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924B1 - 비상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비상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924B1
KR101165924B1 KR1020110089157A KR20110089157A KR101165924B1 KR 101165924 B1 KR101165924 B1 KR 101165924B1 KR 1020110089157 A KR1020110089157 A KR 1020110089157A KR 20110089157 A KR20110089157 A KR 20110089157A KR 101165924 B1 KR101165924 B1 KR 10116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pe
guide
state
support shaft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규
Original Assignee
최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규 filed Critical 최태규
Priority to KR102011008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924B1/ko
Priority to PCT/KR2012/007032 priority patent/WO2013032305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가로바 및 세로바로 구성되는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는 비상용 사다리에 있어서, 가로바에 걸림 거치되도록 복수개의 거치브라켓이 마련된 상태로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발코니 난간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사다리가 장착된 반원관 형상의 제1가이드관체, 양측에는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가이드부가 마련되며, 발코니 난간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사다리가 장착된 반원관 형상의 제2가이드관체, 제1가이드관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스풀이 마련된 지지축, 길이방향 일단이 지지축의 스풀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제2가이드관체 일측에 연결되어, 제2가이드관체를 지지하는 와이어, 제1가이드관체에 설치된 상태로 지지축에 연결되어, 지지축에 와이어가 감김 또는 감김된 상태에서 풀림되게 하면서 제1가이드관체 및 제2가이드관체의 절첩 또는 펼침되도록 지지축을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용 사다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용 사다리{Ladder apparatus for disaster escape}
본 발명은 비상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와 같은 비상시, 대피자가 신속하게 아래층으로 대피하거나 구조대가 도착할때까지 안전하게 매달린 상태로 대피할 수 있게 하는 비상용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나 연립주택 또는 다세대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는 원칙적으로 발코니를 설치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공동주택 중 특히 아파트의 경우에는 그 대부분이 고층으로 시공됨에 따라 단위 건물당 세대수가 점점 늘어가는 추세임은 물론, 상기와 같이 세대수가 늘어남에 따라 입주자도 늘어 그에 따른 가스 및 전기의 사용이 잦아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화재의 위험성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발코니의 전방에 설치되는 발코니 난간을 추락사고 방지의 목적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입주자가 외부로 탈출가능한 용도로 설치하도록 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발코니에는 화재발생시에 현관문 또는 비상구로 미처 대비하지 못한 입주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발코니 또는 발코니의 소정공간에 완강기를 설치하여 상기 완강기에 연결된 소방로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탈출하거나 혹은 아래층으로 대비하도록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완강기를 이용한 탈출방법은 실질적으로 화재의 발생시에는 입주자는 매우 당황하게 되므로 침착하게 상기 완강기의 소방로프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완강기를 이용한 비상탈출의 경우에는 높은 건물에서 사람이 로프에 매달리는 형태가 되므로 오히려 그 탈출과정에서 심한 공포감을 느끼게 되어 추락사고가 발생하거나 혹은 상기 완강기를 통해 여러 사람이 동시에 비상탈출을 감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비상시 사용이 용이하며,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탈출할 수 있게 하는 비상용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가로바 및 세로바로 구성되는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는 비상용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에 걸림 거치되도록 복수개의 거치브라켓이 마련된 상태로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사다리가 장착된 반원관 형상의 제1가이드관체와,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가이드부가 마련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사다리가 장착된 반원관 형상의 제2가이드관체와, 상기 제1가이드관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스풀이 마련된 지지축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지지축의 스풀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관체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가이드관체를 지지하는 와이어 및, 상기 제1가이드관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에 상기 와이어가 감김 또는 감김된 상태에서 풀림되게 하면서 상기 제1가이드관체 및 상기 제2가이드관체의 절첩 또는 펼침되도록 상기 지지축을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용 사다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의 일측에는 제1링크기어가 장착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축과, 상기 제어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링크기어와, 상기 제1링크기어와 상기 제2링크기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과, 상기 제어축의 타측에 설치되는 래칫기어 및, 상기 제1가이드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래칫기어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어축이 회전하지 않도록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축에는 사용자에 의한 축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파지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관체에는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한 상태로 장력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가 회전가능하게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브라켓의 하단에는 상기 가로바를 삽입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사다리는, 와이어가 지지축에 감김된 상태를 제어부가 유지시키면서, 제1 및 제2사다리가 장착된 반원관 형상의 제1가이드관체와 제2가이드관체를 절첩되게 한 상태에서, 비상시 제어부를 통해 지지축이 회전하도록 하면, 제1가이드관체와 제2가이드관체가 펼침상태가 되는 바, 사용이 용이함과 더불어 반원관 형상의 제1 및 제2가이드관체가 사용자의 후방을 보호하는 바,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사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펼침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사다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펼침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비상용 사다리는, 제1가이드관체(100), 제2가이드관체(200), 지지축(300), 와이어(400), 제어부(500)를 구비한 상태로 복수개의 가로바(11) 및 세로바(12)로 구성된 발코니 난간(10)에 걸림된 상태로 거치 설치된다.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는 상기 발코니 난간(10)의 가로바(11)에 걸림 거치되며, 길이방향 양단, 즉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반원관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는 상기 가로바(11)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로바(11)에 걸림 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내측, 즉, 상기 가로바(11)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화재와 같은 비상 발생시 입주자가 탈출할 수 있도록 제1사다리(110)가 장착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1사다리(110)는 상기 제1가이드관(100)의 내측면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이후 설명될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를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에 절첩되게 한 상태에서 제2가이드관체(200)의 제2사다리(210)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발코니 난간(10)의 가로바(11)에 걸림 거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거치브라켓(120)이 결합 구비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거치브라켓(120) 하단에는 상기 가로바(11)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이 되지않는 안정적인 상태로 걸림 거치될 수 있도록 걸림홈(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내측에는 가이드롤러(14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러(140)는 이후 설명될 상기 와이어(40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140)는 이후 설명될 상기 지지축(300)에 상기 와이어(400)에 감김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와이어(400)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기 지지축(300)에서 갑자기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의 안정적인 하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양측에는 수직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홈(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홈(130)은 이후 설명될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를 수직방향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하부로 연장 펼침되면서, 입주자가 탈출할 수 있게 하는 반원관 형상의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는 길이방향 일단만이 개방된 반원관 형상, 즉, 상단만이 개방된 반원관 형상을 가지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앞서 설명한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와 같이 길이방향 양단, 즉 상단 및 하단이 모두 개방된 반원관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의 양측에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슬라이딩홈(130) 상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220)가 수직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와 상기 발코니 난간(1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의 내측, 즉, 상기 가로바(11)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와 같이 제2사다리(210)를 장착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사다리(210)는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 즉,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 상에서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를 펼침시킨 상태에서, 상기 입주자가 상기 제1사다리(110)를 통해 이동한 후, 다시 하부로 이동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사다리(110)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 및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는 상기 제1 및 제2사다리(110,210)를 통해 상기 입주자가 탈출시, 상기 입주자의 후방을 보호함과 동시에 그로인한 심리적인 안정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축(300)은 이후 설명될 상기 와이어(400)의 길이방향 일단을 연결지지하여, 이후 설명될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축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400)를 감거나 풀어지게 하는 축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지지축(3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상단 양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300)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400)를 감을 수 있도록 스풀(31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300)의 일측, 즉 길이방향 일단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도록 제1링크기어(32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400)는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를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에 연결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가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에 연결상태로 지지되게 한다. 즉, 상기 와이어(4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지지축(300)의 스풀(310)에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관체(100)의 하단 일측에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지지축(300)의 스풀(310)에 감김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와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가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며, 반대로,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지지축(300)의 스풀(310)에서 풀림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하방으로 펼침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지지축(300)에 상기 와이어(400)를 감김된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감김된 상태에서 풀림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 및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를 상호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절첩된 상태에서 펼침되도록 상기 와이어(400)에 의한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의 지지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이같은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300)의 제1링크기어(320)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300)을 선택적으로 시게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00)는 제어축(510), 제2링크기어(520), 연결체인(530), 래칫기어(540), 고정고리(55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축(510)은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관통 연결 설치되는 축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축(5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이후 설명될 상기 제2링크기어(520) 및 상기 래칫기어(540)가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축(510)의 단부에는 축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즉 입주자에 의한 파지가 가능하게 하는 회전파지대(511) 연장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파지대(511)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 및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를 펼침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를 다시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 내측으로 절첩되게 할 경우, 상기 입주자가 상기 제어축(5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링크기어(520)는 이후 설명될 상기 연결체인(530)을 통해 상기 제어축(510)과 상기 지지축(300)이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기어이다. 즉, 상기 제2링크기어(520)는 상기 제어축(510)의 일측, 즉 길이방향 일단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어축(51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한다.
상기 연결체인(530)은 상기 제2링크기어(520)와 상기 제1링크기어(320)를 연결하는 체인이다. 즉, 상기 연결체인(530)은 상기 제2링크기어(520)와 상기 제1링크기어(320)를 연결시켜, 상기 제어축(510) 및 상기 지지축(300)이 상호 연동상태로 축회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래칫기어(540)는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고리(550)를 통해 상기 제어축(510)이 회전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기어이다. 즉, 상기 래칫기어(540)는 상기 제어축(510)의 타측, 즉 길이방향 타단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고리(550)에 선택적으로 걸림될 수 있다.
상기 고정고리(550)는 상기 제어축(510)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칫기어(540)를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걸림부재이다. 즉, 상기 고정고리(550)가 상기 래칫기어(540)에 걸림되면 상기 제어축(510) 및 상기 제2링크기어(520)가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연결체인(530)에 의해 연동되는 상기 지지축(300)도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 및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가 절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고리(550)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 상태로, 일측에는 상기 래칫기어(520)에 걸림될 수 있도록 걸림부(551)가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지지축(300)과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축(3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거나, 회전되지 않는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상용 사다리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와 같은 비상시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와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는 절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지지축(300)의 스풀(310)에 상기 와이어(400)가 감김된 상태로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가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상기 지지축(300)이 회전되지 않게, 상기 고정고리(550)의 걸림부(551)를 상기 래칫기어(540)에 걸림 고정시킨다.
이같이, 상기 고정고리(550)가 상기 래칫기어(540)에 걸림 고정되면, 상기 제어축(510)이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연결체인(530)에 의해 상호 연동되는 상기 지지축(300)도 회전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와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의 절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입주자(사용자)가 상기 고정고리(550)의 래칫기어(540)에 대한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면,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가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된다. 즉, 상기 고정고리(500)의 걸림부(551)를 상기 래칫기어(540)에 걸림된 상태에서 해제되게 하면, 상기 제어축(510)이 축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축(300)도 축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지지축(300)의 스풀(310)에 감김된 상태에서 풀림되며,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가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슬라이딩홈(130)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의 제1사다리(110) 하방으로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의 제2사다리(210)가 연장 배치되면서, 상기 입주자가 아래층으로 안정적인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같이,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와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가 펼침된 상태에서 다시 절첩되게 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파지대(511)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제어축(510)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축(300)의 스풀(310)에 상기 와이어(400)를 다시 감김되게 한다. 즉,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가 최초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 내측에 배치된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와이어(400)를 상기 스풀(310)에 감김되게 한 후, 상기 고정고리(550)의 걸림부(551)를 다시 래칫기어(540)에 걸림 고정시키면,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와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의 절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비상용 사다리는, 상기 와이어(400)가 상기 지지축(300)에 감김된 상태를 상기 제어부(500)가 유지시키면서, 상기 제1 및 제2사다리(110)가 장착된 반원관 형상의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와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를 절첩되게 한 상태에서, 비상시 상기 제어부(500)를 통해 상기 지지축(300)이 회전하도록 하면, 상기 제1가이드관체(100)와 상기 제2가이드관체(200)가 펼침상태가 되는 바, 사용이 용이함과 더불어 반원관 형상의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관체(100,200)가 사용자의 후방을 보호하는 바,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에서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가이드관체 110: 제1사다리
120: 거치브라켓 130: 슬라이딩홈
140: 가이드롤러 200: 제2가이드관체
210: 제2사다리 220: 가이드부
300: 지지축 310: 스풀
320: 제1링크기어 400: 와이어
500: 제어부 510: 제어축
520: 제2링크기어 530: 연결체인
540: 래칫기어 550: 고정고리
551: 걸림부

Claims (5)

  1. 복수개의 가로바 및 세로바로 구성되는 발코니 난간에 설치되는 비상용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에 걸림 거치되도록 복수개의 거치브라켓이 마련된 상태로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사다리가 장착된 반원관 형상의 제1가이드관체와;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가이드부가 마련되며, 상기 발코니 난간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사다리가 장착된 반원관 형상의 제2가이드관체와;
    상기 제1가이드관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스풀이 마련된 지지축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지지축의 스풀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제2가이드관체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가이드관체를 지지하는 와이어; 및,
    상기 제1가이드관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축에 상기 와이어가 감김 또는 감김된 상태에서 풀림되게 하면서 상기 제1가이드관체 및 상기 제2가이드관체의 절첩 또는 펼침되도록 상기 지지축을 선택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축의 일측에는 제1링크기어가 장착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가이드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축과, 상기 제어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링크기어와, 상기 제1링크기어와 상기 제2링크기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과, 상기 제어축의 타측에 설치되는 래칫기어 및, 상기 제1가이드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래칫기어에 걸림되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어축이 회전하지 않도록 걸림 고정시키는 고정고리를 포함하는 비상용 사다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축에는 사용자에 의한 축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파지대를 더 구비하는 비상용 사다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관체에는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한 상태로 장력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가 회전가능하게 더 설치된 비상용 사다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브라켓의 하단에는 상기 가로바를 삽입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비상용 사다리.
KR1020110089157A 2011-09-02 2011-09-02 비상용 사다리 KR101165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57A KR101165924B1 (ko) 2011-09-02 2011-09-02 비상용 사다리
PCT/KR2012/007032 WO2013032305A2 (ko) 2011-09-02 2012-09-03 비상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157A KR101165924B1 (ko) 2011-09-02 2011-09-02 비상용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924B1 true KR101165924B1 (ko) 2012-07-19

Family

ID=4671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157A KR101165924B1 (ko) 2011-09-02 2011-09-02 비상용 사다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5924B1 (ko)
WO (1) WO201303230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218B1 (ko) * 2022-12-22 2023-07-13 (주)휴먼씨엠건축사사무소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957A (ja) * 1996-11-11 1998-05-26 Taisei Corp 伸縮型梯子
KR200358087Y1 (ko) * 2004-04-26 2004-08-05 배종식 난간용 사다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314B1 (ko) * 2007-02-06 2009-01-19 장찬수 탈출용 윈치
KR101175832B1 (ko) * 2009-07-06 2012-08-24 고재용 교량 점검로 진입 사다리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957A (ja) * 1996-11-11 1998-05-26 Taisei Corp 伸縮型梯子
KR200358087Y1 (ko) * 2004-04-26 2004-08-05 배종식 난간용 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218B1 (ko) * 2022-12-22 2023-07-13 (주)휴먼씨엠건축사사무소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2305A3 (ko) 2013-06-13
WO2013032305A2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2076672B1 (ko)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092363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KR100522151B1 (ko) 비상 탈출장치
US20070209870A1 (en) Access and escape devices
KR101165924B1 (ko) 비상용 사다리
KR101043604B1 (ko) 안전하강수단과 자동개방수단을 구비한 비상탈출용 사다리
KR20100137127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JP2011041772A (ja) 昇降式物干し竿
KR101105685B1 (ko) 화재 피난용 하강기구
KR101111888B1 (ko) 발 받침 수단이 구비된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090087859A (ko) 피난용 사다리
JP7053024B2 (ja) 建築物における緊急脱出避難装置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JP5722292B2 (ja) 高層建物用避難梯子
KR20100138588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N109944036A (zh) 支柱式晾衣伸缩救生架
CN217129346U (zh) 一种快速逃生窗
KR20140004211U (ko) 선박용 줄사다리 홀딩장치
KR102528446B1 (ko) 연결이 용이한 아파트용 연결형 난간
KR10093689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