구가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형상 캔 성형방법의 예비 성형단계에 사용되는 성형공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캔 몸체의 성형방법은 캔의 몸체(15) 벽부에 확관기점 돌출부(17)를 성형하는 예비 성형단계와 예비성형된 캔의 확관기점 돌출부(17)를 확장하여 형상 캔을 성형하는 본 성형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형상 캔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소재는 주석도금강판, 알루미늄 합금 박판 또는 폴리머 수지를 피복한 라미네이트 강판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재를 이용하여 원통형상의 2피스 또는 3피스 캔의 몸체 에 임의 형상의 굴곡을 형성하는 형상 캔(shaped can)을 성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캔(shaped can)을 성형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비 성형단계와 본 성형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각 단계의 성형에 필요한 성형 공구 또한 각 성형단계에서 함께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캔의 예비 성형단계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비 성형용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로서, 도3은 예비 성형을 위한 금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예비성형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비 성형단계에 사용되는 성형공구는 성형하고자 하는 캔을 가압하는 축향 가압기(20)와 형상 캔의 형상이 음각된 분할 외부금형(30, 컨테이너), 그리고 이러한 분할 외부금형을 지지하고 유압공급구(41)가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4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축향 가압기(20)는 통상의 캔 성형에 사용되는 가압기를 사용하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어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예비 성형단계에서 사용되는 분할 외부금형(30)은 그 내부에 2피스 또는 3피스 캔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분할 외부금형(30)의 내면에는 캔의 돌출부(17)를 성형하기 위한 음각(31), 즉 확관기점 돌출부를 성형하기 위한 형상이 음각되어 있다.
또한 예비 성형단계에서 사용되는 하부 플레이트(40)는 성형하고자 하는 2피스 또는 3피스 캔(15)을 성형과정 중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의 캔 유압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성형하고자 하는 캔(15)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구(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성형공구를 이용하여 캔을 예비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캔(15)을 분할 외부금형(30)의 내부에 장착하고 하부 플레이트(40)와 접촉하면 미세 변위 제어기능을 가지는 축향 가압기(20)가 하강하며 캔(15)을 축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와 동시에 유압공급부(41)를 통하여 유압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도 7의 도면부호 51 참조)이 캔(15)의 내부에 채워지며 캔 몸체의 벽면을 향하여 압력을 가하여 장착된 캔(15)을 예비 성형시킨다.
이와 같은 예비 성형을 완료하면 장착된 캔(15)은 도 5에서와 같이 캔(15)의 외형에 확관기점 돌출부(17)가 성형되게 된다. 이렇게 예비 확관 성형에 의하여 캔 몸체에 미리 약간의 확관기점 돌출부(17)를 성형하는 것은 이러한 확관기점 돌출부(17)에서부터 기점으로 하여 후술하는 본 성형 단계에서 의도한 형상이 성형이 시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캔의 본 성형단계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성형용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로서, 도6은 본 성형을 위한 금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는 본 성형을 수행하는 것을 나 타내는 도면이다.
본 성형단계에 사용되는 성형공구는 앞서 서술한 예비 성형단계의 성형공구와 유사하다. 단지 다른 점은 형상 캔의 형상이 음각된 분할 외부금형(30)이며, 이러한 본 성형용 분할 외부금형(30)의 내면에는 최종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이 음각(33)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성형을 위한 성형공구를 이용하여 캔을 본 성형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예비 성형 과정과 유사하고 단지 다른 점은 본 성형용 분할 외부금형(30)의 내부에 예비 성형단계에서 몸체의 일부에 확관기점 돌출부(17)가 형성된 캔(15)을 장착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본 성형과정에서 캔(15) 내부로 유압시스템에 의한 유압(51)이 공급되면 캔(15)의 내부에 공급된 유압은 캔(15)의 내부에 채워지면서 그 압력에 의하여 예비 성형단계에서 형성된 확관기점 돌출부(17)를 확관 변형시키다.
즉, 확관 변형은 예비 성형단계에서 형성된 확관기점 돌출부(17)에 의하여 더욱 촉진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예비 성형의 개념 및 성형공구의 요구특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관율이 높은 형상 캔을 성형하기 위하여 도입된 축방향 가압 기능은 몸체에 결함이 없는 캔의 유압 확관 성형에는 아주 효과적이나, 캔 벽부에 약간의 덴트가 형성되어 있거나 원주방향의 캔 벽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기하학적인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는 축방향 가압에 의하여 캔 몸체의 찌그러짐 현 상이 쉽게 발생된다.
따라서 확관 성형을 실시하고자 하는 캔 몸체부에 미리 확관기점 돌출부(17)를 형성해 둠으로써, 기하학적 결함이 존재하는 캔인 경우에도 찌그러짐이 발생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형상 캔을 제조할 수 있게된다.
예비 성형에 의해 형성된 캔 벽부의 확관기점 돌출부(17)는 본 성형공정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성형부에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뿐 아니라, 축방향 가압력을 받는 경우 캔 벽부를 외측으로만 이동시키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나타난 예비 성형용 분할 외부금형(30)에서의 음각(31)은 그 크기를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음각(31)의 크기라고 함은 확관기점 돌출부(17)의 확관률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확관률은 아래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08612835-pat00014
본 발명자들의 경험에 의하면 최종적으로 얻고자하는 형상 캔의 확관률 값의 1/3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것은 예를 들면 9%의 확관률로 형상 캔을 제조하려고 할 경우, 예비 성형에서의 미소 돌출부의 확관률은 3%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예비 성형 및 본 성형에서의 분할 외부금형(3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할 외부금형(30)은 열처리된 일반 탄소강 정도의 재질이면 충분하나, 장기간 사용시의 내마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구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할 외부금형(30)은 캔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2개의 반 분할 원통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할 외부금형(30)의 내경은 캔(15)의 외경보다 약간 클 필요가 있는데, 이는 연속작업시 캔(15)이 분할 외부금형(30)의 내부에 쉽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하여 분할 외부금형(30)의 내경은 캔(15)의 외경보다 0.5~1mm정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예비 확관 성형공정으로 확관기점 돌출부(17)를 미리 형성시킨 다음 본 성형공정을 수행하면, 덴트나 원주방향의 캔 벽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기하학적인 결함이 존재하는 캔의 경우에도 캔 몸체의 찌그러짐이 발생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형상 캔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성형공구를 사용하여 형상 캔을 제조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예비 성형과 본 성형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형상 캔(19)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캔(15)은 몸체의 외경이 53.02mm인 공칭 규격 202x506의 캔으로 그 용량은 250ml이다.
확관 성형이 이루어지기 전의 캔 몸체는 통상의 2피스 캔 제조공정에 의하여 제조되었으며 그 소재는 석도강판이 사용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도 3의 음각(31)으로 형성된 확관기점 돌출부(17)의 확관률은 2%이며, 분할 외부금형(30)의 내경은 53.10mm로 설정되었고 분할 외부금형(30)의 재질은 공구강 SKD11 이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따라 형상캔을 제조한 결과, 예비 성형공정 없이 축방향 가압에 의한 통상적인 형상 캔 제조공정에서는 약 0.12%의 캔 몸체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예비 성형후 본 성형을 실시한 결과 몸체 찌그러짐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형상캔 성형기술은 앞서 설명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비 성형공정 및 본 성형공정을 이용하여 형상 캔의 몸체를 성형할 경우, 통상의 유압시스템에 의하여 공급되는 유압력 및 통상의 유압 및 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축향 가압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 캔의 몸체 성형방법은 공지기술에 비하여 보다 간단히 2 피이스 또는 3 피이스 캔 몸체 외면에 굴곡 형상을 가지는 형상 캔을 제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형상 캔의 몸체 성형방법은 캔 몸체에 기하학적 결함을 지니는 캔의 확관시 흔히 발생하는 캔 몸체 찌그러짐 현상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2피스 또는 3피스 캔 몸체의 표면에 형상을 양각하는 형상 캔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캔의 몸체 벽부에 확관기점 돌출부를 성형하는 예비 성형단계;와
    상기 예비성형된 캔의 확관기점 돌출부를 확장하여 형상 캔을 성형하는 본 성형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예비 성형단계에서 상기 확관기점 돌출부를 확관시키는 정도는 하기 수학식으로 표현되는 확관률 값의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형상 캔 몸체의 성형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2008612835-pat00015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은 주석도금강판, 알루미늄 합금 박판 또는 폴리머 수지를 피복한 라미네이트 강판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캔 몸체의 성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성형단계는
    상기 확관기점 돌출부를 성형하기 위한 외향 굴곡부가 음각된 분할 외부금형의 내부에 상기 캔을 장착하고, 상기 캔을 하부 플레이트와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캔의 상부에서 축향 가압기를 이용하여 상기 캔의 축방향으로 상기 캔을 가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압단계와 동시에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유압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캔의 내부에 채우면서 공급된 유압에 의하여 상기 캔 몸체의 벽면에 상기 확관기점 돌출부를 성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캔 몸체의 성형방법.
  5. 2피스 또는 3피스 캔 몸체의 표면에 형상 캔 성형방법에 의하여 캔의 표면에 형상을 양각하는 성형공구에 있어서,
    상기 캔을 가압하는 축향 가압기;
    상기 축향 가압기에 의하여 내부에 삽입된 상기 캔의 표면에 확관기점 돌출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형상이 음각된 분할 외부금형; 그리고
    상기 분할 외부금형을 지지하고 상기 캔의 내부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공급구가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외부금형에 내면에 형성된 음각은,
    상기 캔의 확관기점 돌출부를 하기 수학식으로 표현되는 확관률 값의 1/3 이하로 확관 시킬 정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형상 캔 성형방법의 예비 성형단계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수학식 1]
    Figure 112012008612835-pat00016
    는 형상 캔 성형방법의 예비 성형단계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외부금형은 열처리된 탄소강 또는 공구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캔 성형방법의 예비 성형단계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외부금형은 상기 캔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2개의 반 분할 원통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캔 성형방법의 예비 성형단계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외부금형은 그 내경이 상기 캔의 외경보다 0.5~1mm 크게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캔 성형방법의 예비 성형단계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10.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형상 캔 몸체의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형상 캔.
KR1020040112382A 2004-12-24 2004-12-24 예비 확관법을 이용한 형상 캔의 몸체 성형방법, 그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형상 캔 KR101166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382A KR101166238B1 (ko) 2004-12-24 2004-12-24 예비 확관법을 이용한 형상 캔의 몸체 성형방법, 그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형상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382A KR101166238B1 (ko) 2004-12-24 2004-12-24 예비 확관법을 이용한 형상 캔의 몸체 성형방법, 그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형상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245A KR20060073245A (ko) 2006-06-28
KR101166238B1 true KR101166238B1 (ko) 2012-07-17

Family

ID=3716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382A KR101166238B1 (ko) 2004-12-24 2004-12-24 예비 확관법을 이용한 형상 캔의 몸체 성형방법, 그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형상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2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848A (ja) * 1996-09-20 1998-04-14 Daiwa Can Co Ltd シームレス缶側壁部への凹凸模様成形方法
JPH11225890A (ja) * 1998-02-18 1999-08-24 Nippon Sanso Kk 金属製容器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848A (ja) * 1996-09-20 1998-04-14 Daiwa Can Co Ltd シームレス缶側壁部への凹凸模様成形方法
JPH11225890A (ja) * 1998-02-18 1999-08-24 Nippon Sanso Kk 金属製容器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245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9058B (zh) 制造容器的方法
US200600109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an lid shell
EP0852972A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deformed metal can having a reshaped can body wall
WO1995005253A1 (en) Method of forming a metal container body
CN107249773B (zh) 冲压成形方法及冲压成形模具
EP1131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haping a container body
JP2006224113A (ja) 缶胴にストレート形状部とテーパー形状部を有する金属缶の製造方法
WO20000003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expansion forming
JP4628217B2 (ja) バルジ成形方法及びその金型
US6253597B1 (en) Body-necking a wall-ironed can
CN104815901B (zh) 增压复合模具
KR101166238B1 (ko) 예비 확관법을 이용한 형상 캔의 몸체 성형방법, 그에 사용되는 성형공구,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형상 캔
JP3517532B2 (ja) シームレス缶側壁部への凹凸模様成形方法
US62501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haping a container body
JP3582224B2 (ja) バルジ缶の製造方法
JP2017217700A (ja) 缶の製造方法
JP2005288532A (ja) ハイドロフォーム加工方法
KR20040059954A (ko) 형상 캔의 바디 성형장치
JPH04123825A (ja) 耐圧強度が高いdi缶体の製造方法及び缶体
KR100848648B1 (ko) 엠보싱 캔 몸체 성형공구
JPH0489147A (ja) 耐圧強度の優れたdi缶の製造方法
KR20020042953A (ko) 캔의 추출성 향상을 위한 아이어닝 펀치의 구조
KR20050095277A (ko) 비대칭 곡면을 갖는 파이프 및 포밍방법
Siegert et al. External high-pressure hydroforming of tub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