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710B1 -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제동성능시험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제동성능시험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4710B1 KR101164710B1 KR1020090016574A KR20090016574A KR101164710B1 KR 101164710 B1 KR101164710 B1 KR 101164710B1 KR 1020090016574 A KR1020090016574 A KR 1020090016574A KR 20090016574 A KR20090016574 A KR 20090016574A KR 101164710 B1 KR101164710 B1 KR 1011647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test
- load
- braking
- emergency bra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4—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guide ropes or cab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esting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의 발명은 엘리베이터 운행 시 예기치 못한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엘리베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제동장치들이 단독 혹은 동시에 작동 시 제동성능시험 및 성능분석을 할 수 있는 시험장비 및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고, 이 시험장비와 시스템을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 개발에 적극 활용함으로서 제동성능 및 안전성이 검증된 비상제동장치를 엘리베이터에 적용하여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를 신속히 정지시켜야 할 경우 안전하고 확실한 제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의 발명은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와 같이 실제하중과 속도조건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이 가능한 시험기를 개발하여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에서 시험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고하중 고속도조건에서의 시험과 다양한 하중과 속도조건에서 안전하게 시험이 이루어지게 하고, 엘리베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제동장치들의 단독 작동시와 동시 작동시의 제동성능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 개발에 활용하고자 하며,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 발명을 활용하여 개발되는 비상제동장치를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경우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 어떠한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제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 와이어로프, 제동성능시험, 타워테스트, 상승과속, 개문출발, 로프제동장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 발명은 엘리베이터 운행 시 예기치 못한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엘리베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제동장치들이 단독 혹은 동시에 작동 시 제동성능시험 및 성능분석을 할 수 있는 시험장비 및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고, 이 시험장비와 시스템을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 개발에 적극 활용함으로서 제동성능 및 안전성이 검증된 비상제동장치를 엘리베이터에 적용하여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를 신속히 정지시켜야 할 경우 안전하고 확실한 제동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함에 있다.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구성품들의 설계 및 제조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사양이 고하중 고속도 사양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동시에 안전제동에 대한 부분이 중요한 항목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엘리베이터가 문이 열린 상태에서 운행(개문출발)되어 사람이 카와 승강장 사이에 끼어 사망하거나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엘리베이터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운행(상승과속)하다가 제동이 되지 않아 엘리베이터가 승강로 천정에 부딪혀 카 안에 있던 사람이 크게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엘리베이터 운행 중 사고가 늘어가고 있는데, 엘리베이터 사고는 인명사고와 직결되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대한 확실한 방지대책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국내외 비상제동장치에 대한 안정인증평가시스템이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를 제외하고는 미비한 실정이며,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의 시험환경상 실제 엘리베이터 환경과 같은 고하중과 고속도에서 시험이 불가능하거나 어렵고 고하중과 고속도의 시험이 가능하더라도 시험시 확실한 제동이 안 될 경우 카나 카운터웨이트는 바닥에 추락하거나 승강로 천정에 충돌할 위험이 크고, 실제 엘리베이터 운행환경과 같이 속도와 하중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시험을 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에 대한 실질적인 안전성평가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현재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테스트타워 환경을 도시한 것으로 왼쪽 카(11)와 오른쪽 카운터웨이트(12)를 엘리베이터 전용 와이어로프(13)로 이어진 상태로 브레이크가 장착되어 있는 쉬브(14)에 와이어로프(13)가 걸쳐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카(11)는 사람이 승차하여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여 하차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하며, 카운터웨이트(12)는 쉬브(14)를 사이에 두고 카(11)의 반대쪽에 위치되는데, 카(11)의 하중에 의하여 한쪽으로 심하게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쉬브(14)를 회전시켜 카(11)를 이동시키는 전동기의 용량 및 부하를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카운터웨이트(12)의 무게는 카(11)의 무게보다 카(11)에 탑재할 수 있는 정격하중의 50%만큼 무겁게 적용되며, 이러한 환경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15)의 성능시험을 하게 되는데, 시험의 종류는 크게 상승과속시험과 개문출발시험이 있다.
상승과속시험의 구체적인 동작순서는 시험대상인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15)의 사양에 맞추어 카(11)와 카운터웨이트(12)의 무게를 설정하여 하중이 가벼운 카(11)는 승강로 바닥쪽으로 위치시키고 하중이 무거운 카운터웨이트(12)는 승강로 위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쉬브(14)의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가 시험대기 상태가 되는데, 이때 카와 카운터웨이트(12)는 정지된 상태에 있게 되고, 쉬브(14)의 브레이크가 개방되면서 카(11)와 카운터웨이트(12)의 하중차에 의하여 하중이 무거운 카운터웨이트(12)는 낙하를 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하중이 가벼운 카(11)는 상승하게 되며 카(11)와 카운터웨이트(12)의 속도가 정격속도의 약115%에 도달하는 순간 비상제동장치(15)에 작동신호를 주게 되며, 신호를 받은 비상제동장치(15)는 작동을 하여 와이어로프(13)를 직접 잡아 카(11)와 카운터웨이트(12)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15)의 타워테스트는 고하중 고속도의 시험이 불가능하거나 어렵고, 다양한 하중과 속도를 설정하여 시험을 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므로, 실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15)의 타워테스트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시험환경을 구축 및 적용하여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15)의 타워테스트의 문제점을 조속히 해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와 같이 실제하중과 속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15)의 성능시험기를 구축하여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에서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고하중과 고속도조건에서 시험과 다양한 하중과 속도조건에서 시험이 가능하게 하고 시험시 안전성을 보장하고자 하며, 엘리베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제동장치간 연계성을 분석하고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며, 본 발명을 활용하여 개발된 제동장치를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경우 엘리베이터가 운행중 어떠한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제동시킴으로서 엘리베이터 운행중 사고를 방지하여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대한 줄이고자 한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승강기검사기준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 2007. 9. 10개정
현재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시험환경인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로서는 고하중과 고속도의 시험이 불가능하거나 어렵고, 엘리베이터 실제운행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부하와 속도조건으로 시험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엘리베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비상제동장치의 단독 또는 동시작동시의 성능시험을 진행할 수 없고, 시험결과에 대한 세부적인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도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다.
또한, 엘리베이터 사양에 따라 적재하중과 정격속도가 다르고, 같은 사양의 엘리베이터라도 승객의 탑승인원에 따라 카와 카운터웨이트간 하중의 차이인 편하중이 틀려지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사양은 엘리베이터 사양을 기준하여 탑승인원의 변동에 따른 하중의 변화, 그리고 실제 엘리베이터 운행속도의 변화 등 다양한 조건에서 안전제동이 가능함을 입증할 수 있는 분석시스템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외 고하중 고속도 시험과 다양한 부하와 속도조건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를 성능시험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험기와 시스템은 존재치 않으며, 안전인증기준에도 이러한 실제 엘리베이터 운행환경인 다양한 부하와 속도조건에서의 안전제동 가능유무를 검증할 수 있는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외 고하중 고속도 시험과 다양한 부하와 속도조건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를 성능시험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험기와 시스템은 존재치 않으며, 안전인증기준에도 이러한 실제 엘리베이터 운행환경인 다양한 부하와 속도조건에서의 안전제동 가능유무를 검증할 수 있는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외 고하중 고속도 시험과 다양한 부하와 속도조건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를 성능시험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험기와 시스템은 존재치 않으며, 안전인증기준에도 이러한 실제 엘리베이터 운행환경인 다양한 부하와 속도조건에서의 안전제동 가능유무를 검증할 수 있는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 발명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를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에서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고하중 고속도 조건과 다양한 하중과 속도조건에서 성능시험 및 분석이 가능한 시험기 및 시스템을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한다.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와 같이 실제하중과 속도조건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이 가능한 시험기를 개발하여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에서 시험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고하중 고속도 조건에서의 시험과 다양한 하중과 속도조건에서 안전하게 시험이 이루어지게 하고, 엘리베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제동장치들의 단독 작동시와 동시 작동시의 제동성능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 개발에 활용하고자 하며,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 발명을 활용하여 개발되는 비상제동장치를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경우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 어떠한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제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고하중 고속도 사양의 엘리베이터의 실제시험조건인 하중과 속도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술을 확보하고,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제공하며, 엘리베이터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제동장치의 단독 또는 동시 작동시의 성능 및 상호연계성을 분석할 수 있고, 본 발명을 활용하여 엘리베이터 제동장치의 최적설계를 가능하게 하여 저단가고품질의 제품제조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경제 및 산업적인 측면에서는 엘리베이터 운행중 비상상황 발생시 안전하고 확실한 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제동장치의 성능기준을 관련산업으로 확장하여 관련 기술 및 제품의 발전 및 안정화를 가져올 것 이다.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 발명의 개략도로서 크게 테스트베드부, 인버터판넬부, 제어계측부로 나뉘는데, 구성부별 구성품을 살펴보면 테스트베드부는 테스트베드(31), 쉬브(32), 전동기(33), 감속기(34), 토크센서(35), 로프장력조절장치(36), 와이어로프(37), 엔코더(38),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로 구성되며, 인버터판넬부는 전기제어판넬(41), 인버터(42), 제동유니트 및 제동저항(43)으로 구성되고, 제어계측부는 산업용컴퓨터(51), 시스템조작판넬(52), 데이터통신보드(53)로 구성된다.
테스트베드부 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테스트베드(31)는 바닥과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모든 구성품을 받쳐주고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쉬브(32)는 정면에서 보면 원형으로 되어 있고 측면에는 와이어로프(37)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홈이 파여 있는데 이 홈은 일정장력이 주어지면 와이어로프(37)와 쉬브(32) 사이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전동기(33)는 인버터판넬부의 인버터(42)로부터 직접적인 제어를 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감속기(34)는 전동기(33)와 직결되어 있으며 감속비만큼 모터의 회전수는 줄지만 힘은 감속비만큼 증가하게 되고, 감속기(34)는 쉬브(32)와 원형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원형축 사이에는 비틀림강도를 완충시켜주는 커플링이 사용된다. 토크센서(35)는 쉬브(32)와 감속기(34) 사이에 장착되며, 쉬브(32)에 인가되는 하중을 계측하게 되고, 계측된 하중은 제어계측부로 송신된다. 로프장력조절장치(36)는 쉬브(32)의 회전운동에 따라 와이어로프(37)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와이어로프(37)와 쉬브(32)간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장력을 조절하게 되어있고, 계측된 장력은 제어계측부로 송신된다. 와이어로프(37)는 끊김없이 이어진 루프형태로 되어있으며, 2개의 쉬브(32)와 로프장력조절장치(36)의 외점을 둘러싸고 있으며 쉬브(32)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엔코더(38)는 전동기(33)와 쉬브(34)의 회전수를 계측하고, 계측된 회전수는 제어계측부로 송신된다.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는 로프를 잡아서 제동하는 로프제동장치가 있고, 쉬브의 평판부분을 잡아서 제동하는 기어리스권상기의 이중브레이크가 있는데, 제조하는 회사마다 형태와 작동방식이 틀리게 되어있다.
인버터판넬부 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기제어판넬(41)은 각종 전기배선 및 스위치류로 구성되고, 전기제어판넬(41) 외부에는 인버터(42)를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조작판넬을 설치하고, 전기제어판넬(41) 내부에는 인버터(42), 제동유니트 및 제동저항(43) 등의 설치공간이 갖추어져 있어 인버터(42)와 제동유니트 및 제동저항(43)을 위치시킨다. 인버터(42)는 전동기(33)가 설정된 하중과 속도를 가지고 회전운동을 하게하는 역할을 한다. 제동유니트와 제동저항(43)은 코일형상을 가지며, 전동기에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이를 흡수하여 소모시켜줌으로서 과부하로 인한 기기의 오류나 고장을 방지한다.
제어계측부 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산업용컴퓨터(51)는 컴퓨터상에서 장비를 제어하고 감시할 수 있도록 전용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는 컴퓨터와 전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중과 속도를 설정하고 속도, 운전거리, 제동거리, 가속도, 감속도, 최대속도, 최대가속도, 최대감속도, 정상운전확인, 비정상운전확인을 포함한 장비의 동작상황을 그래프와 수치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조작판넬(52)은 실질적으로 장비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구동 및 정지시킬 수 있는 조작버튼, 로프장력조절장치(36) 조작버튼, 장비로부터 계측되는 속도, 토크, 로프장력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계측기가 사용자조작의 편리성을 감안하여 구성되어 있고, 시스템조작판넬(52) 하단에는 산업용컴퓨터(51) 및 프린터와 데이터통신보드(53)의 설치공간과 관련 전기배선 공간을 갖추고 있다. 데이터통신보드(53)는 인버터판넬부의 인버터(42)와 테스트베드부의 엔코더(38), 로프장력조절장치(36), 토크센서(35),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와 산업용컴퓨터(51)간 데이터통신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수집 및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구성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 발명은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의 편하중 낙하테스트를 그대로 묘사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의 성능시험기로서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에서 진행되는 상승과속시험, 개문출발시험 등의 낙하테스트와 비상제동장치의 종류에 따라 선행되어지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홈파기작업을 가능하게 된다.
브레이크 라이닝의 홈파기작업 에서는 로프제동장치를 작동시켜 로프를 잡은 상태에서 속도모드로 설정된 인버터(42)의 제어를 통하여 전동기(33)를 설정된 속도로 일정하게 회전운동시켜 브레이크 라이닝의 홈파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승과속시험 에서는 두 대의 인버터(42)를 통하여 두 대의 전동기(33)를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정된 하중까지 하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설정된 하중에 도달한 후 2~3초후 한 대의 인버터(42)를 통하여 한 대의 전동기(33) 하중을 낮추어 하중차이를 발생시켜 하중이 큰 방향으로 쉬브(32)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쉬브(32)가 회전운동시에는 두 대의 전동기(33)에는 인가된 하중이 유지되고, 회전운동시 속도는 두 대의 전동기(33)에 인가되는 하중의 차이인 편하중에 의하여 가속하게 되며 설정된 속도에 도달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에 작동신호를 보내고 작동신호를 받은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는 작동하여 설정된 하중과 속도로 움직이는 와이어로프(37)를 잡음으로서 와이어로프(37)로 연결된 쉬브(32)와 쉬브(32)와 원형축으로 연결된 감속기(34), 그리고 감속기(34)와 직결된 전동기(33)는 모두 정지하게 되는데, 제동직후에도 각각의 전동기(33)에는 인가된 하중이 2~3초 유지된 후 모터의 과부하방지를 위하여 인가된 하중을 끊어주게 되며 시험은 종료하게 된다.
개문출발시험 에서는 일정거리의 도어존을 설정하고 상승과속시험과 마찬가지로 두 대의 인버터(42)를 통하여 두 대의 전동기(33)를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정된 하중까지 하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설정된 하중에 도달한 후 2~3초후 한 대의 인버터(42)를 통하여 한 대의 전동기(33) 하중을 낮추어 하중차이를 발생시켜 하중이 큰 방향으로 쉬브(42)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회전운동시 속도는 두 대의 전동기(33)에 인가되는 하중의 차이인 편하중에 의하여 가속하게 되며 쉬브(42)가 회전운동시에도 두 대의 전동기(33)에는 인가된 하중이 유지되고, 회전운동 후 설정된 도어존을 벗어나는 순간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에 작동신호를 보내고 작동신호를 받은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는 작동하여 인가된 하중과 속도로 움직이는 와이어로프(37)를 잡음으로서 와이어로프(37)로 연결된 쉬브(32)와 쉬브(32)와 원형축으로 연결된 감속기(34), 그리고 감속기(34)와 직결된 전동기(33)는 모두 정지하게 되는데, 제동직후에도 각각의 전동기(33)에는 인가된 하중이 2~3초 유지된 후 모터의 과부하방지를 위하여 인가된 하중을 끊어주게 되며 시험은 종료하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라이닝의 홈파기작업, 상승과속시험, 개문발차시험시 인버터판넬부의 인버터(42)와 테스트베드부의 엔코더(38), 토크센서(35), 로프장력조절장치(36)에서 데이터통신보드(53)을 거쳐 산업용컴퓨터(51)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속도, 운전거리, 제동거리, 가속도, 감속도, 최대속도, 최대가속도, 최대감속도, 정상운전확인, 비정상운전확인을 포함한 장비의 동작상황 및 시험결과를 그래프와 수치로 쉽게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현재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환경인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의 동작모델을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테스트타워를 대체하여 성능시험을 할 수 있는 성능시험기의 동작모델을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테스트타워를 대체하여 성능시험을 할 수 있는 성능시험기중 테스트베드부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테스트타워를 대체하여 성능시험을 할 수 있는 성능시험기중 인버터판넬부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테스트타워를 대체하여 성능시험을 할 수 있는 성능시험기중 제어계측부의 구조도
Claims (1)
-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의 편하중 낙하테스트를 대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을 구축하여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에서 진행되는 상승과속시험, 개문출발시험의 낙하테스트와 비상제동장치의 종류에 따라 선행되어지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홈파기작업을 가능하게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성능시험기 및 분석시스템은 크게 테스트베드부, 인버터판넬부, 제어계측부로 나뉘는데, 테스트베드부는 테스트베드(31), 쉬브(32), 전동기(33), 감속기(34), 토크센서(35), 로프장력조절장치(36), 와이어로프(37), 엔코더(38),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로 구성되며, 인버터판넬부는 전기제어판넬(41), 인버터(42), 제동유니트 및 제동저항(43)으로 구성되고, 제어계측부는 산업용컴퓨터(51), 시스템조작판넬(52), 데이터통신보드(53)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의 편하중 낙하테스트를 대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의 성능시험기로서 엘리베이터 테스트타워에서 진행되는 상승과속시험, 개문출발시험의 낙하테스트와 비상제동장치의 종류에 따라 선행되어지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홈파기작업을 가능하게 되는데, 브레이크 라이닝의 홈파기작업에서는 로프제동장치를 작동시켜 로프를 잡은 상태에서 속도모드로 설정된 인버터(42)의 제어를 통하여 전동기(33)를 설정된 속도로 일정하게 회전운동시켜 브레이크라이닝의 홈파기를 진행할 수 있고, 상승과속시험에서는 두 대의 인버터(42)를 통하여 두 대의 전동기(33)를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정된 하중까지 하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설정된 하중에 도달한 후 2~3초후 한대의 인버터(42)를 통하여 한 대의 전동기(33) 하중을 낮추어 하중차이를 발생시켜 하중이 큰 방향으로 쉬브(32)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쉬브(32)가 회전운동시에도 두 대의의 전동기(33)에는 인가된 하중이 유지되고, 회전운동시 속도는 두 대의 전동기(33)에 인가되는 하중의 차이인 편하중에 의하여 가속하게 되며 설정된 속도에 도달시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에 작동신호를 보내고 작동신호를 받은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는 작동하여 설정된 하중과 속도로 움직이는 와이어로프(37)를 잡음으로서 와이어로프(37)로 연결된 쉬브(32)와 쉬브(32)와 원형축으로 연결된 감속기(34), 그리고 감속기(34)와 직결된 전동기(33)는 모두 정지하게 되는데, 제동직후에도 각각의 전동기(33)에는 인가된 하중이 2~3초 유지된 후 모터의 과부하방지를 위하여 인가된 하중을 끊어주게 되며 시험이 종료될 수 있고, 개문출발시험에서는 일정거리의 도어존을 설정하고 상승과속시험과 마찬가지로 두 대의 인버터(42)를 통하여 두 대의 전동기(33)를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정된 하중까지 하중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고, 설정된 하중에 도달한 후 2~3초후 한 대의 인버터(42)를 통하여 한 대의 전동기(33) 하중을 낮추어 하중차이를 발생시켜 하중이 큰 방향으로 쉬브(42)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회전운동시 속도는 두 대의 전동기(33)에 인가되는 하중의 차이인 편하중에 의하여 가속하게 되며 쉬브(42)가 회전운동시에도 두 대의 전동기(33)에는 인가된 하중이 유지되고, 회전운동 후 설정된 도어존을 벗어나는 순간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에 작동신호를 보내고 작동신호를 받은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39)는 작동하여 인가된 하중과 속도로 움직이는 와이어로프(37)를 잡음으로서 와이어로프(37)로 연결된 쉬브(32)와 쉬브(32)와 원형축으로 연결된 감속기(34), 그리고 감속기(34)와 직결된 전동기(33)는 모두 정지하게 되는데, 제동직후에도 각각의 전동기(33)에는 인가된 하중이 2~3초 유지된 후 모터의 과부하방지를 위하여 인가된 하중을 끊어주게 되며 시험이 종료될 수 있고, 브레이크 라이닝의 홈파기작업, 상승과속시험, 개문발차시험시 인버터판넬부의 인버터(42)와 테스트베드부의 엔코더(38), 토크센서(35), 로프장력조절장치(36)에서 데이터통신보드(53)을 거쳐 산업용컴퓨터(51)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속도, 운전거리, 제동거리, 가속도, 감속도, 최대속도, 최대가속도, 최대감속도, 정상운전확인, 비정상운전확인을 포함한 장비의 동작상황 및 시험결과를 그래프와 수치로 쉽게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제동성능시험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6574A KR101164710B1 (ko) | 2009-02-27 | 2009-02-27 |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제동성능시험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6574A KR101164710B1 (ko) | 2009-02-27 | 2009-02-27 |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제동성능시험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7768A KR20100097768A (ko) | 2010-09-06 |
KR101164710B1 true KR101164710B1 (ko) | 2012-07-12 |
Family
ID=4300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6574A KR101164710B1 (ko) | 2009-02-27 | 2009-02-27 |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제동성능시험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47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583128B (zh) * | 2012-02-29 | 2014-08-27 | 徐州泰荣煤矿设备有限公司 | 一种摩擦提升防滑感知自愈装置 |
CN104390800B (zh) * | 2014-11-14 | 2017-11-10 | 广州日滨科技发展有限公司 | 电梯限速器寿命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
CN109540366B (zh) * | 2017-09-22 | 2024-03-15 | 上海龙钰电梯配件有限公司 | 一种用于电梯限速器静摩擦力测试系统 |
KR102137644B1 (ko) | 2018-03-30 | 2020-07-27 | 한국기계연구원 | 구조물 부착형 승하강기 시험 장치 |
CN108426664B (zh) * | 2018-05-10 | 2024-05-07 | 张阳生 | 一种输电线路转角铁塔带电顶升拉力测试系统及其方法 |
CN108928701B (zh) * | 2018-08-21 | 2024-08-13 | 深圳市质量安全检验检测研究院 | 电梯渐进式安全钳的测试装置 |
KR102232159B1 (ko) | 2019-06-04 | 2021-03-29 | 한국기계연구원 | 승강기용 권상기 시험 장치 및 시험 방법 |
CN117268620A (zh) * | 2023-11-21 | 2023-12-22 | 河南卫华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 起重机制动力矩智能检测装置 |
CN118062684B (zh) * | 2024-02-27 | 2024-08-30 | 泰安市特种设备检验研究院 | 用于电梯整条曳引钢丝绳的张力测力计装置和使用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33139A (en) | 1989-04-07 | 1993-08-03 | Tuv Bayern E.V. | Measurement of traction, operation of brake, friction safety gear, and cable forces of an elevator |
-
2009
- 2009-02-27 KR KR1020090016574A patent/KR1011647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33139A (en) | 1989-04-07 | 1993-08-03 | Tuv Bayern E.V. | Measurement of traction, operation of brake, friction safety gear, and cable forces of an ele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7768A (ko) | 2010-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4710B1 (ko) | 엘리베이터 비상제동장치의 제동성능시험시스템 | |
US8336677B2 (en) |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 |
CN100572244C (zh) | 用于检验电梯制动器状况的方法及系统 | |
CN102596783B (zh) | 电梯用紧急停止装置 | |
JP4907097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US10669121B2 (en) | Elevator accelerometer sensor data usage | |
CN111217219B (zh) | 电梯制动力矩检测方法及检测装置 | |
EP1864935A1 (en) | Elevator apparatus | |
CN101163636B (zh) | 电梯装置 | |
KR20040099428A (ko) |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 |
EP1864934A1 (en) | Elevator apparatus | |
WO2014097373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CN105923477B (zh) | 电梯 | |
JPWO2006092967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CN104229571B (zh) | 电梯 | |
EP1958911B1 (en) | Elevator device | |
EP1701905B1 (en) | Elevator arrangement | |
WO2007077828A1 (ja) | エレベータ | |
CN213294328U (zh) | 一种在线检测电梯轿厢上行安全钳功能的装置 | |
WO2005105648A1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20170011241A (ko) | 엘리베이터 이중브레이크의 제동력 검증 방법 | |
JP5829869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 |
KR100727198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2010052875A (ja) |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の制動力および保持力の点検方法 | |
US20220063955A1 (en) | Elevator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