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113B1 - 압출기 - Google Patents

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113B1
KR101165113B1 KR1020077010168A KR20077010168A KR101165113B1 KR 101165113 B1 KR101165113 B1 KR 101165113B1 KR 1020077010168 A KR1020077010168 A KR 1020077010168A KR 20077010168 A KR20077010168 A KR 20077010168A KR 101165113 B1 KR101165113 B1 KR 10116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shaft
feed
diameter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3974A (ko
Inventor
요세프 아. 블라흐
Original Assignee
블라흐 페르발퉁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7886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651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블라흐 페르발퉁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블라흐 페르발퉁스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8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7Screws provided with kneading disc-like elements, e.g. with oval-shap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56Exchangeable extruder parts
    • B29C48/2564Screw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29C48/42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using three or more screws
    • B29C48/43Ring extr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9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 B29C48/4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screws surrounded by a cooperating barrel, e.g. single screw extruders using two or more parallel screws or at least two parallel non-intermeshing screws, e.g. twin screw extruders
    • B29C48/435Sub-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4Screws with additional forward-fee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5Screws having reverse-fee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4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 B29B7/485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with intermeshing devices, e.g. screws with three or more shafts provided with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압출기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평행한 회전 샤프트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샤프트는 맞물림 공급 나사부(24)와 가공부(26)를 구비한다. 공급 나사부(24)에 비해 2개의 샤프트들 사이에서 더 큰 스프레드를 초래하는 가공부(26)는 공급 나사부(24)를 사용한 혼합 부재(22)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샤프트, 압출기, 하우징, 코어, 홈

Description

압출기{EXTRUDER}
본 발명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2개의 샤프트를 사용하여 자유 유동 재료(free-flowing materials)의 연속적인 가공 및/또는 처리하기 위한 압출기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는 맞물림 공급 나사부와 작업부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에 평행한 압출기 하우징 내의 원형부 홈 내에서 안내된다.
공급 나사부와 작업부를 구비한 샤프트는 동일한 중심각을 갖는 원을 따라 압출기 하우징 내의 중공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유럽 특허 공보 EP 0 788 867 B1호). 반면에, 개별 부재로 형성된 공급 나사부는 압출기에서 가공될 재료를 재료 공급 개구부로부터 압출구의 타 단부에 위치하는 재료 출구 개구부로 공급하며, 이와 동시에 개별 부재로서 형상화된 작업부는 제동 기능 및 필요한 경우 역진 기능을 갖는다. 유럽 공개 특허 공보 EP 0 422 272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작업 부재로서 반죽 블록(kneading block)은 예를 들어 나사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이른바 블리스터(blister), 즉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는 외부 치형부를 갖춘 이른바 치형 디스크(toothed disk)를 구비할 수도 있다.
재료를 압축하는 이러한 작업 부재 대신에, 압력 완화 작업 부재가 또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독일 공개 특허 공보 DE 102 33 213 A1호에 의하면, 나사 부재 는 나사 코그(screw cog)에서 나사의 마모를 통해 형성되는 공급 뉴트럴 압력 완화부(feed-neutral, pressure-relieving section)를 구비하는 것으로 개시된다.
다양한 가공 작업을 위한 다양한 표면을 갖는 작업 부재들은 개별 최종 기술적 가공 요구 사항을 최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거의 모든 방식으로 서로 혼합될 수 있다. 공급 나사 부재와 가공 나사 부재는 서로 긴밀하게 정렬되고 토크 방지 방식으로 캐리어 샤프트 상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과 축방향 모두 정확하게 위치되며, 구동부에 의해 통합 방식으로 구동된다.
특별 기술 공정 요구 사항으로 인하여, 작업 부재는 스크루 직경의 6분의 1 수준까지 길이가 통상 줄어들며 대개 나사 직경에 비해 짧다. 반면에, 높은 압력이 2개의 인근 샤프트들의 맞물린 작업 부재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역진 나사 부재, 반죽 블록, 블리스터 또는 치형 디스크와 같은 이들 부재가 외부 단부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힘은 이러한 작업 부재 주변의 이중 나사 압출기에서 발생하며, 이는 샤프트들 사이의 상당한 스프레드(spread)로 이어진다. 이러한 힘은 샤프트가 동일한 중심각을 갖는 원 주변에 배치되는 다양한 샤프트 압축기에서의 상당한 마모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작업 부재 주변의 전술한 마모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는 공급 나사부에 비해 큰 2개의 샤프트들 사이의 스프레드로 이어지는 작업부에 의해 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나사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가공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혼합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일체로 형성된 혼합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 나사부와 통합된 가공부는 나사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역진 가공부일 수 있으며, 특히 공급 나사부에 비해 큰 피치, 또는 공급 나사부에 대한 반대 피치 방향, 또는 반죽 블록, 블리스터 또는 치형 디스크를 구비한 나사부를 갖는 역진 가공부일 수 있다. 하지만, 2개의 가공부들은 일체로 제조된 부재로서 통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대향 피치 방향을 갖는 2개의 반죽 블록 또는 대향 피치 방향과 반죽 블록을 갖는 나사부이다.
공급 나사부와 가공부를 통합하거나, 또는 2개의 가공부들을 본 발명에 따른 긴 혼합 부재로 통합함으로써, 샤프트의 굽힘 강도(bending strength)가 굉장히 향상된다. 이와 동시에, 전개력(spreading force)은 한층 넓고 일반적으로 보다 매끄러운 표면에 걸쳐 분산되므로, 표면 하중과 그로 인한 마모가 상당히 감소한다. 또한, 몇 개의 서로 다른 기술 공정 요구 사항들의 조합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에 걸쳐 부분에 배치될 수 있어서 부품의 수의 확연한 감축을 가져오고, 이는 샤프트의 유지관리와 설비의 상당한 단순화뿐만 아니라 그 저장의 단순화를 가져온다.
샤프트의 설치를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혼합 부재의 페이스 표면은 공급 나사 직경에 대응하는 원호에 의해 한정되며, 공급 나사 코어 직경은 샤프트의 축의 중심 거리에 비해 크지 않다. 이어서, 혼합 부재는 페이스 표면이 서로 정렬된 원호에 의해 한정되는 방식으로 샤프트 상에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근 샤프트의 혼합 부재와 맞물리는 혼합 부재의 무결점 장착은 매우 쉬워진다.
혼합 부재의 이익이 굽힘 강도와 마모에 대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혼합 부재는 스크류의 직경에 비해 큰 길이, 보다 자세하게는 스크루의 직경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혼합 부재의 공급 나사부는 바람직하게는 이중 리드로 형성되며, 이중 리드 나사는 삼중 리드나사에 비해 많은 공급량을 제공하지만 단일 리드 나사와 비교하면 한층 큰 굽힘 강도를 갖는다.
만약 혼합 부재의 작업부가 나사형 표면을 또한 가진다면, 다시 말해서 보다 큰 피치 또는 대향 피치 방향을 갖는 나사부를 구비하면, 이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중 리드(double lead)로 형성된다. 작업부의 표면은, 예를 들어 반죽 블록의 경우에 나사와 유사한 나선형 진행부를 또한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 나사에 따른 피치 방향을 갖는 나선에 배치된 이중 리드 캠 플레이트를 구비한 반죽 블록부는, 예를 들어 하나의 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반대 피치 방향을 갖는 이중 리드 반죽 블록부(double-lead kneading block segment)와 혼합될 수 있다.
가공되는 재료에 고온이 가해짐에 따라서, 샤프트와 그 위에 안착한 공급 부재 및 가공 부재는 서로 다르게 팽창한다. 이는 샤프트와 그 위에 안착한 부재 사이의 틈의 형성으로 이어지며, 틈 내부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용융 물질이 침투하여 어쩌면 연소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부재가 냉각 이후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야지만 샤프트로부터 후퇴할 수 있을 만큼 샤프트와 부재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때때로 부재가 전혀 후퇴될 수 없는 때에 전체 샤프트가 폐기되어야 하는 정도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긴 혼합 부재의 경우에 매우 강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샤프트는 몇 개의 짧은 샤프트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샤프트 영역은 샤프트 코어 내에서 축방향으로 비틀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축방향 비틀림 능력을 위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된 회전 부재는 샤프트 코어 내의 샤프트 영역의 일 단부에 바람직하게 선회되며, 샤프트 코어는 토크 방지 방식으로(torque-proof manner) 외부 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나사는 인근 샤프트 영역의 코어 내의 내부 나사에 결합한다. 이를 위해, 샤프트 영역은 외부 나사를 구비한 회전 부재를 일 단부에서 구비하며, 코어 내의 내부 나사를 타 단부 상에서 구비한다. 샤프트 영역은 양 단부가 외부 나사를 구비한 회전 부재를 구비하며 코어 내의 양 단부에서 내부 나사를 구비한 샤프트 영역에 결합된다.
샤프트 영역의 샤프트 코어에는, 회전 부재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축방향 보어 구멍 또는 유사한 홈이 바람직하게 존재한다. 이를 위해, 회전 부재는 예를 들어 육각형 홈 또는 육각형 말뚝과 같은 다각형 또는 다각형 홈을 구비한 샤프트 영역의 축방향 홈을 향한 회전 부재의 측면 상에서 설비되며, 상기 다각형 또는 다각형 홈은 샤프트 코어의 축방향 보어 구멍에 삽입되고 대응 대향 다각형을 구비한 단부에 장착되는 봉을 통해 작동된다. 다각형 말뚝의 다각형 홈 대신에, 다른 작동 홈 또는 작동 돌출부는 그 단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샤프트 코어 내의 축방향 보어 구멍에 삽입되는 봉을 통해 작동된다.
각 샤프트 영역은 인근 샤프트 영역과 토크 방지 방식으로 결합되는 토크 내구 부재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2개의 인근 샤프트 영역들 사이에는 맞물림 토크 내구 결합이 존재하며, 예를 들어 샤프트 코어의 단부 외주 상의 톱니형 또는 웨지형 치형부를 사용하며, 여기에는 회전 부재가 선회되므로, 치형부는 인근 샤프트 영역의 단부에 허브 보어 구멍 내의 톱니형 치형부 또는 웨지형 치형부를 사용하여 외부 경계 상에서 공동 가공하며, 여기서 내부 나사는 인근 샤프트 영역의 회전 부재 상에서 외부 나사 내부와 결합한다.
가공부와, 적어도 하나의 공급 나사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가공부를 구비한 혼합 부재는 샤프트부의 샤프트 코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 부재를 토크 방지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샤프트 영역의 나사 코어를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일체로 혼합된 부재를 통하여, 샤프트의 굽힘 강도는 소정 길이까지 상당히 증가되며, 그로 인해 생성된 횡력(transverse force)은 더욱 넓은 표면을 통해 분산되고 그로 인해 마모가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부품의 수가 감소하며, 이는 저장과 조립 및 분해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게다가, 짧은 가공부는 예를 들어 공급 나사 직경의 절반에 못 미치는 길이를 가지며, 예를 들어 그 구조적 길이 및/또는 배치 위치와 같은 타입 차트에 의해 덮이기도 한다. 배치 실수는 복잡한 배열의 경우에 안전하게 회피될 수도 있다. 밀접한 지점의 수는 상당히 감소되며, 공정 공간은 소정의 기계 길이 상에서 내부 안내 샤프트에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다.
본 발명의 압출기는 이중 샤프트 압출기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중심각을 갖는 원 또는 원호를 따라 압출기 하우징 내의 공동에 배치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샤프트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자세하게 기술된다.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다중 샤프트 압출기의 종방향 단면을 도시하며;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며;
도 3 및 도 4는 혼합 공급 나사 및 가공 부재의 측면도와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5 및 도 6은 짧은 가공부와 그로 인해 다른 페이스 벽을 구비한 도 1에 따른 혼합 부재의 측면도와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7 및 도 8은 피치를 구비한 하나의 반죽 블록 부재와 대향 피치를 구비한 하나의 반죽 블록부로부터 혼합된 부재의 사시도와 정면도를 도시하며;
도 9는 전체 둘레 주변에서 긴밀하게 맞물린 나사부들을 구비한 2개의 샤프트 압출기의 단면을 도시하며;
도 10은 일체로서 형성되고 부재와 혼합된 부재를 구비한 샤프트 영역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도 10에 따른 샤프트 영역의 우측 단부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12는 도 11에 상응하나 샤프트 코어 상에 배치된 혼합 부재를 구비한 샤 프트 영역의 도면을 도시하며;
도 13은 도 11의 XIII-XIII 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며; 및
도 14는 제자리에 혼합 부재를 갖춘 몇 개의 샤프트 영역으로부터 제조된 샤프트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 내의 압축기는 원(3)을 따라 연장하는 공간(2)을 갖는다. 공간(2) 내부에는 다수의 샤프트(4)가 코어(5)를 중심으로 하여 축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우징(1)은 단부 플레이트(6, 7)에 의하여 페이스 측면에서 밀폐된다. 단부 플레이트(6)를 통해 연장하는 샤프트(4)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된다. 재료 공급 개구부는 도면 부호 8로서 식별되며, 단부 플레이트(7)의 재료 출구 개구부는 도면 부호 9로서 식별된다.
몇몇 부재(11, 12, 13, 14)들은 웨지형 치형부를 사용하여 토크 방지 방식(torque-proof manner)으로 각 샤프트(4)에 배치된다. 부재(11, 13)가 공급 나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에, 부재(12)는 공급 나사부(15)와 반죽 블록(kneading block)(16)을 포함하며, 공급 나사부(17)의 부재(14)는 공급 나사 부재(11, 13)의 피치뿐만 아니라 대향 피치를 갖춘 짧은 나사부(18)의 피치보다 큰 피치를 갖는다. 반죽 블록부(16)와 대향 피치를 갖는 짧은 나사부(18)는 작업부를 나타낸다. 하우징(1)의 내측과 코어(5) 상에는 축에 평행하고 원형부로 형성되는 홈(19, 20)이 위치하며, 홈 내부에는 공급 나사 부재(11, 13)와 혼합 부재(12, 14)가 제한된 틈을 갖고서 결합하며, 다시 말해서 최대한의 밀착 정도로 결합한다. 이와 동시에, 공급 나사 부재(11, 13)와 혼합 부재(12, 14)는 상당한 정도로 서로에 대해 긴밀하게 맞물린다.
도 3 및 도 4뿐만 아니라 도 5 및 도 6은 하나의 공급 나사부(24 또는 25)와 하나의 가공부(26 또는 27)로 제조된 서로 다른 2개의 혼합 부재(22, 23)를 도시하는데, 상기 혼합 부재는 공급 나사부(24 또는 25)의 피치에 비해 큰 피치를 갖는 나사부를 통해 각각 형성되므로, 작업부(27)가 작업부(26)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은 점선(29')으로 도시되고 공급 나사 부재에 따른 피치 방향으로 배치되는 캠 디스크(cam disk)로 제조된 반죽 블록부(29)를 포함하고, 점선(30')으로 도시되고 대향 피치 방향으로 배치되는 캔 디스크(can disk)로 제조된 반죽 블록부(30)를 포함하는 혼합 부재(28)를 도시한다. 이는 이러한 설계 형상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작업부로서의 2개의 반죽 블록부(29, 30)들이 하나의 부재(28)로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맞물림 혼합 부재(22)는 A-B 원호, E-F 원호 및 A-E 원호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페이스(face)(10)를 구비한다. A-B 원호는 나사 직경(D)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E-F 원호는 나사 코어 직경(d)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A-E 원호는 그 반경이 양 혼합 부재(22)의 축 거리(Ax)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유럽 특허 공보 EP-B-0002131 참조). 동일하게, 혼합 부재(22, 28)의 페이스(10)는 도 3과 도 4 및/또는 도 7과 도 8에 따라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혼합 부재(23)는 A-B 원호, E-F' 원호 및 A-E 원호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나사 코어의 직경을 갖는 반원에 대응하는 원호(32)에 의하여 범위가 정해진 페이스(20)를 또한 구비한다.
이들 원호에 의해 형성된 혼합 부재 페이스들을 통하여, 샤프트의 설치가 매우 단순해지는데, 왜냐하면 부재들은 부재들의 페이스들이 서로에 대해 정렬되도록 설치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각 샤프트(4)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몇 개의 짧은 샤프트 영역들로 구분된다. 이로 인해,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샤프트 영역(33)의 경우에는, 샤프트 코어(37)와 개략적으로 도시된 혼합 부재(36)는 일체로 형성되는 반면에, 도 12 및 도 14의 샤프트 영역(34, 35)의 경우에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혼합 부재(36)들이 웨지형 치형부(38)를 사용하여 토크 방지 방식으로 샤프트 코어(37) 상에 배치된다.
샤프트 영역(33, 34, 35)들은 샤프트 코어(37) 내의 인장 하에서 축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원통형 회전 부재(41)는 샤프트 코어(37)의 축방향 홈(39) 내의 개별 샤프트 영역(33, 34, 35)의 단부에서 선회한다. 축방향 홈(39)으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 영역의 단부에서, 회전 부재(41)는 외부 나사(42)를 구비한다.
회전 부재(41)를 축방향으로 부착하기 위하여, 샤프트 코어(37)의 원통형 축방향 홈(39) 내의 원주 그루브(44)의 일 측면과, 원통형 회전 부재(41)의 외부 원주 내의 원주 그루브(45)의 타 측면에 결합하는 와이어 링(43)이 존재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링(43)은 측면으로부터 샤프트 코어(37)의 접선 보어 구멍(48)을 통해 원주 그루브(44, 45)들 사이로 압입되는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영역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샤프트 코어(37) 내의 샤프트 영역(33)의 타 단부 상에 동축 내부 나사(49)가 존재하며, 그 내부에는 인접한 샤프트 영역(33)의 동축 외부 나사(42)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굽힘 강도를 증가하기 위하여, 샤프트 코어(37)는 샤프트 영역(33)의 단부에서 돌출하며, 그 위에 회전 부재(41)가 배치되므로, 돌출 샤프트 코어 단부(46)에 의해 형성되는 축방향 말뚝(peg)이 인접 샤프트 홈(33)의 단부에 삽입되며, 축방향 홈(47)의 내측 상에서 축방향 홈은 내부 나사(49)를 구비한다.
회전 부재(4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샤프트 코어(37)는 연속적인 축방향 보어 구멍 또는 유사한 홈(51)을 구비한다. 회전 부재(41)는 예를 들어 6각형 홈(52)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6각 부재(hexagon)(미도시)가 회전 부재(41)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축방향 보어 구멍(51)을 통해 삽입되는 봉(rod)에 부착되며, 이로 인해 인접한 샤프트 영역을 결합하거나 부착하기 위하여 인근 샤프트 영역(33)의 내부 나사(49) 내에 또는 외부에 외부 나사(42)를 체결한다. 각 샤프트 영역(33)은 인접 샤프트 영역(33)을 이용하여 토크 방지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도 11에 따른 말뚝(46) 상에 웨지형 치형부(53)가 존재하며, 이는 인근 샤프트 홈(33)의 축방향 홈(47) 내의 웨지형 치형부(50)와 결합한다. 도 12에 따른 설계 형상의 경우에는, 부재(36)를 위해 사용되는 샤프트 코어(37) 상의 웨지형 치형부(38)가 추가적으로 사용된다.
도 14에 있어서, 압출 방향은 화살표(54)로 표시된다. 샤프트 영역(34, 35)으로부터 샤프트를 조립하기 위한 방향도 역시 화살표(54)에 대응하는 반면에, 분 해 방향은 화살표(54) 방향의 반대이다. 샤프트 영역(34, 35)의 단부는 압출 방향(54)에 대하여 회전 부재(41)를 구비한 그 상류 단부에 각각 장착된다.
본 발명은 압출기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맞물림 공급 나사부와 가공부를 구비하며, 원형부로서 형성되고 샤프트에 평행한 압출기 하우징 내의 홈 내부에서 안내되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2개의 평행 샤프트를 구비하는 자유 유동 재료의 연속적인 가공 또는 처리를 위한 압출기에 있어서,
    가공부(16, 18, 26, 27, 29, 30)는 공급 나사(11, 13, 15, 24, 25)가 작용하는 것보다 2개의 샤프트(4)들 사이의 더 큰 스프레드(spread)을 초래하며, 하나 이상의 공급 나사부(15, 24, 25)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가공부(29, 30)를 갖춘 단일 혼합 부재(12, 14, 22, 23, 28, 36)를 형성하며,
    하나 이상의 공급 나사부(12, 24, 25) 또는 하나 이상의 가공부(29, 30)를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된 가공부는 공급 나사부(11, 13, 15, 24, 25)에 비해 큰 피치를 갖는 나사 부재(24, 25), 대향 피치 방향을 갖는 나사부(18), 반죽 블록(16, 29, 30), 블리스터 또는 치형 디스크이며,
    혼합 부재(12, 14, 22, 23, 28, 36)의 페이스(10, 20)는 원호(A-B, E-F, A-E)들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원호(A-B)는 공급 나사 직경(D)에 대응하는 직경을 구비하며, 상기 원호(E-F)는 나사 코어 직경(d)에 대응하는 직경을 구비하며, 상기 원호(A-E)는 샤프트(4)들의 축 거리(Ax)에 비해 길지 않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혼합 부재(12, 14, 22, 23, 28, 36)는 혼합 부재의 페이스(10, 20)가 서로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혼합 부재(23)의 하나 이상의 부품은 나사 코어 직경(d)을 갖는 반원에 대응하는 원호(32)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페이스(20) 상에서 추가적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5. 제1항에 있어서,
    혼합 부재(14, 22, 23, 28)는 이중 리드(double lead)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6. 제1항에 있어서,
    혼합 부재(12, 14, 22, 23, 28, 36)는 공급 나사 직경(D)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3개 이상의 샤프트(4)는 원(3) 또는 동일한 중심각을 갖는 원호를 따라 압출기 하우징(1) 내의 공간(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기.
KR1020077010168A 2004-10-26 2005-10-07 압출기 KR101165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2055.0 2004-10-26
DE102004052055.0A DE102004052055B4 (de) 2004-10-26 2004-10-26 Extruder
PCT/EP2005/010791 WO2006045412A2 (de) 2004-10-26 2005-10-07 Extru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974A KR20070083974A (ko) 2007-08-24
KR101165113B1 true KR101165113B1 (ko) 2012-07-12

Family

ID=3578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168A KR101165113B1 (ko) 2004-10-26 2005-10-07 압출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434928B2 (ko)
EP (1) EP1804999B1 (ko)
JP (1) JP4791478B2 (ko)
KR (1) KR101165113B1 (ko)
CN (1) CN100542782C (ko)
BR (1) BRPI0518245A2 (ko)
DE (1) DE102004052055B4 (ko)
ES (1) ES2459616T3 (ko)
RU (1) RU2350468C2 (ko)
WO (1) WO200604541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3214B4 (de) * 2002-07-22 2005-01-27 3+Extruder Gmbh Extruder zum kontinuierlichen Bearbeiten und/oder Verarbeiten von fließfähigen Materialien
DE102004052055B4 (de) * 2004-10-26 2014-11-20 Blach Verwaltung Gmbh & Co.Kg Extruder
DE102006052610B4 (de) * 2006-11-08 2013-04-18 Blach Verwaltungs Gmbh & Co. Kg Mehrwellenextruder
US8246240B2 (en) * 2008-01-03 2012-08-21 Wenger Manufacturing, Inc. Single screw extruder for processing of low viscosity preconditioned materials
CA2668518C (en) * 2009-06-11 2012-09-25 Manfred A. A. Lupke Die tooling for extruding tubular product
RU2538852C2 (ru) 2009-07-16 2015-01-10 Йозеф А. Блах Экструдер
AT509710B1 (de) 2010-03-24 2011-11-15 Josef Ing Blach Extruder
ES2522530T3 (es) * 2010-06-09 2014-11-14 Helmuth Schulz Dispositivo para el procesamiento de materiales por mezcla y/o plastificación
DE202010018252U1 (de) 2010-10-05 2015-02-16 Kraussmaffei Berstorff Gmbh Vorrichtung zum Spannen von Extruderschneckensegmenten auf einem Dorn
US9180511B2 (en) 2012-04-12 2015-11-10 Rel, Inc. Thermal isolation for casting articles
EP2805805B1 (de) * 2013-05-21 2019-02-27 Coperion GmbH Mehrwellen-Schneckenmaschine zur Aufbereitung von Materialien, insbesondere von Kunststoffmaterialien
RU176295U1 (ru) * 2017-03-07 2018-01-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ым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В.И. Вернадского" Экструдер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разнородных вторичных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RU176485U1 (ru) * 2017-04-18 2018-01-2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ым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В.И. Вернадского" Экструдер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разнородных вторичных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EP3546871B1 (de) * 2018-03-28 2020-12-02 Nordson Corporation Trennvorrichtung zum trennen eines festen stoffes aus einem förderstrom und verfahren zum warten einer solchen trennvorrichtung
EP3620485A1 (de) 2018-09-04 2020-03-11 Covestro Deutschlan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ormmass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WO2023202910A1 (de) 2022-04-19 2023-10-26 Covestro Deutschlan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lastischen mass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GB202214098D0 (en) * 2022-09-27 2022-11-09 Zelfo Tech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defibrillating and/or defibering cellulose fibres and/or ligno-cellulosic fibr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8358A (en) 1991-10-15 1994-06-07 Werner & Pfleiderer Gmbh Screw kneader for plastic material having a controlling mixing section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3088A (en) * 1945-12-26 1948-11-02 Dow Chemical Co Mixing torpedo for plastics extruders
DE2236902A1 (de) 1972-07-27 1974-02-28 Basf Ag Schneckenextruder
DE2340499C2 (de) * 1973-08-10 1980-02-14 Barmag Barmer Maschinenfabrik Ag, 5600 Wuppertal kenstrangpresse
DE2513015A1 (de) 1975-03-25 1976-10-07 Rheinstahl Ag Zusammensetzbare schnecke
FR2325491A1 (fr) 1975-09-25 1977-04-22 Poudres & Explosifs Ste Nale Procede de boudinage des compositions pyrotechniques, et boudineuse a vis
JPS5829733B2 (ja) * 1977-11-19 1983-06-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押出機
DE2924462A1 (de) * 1979-06-18 1981-01-22 Josef A Blach Materialbearbeitungswelle fuer maschinen zur bearbeitung fester, fluessiger, plastischer und/oder zaehviskoser materialien
FR2472970A1 (fr) 1980-01-04 1981-07-10 Saint Marcel Mfg Organe de boudineuse tel que vis ou cylindre
US4447156A (en) * 1981-08-31 1984-05-08 Northern Lights Trust Modular mixing apparatus including interchangeable fluid processing means
FR2560817B1 (fr) * 1984-03-08 1988-06-24 Creusot Loire Machine a vis de traitement de matiere
EP0265429A1 (en) 1986-04-24 1988-05-04 Northern Lights Trust Of Febr. 14, 1978 Modular mixing apparatus for extruded material
DE3709798C2 (de) 1987-03-25 1995-02-23 Krupp Ag Mehrteilige Schnecke
DE3841728C1 (ko) * 1988-12-10 1990-03-01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De
DE3841729C1 (ko) * 1988-12-10 1990-03-01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De
DE3843576A1 (de) * 1988-12-23 1990-07-12 Jv Kunststoffwer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formteilen
JPH0615170B2 (ja) * 1989-04-27 1994-03-02 東芝機械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の脱水・乾燥成形用二軸押出機
EP0422272B2 (de) * 1989-10-12 2001-06-13 Josef A. Blach Misch- und Knetvorrichtung
DE3940954A1 (de) 1989-12-12 1991-06-13 Battenfeld Extrusionstech Planetenwalzen-extruder oder einschnecken-extruder
US5217303A (en) * 1990-12-20 1993-06-08 Paul Geyer Millstone extrusion apparatus
US5129729A (en) * 1990-12-20 1992-07-14 Paul Geyer Extrusion apparatus for mixing and extruding of thermo-plastic and thermo-setting materials
AT401737B (de) * 1993-05-07 1996-11-25 Blach Josef Alois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bearbeiten von viskosen flüssigkeiten und massen
JP2909577B2 (ja) 1993-10-29 1999-06-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樹脂廃材の再生方法及び装置
DE4338795C1 (de) * 1993-11-12 1995-06-14 S Rockstedt Gmbh Maschf Mehrwellige kontinuierlich arbeitende Mischmaschine für plastifizierbare Massen
US5417992A (en) * 1994-03-14 1995-05-23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Supercritical fluid extrusion process and apparatus
DE4444370A1 (de) * 1994-12-14 1996-06-20 Max Gutknecht Vorrichtung zum thermischen, mechanischen, chemischen und/oder physikalischen Behandeln eines Produktes
US5630968A (en) * 1995-06-07 1997-05-20 The Japan Steel Works, Ltd. Water-injection foaming devolatilizing method
EP0788867B1 (de) 1996-02-06 1999-07-07 Josef A. Blach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Bearbeiten von fliessfähigen Materialien
US5749649A (en) * 1996-03-05 1998-05-12 Dynamic Mixers Inc. Satellite extruder arrangement for polymer melt mixing with a dynamic mixer
CA2264807A1 (en) * 1996-09-24 1998-04-02 The Dow Chemical Company Multiple-screw extruder
US6331069B1 (en) * 1998-01-14 2001-12-18 George Putti Concrete extrusion machine and spiral conveyor therefor
US6241375B1 (en) * 1998-08-01 2001-06-05 Peter Wang Shear ring screw
DE19847104C1 (de) * 1998-10-13 1999-10-28 3 & Extruder Gmbh Mehrwellige Schneckenmaschine
DE10207145B4 (de) * 2002-02-20 2004-07-15 Blach, Josef A. Vorrichtung zum Dispergieren und Aufschmelzen fließfähiger Stoffe
DE10228103A1 (de) * 2002-06-24 2004-01-15 Bayer Cropscience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DE10233213B4 (de) * 2002-07-22 2004-09-09 3+Extruder Gmbh Extruder
US7188992B2 (en) 2003-07-30 2007-03-13 Americhem, Inc. Kneading element and related articles
DE102004052055B4 (de) * 2004-10-26 2014-11-20 Blach Verwaltung Gmbh & Co.Kg Extruder
DE102005053907B4 (de) * 2005-11-11 2009-05-20 Blach Verwaltung Gmbh & Co.Kg Mehrwellenextruder
DE102006052610B4 (de) * 2006-11-08 2013-04-18 Blach Verwaltungs Gmbh & Co. Kg Mehrwellenextruder
RU2538852C2 (ru) * 2009-07-16 2015-01-10 Йозеф А. Блах Экструде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8358A (en) 1991-10-15 1994-06-07 Werner & Pfleiderer Gmbh Screw kneader for plastic material having a controlling mixing s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7119575A (ru) 2008-12-10
ES2459616T3 (es) 2014-05-12
EP1804999B1 (de) 2014-01-29
WO2006045412A2 (de) 2006-05-04
US20090040863A1 (en) 2009-02-12
CN101094758A (zh) 2007-12-26
DE102004052055A1 (de) 2006-04-27
DE102004052055B4 (de) 2014-11-20
KR20070083974A (ko) 2007-08-24
RU2350468C2 (ru) 2009-03-27
EP1804999A2 (de) 2007-07-11
JP4791478B2 (ja) 2011-10-12
WO2006045412A3 (de) 2006-11-16
US8434928B2 (en) 2013-05-07
BRPI0518245A2 (pt) 2008-11-11
JP2008517797A (ja) 2008-05-29
CN100542782C (zh)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113B1 (ko) 압출기
US8678637B2 (en) Extruder screw, extruder and shaft-hub connection
JP2912021B2 (ja) モジュール混合要素を有する多軸スクリュー押出配合機
US6170975B1 (en) Multi-shaft extruder kneading discs, kneading disc blocks and extruder
US8403554B2 (en) Screw for extruder, bearing segment used in the same and twin screw extruder provided with screw for extruder
US20070177451A1 (en) Serrated kneading disk and kneading block
US20090274003A1 (en) Extruder
US7270471B2 (en) Extruder
EP3200965B1 (en) Extruder screw element for an extrusion machine
RU2354553C2 (ru) Шнек экструдера
US7425090B2 (en) Device for dispersing and melting flowable materials
US11273420B2 (en) Extruder screw, extrusion device having an extruder screw and method for plasticizing a plastic
US6116771A (en) Multi-shaft extruder screw bushing and extruder
US20060291324A1 (en) Screw for kneading extruder
US5797677A (en) Screw-type extruding machine having a screw element defining a groove with an expansion region at each end thereof
GB2202783A (en) Extruder
JP2018075829A (ja) 押出成形機において使用されるスクリューおよび押出成形機
JP3867974B2 (ja) スクリュ式混練押出機の分割式ロータ
GB2188678A (en) Rotary compressor
JP3033903U (ja) セグメントスクリュ押出機
BRPI0518245B1 (pt) Extruder
JPH0387210A (ja) 歯車ポンプ型エラストマー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