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591B1 - 전기 자전거 - Google Patents
전기 자전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5591B1 KR101165591B1 KR1020100034378A KR20100034378A KR101165591B1 KR 101165591 B1 KR101165591 B1 KR 101165591B1 KR 1020100034378 A KR1020100034378 A KR 1020100034378A KR 20100034378 A KR20100034378 A KR 20100034378A KR 101165591 B1 KR101165591 B1 KR 1011655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electric bicycle
- electronic control
- control unit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3/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 B62M23/02—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elements; Other 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or more dissimilar sources of power, e.g. transmissions for hybrid motorcy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배선 구조를 갖는 전기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광원을 내장하는 전자제어유닛과 광원으로부터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전자제어유닛과 광케이블은 전기 자전거의 프레임에 내장된다. 전자제어유닛은 전기 자전거의 배터리 잔량 정보 등을 기초로 표시부에 표시되는 광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전기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근거리 이동수단의 하나이며, 최근에는 건강 등의 목적으로 운동 또는 취미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전거는 급격한 도시화 및 인구집중으로 인한 협소한 주거공간으로 인하여 보관이 어려워지고 있다. 또, 녹지가 점차 줄어들면서 야외 취미활동을 위해서는 자전거를 멀리까지 운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필요에 따라 자전거를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자전거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접이식 자전거가 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접이식 자전거에는 사용자에 의한 페달의 회전력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와, 바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는 전동기와, 전동기에 전원을 제공하며 발전기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가 장착된다.
이렇게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자전거에는 배터리의 잔량 등을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가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핸들부 등의 위치에 LED 표시부를 설치하게 되는 경우 전선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전선 대신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표시부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배선 구조를 갖는 전기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전거는 앞바퀴 또는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동기;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전동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동기 또는 배터리의 작동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제어유닛; 전자제어유닛의 제어 신호에 따라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전송하는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서 전송된 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 자전거는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연결되어 전기 자전거의 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배터리 또는 전자제어유닛 또는 광원 또는 광케이블 또는 표시부는 프레임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은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될 수 있으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으며, 광원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자전거의 프레임을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핸들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제어유닛은 검출된 전동기 또는 배터리의 작동 상태 정보에 따라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광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작동 상태 정보는 배터리 잔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자전거에 있어서, 전자제어유닛에 설치된 LED 광원으로부터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표시부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배선 구조를 갖는 전기 자전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전기 자전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전기 자전거의 힌지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프런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접힌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 설치되는 광원 및 표시부의 설치구조의 제1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 설치되는 광원 및 표시부의 설치구조의 제2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전자제어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1의 전기 자전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1의 전기 자전거의 힌지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프런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접힌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 설치되는 광원 및 표시부의 설치구조의 제1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 설치되는 광원 및 표시부의 설치구조의 제2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전자제어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전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10)과, 센터 프레임(20)과, 새들 프레임(30) 및 리어 프레임(40)을 가진다. 이러한 프레임들(10, 20, 30, 40)은 힌지축(50)에 의해 순차적으로 축 결합되어 힌지축(50)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플레이트(60)와 결합된다.
프런트 프레임(10)의 일단은 앞바퀴(11)와 핸들부(17)가 연결되는 핸들스테이(12)가 결합되는 헤드튜브(13)의 후방에 결합된다. 이때, 프런트 프레임(10)과 헤드튜브(13)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핸들부(17)는 핸들스테이(12)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스템(14)과, 이 핸들 스템(14)에 결합되는 핸들바(15)와, 이 핸들바(15)에 설치되는 핸들 그립(16)을 포함한다.
여기서, 핸들 스템(14)은 핸들부(17)의 높이 조절을 위해 마련된다. 핸들바(15)는 자전거의 조향을 결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핸들 그립(16)에는 후술할 센터 프레임(20)의 발전기(21)를 통한 답력을 조절하는 동시에 후술할 리어 프레임(40)의 전동기(44)의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유닛이 마련된다. 이러한 조절유닛은 후술할 전자제어유닛(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핸들스테이(12)의 하단 일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앞바퀴(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전거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핸들스테이(12)의 하단 우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앞바퀴(1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적인 자전거처럼 포크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스테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방향은 전기 자전거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한다.
프런트 프레임(10)의 타단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힌지플레이트(61)와 결합된다. 이 제1힌지플레이트(61)는 그 중심에 힌지축(50)이 삽입되는 축공을 가진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프런트 프레임(10)과 제1힌지플레이트(61)는 개별적으로 마련되지만, 프런트 프레임(10)과 제1힌지플레이트(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런트 프레임(10) 또는 핸들스테이(12)에는 배터리(45)와 전자제어유닛(43)과 광원(43c)과 광케이블(46)이 내장될 수 있는데, 이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센터 프레임(20)의 일단에는 발전기(21)가 마련되고, 이 발전기(21)의 양 측에는 페달(23)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페달(23)을 회전시키면 이 페달(23)의 회전력을 발전기(21)에서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되고, 이러한 발전기(21)의 전기적 에너지는 후술할 배터리에 축전될 수 있다.
센터 프레임(20)의 타단은 제1힌지플레이트(61)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힌지플레이트(62)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2힌지플레이트(62)는 제1힌지플레이트(61)와 마찬가지로 그 중심에 힌지축(50)이 삽입되는 축공을 가진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센터 프레임(20)과 제2힌지플레이트(62)는 개별적으로 마련되지만, 센터프레임(20)과 제2힌지플레이트(6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새들 프레임(3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안장(31)이 장착된다. 이러한 새들 프레임(30)은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폭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새들 프레임(30)과 안장(31)의 연결부위에는 안장(31)이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절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새들 프레임(30)의 타단은 제2힌지플레이트(6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3힌지플레이트(63)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3힌지플레이트(63)는 제1,2힌지플레이트(61, 62)와 마찬가지로 그 중심에 힌지축(50)이 삽입되는 축공을 가진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새들 프레임(30)과 제3힌지플레이트(63)는 개별적으로 마련되지만, 새들 프레임(30)과 제3힌지플레이트(6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리어 프레임(40)의 일단 좌측에는 뒷바퀴(4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뒷바퀴(4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적인 자전거와 같이 포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리어 프레임(4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뒷바퀴(41)에는 이 뒷바퀴(41)를 회전시켜 자전거를 전진시키기 위한 전동기(44)가 장착된다. 전동기(44)에는 사용자가 조절유닛의 조작으로 인해 뒷바퀴(41)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변속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 프레임(40)의 일단 좌측에 장착되는 뒷바퀴(4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전거를 펼칠 경우 프런트 프레임(10)에 결합되는 핸들스테이(12)의 하단 우측에 결합되는 앞바퀴(11)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리어 프레임(40)은 뒷바퀴(41)과 앞바퀴(11)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리어 프레임(40)의 타단에서 외측으로 굽은 형상을 가진다.
또, 센터 프레임(20)에 장착되는 발전기(21)의 중심 즉, 발전기(21)의 양 측에 장착되는 페달(23)의 중심과, 새들 프레임(30)에 장착되는 안장(31)의 중심 및 핸들스테이(12)에 연결되는 핸들바(15)의 중심은 앞바퀴(11)와 뒷바퀴(41)를 연장하는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센터 프레임(20) 역시 상술한 리어 프레임(40)과 같이 외측으로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어 프레임(40)의 타단은 제3힌지플레이트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힌지플레이트(64)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4힌지플레이트(64)는 제1,2,3힌지플레이트(61, 62, 63)와 마찬가지로 그 중심에 힌지축(50)이 삽입되는 축공을 가진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어 프레임(40)과 제4힌지플레이트(64)는 개별적으로 마련되지만, 리어 프레임(40)과 제4힌지플레이트(64)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각 힌지플레이트(61, 62, 63, 64)는 원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와 같이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다른 현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프런트 프레임(10)과 센터 프레임(20)의 사이에는 제1와이어부재(71)가 설치되고, 센터 프레임(20)과 리어 프레임(40)의 사이에는 제2와이어부재(73)가 설치된다.
이 제1화이어부재(71)와 제2와이어부재(73)는 센터 프레임(20)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데, 제1,2와이어부재(71, 73)는 지면을 기준으로 할 때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와이어부재(71, 73)는 각 프레임(10, 20, 30, 40)이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발생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2와이어부재(71, 73)는 전기 자전거를 펼쳤을 때 최대로 인장되도록 마련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서 프런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펼쳐진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접힌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힌지플레이트(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힌지축(50)에 순차적으로 축 결합된다.
이러한 힌지플레이트(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11) 및 뒷바퀴(41)의 축과 수평인 직선을 기준으로 할 때 일정 각도로 틀어지도록 마련된다. 즉, 힌지플레이트(60)와 결합되는 각 프레임(10, 20, 30, 40)의 타단은 일정 각도로 틀어진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 프런트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앞바퀴(11)의 회전축과 힌지축(50) 사이의 거리와 리어 프레임(40)에 결합되는 뒷바퀴(41)의 회전축과 힌지축(50)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프레임(10, 20, 30, 40)의 타단이 일정 각도로 틀어지게 마련되고, 앞바퀴(11)의 회전축과 힌지축(50) 사이의 거리와 뒷바퀴(41)의 회전축과 힌지축(50)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는 것은 전기 자전거를 펼칠 때 앞바퀴(11)와 뒷바퀴(41)가 서로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하고, 전기 자전거를 접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11)와 뒷바퀴(41)가 좌우로 나란히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힌지플레이트(60)를 관통하는 힌지축(50)에는 각 힌지플레이트(61, 62, 63, 64)에 형성되는 축공 중 힌지축(50)이 관통되는 첫 번째 힌지플레이트(64)에 형성되는 축공에 마련된 회전방지홈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돌기(50a)가 마련된다.
또, 힌지축(50)에는 이 힌지축(50)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부재(51)가 결합된다. 너트부재(51)는 힌지축(50)이 마지막으로 관통되는 힌지플레이트 즉, 본 발명의 일시시예의 제1힌지플레이트(61)의 외측에 마련된다. 너트부재(51)와 제1힌지플레이트(61)의 사이에는 이 너트부재(51)가 힌지축(50)과 원활히 결합되도록 와셔(52)와 베어링(53)이 배치된다. 베어링(53)은 스러스트 베어링일 수 있다. 와셔(52)는 너트부재(51)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힌지플레이트(60)를 관통하는 베어링(53)과 제1힌지플레이트(61)의 사이에는 힌지축(50)과 축 결합되어 각 힌지플레이트(61, 62, 63, 64)를 잠그거나 풀게 하는 제1캠부재(54)와 제2캠부재(55)가 마련된다. 제1캠부재(54)와 제2캠부재(55)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캠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1캠부재(54)의 회전 시 각 프레임(10, 20, 30, 40) 사이의 간격을 벌어지게 하여 각 힌지플레이트(61, 62, 63, 64)fmf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제1캠부재(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캠(54a)과 이 캠(54a)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레버(54b)를 포함한다. 제2캠부재(55)에는 제1캠부재(54)의 캠(54a)과 대응되는 캠(미도시)를 가지며 제1힌지플레이트(61)의 축공에 안착되어 제2캠부재(55)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55a)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배터리(45)는 전동기(44)를 구동시키도록 전원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전기(21)를 통해 발전된 전기적 에너지를 축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배터리(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장형 배터리로 마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 설치되는 광원 및 표시부의 설치구조의 제1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 설치되는 광원 및 표시부의 설치구조의 제2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프레임(10)에는 배터리(45)와 전자제어유닛(43)과 광케이블(46)이 내장되어 있다. 전자제어유닛(43)에는 광원(43c)이 내장되어 있다. 광케이블(46)은 핸들스테이(12)를 통하여 연장되어 설치되어 핸들바(15)에 설치된 표시부(47)에 연결된다.
배터리(45)는 발전기(21)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를 축전시키는 역학을 하며, 전자제어유닛(43)은 발전기(21)와 배터리(45)와 전동기(44)와 후술할 배터리 관리 시스템(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에서, 광원(43c)는 레드(Red), 옐로우(Yellow), 그린(Green)의 3가지 색깔을 나타내는 광들을 발생시키며, 이 3가지 색깔의 광들을 전송하기 위한 3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46)이 설치된다. 표시부(47)에는 이 3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46)이 연결되어, 이 3가지 색깔의 광을 표시할 수 있다.
핸들바(15)에는 이 표시부(47)를 설치시키기 위한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되며, 표시부(47)는 투명부재 또는 반투명부재로 이루어져 핸들바(15) 내부에서 연장되어 오는 광케이블(47)에서 전송된 광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광원(43c)는 발광다이오드(LED)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종래에는 LED 발광부를 별도로 자전거의 핸들과 같은 곳에 장착하였기 때문에 제어장치에서 전선으로 LED 발광부로 연결하여야 했으며, 이 경우 배선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며 배선이 절단되는 경우 LED 발광부의 작동이 쉽게 망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따르면, 광원(43c)을 전자제어유닛(43)에 내장하고 이 광원(43c)으로부터 광케이블(46)을 통하여 표시부(47)까지 연결시킴으로써 배선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광케이블(46)을 사용함으로써 전자파 발생에 의한 문제도 감소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광케이블(46)을 연장하여 표시부(47)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표시부(47)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하나의 광원(43c)로부터 광케이블(46)을 이용하여 여러 곳에 표시부(47)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에서는 배터리(45)와 전자제어유닛(43)이 프런트 프레임(10)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도 7에서와 같이 배터리(45)와 전자제어유닛(43)은 핸들스테이(12)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터리(45)와 전자제어유닛(43)은 프런트 프레임(10)과 해들스테이(12) 외에도 센터 프레임(20)과 새들 프레임(30)과 리어 프레임(40)에 설치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설계 사양에 따라서는 배터리(45)와 전자제어유닛(43)을 각각 다른 프레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47)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바(15)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프런트 프레임(10)과 센터 프레임(20)과 새들 프레임(30)와 리어 프레임(40)과 핸들스테이(12) 등의 부품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곳에서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표시부(47)는 위의 곳들 중 복수의 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전자제어유닛(43)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전자제어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전자제어유닛(43)이 표시부(47)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만 간단히 표시하였다.
전자제어유닛(43)은 검출부(43a)와 광원제어부(43b) 및 광원(4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제어유닛(43)은 배터리(45)의 충전, 방전(동작시) 등을 제어하고, 전동기(4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배터리(45)와 전동기(44)로부터 작동 상태 정보 신호를 수신한다.
검출부(43a)는 이 배터리(45)와 전동기(44)의 작동 상태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광원제어부(43b)로 전송하면, 광원제어부(43b)는 광원(43c)을 제어하여 표시할 광을 발광시키게 된다.
보통, 전기로 구동되는 자전거의 경우 배터리(45)의 잔량 정보에 대해 표시할 필요가 있는데, 검출부(43a)에서 검출하는 작동 상태 정보 신호는 이런 배터리(45)의 잔량 정보 신호를 포함한다. 물론, 설계 사양에 따라서는 전동기(44)의 구동 상태 정보 신호나 기타 장치의 작동 상태 정보 신호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43c)은 레드(Red), 옐로우(Yellow), 그린(Green)의 3가지 색깔을 나타내는 광들을 발생시키며, 이 3가지 색깔의 광들 3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46)을 통하여 표시부(47)에 전송된다.
광원제어부(43b)는 검출부(43a)에서 검출된 배터리(45) 잔량 정보 신호에 따라서, 발광시키는 광을 선택하여 온/오프 제어하게 된다. 즉, 배터리(45)의 완전 충전 상태의 배터리(45)의 전원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 값을 정한 후 그 설정 값에 따라서 레드(Red), 옐로우(Yellow), 그린(Green)의 3가지 색깔의 광을 선택하여 온/오프 제어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45)의 전원의 양이 부족한 경우 레드(Red)에 해당하는 광케이블(46)을 온 시키며, 배터리(45)의 전원의 양이 중간 정도이면 옐로우(Yellow)에 해당하는 광케이블(46)을 온 시키며, 배터리(45)의 전원의 양이 충분한 경우에는 그린(Green)에 해당하는 광케이블(46)을 온 시킨다. 이때, 이를 구분할 배터리(45)의 전원의 양의 설정값들은 완전 충전 상태의 배터리(45)의 전원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자전거에 내장된 전자제어유닛(43)에 설치된 LED 광원(43c)으로부터 광케이블(46)로 연결되는 표시부(47)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배선 구조로 배터리(45)의 잔량 정보 등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10 : 프런트 프레임 11 : 앞바퀴
12 : 핸들스테이 15 : 핸들바
16 : 핸들 그립 17 : 핸들부
20 : 센터 프레임 21 : 발전기
23 : 페달 30 : 새들 프레임
31 : 안장 40 : 리어 프레임
41 : 뒷바퀴 43 : 전자제어유닛
43a : 검출부 43b : 광원제어부
43c : 광원 44 : 전동기
45 : 배터리 46 : 광케이블
47 : 표시부
12 : 핸들스테이 15 : 핸들바
16 : 핸들 그립 17 : 핸들부
20 : 센터 프레임 21 : 발전기
23 : 페달 30 : 새들 프레임
31 : 안장 40 : 리어 프레임
41 : 뒷바퀴 43 : 전자제어유닛
43a : 검출부 43b : 광원제어부
43c : 광원 44 : 전동기
45 : 배터리 46 : 광케이블
47 : 표시부
Claims (8)
- 앞바퀴(11) 또는 뒷바퀴(41)를 회전시키는 전동기(44);
상기 앞바퀴(11) 또는 상기 뒷바퀴(11)에 연결되어 전기 자전거의 몸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10, 20, 30, 40);
상기 전동기(44)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45);
상기 전동기(44)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전동기(44) 또는 배터리(45)의 작동 상태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제어유닛(43);
상기 전자제어유닛(43)의 제어 신호에 따라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43c);
상기 광원(43c)에서 발생된 광을 전송하는 광케이블(46); 및
상기 광케이블(46)에서 전송된 광을 표시하는 표시부(47)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45), 상기 전자제어유닛(43), 상기 광케이블(46) 및 상기 표시부(47)는 상기 프레임(10, 20, 30, 4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47)는 상기 배터리(45)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43)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43c)은 상기 전자제어유닛(4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43c)은 발광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43c)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 20, 30, 40)은 핸들부(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47)는 상기 핸들부(17)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43)은 검출된 상기 전동기(44) 또는 상기 배터리(45)의 작동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표시부(47)에서 표시되는 광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45)의 작동 상태 정보는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전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4378A KR101165591B1 (ko) | 2010-04-14 | 2010-04-14 | 전기 자전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4378A KR101165591B1 (ko) | 2010-04-14 | 2010-04-14 | 전기 자전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4962A KR20110114962A (ko) | 2011-10-20 |
KR101165591B1 true KR101165591B1 (ko) | 2012-07-23 |
Family
ID=4502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4378A KR101165591B1 (ko) | 2010-04-14 | 2010-04-14 | 전기 자전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55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73178A (zh) * | 2015-08-25 | 2018-08-31 | 自行车技术公司 | 电动自行车 |
KR20240053379A (ko) | 2022-10-17 | 2024-04-24 |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동모듈을 포함하는 자전거 및 이를 포함하는 실내외용 자전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0477A (ja) | 1996-03-08 | 2001-05-15 | Honda Motor Co Ltd | 電動補助自転車用バッテリ |
KR200273970Y1 (ko) | 2001-09-12 | 2002-05-01 | 홍석기 | 전기자전거의 가속레버 장착구조 |
-
2010
- 2010-04-14 KR KR1020100034378A patent/KR1011655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0477A (ja) | 1996-03-08 | 2001-05-15 | Honda Motor Co Ltd | 電動補助自転車用バッテリ |
KR200273970Y1 (ko) | 2001-09-12 | 2002-05-01 | 홍석기 | 전기자전거의 가속레버 장착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4962A (ko) | 2011-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0202594B2 (en) | Transmission Device | |
JP5546614B2 (ja) | 発電機及び変速装置 | |
EP2535254B1 (en) | Bicycle chain tensioner device | |
EP2535257B1 (en) | Rear derailleur and gear shift system | |
US9505310B2 (en) | Variable resistance serial hybrid electric bicycle | |
US20120043148A1 (en) | Folding bicycle with electric power train assist | |
KR101165591B1 (ko) | 전기 자전거 | |
ES2663648T3 (es) | Vehículo, en particular bicicleta, con accionamiento auxiliar eléctrico | |
KR101250758B1 (ko) | 전동자전거 | |
US20230382239A1 (en) | Electric Bicycle System | |
CN110550085B (zh) | 一种卡丁车及其控制方法 | |
KR20110073836A (ko) | 접이식 자전거 | |
KR101638796B1 (ko) | 접이식 자전거 | |
KR20120093569A (ko) | 전기 자전거 | |
KR101359339B1 (ko) | 전동자전거 | |
KR101643912B1 (ko) | 가속기를 구비한 자가발전 무체인 자전거 | |
KR101429443B1 (ko) | 전동자전거 | |
CN210821826U (zh) | 一种卡丁车 | |
KR102604027B1 (ko) | 전동 킥보드 | |
CN206623934U (zh) | 一种公共自行车 | |
CN204750457U (zh) | 辅助刹车器 | |
TWI832764B (zh) | 阻力可調的發電構造 | |
KR20140100192A (ko) | 스쿠터 | |
CN208309451U (zh) | 一种端部模块化的车位锁及其管理系统 | |
KR102004600B1 (ko) | 전동기를 구비한 자전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