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095B1 -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095B1
KR101164095B1 KR1020100130870A KR20100130870A KR101164095B1 KR 101164095 B1 KR101164095 B1 KR 101164095B1 KR 1020100130870 A KR1020100130870 A KR 1020100130870A KR 20100130870 A KR20100130870 A KR 20100130870A KR 101164095 B1 KR101164095 B1 KR 10116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ignal
copper foil
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358A (ko
Inventor
이병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0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0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 상부의 동박을 이용해 버튼부를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좋으며 경제적이고, 인쇄회로기판을 굽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터치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제조가 용이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터치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 및 터치 신호를 신호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일측과 부착되는 신호선 접촉부와 일측을 따라 적어도 일 방향이 터치 스크린의 유효 화면을 초과하도록 형성된 연장부와 유효 화면을 초과하는 일부 면에 신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튼부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TOUCH WINDOW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본 발명은 터치 기능을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에 연장부를 형성하고 터치 기능을 갖도록 버튼부를 형성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터치를 가능하게 하는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측면에 여러 기능의 측면키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측면키(B1, B2)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스위치(dome switch)를 이용한 버튼 푸쉬(button push) 방식으로 되어 있다. 종래 돔 스위치 형태의 측면키(B1, B2)는 수명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와 함께, 세트 조립시에 측면키와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어셈블리 형태로 제조하여 취급불량 및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측면키 또는 버튼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돔 스위치를 대체하여 측면 터치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버튼부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터치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 및 터치 신호를 신호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일측과 부착되는 신호선 접촉부와 일측을 따라 적어도 일 방향이 터치 스크린의 유효 화면을 초과하도록 형성된 연장부와 유효 화면을 초과하는 일부 면에 신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튼부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를 제공한다. 여기서, 연장부는 굽힘 가능하므로 인쇄회로기판은 일부 또는 전체가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버튼부는 상호 이격되어 신호제어부와 각 연결된 2 이상의 동박편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버튼부는 복수로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버튼부는 서로 다른 기능 구현(예: 볼륨조절, 카메라버튼 등)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신호제어부는 입력된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선 접촉부와 연장부는 상부로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2 이상의 동박편은 상부로 커버층이 제거된 것일 수 있다.
2 이상의 동박편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리시버 동박편을 포함할 수 있다.
2 이상의 동박편은 한 쌍의 리시버 동박편 사이로 연결된 한 쌍의 트랜스미터 동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 이상의 동박편은 전도체 접촉을 통해 신호제어부에 전도체 접촉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고, 버튼부는 연장부가 굽힘되어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 상부의 동박을 이용해 버튼부를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좋으며 경제적이다.
또한, 연장부에 버튼부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을 굽힘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터치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제조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키를 나타낸 예시사진,
도 2는 본 발명인 버튼부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버튼부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중 버튼부와 신호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인쇄회로기판>
도 2는 본 발명인 버튼부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의 일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20)의 신호선(미 도시)과 접촉하는 신호선 접촉부(110) 및 버튼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연장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인 인쇄회로기판(10)은 휴대용 단말기 바디부(1)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는 연장부(120)가 형성되고, 연장부(120) 상의 동박을 소정의 패턴을 갖는 버튼부(130)로 형성함으로써 바디부(1) 측면에서도 터치 가능한 버튼부(13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부(130)는 동박 센서빌러티(copper sensibility)에 기반하여 외부 전도체의 터치에 의한 신호전달이 가능토록 하여 외부 전도체가 스위치 역할을 하도록 작용한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인 인쇄회로기판(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신호선 접촉부(110)는 터치 스크린(20) 일측과 부착되어 터치 스크린(20)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신호처리부(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호선 접촉부(110)는 구체적으로는 동박 패드(미 도시)를 통해 터치 스크린(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패드 전극(미 도시)과 부착되며, 외부 물체(예: 손가락 등)가 터치되는 위치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신호처리부(30)로 전송하게 된다.
연장부(120)는 터치 스크린(20)의 일측을 따라 적어도 일 방향이 터치 스크린(20)의 유효 화면을 초과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20)의 일측은 상술한 신호선 접촉부(110)가 부착되는 일측이며, 유효 화면은 실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서 더미부(220)를 제외한 화면이다.
또한, 연장부(120)는 유효 화면을 초과하는 일부 면에 소정의 패턴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130)는 인쇄회로기판(10) 상으로 적층되어 있는 동박을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유효 화면을 초과하는 연장부(12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부분(유효 화면의 오른편과 왼편)에 대해 어느 한 부분 또는 두 부분 모두에 버튼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부(130)가 굽힘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실시예인 인쇄회로기판(10)의 일부 또는 전체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버튼부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중 버튼부와 신호처리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30)는 상호 이격되어 신호처리부(30)와 각 연결된 2 이상의 동박편(132, 134, 136, 138)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패턴은 각각이 삼각 형상을 하고 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신호선 접촉부(110)와 연장부(120)는 상부로 커버층(미 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특히 버튼부(130)를 형성하는 2 이상의 동박편(132, 134, 136, 138)은 상부의 커버층이 제거되어 외부 전도체의 접촉에 의한 스위칭 역할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전술하였듯이, 버튼부(130)를 구성하는 2 이상의 동박편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리시버 동박편(132, 134)을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리시버 동박편(132, 134) 사이로 상호 연결된 한 쌍의 트랜스미터 동박편(136, 13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시버 동박편(132, 134) 각각은 트랜스미터 동박편(136, 138)과 이격되어 전류를 통하지 않지만, 외부의 전도체(예: 손가락)가 상호 간을 연결시켜 on/off가 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터치 윈도우 >
터치 윈도우의 일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인쇄회로기판(10)에 터치 스크린(20) 및 신호처리부(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20)의 경우,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구성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명 전도성 필름인 ITO(Indium Tin Oxide) 필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30)는 버튼부(130)의 동박편(132, 134, 136, 138)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신호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 바디부(1)에 장착될 수 있는 스피커 모듈(미 도시), 카메라 모듈(미 도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미 도시) 모듈 등을 각 제어한다. 이러한 신호처리부(30)는 터치 스크린(20)에 의해 터치되는 터치 위치를 산출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터치 윈도우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버튼부(130)가 형성된 연장부(120)가 바디부(1) 가장 자리에서 굽힘 되도록 장착되어 바디부(1)의 측면에 버튼부(130)가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의해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1, B2: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버튼
1: 휴대용 단말기의 바디부
10: 인쇄회로기판
20: 터치 스크린
30: 신호처리부
110: 신호선 접촉부
120: 연장부
130: 버튼부
132, 134: 리시버 동박편
136, 138: 트랜스미터 동박편
210: 터치 스크린의 유효 화면
220: 더미부

Claims (9)

  1.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터치 신호를 제어하는 신호제어부; 및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신호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일측과 부착되는 신호선 접촉부와 상기 일측을 따라 적어도 일 방향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유효 화면을 초과하도록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유효 화면을 초과하는 일부 면에 상기 신호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튼부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호 이격되어 상기 신호제어부와 각 연결된 2 이상의 동박편으로 형성된 것인 터치 윈도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복수로 구비된 것인 터치 윈도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위치 좌표를 산출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접촉부와 상기 연장부는 상부로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동박편은 상부로 상기 커버층이 제거된 것인 터치 윈도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동박편은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리시버 동박편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동박편은 상기 한 쌍의 리시버 동박편 사이로 연결된 한 쌍의 트랜스미터 동박편을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동박편은 외부 전도체의 접촉을 통해 상기 신호제어부에 상기 전도체의 접촉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인 터치 윈도우.
  9. 바디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연장부가 굽힘되어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100130870A 2010-12-20 2010-12-20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101164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870A KR101164095B1 (ko) 2010-12-20 2010-12-20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870A KR101164095B1 (ko) 2010-12-20 2010-12-20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358A KR20120069358A (ko) 2012-06-28
KR101164095B1 true KR101164095B1 (ko) 2012-07-12

Family

ID=4668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870A KR101164095B1 (ko) 2010-12-20 2010-12-20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0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60B1 (ko) 2007-11-09 200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60B1 (ko) 2007-11-09 200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358A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71053U (zh) 智能手机
CN205068342U (zh) 触摸输入装置
CN205050119U (zh) 用于检测压力的电极片及包括该电极片的触摸输入装置
WO2011105701A2 (ko) 터치 센서
EP2385447B1 (en) Touch-controlled electronic apparatus and related assembly method
CN207037545U (zh) 一种侧按键装配结构及电子设备
CN108139822B (zh) 复合触摸面板
JP2013134635A5 (ko)
CN113454581B (zh) 触控基板及显示装置
KR200467730Y1 (ko) 저항 터치 패널
CN104461128B (zh) 触控面板
CN105206958A (zh) 一种卡托组件及电子设备
CN103197789B (zh) 触控面板
KR101164095B1 (ko) 터치 윈도우 및 측면 터치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US999620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TO electrode pat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93242B1 (ko) 이동통신단말기
CN205376351U (zh) 一种适用于手柄的按键结构及输入设备
JP2007173067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CN208478194U (zh) 一种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CN104808874B (zh) 电子装置
JP6563788B2 (ja) 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
KR20140054761A (ko) 터치스크린 패널
CN215601283U (zh) 一种触摸控制模组和多媒体电子设备
TWI428073B (zh) 複合電路板
JP5318790B2 (ja) 入力センサ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