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712B1 - 프로폴리스와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함유 소염 진통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프로폴리스와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함유 소염 진통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712B1
KR101165712B1 KR1020100121618A KR20100121618A KR101165712B1 KR 101165712 B1 KR101165712 B1 KR 101165712B1 KR 1020100121618 A KR1020100121618 A KR 1020100121618A KR 20100121618 A KR20100121618 A KR 20100121618A KR 101165712 B1 KR101165712 B1 KR 101165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olis
extract
flavonoid
inflammato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053A (ko
Inventor
이무홍
박생환
이주홍
정혜진
김종욱
Original Assignee
한국양봉농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양봉농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한국양봉농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00121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7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항관절염 및 진통억제 효능을 가지는 프로폴리스(Propolis)와 괴화(Sophora japonica) 복합제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효 성분으로 5.0 ~ 20.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Propolis) 및 괴화(Sophora japonica)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일정 함량의 유효성분으로써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며, 귀 부종 및 급성부종 억제작용, 급성관절염 억제작용, 진통 억제작용 등의 탁월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므로,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관절염, 부종, 통증 등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폴리스와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함유 소염 진통제 조성물 {Composition for the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a comprising extract of propolis and Sophora japonica complex containing flavonoid}
본 발명은 소염 진통제 조성물 및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폴리스(Propolis) 및 괴화(Sophora japonica)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 중에는 지표물질로 5.0 ~ 20.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증이란 외부 세균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뜻하며, 염증반응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으로 인한 손상을 수복 재생하기 위한 생체 방어 반응과정으로,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과 같은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질환의 주요 병리현상(과민성 질환, 만성염증)이 되며, 수혈, 약물 투여, 장기이식 등 치료과정에서도 장해요인이 된다.
이러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염증성 인자인 NO(nitric oxide)는 NO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에 의해 L-알지닌(L-arginine)으로부터 중간 대사물인 히드록시알지닌(hydroxyarginine)을 거쳐 NO와 시트룰린(citrulline)이 만들어 진다. NO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닌 것으로 매우 작은 분자량을 갖고 있는 물질로써 생체 내에서 혈관계에 작용하여 혈관확장, 혈소판 부착 및 응집, 신경전달, 소화기관 운동 등에 관여하는 매개물질이며, 여러 가지 대사 조절 작용 및 생리 작용(신경전달, 혈액응고, 혈압조절, 암세포에 대한 면역 등)을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염증세포 뿐만 아니라 비 면역세포에서도 생성되어 미생물 감염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NO는 대기 상태에서 가스의 형태로 존재하며, 자유 라디칼 구조이기 때문에 매우 유독할 뿐만 아니라 반감기가 6 ~ 10초로 매우 불안정하여, 안정화된 최종 산물인 NO3(nitrate)와 NO2(nitrite)로 신속히 변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nyder, S. H. et al., Scientific American, May, pp28-35, 1992).
한편, NO 생성에 관여하는 NOS는 칼슘(Ca2 +)이나 칼모듈린(camodulin) 의존성 여부에 따라 크게 2가지 즉,cNOS(constitutive NOS)와 iNOS(inducible NOS)로 분류되는데, cNOS는 칼슘이나 칼모듈린 의존성이고 주로 뇌, 상피세포, 호중구, 위장 점막 세포에 존재하며, iNOS는 칼슘이나 칼모듈린 비의존성으로 iNOS는 대식세포, 간세포, 암세포 등에 존재하며, IL-1β(interlukin-1β), IFN-γ(interferon-γ), TNF-α(tumor necrosisfactor-α)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류(cytokines)와 내독소인 세균성 LPS(lipopolysaccharide) 등에 의해 유도된다(Dinerman, J. L., et al., Circ. Res., 73, pp217-222, 1993). 이러한 자극에 의하여 COX-2(cyclooxygenase-2)도 함께 활성화되어 염증매개물질인 PGs(prostaglandines)가 생성되기 때문에 iNOS 발현과 COX-2의 발현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생성된 NO는 COX-2 발현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Robert C., et al., J. Immunol., 165 , pp1582-1587, 2000; Daniela S., et al ., Proc. Natl. Acad. Sci. USA, 90, pp7240-7244, 1993).
따라서, iNOS에 의한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확보하고 이를 의약품으로 개발하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에는 동맥경화 외에 위염, 대장염, 관절염, 신장염, 간염, 암 또는 퇴행성 질환(Gobert A. P. et al., J. Immunol. 168(12), pp6002-6006, 2002; Dijkstra G. et al., Scand. J. Gastroenterol. 37(5), pp546-554, 2002; Sakac V. and Sakac M. Med. Pregl. 53, pp463-474, 2000; Albrecht E. W. et al., Am. J. Transplant, 29(5), 448-453, 2002; Ramachandran A. et al., Free Radical Biol. Med. 33(11), pp1465-1474, 2002; Sartor L. et al., Biochemical Pharmacol. 64, pp229-237, 2002; Sadowska-Krowicka H. et al., Proc. Soc. Exp. biol. Med. 217(3), pp351-357, 1998; Lo A-H. et al., Carcinogenesis, 23(6), pp983-991, 2002) 등이 포함된다.
괴화(槐花)는, 본초강목에 회화라고도 하며, 회충을 죽이며 열리, 치루, 및 장풍을 다스린다. 회화나무는 콩과의 낙엽교목으로 키가 10 m에 이르며 잎은 난형의 쪽잎이 6 ~ 8쌍 모인 겹잎으로 되어있으며, 전국의 각지에 산제한다. 괴화는 예로부터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및 광제비급 등의 기성 한약서나 관련문헌에서 단방 생약으로서 처방하고 있으나, 이러한 처방은 괴화의 외형상의 형태감별 방법 및 한방의학적 약효와 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간단한 언급에 불과하며, 최근 국내공개특허 제2008-0101352호 루틴 함유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조성물에서 그 플라보노이드의 한 형태인 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특허가 공개되었다.
최근 국내에서는 100 % 메탄올로 추출한 괴화추출물의 염증성 치주질환치료에 대해 개시된 바 있으며(이지은 등, 대한치주과학회지, 35(1):9-17, 2005),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509,682호는 괴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국내등록특허 제539,457호는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국내등록특허 제539,456호에서는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국내공개특허 제2006-0033070호에서는 괴화를 포함한 여러 한약제들이 치질 또는 부인과 질환의 치료를 위한 좌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좌욕제백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뇌경색을 유발한 쥐 모델 실험에 있어서 괴화 추출물이 은행(Ginkgo biloba)처럼 인터루킨-1의 생산, 미세교세포(microglial cell)의 활성 및 뇌세포 죽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인간의 뇌경색 등 뇌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 논문이 발표된 바 있다(Lao CJ et al., Am J Chin Med.33(3):425-438, 2005년).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벌집입구에 발라 외부로부터 박테리아나 바이러스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며, 또한 벌집의 찢어진 틈새를 막아 빗물이나 바람의 유입을 막는 등 벌집을 지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일종의 보호제 역할을 한다. 또한 프로폴리스는 벌집 내부의 소독과 살균작용을 하고, 벌집 안을 무균상태로 유지하여 벌집안의 벌 유충들이 안전하게 자라게 한다. 프로폴리스(propolis)의 어원은 그리스에서 유래가 되었는데, 프로(pro)는 그리스어 에서 앞(before)을 뜻하고 폴리스(polis)는 도시를 뜻한다. 그러므로 두 어원을 합하면‘도시의 앞’을 의미하게 되고 여기에서 '도시'란 벌집을 뜻하므로 넓게 해석하면 '벌집 앞에서 안전과 질병을 막아주는 물질' 이라는 뜻이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프로폴리스가“노봉방(露蜂房)”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해소, 천식에 효과가 있음을 설명하고 있으며, 현대에 와서는 감기, 알러지, 아토피, 천식, 화상, 피부미용, 노화억제 등 각종의 면역성 질환에 민간 의약으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폴리스는 각종의 항생제 사용으로 내성이 유발되어 슈퍼바이러스가 발생하고 있는 현대에 있어서 항생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천연 항생식품으로서 국민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현재까지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중 어떤 성분에 의해 염증에 관련된 매개물질 및 세포들이 억제되는지에 대해 제시된 바가 없으며, 또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와 같은 천연물의 특징은 산지 및 채취 시기별로 지표 성분의 함량편차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추출물의 규격화가 어렵고 소염진통, 혈액순환 개선, 관절염 치료 등의 활성이 우수한 활성 분획을 재현성 있게 얻을 수 없어서 상품화가 곤란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에서 현저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특정 활성성분 및 이의 함량에 따른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유효성분으로 플라보노이드 5.0 ~ 20.0 중량%를 함유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상기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표물질로 5.0 ~ 20.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Propolis) 및 괴화(Sophor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염 진통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프로폴리스 및 괴화의 중량비를 60 : 40 내지 80 : 20으로 하여 2 ~ 4 배량의 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 냉각 및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여액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20 ℃ ~ -30 ℃에서 프로폴리스의 밀납 성분을 응집시킨 후 여과하여 밀납을 제거한 여과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여과액을 1 ~ 7 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켜 원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원액을 3,000 ~ 5,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다음 여액을 감압 농축, 동결진공건조, 분쇄 및 멸균하여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로써 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며, 소염 진통작용, 급성부종 억제작용, 급성관절염 억제작용 등의 탁월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염증 및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관절염, 중이염, 부종, 통증 또는 퇴행성질환 등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및 개별 인정형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UV 스펙트로포토미터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스탠다드 커브(Standard Curve)가 나타나 있으며,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R2 = 0.99677로 높게 나타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폴리스(Propolis)와 괴화(Sophora japonica)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 중에는 지표물질로 5.0 ~ 20.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5.0 ~ 2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염증 및 염증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관절염, 중이염, 부종, 통증 또는 퇴행성 질환에 대해 탁월한 소염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프로폴리스 및 괴화의 중량비를 60 : 40 내지 80 : 20으로 하여 2 ~ 4 배량의 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 냉각 및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여액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20 ℃ ~ -30 ℃에서 프로폴리스의 밀납 성분을 응집시킨 후 여과하여 밀납을 제거한 여과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여과액을 1 ~ 7 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켜 원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원액을 3,000 ~ 5,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다음 여액을 감압 농축, 동결진공건조, 분쇄 및 멸균하여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5.0 ~ 2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 6의 저급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일정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염 진통제 조성물은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지표물질로서 플라보노이드를 5.0 ~ 2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상기 프로폴리스 및 괴화는 60 : 40 내지 80 : 2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프로폴리스 및 괴화와 같은 천연물에 함유된 유효 생리 활성물질의 함량은 산지, 채취시기, 보관기간 및 보관상태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 생약조성물의 조성을 한정함에 있어 사용 성분의 중량비의 한정보다는 특정 지표물질의 함량으로 한정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목적하는 항염증 효과의 발현을 극대화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얻기 위한 지표물질로서 플라보노이드를 선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프로폴리스 및 괴화부터 추출한 추출물 자체(생약 엑기스) 또는 상기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로부터 특정 지표물질인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이때의 배합 비율은 프로폴리스 및 괴화의 원래 함량보다는 지표물질이자 유효성분인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중 5.0 ~ 20.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5.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관절염 등의 치료에 상대적으로 저조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이 되도록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상한 범위에 대해 특별한 제한은 두지 않으나, 다만 일정수준 이상을 초과하여 함유되면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하기에도 기술적,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20.0 중량% 이하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 정도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표물질이자 활성물질인 플라보노이드 5.0 ~ 20.0 중량%로 함유되어 있을 경우, 목적하는 약효의 상승효과를 발현하여 보다 탁월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얻은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중 상기 플라보노이드 이외의 다른 성분의 작용을 배제할 수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현저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5.0 ~ 20.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a) 프로폴리스 및 괴화의 중량비를 60 : 40 내지 80 : 20으로 하여 2 ~ 4 배량의 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 냉각 및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여액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20 ℃ ~ -30 ℃에서 프로폴리스의 밀납 성분을 응집시킨 후 여과하여 밀납을 제거한 여과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여과액을 1 ~ 7 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켜 원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원액을 3,000 ~ 5,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다음 여액을 감압 농축, 동결진공건조, 분쇄 및 멸균하여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a) 단계에서 중량비 60 : 40 내지 80 : 20의 프로폴리스와 괴화 원 천연물에 2 ~ 4배의 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가하고 12 ~ 36 시간, 2 ~ 5 회 반복하여 추출한 다음,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시킨 후 원심분리 등의 방법으로 여과하여 잔사와 분리한다. 상기 잔사에 상기 혼합 생약 중량의 2 ~ 4 배량의 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가하고 가온하여 재추출한 후 여과한 다음, 이전의 여액과 혼합하여 여과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잔사에 물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가하여 재추출 및 여과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때 추출에 사용되는 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의 사용량이 2 배량 미만일 경우에는 추출물의 용해도가 나빠져서 추출효율이 떨어지며, 사용량이 4 배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층 분리에 사용하는 알코올 수용액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감압 농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경제적이지 못하거나 취급상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족, 방향족 알코올이 모두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 6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 수용액의 경우 60 ~ 80 %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1 차 추출 후 다시 재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는데, 생약추출물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여과를 한다 하더라도 생약 자체의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1 차 추출만으로는 추출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단계별 추출효율을 검증한 결과 2 차 추출에 의해 전체 추출량의 80 ~ 90 % 정도가 추출되는 것으로 밝혀졌고, 3 차 이상의 다단계 추출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와 같이 1, 2 차에 걸쳐 물,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은 여과 및 농축한 다음, 여액 중에 함유된 불필요한 단백질, 다당류 및 지방산 등의 불순물을 정제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여액과 동량의 알코올 수용액을 용매로 사용량 2 ~ 4 회 층 분리를 실시하여 용매 분획을 얻음으로써 불순물을 정제할 수 있다. 상기 층 분리에 사용되는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 6의 저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80 %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층 분리에 있어서, 저급 알코올 수용액의 사용량이 여액에 비하여 적을 경우에는 지방산 등의 불필요한 성분들에 의한 미립자가 형성되어 층 분리가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효 활성물질의 추출 함량이 낮아지게 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후 b) 단계에서 상기 얻어진 여액 중에 식용 산도 조절제인 탄산수소나트륨을 상기 여액 기준 0.1 중량% ~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 0.3 중량%로 첨가하여 산도를 증가시켜 발색을 유도한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발색이 잘 이뤄지지 않고, 0.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변색에 가까울 정도로 투명도가 사라진다는 단점이 있어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초저온 냉장고 등에서 -20 ℃ ~ -30 ℃로 보관하여 프로폴리스의 밀납 성분을 응집시킨다. 상기 온도가 -20 ℃ 보다 온도가 높은 경우 밀납이 재용해되고, 온도가 -30 ℃ 보다 낮은 경우에는 원료 자체도 어는점에 다다르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23 ℃ ~ -27 ℃ 부근에서 프로폴리스의 밀납 성분을 응집시켜 광목 등으로 여과하여 밀납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c) 단계는 상기 여과액을 상온에서 1 ~ 7 일간 숙성시켜 원액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여과액을 1 ~ 7 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켜 지표물질인 플라보노이드의 숙성을 유도하는데, 숙성 과정에서 색상이 진갈색으로 변하고 고유의 향을 지니게 된다. 보통 1일 이하에서는 숙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7일 이상 숙성시키는 경우 경제적인 면에서 불리하여 대량 생산 시 비효율적이다.
이후 d) 단계는 상기 원액을 3,000 ~ 5,000 rpm으로 원심분리 한 여액을 감압 농축, 동결진공건조, 분쇄 및 멸균하여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압 농축 온도가 60 ℃ 미만일 경우에는 용매를 100 % 제거하기 어렵고, 8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물의 안정성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rpm이 3,000 미만일 경우에는 추출물과 알코올의 분리가 어려우며, 5,000 rpm 이상일 경우에는 추출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농축물을 60 ~ 80 ℃에서 0.08 ~ 0.3 pa로 진공건조 시킨 후 30 ~ 80 메쉬로 분쇄 및 멸균하여, 유효성분으로 5.0 ~ 20.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분말상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득된 일정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에 대해 ICR 마우스, 수컷 SD계 레트(한국, 대전 화학연구소 제공)를 사용하여 플라보노이드 함유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부종 억제검사 및 통각 억제검사, 관절염 치료 효과를 검사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이 소염 진통 작용, 급성부종 억제작용, 급성관절염 억제작용 등의 탁월한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탁월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면서도 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5.0 ~ 20.0 중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의약품, 기능성 식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의약품으로 이용될 경우에는 천연물 추출물 그 자체만으로 포함할 수 있지만,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제형, 예를 들면, 분말, 정제, 과립, 캅셀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로는 물,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락토스,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 덱스트로스,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류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및 부형제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항산화 조성물을 약제화하는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로 제형화할 경우, 기제로 사용되는 락토오스,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등을 합한 것과 상기 괴화 추출물을 1 : 1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그 투여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으며,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체중 1 ㎏당 1일 0.001 ~ 50 ㎎으로, 바람직하게는 0.1 ~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제조
물로 세척하고 잘 건조시킨 프로폴리스 및 괴화(70 : 30 중량비)를 3 배량의 70 % 에탄올 수용액에 가한 후 교반하여 주면서 24 시간 단위로 2 회 열탕 추출하였다. 상기 열탕 추출물을 상온으로 서서히 냉각시킨 다음 원심 여과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여액을 병합하였다. 상기 여액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상기 여액의 0.1 중량%로 첨가하여 -20 ℃에서 프로폴리스의 밀납 성분을 응집시킨 후 광목으로 여과하여 밀납을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여과액을 상온에서 5 일간 숙성시켜 원액을 수득한 후 상기 원액을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고 감압농축한 다음, 60 ℃, 0.08 pa 조건으로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시킨 후 80 메쉬로 분쇄 및 멸균하여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한 방법으로 추출, 정제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중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15.0 중량% 이었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얻어진 플라보노이드 함유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UV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UV 분석방법]
1) 표준물질 : 쿼세친(Quercetin)을 1 mg/ ml로 만든 후, 100, 20.10 배로 희석하여 검량선을 작성한다.
2) 일반시약 : 에탄올
3) 일반시액 : 10 % 질산알루미늄 용액, 1 M 초산칼륨액, 80 % 에탄올, 90 % 에탄올
4) UV 분석을 위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조제 :
4.1)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시킨 후 80 메쉬로 분쇄 및 멸균하여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100 mg을 칭량하여 90 % 에탄올 20 mg을 가하여 용해한다.
4.2) 원심분리(3000 rpm, 10 분)를 하여 상층액을 취한다.
4.3) 잔류물에 80 % 에탄올 8 ml로 3회 추출한다.
4.4) 전추출액을 합하여 80 % 에탄올을 사용하여 전량을 50 ml로 한다.
5) 시험조작 :
5.1) 표준용액 및 시험용액을 각각 0.5 ml씩 대조액과 시험액용으로 두 개의 시험관에 취한다.
5.2) 에탄올 1.5 ml, 10 % 질산알루미늄용액 0.1 ml, 1 M 초산칼륨용액 0.1 ml, 증류수 2.8 ml를 가하여 충분히 교반한다. 각 농도별 표준물질 및 시료의 공시험은 10 % 질산알루미늄 대신 증류수 0.1 ml를 가한다.
5.3) 실온에서 40 분간 정치 후 액층을 415 nm에서 흡광도에 측정한다.
분석결과 도 1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가 R2 = 0.99677로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TPA 유도 귀 부종( TPA - induced mouse ear edema ) 억제 테스트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소염 효과가 동물실험에서도 적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7 주령 된 ICR 마우스를 각 실험구별로 분리한 후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10, 100, 200, 400 ㎎/㎏을 경구 투여 후 1 시간 뒤 아세톤에 녹인 TPA(2.5 ㎍/20 ㎕)를 29G 주사 바늘을 사용하여 실험동물의 귀에 부종을 유발하였다. 이때 비교를 위한 기존 소염제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 mg/kg을 사용하였고, 단방으로 프로폴리스는 400 ㎎/㎏-플라보노이드 함량 5.0 중량%, 괴화는 400 ㎎/㎏-루틴 함량 20.0 중량%을 사용하였다. 부종 유발 후 4 시간 뒤 각 실험구 별로 귀 부종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시에는 경추 탈골법을 이용하여 실험체 마우스를 도태시킨 후 정확한 측정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TPA로 유도된 귀 부종 억제효과
시험군 마우스 귀 두께 (mm) 염증 억제율 (%)
대조군 0.75 ± 0.01 -
프로폴리스 및 괴화
(400 ㎎/㎏-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0.44 ± 0.02 41 %
프로폴리스 및 괴화
(200 ㎎/㎏-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0.60 ± 0.02 20 %
프로폴리스 및 괴화
(100 ㎎/㎏-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0.66 ± 0.01 12 %
프로폴리스 및 괴화
(10 ㎎/㎏-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0.71 ± 0.03 5 %
프로폴리스
(400 ㎎/㎏-플라보노이드 함량 5.0 중량%)
0.65 ± 0.03 13 %
괴화 (400 ㎎/㎏-루틴 함량 20.0 중량%) 0.48 ± 0.01 36 %
Indomethacin (1 ㎎/㎏) 0.41 ± 0.02 45 %
Data represent the mean of difference in ear thickness(㎜)±S.E.M (n=12)
상기 표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이 400 ㎎/㎏ 농도일 경우 염증 억제율이 41 %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기존 소염제인 인도메타신의 염증 억제율 45 %와 비교할 때 데이터 편차를 감안하면 동등한 수준의 약효를 나타내었다. 단방으로 사용된 프로폴리스, 괴화의 400 mg/kg에서는 프로폴리스는 13 %, 괴화는 36 %의 염증 억제율을 보였으나, 실시예 1에서 추출된 복합제의 경우 이보다 우수한 염증 억제효과가 있음을 동물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TPA 유도 귀 부종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에 의한 기염제 아라키돈산 유도 귀 부종( Arachidonic acid -induced mouse ear edema ) 억제 테스트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이 소염 효과가 동물실험에서도 적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7 주령 된 ICR 마우스를 각 실험구별로 분리한 후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10, 100, 200, 400 ㎎/㎏ 을 경구 투여 후 1 시간 뒤 아세톤에 녹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2 ㎍/20 ㎕를 29G 주사 바늘을 사용하여 실험동물의 귀에 부종을 유발하였다. 이 때 비교를 위한 기존 소염제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 mg/kg을 사용하였고, 단방으로 프로폴리스는 400 ㎎/㎏-플라보노이드 함량 5.0 중량%, 괴화는 400 ㎎/㎏-루틴 함량 20.0 중량%을 사용하였다. 부종 유발 후 1 시간 뒤 각 실험구 별로 귀 부종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시에는 경추 탈골법을 이용하여 실험체 마우스를 도태시킨 후 정확한 측정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Arachidonic acid로 유도된 귀 부종 억제효과
시험군 마우스 귀 두께 (mm) 염증 억제율 (%)
대조군 0.69 ± 0.02 -
프로폴리스 및 괴화
(40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0.37 ± 0.02 46 %
프로폴리스 및 괴화
(20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0.49 ± 0.02 29 %
프로폴리스 및 괴화
(10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0.60 ± 0.01 13 %
프로폴리스 및 괴화
(1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0.68 ± 0.03 0 %
프로폴리스
(400 ㎎/㎏-플라보노이드 함량 5.0 중량%)
0.61 ± 0.03 12 %
괴화 (400 ㎎/㎏-루틴 함량 20.0 중량%) 0.38 ± 0.02 45 %
Indomethacin (1 ㎎/㎏) 0.35 ± 0.04 49 %
Data represent the mean of difference in ear thickness(㎜)±S.E.M (n=12)
상기 표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400 ㎎/㎏ 농도일 경우 염증 억제율이 46 %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기존 소염제인 인도메타신의 염증 억제율 49 %와 비교할 때 데이터 편차를 감안하면 동등한 수준의 약효를 나타내었다. 단방으로 사용된 프로폴리스 또는 괴화의 경우 400 mg/kg 사용 시 프로폴리스는 12 %, 괴화는 45 %의 염증 억제율을 보였으나. 실시예 1에서 추출된 복합제의 경우 이보다 우수한 염증 억제효과가 있음을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유도 귀 부종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에 의한 아세트산 유도 스트레칭( Acetic acid - induced writhing response in mice ) 억제 테스트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이 귀 부종뿐만 아니라 통각의 완화 및 억제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12 시간을 절식시킨 ICR계 웅성 마우스에 시험물질인 프로폴리스 및 괴화를 10, 100, 200, 400 ㎎/㎏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대조 약물로는 디클로페낙(Diclofenac) 25 mg/kg을 사용하였고, 단방으로 프로폴리스는 400 ㎎/㎏-플라보노이드 함량 5.0 중량%, 괴화는 400 ㎎/㎏-루틴 함량 20.0 중량%을 사용하였다. 약물의 경구 투여 30 분 후에 0.7 % acetic acid-saline 용액(0.1 mg/10g)을 복강 주사한 다음, 주사 10 분 후부터 10 분간 비틀림(Writhing) 발생 횟수를 측정하여 통각지표로 사용하여(Koster 등, 1959),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에 의한 아세트산 유도 스트레칭 억제효과
시험군 비틀림 횟수
(Writhing number)
통증 억제율 (%)
대조군 29.12 ± 1.23 -
프로폴리스 및 괴화
(40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18.21 ± 1.01 37 %
프로폴리스 및 괴화
(20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22.19 ± 1.65 24 %
프로폴리스 및 괴화
(10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23.12 ± 1.72 21 %
프로폴리스 및 괴화
(1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 중량%)
28.26 ± 1.49 3 %
프로폴리스
(400 ㎎/㎏-플라보노이드 함량 5.0 중량%)
20.21 ± 1.01 31 %
괴화 (400 ㎎/㎏-루틴 함량 20.0 중량%) 20.04 ± 1.11 31 %
Diclofenac (25 mg/kg) 14.71 ± 1.28 49 %
Data represent the mean of difference in ear thickness(㎜)±S.E.M (n=12)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이 400 ㎎/㎏ 농도일 경우 통증 억제율이 37 %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기존 진통제인 디클로페낙의 통증 억제율 49 % 와 비교하여 다소 약효는 약하나, Diclofenac 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경우 장기 복용시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 1의 천연 추출물이 그 대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방으로 사용된 프로폴리스, 괴화의 400 mg/kg에서는 프로폴리스는 31 %, 괴화는 31 %의 염증 억제율을 보였으나. 실시예 1에서 추출된 복합제의 경우 이보다 우수한 통증 억제효과가 있음을 동물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통 억제효과가 있음을 동물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아세트산(Acetic acid)으로 유도된 진통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중추신경 진통 억제효과 테스트( hot plate test )
실험 전 12시간을 절식시킨 ICR계 웅성 마우스에 시험물질인 프로폴리스 및 괴화를 10, 100, 200, 400 ㎎/㎏를 경구로 투여하였다. 대조 약물로는 디클로페낙(Diclofenac) 25 mg/kg을 사용하였고, 단방으로 프로폴리스는 400 ㎎/㎏-플라보노이드 함량 5.0 중량%, 괴화는 400 ㎎/㎏-루틴 함량 20.0 중량%을 사용하였다. 동통 반응은 55℃로 유지되는 핫 플레이트(Hot plate)(Ugo Basile, Italy)에 조심스럽게 올려 놓고, 핫 플레이트(Hot plate) 위에 접촉할 때부터 뒷발을 핥거나, 뛰어 오를 때까지의 시간(sec)을 측정하여 그 지표로 사용하여(Woolfe와 mac Donald. 1944).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중추신경 진통 억제효과
시험군 반응시간 (Sec) 통증 억제율(%)
대조군 15.13 ± 1.76 -
프로폴리스 및 괴화
(40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중량 %)
22.08 ± 1.09 31 %
프로폴리스 및 괴화
(20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중량 %)
20.21 ± 1.51 22 %
프로폴리스 및 괴화
(10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중량 %)
19.32 ± 1.62 22 %
프로폴리스 및 괴화
(10㎎/㎏-플라보노이드 함량 15.0중량 %)
15.54 ± 1.09 3 %
프로폴리스
(400 ㎎/㎏-플라보노이드 함량 5.0 중량%)
20.19 ± 2.07 25 %
괴화 (400 ㎎/㎏-루틴 함량 20.0 중량%) 19.11 ± 1.95 21 %
Diclofenac (25 mg/kg) 24.22 ± 1.55 38 %
Data represent the mean of difference in ear thickness(㎜)±S.E.M (n=12)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400 ㎎/㎏ 농도일 경우 통증 억제율이 31 %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기존 진통제인 디클로페낙의 통증 억제율 38 % 와 비교하여 다소 약효는 약하나, 디클로페낙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경우 장기 복용 시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 1의 천연 추출물이 그 대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방으로 사용된 프로폴리스, 괴화의 400 mg/kg에서는 프로폴리스는 25 %, 괴화는 21 %의 염증 억제율을 보였으나. 실시예 1에서 추출된 복합제의 경우 이보다 우수한 통증 억제효과가 있음을 동물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용량 의존적(Dose dependent) 결과를 얻음으로 해서, 약물 효능은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에 의한 급성 관절염 치료효과 검정(λ Carrageenan induced hind paw edema )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급성 관절염 치료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수컷 SD계 레트(200 g 내외)에 미리 조제한 디클로페낙을 25 ㎎/㎏(비교 약물로 사용),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10, 100, 200, 400 ㎎/㎏을 1 ㎖ 경구 투여하고 1 % 카라기닌 생리식염수 100 ㎕를 좌측 족저부에 주사하여 급성 족부 부종을 유도하였다. 부종은 플레티스모메터(plethysmometer, LE 7500)를 이용하여 3 시간 후의 발 용적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에 의한 급성 관절염 치료효과

시험군
족부종 증가율 % (mean ± s.e.m.)
1 시간 2 시간 3 시간 4 시간

대조군

29.04±2.10

59.87±2.45

74.25±2.03

75.62±2.13

10

30.89±1.98

61.11±2.22

72.65±2.69

72.12±2.44

100

29.62±3.05

61.09±2.44

68.51±2.45*

64.29±1.51*

200

31.09±2.11

49.99±2.14

58.03±2.14**

58.01±2.01**

400

29.22±2.82

49.35±2.37*

45.18±2.93**

44.23±2.69**

Diclofenac
(25 ㎎/㎏)

27.83±2.57

37.98±2.85*

41.18±2.42**

35.23±2.61**
상기 표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중 4 시간 뒤 400 ㎎/㎏ 농도일 경우 44.23 ± 2.69의 족부종 증가율을 보여 급성 관절염 치료 효과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으며, 단일 물질인 기존 소염진통제 디클로페낙(Diclofenac)과 비교하여 35.23 ± 2.61 다소 차이는 있으나, 본 발명의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한 급성 관절염 치료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은 강력한 소염효과 및 진통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급성관절염 억제효과가 있다는 것을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 :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의 조성으로 경구투여용 정제를 습식과립법 및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조성]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 200 ㎎
경질 무수규산 ............................ 1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
미세결정 셀룰로오즈 ...................... 50 ㎎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 ..................... 25 ㎎
유당 .................................... 101 ㎎
포비돈 ................................... 12 ㎎
무수에탄올 ................................ 적량
제조예 2 : 연고제의 제조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의 조성으로 연고제를 제조한다.
[조성]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 5 g
세틸팔미테이트 ............................ 20 g
에탄올 .................................... 40 g
스테아릴알코올 ............................ 40 g
미리스탄이소프로필 ........................ 80 g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 20 g
폴리솔베이트 .............................. 60 g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 1 g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 1 g
인산 및 정제수 ............................ 적량
제조예 3 :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의 조성으로 주사제를 제조한다.
[조성]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 100 ㎎
만니톨 ................................. 180 ㎎
인산일수소나트륨 ........................ 25 ㎎
주사용 정제수 ........................ 2,974 ㎎
제조예 4 : 경피제의 제조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의 조성으로 경피제를 제조한다.
[조성]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 0.4 g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 1.3 g
글리세린 ................................. 3.6 g
수산화알루미늄 ......................... 0.004 g
메틸 파라벤 .............................. 0.2 g
아크릴계 점착용액 ........................ 14 ㎖
제조예 5 : 기능성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의 조성으로 기능성 식품(음료)을 제조한다.
[조성]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 ..................10 g
구연산.......................................1 g
올리고당................................... 20 g
벌꿀....................................... 1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56 ㎖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프로폴리스 및 괴화의 중량비를 60 : 40 내지 80 : 20으로 하여 2 ~ 4 배량의 80%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 냉각 및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여액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20 ℃ ~ -30 ℃에서 프로폴리스의 밀납 성분을 응집시킨 후 여과하여 밀납을 제거한 여과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여과액을 1 ~ 7 일간 상온에서 숙성시켜 원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원액을 3,000 ~ 5,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다음 여액을 감압 농축, 동결진공건조, 분쇄 및 멸균하여 지표물질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5.0 ~ 20.0 중량%인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폴리스와 괴화 추출물이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프로폴리스 및 괴화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삭제
KR1020100121618A 2010-12-01 2010-12-01 프로폴리스와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함유 소염 진통제 조성물 KR101165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618A KR101165712B1 (ko) 2010-12-01 2010-12-01 프로폴리스와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함유 소염 진통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618A KR101165712B1 (ko) 2010-12-01 2010-12-01 프로폴리스와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함유 소염 진통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053A KR20120060053A (ko) 2012-06-11
KR101165712B1 true KR101165712B1 (ko) 2012-07-18

Family

ID=4661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618A KR101165712B1 (ko) 2010-12-01 2010-12-01 프로폴리스와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함유 소염 진통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465B1 (ko) 2020-03-10 2020-10-14 주식회사 셀틱 강황, 프로폴리스 및 잎새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천연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6283A (zh) * 2015-01-04 2015-05-13 四川金堂海纳生物医药技术研究所 一种治疗急性化脓性中耳炎的耳痛油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465B1 (ko) 2020-03-10 2020-10-14 주식회사 셀틱 강황, 프로폴리스 및 잎새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천연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053A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thasarathy et al. Antidiabetic activity of Thespesia Populnea bark and leaf extract against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R100847439B1 (ko) 낙석등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약제
KR20100138576A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U256541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ЫСОКООЧИЩЕННОЙ АЗИАТИКОЗИДНОЙ КОМПОЗИЦИИ ИЗ Centella asiatica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KR101397841B1 (ko) 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1615B1 (ko) 원산지가 다른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혼합 사용하는 프로폴리스의 사용방법 및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8729B1 (ko) 유데스만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165712B1 (ko) 프로폴리스와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 함유 소염 진통제 조성물
KR20090084435A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07889B1 (ko) 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19410B1 (ko) 회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9647B1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94228B1 (ko) 운카리아 린초필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846493B1 (ko) 식물의 추출 복합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080101344A (ko) 탄닌 함유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염 진통제조성물
KR100836559B1 (ko)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녹제초 추출물
KR100977583B1 (ko) 불미나리에서 간세포 보호 및 간손상 예방 효능을 갖는카페익산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건강지향식품
KR102001024B1 (ko) 프로폴리스를 포함하는, 위염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억제를 위한 조성물
KR101093731B1 (ko) 맥문동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313249B1 (ko) 메밀잣밤나무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3487B1 (ko) 개가시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요로결석 조성물
KR101050020B1 (ko) 흑골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