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623B1 -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623B1
KR101165623B1 KR1020120004582A KR20120004582A KR101165623B1 KR 101165623 B1 KR101165623 B1 KR 101165623B1 KR 1020120004582 A KR1020120004582 A KR 1020120004582A KR 20120004582 A KR20120004582 A KR 20120004582A KR 101165623 B1 KR101165623 B1 KR 101165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kaolin
clay brick
waste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헌돈
Original Assignee
(주)선일로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일로에스 filed Critical (주)선일로에스
Priority to KR1020120004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04B33/1324Recycled material, e.g. tile dust, stone waste, spent refractory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Abstract

본 발명은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입도를 갖는 폐자재 분말과, 고령토와, 점토의 혼합으로 조성된 점토벽돌용 혼합물(A)과 물(B)의 혼합으로 조성된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과, 상기 점토벽돌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폐자재를 일정 입도 크기로 미분쇄하는 단계와, 미분쇄한 폐자재와, 고령토와, 점토를 혼합하여 점토벽돌용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상기 점토벽돌용 혼합물(A)와, 물(B)을 혼합하여 점토벽돌을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한 점토벽돌을 일정온도에서 일정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한 점토벽돌을 일정온도에서 일정시간 동안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토벽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CLAY BRICKS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폐타일, 폐도자기 등의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제조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자재의 재활용에 따른 환경개선 및 자원재활용에 따른 경제적 장점과 높은 강도의 점토벽돌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인류가 의식주를 해결하고 문화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는 예로부터 현재까지 도자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역사적으로 오래전에는 소성기술이 부족하여 낮은 온도에서 소성한 토기류가 사용되었지만 점차 발전하여 도기, 자기류가 생산되어 문화적이고 위생적인 생활을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한 반면 낮은 온도로 소성하였던 토기류는 자연 환원이 가능하지만 높은 온도로 소성한 자기류의 기물들은 자연적인 환원이 불가능하여 환경오염으로 남게 되는 현실이다.
이와 같은 토기류, 타일, 건축자재 등의 폐자재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69434(공개일자 2001.07.25)의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판넬과 조립식블록의제조방법 및 그 물건',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66459(공개일자 2002.08.17)의 '폐자재를 이용한 투수 블록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49663(공개일자 2000.08.05)의 ' 폐자재를 이용한 내열성 건축용판넬과 조립식블록의제조방법 및 그 물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0772(등록일자 2010.09.01)의 '폐자재를 활용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 및 등록특허들은 모두 폐자재를 재활용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기술이라는 공통점이 있기는 하나, 공개특허 특2000-0049663 및 특2001-0069434의 경우, 내열성 향상을 위한 건축용판넬과 조립식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공개특허 특2002-0066459의 경우, 투수성 향상과 보습성을 갖는 투수 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등록특허 10-0980772의 경우, 폐자재를 재활용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과 문양의 표현이 가능한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개특허 및 등록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구성을 통해서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높은 압축강도를 갖는 점토벽돌의 기술을 도출해 내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69434(공개일자 2001.07.25)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66459(공개일자 2002.08.17)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49663(공개일자 2000.08.0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0772(등록일자 2010.09.01)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자재인 폐타일, 폐도자기를 재활용하여 높은 압축강도를 갖는 점토벽돌을 제공하고, 폐자재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 친환경성을 갖는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5㎛ ~ 1mm 입도를 갖는 폐자재 분말 5 ~ 70wt%와,
고령토 10 ~ 50wt%와,
점토 10 ~ 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점토벽돌용 혼합물(A) 65 ~ 90wt%와;
물(B) 10 ~ 3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에 관한 기술구성과,
상기 점토벽돌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폐자재를 5㎛ ~ 1mm 입도 크기로 미분쇄하는 단계와,
미분쇄한 폐자재 5 ~ 70wt%와, 고령토 10 ~ 50wt%와, 점토 10 ~ 50wt%를 혼합하여 점토벽돌용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상기 점토벽돌용 혼합물(A) 65 ~ 90wt%와, 물(B) 10 ~ 35wt%를 혼합하여 점토벽돌을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한 점토벽돌을 40 ~ 160℃에서 40 ~ 8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한 점토벽돌을 1,000 ~ 1,300℃에서 25 ~ 50시간 동안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 구성을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은 폐타일, 폐도자기의 폐자재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개선 및 자원재활용에 따른 경제적이라는 장점을 가지며,
폐타일, 폐도자기의 최적입도와, 최적혼합비율을 적용함과 동시에 해성이토를 일정비율을 배합하여 소성 함으로써 높은 강도의 점토벽돌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제조과정에서 이미 소성과정을 거친 폐타일, 폐도자기를 첨가하여 다시 소성과정을 거침으로써 높은 강도의 점토벽돌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은
5㎛ ~ 1mm 입도를 갖는 폐자재 분말 5 ~ 70wt%와,
고령토 10 ~ 50wt%와,
점토 10 ~ 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점토벽돌용 혼합물(A) 65 ~ 90wt%와;
물(B) 10 ~ 35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폐자재 분말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타일 또는 폐도자기 중 선택되는 것으로서, 상기 폐자재 분말의 입경은 작을수록 점토벽돌의 압축강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기는 하나, 입경을 작게 할수록 소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강도의 향상과 현실적인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폐자재 분말의 입도는 5㎛ ~ 1mm의 범위 내에서 평균 입경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타일은 SiO2 및 Al2O3의 함유량이 각각 67.24%, 16.65%인 폐타일을 사용하였으며, 폐타일의 분말은 평균입경이 작아질수록 점토벽돌의 압축강도 향상효과를 갖게 되기는 하나, 평균입경을 계속 낮추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압축강도의 향상과 현실적인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5㎛ ~ 1mm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 폐타일 분말 제조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소성온도 1,100 ~ 1,300℃의 자기질 폐타일을 콘크리트 팬믹서를 이용해 1차 분쇄한 후, 볼밀(ball mill)로 2차 분쇄한다.
또한 최소 입도인 5㎛의 폐타일 분말을 확보하기 위하여, 에어 젯 시브(air zet sieve)를 이용하여 No.500번 체(20㎛)에 95%이상 통과하는 폐타일 분말을 수득한다.
이와 같은 폐타일 분말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밀도(g/㎤) 2.42 ~ 2.45, 분말도(㎠/g) 5,000 ~ 7,000, 화학적 조성(%) SiO2 67.24, Al2O3 16.65, Fe2O3 2.08, CaO 7.97, MgO 1.27, L.O.I 1.54이다.
상기 폐자재 분말은 자원 재활용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매우 경제적이라는 장점과, 이미 최초 제조시에 1차 소성과정을 거친 폐타일, 폐도자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폐자재 분말의 입장에서 새로운 벽돌의 원료로 사용되어 소성과정을 거친다는 것은 2차 소성과정을 거치는 것이며, 이와 같은 2차 소성과정에 의해 폐자재 분말에 의한 점토벽돌의 높은 압축강도를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기능적 측면의 장점을 갖는다.
상기 폐자재 분말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자원 재활용 측면이 미미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압축강도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7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토벽돌의 성형성이 떨어지고 또한 소성과정에서 갈라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폐자재 분말의 사용량은 전체 점토벽돌용 혼합물(A) 중 5 ~ 7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령토는 도자기, 내화물의 원료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제지, 타이어, 프라스틱, 전선의 충전제로 사용되는 점토광물의 일종으로서, 고령토에는 실리카 성분이 40 ~ 45wt%, 알루미나 성분이 35 ~ 40wt%, 철산화물이 1 ~ 3wt%, 기타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산화물들이 소량 포함되어 있다. 고령토의 결정구조는 카올리나이트(Kaolinite)와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두 종류가 있는데 할로이사이트는 카올리나이트에 비해 더욱 불규칙한 구조로 되어 있다.
고령토는 Al2O3(36.4wt%), SiO2(44.6wt%)의 주성분 외에 산화칼슘, 산화철, 산화마그네슘 등이 소량 포함되어 있다.
고령토는 석영조면암, 안산암, 화강암 등이 열수작용 또는 풍화작용에 의하여 분해되어 생성된 것이며 화학식이 Al2O3?2SiO2?2H2O로 표시된다. 이 카올린 족에 속하는 광물로는 nacrite, dickite, kaolinite, halloysite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산출되는 고령토는 halloysite로 되어 있는 점토계 광물이다.
고령토 광물 중 생성된 위치 근처에 남아 있는 것을 일차점토 또는 잔류점토라 부르고, 생성된 위치에서 물이나 바람에 의하여 씻겨 내리거나 날려서 낮은 곳에 침적된 것을 이차 점토 또는 표적점토라고 부르는데, 일반적으로 고령토는 일차 점토에 속하며, 이차 점토에 속하는 것을 통상 점토(clay)라 부른다. 카올린족에 속하는 각 광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카올리나이트
(kaolinite)
내크라이트
(nacrite)
딕카이트
(dickite)
할로이사이트
(halloysite)
성분
(Compositions)
Al2Si2O5(OH)4 Al2Si2O5(OH)4 Al2Si2O5(OH)4 Al2Si2O5(OH)4?nH2O
결정계
(Crystal
System (α))

monoclinic 1.561

monoclinic 1.557

monoclinic 1.556
monoclinic n=1.549(meta halloysite)
굴절률
(Refractive
Index(γ)m)

1.565
1.566

1.562
1.563

1.5462
1.566

n=1.528(halloysite)
Molecules per unit cell 4 molecules 8 molecules 4 molecules 2 molecules

etc.
laminated crystal Leaf type crystals Rod-like Crystals Low Crystallinity than Kalinite
내화물용으로는 소성수축 등 용적변화가 커서 생성원료로서의 이용보다는, 미리 가소하여 chamotteg화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 우리나라의 고령토는 백색과 도색으로 나뉘어 산출되는데 백색은 도자기 류에, 도색은 주로 내화물 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도색도 내화도가 낮은 쪽의 것은 저급 도자기류의 원료로 쓰인다. 내화물 원료로의 이용에 있어서는 chamotte화 뿐 아니라, Al2O3와 SiO2를 함유하는 내화성질인 물라이트, 코디라이트 같은 것의 합성에도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령토는 Al2O3 38%, Fe2O3 0.90%, 내화도(Refractoriness(SK)) 34인 W.A등급의 고급고령토; Al2O3 37%, Fe2O3 0.95%, 내화도(Refractoriness(SK)) 33인 W.B 등급의 고급고령토가 1:1로 혼합조성된 제1고령토 45 ~ 90wt%와,
Al2O3 37%, Fe2O3 1.70%, 내화도(Refractoriness(SK)) 34인 P.B 등급의 중급고령토; Al2O3 39%, Fe2O3 2.50%, 내화도(Refractoriness(SK)) 34인 P.C 등급의 중급고령토; Al2O3 35%, Fe2O3 3.00%, 내화도(Refractoriness(SK)) 33인 P.D 등급의 저급고령토가 1:1:1로 혼합조성된 제2고령토 10 ~ 5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으로, 325mesh체를 통과시킨 것으로서 질량 중위값은 16.8㎛인 것을 사용한다.
고령토는 철분함량과 고령토화의 성숙도에 기인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표토에서 적갈색 내지 갈색을 띠며 하부로 가면서 도(桃)색대(Pink)와 백색대(White)로 색상변화를 보이는 것으로서, 상기 도색대(P)와, 백색대(W)는 다시 Al2O3, Fe2O3의 함량(%)에 따른 화학적성질과, 내화 등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 A, B, C, D등급으로 나뉘게 된다.
상기 고령토는 점토와 함께 사용하여 점토벽돌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강도를 증대시켜 주는 것으로, 활용도가 떨어지는 저급고령토를 활용함으로써 폐자원의 활용도를 높이면서, 경량성, 내구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고급, 중급, 저급 고령토를 최적화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점토벽돌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2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토벽돌의 경량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고령토의 사용량은 전체 점토벽돌용 혼합물(A) 중 10 ~ 2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토는 해성이토 10 ~ 50wt%와 일반점토 50 ~ 9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으로서, 상기 해성이토는 점토 42%, 모래 2%, 실트 56%의 성분조성비를 갖는다.
상기 점토를 구성하고 있는 해성이토의 사용량이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점토벽돌의 압축강도가 떨어지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토벽돌의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점토 전체 성분 중 10 ~ 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점토를 구성하고 있는 일반점토의 사용량이 50wt% 미만인 경우에는 점토벽돌의 성형성이 떨어지고, 9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해성이토의 사용량 감소에 따른 압축강도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일반점토의 사용량은 점토 전체 성분 중 50 ~ 9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성이토와 일반점토의 혼합으로 조성된 점토의 사용량이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점토벽돌의 압축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토벽돌의 경량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점토의 사용량은 전체 점토벽돌용 혼합물(A) 중 10 ~ 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자재 분말, 고령토 및 점토의 혼합으로 조성된 점토벽돌용 혼합물은 물과 혼합하여 점토벽돌을 성형하게 되며, 이때 점토벽돌용 혼합물의 양은 65 ~ 90wt%이며, 물의 사용량은 10 ~ 35wt%이다.
상기 점토벽돌용 혼합물의 사용량이 65wt% 미만인 경우에는 압축강도가 떨어지고, 물이 너무 많아 성형성이 떨어지며, 소성과정에서 점토벽돌의 갈라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9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물의 사용량이 너무 작아 유동성이 떨어짐에 따라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점토벽돌용 혼합물은 물에 대해 65 ~ 90wt%의 범위 내로 그 사용량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의 사용량이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유동성이 떨어져 성형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고, 3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점토벽돌의 내구성 및 압축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물의 사용량은 전체 점토벽돌 제조에 있어 10 ~ 35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점토벽돌의 제조를 구체적인 실시예 1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실시예 1]
점토벽돌의 제조
폐타일을 0.1mm 평균입도로 미분쇄한다.
이와 같이 미분쇄한 폐타일 50wt%와, 고령토 30wt%와, 점토 20wt%를 혼합하여 점토벽돌용 혼합물을 조성한다.
그리고, 상기 조성된 점토벽돌용 혼합물 80wt%와 물 20wt%를 혼합하여 점토벽돌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성형한 점토벽돌을 40 ~ 160℃에서 60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점토벽돌은 1,000 ~ 1,300℃에서 35시간 동안 소성 시킨 후 서서히 냉각시켜 점토벽돌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점토벽돌은 기존 점토벽돌과 비교하여 볼 때 다음과 같은 시험결과 값을 갖는다.
이때 한국산업규격에 따라 압축강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압축강도[N/㎟]= 최대하중/가압단면적
기존 점토벽돌(KS기준)과 본 발명에 따른 점토벽돌의 시험결과
구분 기존 점토벽돌:KS 기준 본 발명의 점토벽돌
흡수율(%) 10% 7%
압축강도(N/㎟) 20.6 38.0
휨강도(Mpa) 5.0 7.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은 폐타일, 폐도자기 등 폐기되는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매우 경제적이며, 또한 폐타일, 폐도자기의 첨가에 의한 높은 강도의 점토벽돌을 제공할 수 있어 경제적, 품질적 측면에 있어 매우 큰 장점이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5)

  1. 5㎛ ~ 1mm 입도를 갖는 폐자재 분말 5 ~ 70wt%와,
    고령토 10 ~ 50wt%와,
    점토 10 ~ 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점토벽돌용 혼합물(A) 65 ~ 90wt%와;
    물(B) 10 ~ 3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령토는 Al2O3 38%, Fe2O3 0.90%, 내화도(Refractoriness(SK)) 34인 W.A 등급의 고급고령토; Al2O3 37%, Fe2O3 0.95%, 내화도(Refractoriness(SK)) 33인 W.B 등급의 고급고령토가 1:1로 혼합조성된 제1고령토 45 ~ 90wt%와,
    Al2O3 37%, Fe2O3 1.70%, 내화도(Refractoriness(SK)) 34인 P.B 등급의 중급고령토; Al2O3 39%, Fe2O3 2.50%, 내화도(Refractoriness(SK)) 34인 P.C 등급의 중급고령토; Al2O3 35%, Fe2O3 3.00%, 내화도(Refractoriness(SK)) 33인 P.D 등급의 저급고령토가 1:1:1로 혼합조성된 제2고령토 10 ~ 5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점토는 점토 42%, 모래 2%, 실트 56%의 성분조성비를 갖는 해성이토 10 ~ 50wt%와 일반점토 50 ~ 9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5. 폐자재를 5㎛ ~ 1mm 입도 크기로 미분쇄하는 단계와,
    미분쇄한 폐자재 5 ~ 70wt%와, 고령토 10 ~ 50wt%와, 점토 10 ~ 50wt%를 혼합하여 점토벽돌용 혼합물을 조성하는 단계와,
    상기 점토벽돌용 혼합물(A) 65 ~ 90wt%와, 물(B) 10 ~ 35wt%를 혼합하여 점토벽돌을 성형하는 단계와,
    성형한 점토벽돌을 40 ~ 160℃에서 40 ~ 8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한 점토벽돌을 1,000 ~ 1,300℃에서 25 ~ 50시간 동안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제조방법.
KR1020120004582A 2012-01-16 2012-01-16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5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582A KR101165623B1 (ko) 2012-01-16 2012-01-16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582A KR101165623B1 (ko) 2012-01-16 2012-01-16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623B1 true KR101165623B1 (ko) 2012-07-16

Family

ID=4671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582A KR101165623B1 (ko) 2012-01-16 2012-01-16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6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493A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선일로에스 용접슬래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수 및 고강도 특성의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0394B1 (ko) 2018-05-15 2019-03-20 박형준 석유코크스를 재활용하는 친환경 경량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점토벽돌
KR101997124B1 (ko) 2018-05-15 2019-07-05 박형준 Igcc 슬래그를 재활용하는 친환경 경량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점토벽돌
CN114620994A (zh) * 2022-04-24 2022-06-14 醴陵千汇实业有限公司 一种固废陶泥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592B1 (ko) 1998-10-28 2000-02-01 박대인 세라믹소재 보차도용 조립식 블록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592B1 (ko) 1998-10-28 2000-02-01 박대인 세라믹소재 보차도용 조립식 블록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493A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선일로에스 용접슬래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수 및 고강도 특성의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4125B1 (ko) * 2016-05-17 2018-06-04 주식회사 선일로에스 용접슬래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수 및 고강도 특성의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0394B1 (ko) 2018-05-15 2019-03-20 박형준 석유코크스를 재활용하는 친환경 경량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점토벽돌
KR101997124B1 (ko) 2018-05-15 2019-07-05 박형준 Igcc 슬래그를 재활용하는 친환경 경량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점토벽돌
CN114620994A (zh) * 2022-04-24 2022-06-14 醴陵千汇实业有限公司 一种固废陶泥及其制备方法
CN114620994B (zh) * 2022-04-24 2023-06-02 醴陵千汇实业有限公司 一种固废陶泥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ryuenyong et al. Effects of recycled glass substitution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lay bricks
KR101269120B1 (ko)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무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4125B1 (ko) 용접슬래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수 및 고강도 특성의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1977B1 (ko)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흙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5623B1 (ko) 폐자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17966A (ko) 폐유리를 활용한 세라믹 타일 조성물 및 그 타일의제조방법
CN109265180A (zh) 一种高抗压透水混凝土砖及其制备方法
KR101171787B1 (ko) 정수슬러지 몰탈 및 그를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KR101279881B1 (ko) 유약 조성물을 도포한 슬래그 벽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96716B1 (ko) 광미를 이용한 고강도 인공 석재블록 제조 방법
CN102785285A (zh) 一种防泛碱和褪色的彩色钢渣路面砖的制备方法
KR102307197B1 (ko) 칼라시멘트
KR100530831B1 (ko) 고령토(백토·점토), 장석 및 블랙그래눌을 활용한 도자기질 점토 벽돌 및 점토 바닥벽돌과 그 제조방법
KR100608287B1 (ko) 무연탄 매립 석탄회 함유 소성벽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87089B1 (ko) 토사를 이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508737B1 (ko) 폐유리가 함유된 점토벽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7418B1 (ko) 옹기점토와 폐도자기분말을 이용한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32182B1 (ko) 타일 제조 공정
KR20080010146A (ko) 이산화티탄 슬러지를 활용한 점토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267354B1 (ko) 천연광물질을 이용한 경량 토기와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토기와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34055B1 (ko) 무연탄 석탄회 고함량 고강도 소성벽돌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8283B1 (ko) 정수 슬러지, 납석 및 황토를 포함하는 건축 내장재, 이의 제조방법 및 건축 내장재의 제조장치
US8097078B2 (en) Binder for whiteware ceramic mixtur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919794B1 (ko) 염수를 이용한 점토벽돌 제조방법
RU2389708C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масс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ен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