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064B1 - 유기 발광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064B1
KR101163064B1 KR1020100050527A KR20100050527A KR101163064B1 KR 101163064 B1 KR101163064 B1 KR 101163064B1 KR 1020100050527 A KR1020100050527 A KR 1020100050527A KR 20100050527 A KR20100050527 A KR 20100050527A KR 101163064 B1 KR101163064 B1 KR 101163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949A (ko
Inventor
반태현
김광복
박찬준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06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4An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e.g. ITO layer combined with metal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4Cath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애노드(Anode) 전극 또는 캐소드(Cathode)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전류밀도를 균일하게 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으로서, 전압이 인가되며, 발광화소 영역에 대하여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는 전극패드; 상기 전극패드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배치되되, 상기 발광화소 영역에 대하여 폭방향(w)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는 하나의 이상의 전극라인; 및 상기 전극라인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되, 상기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극라인의 중심부(C)에서 접촉부(P)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짧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보상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ELECTROD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 손실율에 따른 저항균일도를 고려한 사다리형 격자 배선구조로 패터닝(Patterning)된 유기 발광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소자는 두 개의 반대 전극과 그 사이에 존재하는 다층의 반도체적 성질을 갖는 유기물의 박막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유기 발광소자는 유기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시켜주는 현상, 즉 유기 발광현상을 이용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유기 발광소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 발광소자(10)는 양극(50)과 음극(30) 사이에 유기물층(40)을 위치시킨 구조에 있어서 두 전극(50,30) 사이에 전압을 걸어주게 되면 양극(50)에서는 정공이, 음극(30)에서는 전자가 유기물층(40)에 주입되게 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만났을 때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고, 이 엑시톤이 다시 바닥상태로 떨어질 때 빛이 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기 발광 소자(10)에서는 유기물층(40)에서 생성된 빛이 광투과성 전극을 통하여 방출하게 되며, 유기 발광소자(10)는 통상 전면발광(top emission), 후면발광(bottom emisstion) 및 양면발광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면 또는 후면발광형의 경우는 두 개의 전극(50,30) 중 하나가 광투과성 전극이어야 하며, 양면발광형의 경우는 두 개의 전극(50,30)이 모두 광투과성 전극이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유기 발광소자에 대해서는 다층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저전압에서 구동할 수 있다는 코닥사의 발표 이래 많은 연구가 집중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유기 발광소자를 이용한 천연색 디스플레이가 휴대용 전화기에 부착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유기 발광소자는 기존의 형광 물질을 이용하는 대신 인광 물질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효율의 향상이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는 기존의 조명을 대체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유기 발광소자가 조명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천연색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고휘도에서 소자를 구동하여야 하며, 기존의 조명과 같이 일정한 휘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유기 발광소자의 휘도를 충분히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에서 발광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와 같이 넓은 면적에서 발광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높은 구동 전류를 이용해야 한다. 또한, 넓은 면적에서 일정한 휘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높은 전류가 넓은 면적의 소자에 균일하게 주입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소자의 양극 물질로는 주로 일함수가 큰 금속 산화물이 사용된다. 그러나, 금속 산화물은 전기 전도도가 비교적 높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금속 산화물이 표시 면적이 작은 유기 EL이나 LCD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문제점이 없으나, 조명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대면적 유기 EL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높은 전류에 의한 전압 강하가 커서 전류가 발광면에 고르게 주입되지 않으므로 소자의 발광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전극(50,30)을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결선시킨 부분인 전극패드(20)의 근처에서만 발광을 하고(발광 영역 1), 나머지 영역(발광 영역 2)에서는 약한 발광이 일어나거나 발광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유기 발광 소자(20)의 음극 물질로는 주로 일함수가 작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금속은 물질 자체의 전기 전도도는 높을 수 있으나, 유기 발광 소자(20)의 특성상 전극의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박막으로 형성된다면 전기 전도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전류가 발광면에 고르게 주입되지 않으므로 소자의 발광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소자를 조명기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극의 저항을 줄여 넓은 면적의 소자에서 고휘도의 발광이 균일하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전극의 저항을 줄이며 넓은 면적의 소자에서 균일한 발광을 생성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의 일측면에 넓은 범위로 분포되어 배치된 보조전극이 이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은 애노드 전극의 높은 저항으로 인해 디스플레이의 구동시 전압 강하가 일어나서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양극의 일측에 패터닝되어 배치되는 전극을 의미한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패드(2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선형의 보조전극(21)의 경우, 상기 전극패드(20)와 인접한 보조전극 부분에는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되나, 상기 전극패드(20)와 이격된 부분에는 상기 보조전극(21)이 갖는 저항손실율로 인하여 전압강하(IR Drop)가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유기 발광소자의 휘도가 낮아지며, 전체적으로 휘도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보조전극의 전극라인이 갖는 저항손실율을 고려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보조전극의 전압강하 문제를 해결하여, 동일한 구동전압에서도 유기 발광소자의 휘도 및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고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대면적 면광원 제작에 효율적이며, 배선구조 개선을 통한 발광유기 물질의 데미지(Damage)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은, 애노드(Anode) 전극 또는 캐소드(Cathode)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전류밀도를 균일하게 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으로서, 전압이 인가되며, 발광화소 영역에 대하여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는 전극패드; 상기 전극패드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배치되되, 상기 발광화소 영역에 대하여 폭방향(w)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는 하나의 이상의 전극라인; 및 상기 전극라인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되, 상기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극라인의 중심부(C)에서 접촉부(P)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짧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보상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극라인은, 상기 전극패드와 수직된 형태로 배치되되, 각 전극라인의 이격거리(D)는, 상기 전극라인이 갖는 저항손실율(R) 요소, 도전율 요소, 길이(L) 요소 및 단면적(A)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기초로 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전극은, 상기 전극라인의 중심부(C)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이 상기 전극라인의 접촉부(P)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의 길이보다 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중심부(C)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과 상기 접촉부(P)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의 각 길이는, 상기 전극라인이 갖는 저항손실율(R) 요소, 도전율 요소, 길이(L) 요소, 단면적(A) 요소 및 각 전극라인의 이격거리(D)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요소를 기초로 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전극은, 상기 전극라인과 직교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상전극은, 크롬(Cr), 몰리브덴(Mo),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알루미늄-네오듐(AlNd)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에 의하면, 보조전극의 전극라인이 갖는 저항손실율을 고려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보조전극의 전압강하 문제를 해결하여, 동일한 구동전압에서도 유기 발광소자의 휘도 및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고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대면적 면광원 제작에 효율적이며, 배선구조 개선을 통한 발광유기 물질의 데미지(Damage)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유기 발광소자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 및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전극의 전극패드와 전극라인이 상호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전극의 전극라인 상에 보상전극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는, 광이 방출되는 유리기판(240)을 구비하고, 유리기판(240)의 일면에는 양의 전압이 인가되며 유기 발광물질(220)에 정공을 제공하는 애노드 전극(230), 애노드 전극(230) 또는 캐소드 전극(210)의 일측에 넓게 분포된 형태로 패터닝되어 상기 애노드 전극(230) 또는 캐소드 전극(210)에 인가되는 전류밀도를 균일하게 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100:이하에서는 '보조전극'이라 함), 양단(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발광이 발생되는 유기 발광물질(220) 및 음의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 발광물질(220)에 전자를 제공하고 전기전도도는 높으나 일함수가 낮은 금속(Ca, Li, Al, Mg 및 Ag 등) 재질을 가지는 캐소드 전극(21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200)가 양면 발광소자일 경우에는, 상기 캐소드 전극(210)은 상기 애노드 전극(230)과 마찬가지로 ITO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전면발광 또는 후면발광 등의 단면 발광소자일 경우에는, 상기 캐소드 전극(210)은 Al과 같이 반사성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유리기판(240), 애노드 전극(230), 보조전극(100), 유기 발광물질(220) 및 캐소드 전극(210) 순으로 적층되며 하나의 보조전극(100)이 애노드 전극(230)과 유기 발광물질(220)의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200)의 설계에 따라 각 부재의 배치되는 순서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전극(100)은 애노드 전극(230)의 하면에 위치하여 유리기판(240)과 애노드 전극(230)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캐소드 전극(2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더불어, 2개의 보조전극(100)이 상기 애노드 전극(230) 및 캐소드 전극(210)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캐소드 전극(210)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조전극(100)은, 애노드 전극(230) 또는 캐소드 전극(210)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애노드 전극(230) 또는 캐소드 전극(21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전류밀도를 균일하게 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으로서, 도 3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패드(110), 전극라인(120), 보상전극(130)을 포함한다.
먼저, 전극패드(110)는, 전압이 인가되며 발광화소 영역에 대하여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발광화소 영역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에서 광이 발산되는 범위를 의미하며, 상기 유기 발광물질(220)이 형성된 범위와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l)은 후술되는 전극라인(120)의 폭방향(w)과 구분하기 위한 임의의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발광화소 영역내에서의 하나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전극패드(110)는, 접촉되는 부재(애노드 전극(230), 캐소드 전극(210) 또는 유기 발광물질(220))에 균일한 전류밀도로 전압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발광화소 영역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라인(120)은, 상기 전극패드(11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배치되되, 상기 발광화소 영역에 대하여 폭방향(w)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라인(120)은, 상기 발광화소 영역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의 라인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양단은 상기 전극패드(11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개의 전극라인(120)이 배치될 경우, 각 전극라인(120)이 갖는 이격거리(D)는 모두 동일한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 개의 전극라인(120)은 모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극라인(120)과 인접한 다른 전극라인(120)이 상호 떨어져 있는 거리를 의미한다.
더불어, 상기 전극라인(120)은, 상기 전극패드(110)와 수직된 형태로 배치되되, 각 전극라인(120)의 이격거리(D)는 상기 전극라인(120)이 갖는 저항손실율(R) 요소, 도전율(C) 요소, 길이(L) 요소 및 단면적(A)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기초로 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극라인(120)은, 양단의 전극패드(110)에 전압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압을 접촉된 캐소드 전극(210) 또는 애노드 전극(230)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압이 직접 인가되는 전극패드(110)와 접촉된 접촉부(P)의 주변은 높은 전류밀도를 가지나 상기 접촉부(P)와 멀어질수록 즉, 상기 전극라인(120)의 중심부(C)로 갈수록 전류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전류공급의 불균형을 가진 상태로 상기 캐소드 전극(210) 또는 애노드 전극(230)에 전달된다.
이는, 상기 전극라인(120)이 갖는 저항손실율(R) 즉, 상기 접촉부(P)에서 중심부(C)로 갈수록 비저항(specific resistance)값의 차이로 인해 전압강하(IR Drop)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전극라인(120)이 갖는 길이(L)의 크기에 비례하며, 상기 전극라인(120)이 갖는 단면적(A)에 비례하기 때문에 상기 전압강하가 발생하는 것이다.
[수학식]
저항손실율(R:μΩ.㎝) = (1/58) * (100/C) * (L/A)
(여기서, C는 전극라인의 도전율(%)이며, L은 전극라인의 길이(m)이며, A는 전극라인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에서는, 보상전극(130)을 상기 전극라인(120)의 라인선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비저항값의 차이로 발생되는 저항균일도를 제어하여 발광시 발광균일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상전극(130)은, 상기 전극라인(12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되, 상기 전극라인(120)의 선상에서 일측방향 또는 양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극라인(120)의 중심부(C:도 5a 참조)에서 접촉부(P)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짧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전극이다.
따라서, 상기 전극라인(120)의 저항손실율에 따른 전압강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보상전극(130)은, 상기 전극라인(120)의 중심부(C)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130)이 상기 전극라인(120)의 접촉부(P)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130)의 길이보다 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중심부(C)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130)과 상기 접촉부(P)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130)의 각 길이는, 상기 전극라인(120)이 갖는 저항손실율(R) 요소, 도전율(C) 요소, 길이(L) 요소, 단면적(A) 요소 및 각 전극라인(120)의 이격거리(D)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요소를 기초로 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상전극(130)은, 상기 보상전극(130)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재(애노드 전극(230), 캐소드 전극(210) 또는 유기 발광물질(220))에 균일한 전류밀도로 전압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전극라인(120)과 직교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극라인(120)의 중심부(C)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대칭된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상전극(130)의 재질은, 접촉되는 부재인 애노드 전극(230) 또는 캐소드 전극(210)이 형성된 재질의 종류를 고려하여 각각의 전극이 갖는 일함수 및 전기전도도가 유사한 크기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백금(Pt), 은(Ag), 알루미늄(Al), 크롬(Cr), 몰리브덴(Mo), 티타늄(Ti), 구리(Cu) 및 알루미늄-네오듐(AlNd)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의 구성에 따라, 보조전극의 전극라인이 갖는 저항손실율을 고려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보조전극의 전압강하 문제를 해결하여, 동일한 구동전압에서도 유기 발광소자의 휘도 및 휘도 불균일을 개선하고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음은 물론, 대면적 면광원 제작에 효율적이며, 배선구조 개선을 통한 발광유기 물질의 데미지(Damage)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보조전극 110...전극패드
120...전극라인 130...보상전극
200...유기 발광소자 210...캐소드 전극
220...유기 발광물질 230...애노드 전극
240...유리기판

Claims (7)

  1. 애노드(Anode) 전극(230) 또는 캐소드(Cathode) 전극(210)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애노드 전극(230) 또는 캐소드 전극(21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전류밀도를 균일하게 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으로서,
    전압이 인가되며, 발광화소 영역에 대하여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는 전극패드(110);
    상기 전극패드(11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배치되되, 상기 발광화소 영역에 대하여 폭방향(w)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는 하나의 이상의 전극라인(120); 및
    상기 전극라인(12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되, 상기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전극라인(120)의 중심부(C)에서 접촉부(P)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짧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보상전극(130);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라인(120)은,
    상기 전극패드(110)와 수직된 형태로 배치되되,
    각 전극라인(120)의 이격거리(D)는, 상기 전극라인(120)이 갖는 저항손실율(R) 요소, 도전율(C) 요소, 길이(L) 요소 및 단면적(A)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를 기초로 하여 정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전극(130)은,
    상기 전극라인(120)의 중심부(C)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130)이 상기 전극라인(120)의 접촉부(P)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130)의 길이보다 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중심부(C)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130)과 상기 접촉부(P)의 일측에 위치한 보상전극(130)의 각 길이는, 상기 전극라인(120)이 갖는 저항손실율(R) 요소, 도전율(C) 요소, 길이(L) 요소, 단면적(A) 요소 및 각 전극라인(120)의 이격거리(D)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요소를 기초로 하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전극(130)은,
    상기 전극라인(120)과 직교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전극(130)은,
    상기 전극라인(120)의 중심부(C)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대칭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
  6. 제 4항에 있어서,
    보상전극(130)은,
    백금(Pt), 은(Ag), 알루미늄(Al), 크롬(Cr), 몰리브덴(Mo), 티타늄(Ti), 구리(Cu) 및 알루미늄-네오듐(AlNd)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용 보조전극.
  7. 삭제
KR1020100050527A 2010-05-28 2010-05-28 유기 발광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KR101163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527A KR101163064B1 (ko) 2010-05-28 2010-05-28 유기 발광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527A KR101163064B1 (ko) 2010-05-28 2010-05-28 유기 발광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949A KR20110130949A (ko) 2011-12-06
KR101163064B1 true KR101163064B1 (ko) 2012-07-05

Family

ID=4549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527A KR101163064B1 (ko) 2010-05-28 2010-05-28 유기 발광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407B1 (ko) 2012-10-08 2019-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42643B1 (ko) * 2014-10-30 2021-04-22 주성엔지니어링(주) 유기 발광 장치
KR102338906B1 (ko) 2014-12-18 2021-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299474A (zh) * 2019-07-19 2019-10-01 江苏壹光科技有限公司 一种色温可调的电致发光器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0244A (ja) 2006-06-28 2008-01-17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有機el素子
JP2008103305A (ja) 2006-10-17 2008-05-01 Lg Electron Inc 電界発光パネル及びそれを含む光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0244A (ja) 2006-06-28 2008-01-17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有機el素子
JP2008103305A (ja) 2006-10-17 2008-05-01 Lg Electron Inc 電界発光パネル及びそれを含む光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949A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333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299371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JP4968967B2 (ja) 発光装置
JP5058251B2 (ja) 発光装置
EP3144993B1 (e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KR101938701B1 (ko) 유기발광소자
US20180331161A1 (en) Ole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5635699B2 (ja) 有機発光装置
US1032597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5184652B2 (ja) 輝度の均一性を改善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デバイス
US982524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246360B (en) Electrod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120019124A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segmented illumination device
KR101163064B1 (ko) 유기 발광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JP4950850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
JP2007173519A (ja) 有機el照明パネル及び有機el照明装置
TW20090841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LED device and such an OLED device
KR101403407B1 (ko) Oled 면광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23599A (ko) 유기발광소자
KR2010003098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3125690A (ja) 発光装置
TW201328423A (zh) 有機電致發光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